KR19990063635A -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635A
KR19990063635A KR1019980702084A KR19980702084A KR19990063635A KR 19990063635 A KR19990063635 A KR 19990063635A KR 1019980702084 A KR1019980702084 A KR 1019980702084A KR 19980702084 A KR19980702084 A KR 19980702084A KR 19990063635 A KR19990063635 A KR 1999006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passage
thread
textur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취 고틸프
Original Assignee
크리스티안 씨멘,에르윈 슈왈쯔
헤버라인 피버테크놀로지,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티안 씨멘,에르윈 슈왈쯔, 헤버라인 피버테크놀로지, 아이엔시 filed Critical 크리스티안 씨멘,에르윈 슈왈쯔
Publication of KR1999006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02G1/161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yarn crimping air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Loom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의 통로가 전체 실통로를 신속히 개방하기 위하여 가동부품으로 구성되도록하는 방식으로 직조장치의 설계를 제안하고 있다. 이로인하여 노즐몸체는 가급적 지지판 및 슬라이드 판으로서 2개 부분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예컨대 실통로는 지지판 내에서 U형으로 되어서 관절레버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평슬라이드 판에 대하여 움직인다. 상기 레버의 위치에 따라서 전체 실통로는 실을 꿰기 위하여 완전히 개방되거나 또는 작동위치에 대하여 닫힌다. 디프렉터는 또한 움직일 수도 있게되어 있거나 또는 특수한 배치로 동장치의 고정부품들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관심의 대상이되고 있는 설계로서 공기 공급 또한 실꿰는 위치에서 차단이 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가동부품에 의하여 대등한 방식으로 작동위치에서 열릴 수 있다.

Description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공기블로우 텍스쳐가공의 이론적인 기초자료는 1984년 6월에 발표된 복크/륜스로스에 의한 "섬유와 실제"의 국제져널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실제적으로 현재 2가지 유형의 개념 분류가 가능하다 : 이것은 내측에 있는 텍스쳐공간과 다른것으로는 외측에 있는 텍스쳐공간으로 되어 있다. 특허명세서의 도 1은 논문에 의하여 외측으로 유동방향에서 구조상 제한되어 있지 않은 텍스쳐공간을 가진 직조과정의 주요 기능들을 약도로 도시하고 있다. 무한섬유실은 EF로 미정제 실은 Groh로 텍스쳐 가공된 실은 Gtex로 표시되어 있다. 섬유실 EF는 공기유동에 의하여 말려들어 열리며 직접 텍스쳐가공 공간 T로 전달 된다. 텍스쳐가공 공간 T는 고유의 공정역으로 여기에서 텍스쳐가공이 행해진다. 꼬는점 F로부터 텍스쳐 가공된 실 Gtex는 대략 수직으로 유출된다(가는 화살표). 굵은 화살표로는 공기유동방향 L로 표시되었다. 도 2는 외측 텍스쳐가공 공간을 가진 선행기술의 텍스쳐가공 노즐을 지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GW로 실패스(path)가 표시되어 있다. 실제 나타난 바에 의하면 텍스쳐가공공간 T를 제한하기 위한 디프렉터 P의 설치가 텍스쳐가공 품질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거의 예외없이 모든 텍스쳐가공장치들은 현재 디프렉터를 사용하고 있다. 주요한 장점은 텍스쳐가공 공간 T의 정확한 제한이나 또는 지정에 있음으로 텍스쳐가공 조건들은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도 2에는 디프렉터가 롤형으로 되어서 실통로에 따라서 간격 A로 배열되어 있다. 직조된 실은 디프렉터 P를 돌아서 이동된다. 도 2a와 2b는 외측 텍스쳐가공 공간을 가진 출원자(여)의 공지된 2개의 텍스쳐가공 노즐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작동위치 epos 외에도 추가로 실꿰는 위치 Epos(P')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을 꿰기위하여 디프렉터는 실로부터 궁형으로 이탈됨으로 실패스는 실을 꿰기위한 텍스쳐가공 공간역에 예컨대 실꿰는 피스톨과 떨어지게 된다. 도 3과 3a는 예컨대 EPA No 88 254에 의한 텍스쳐가공장치의 기타 공지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동시에 도 3은 실꿰는 위치(Epos)이고 도 3a는 작동위치(Bpos)이다. 도 3에서 도 2와의 본질적인 차이를 알 수 있다. 공기주입구(LA)는 각이진 구멍들에 의하여 행해져서 직접 실패스로 유입된다. 실패스의 최종부를 트럼펫형으로 확대되고 디프렉터(P)는 일부 트럼펫형으로 밀려들어가서 내측 텍스쳐가공공간(T)을 형성한다. 도 2에 의한 해결방안에 의하듯이 도 3a의 경우에도 디프렉터는 노츨로부터 나오는 자유공기 유동을 차단시켜서 실패스에서 실꿰기 공정의 장애가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디프렉터는 실꿰기 위치를 잡기 위하여 실패스가 실꿰기를 위하여 더 이상 장애를 받지 않도록 밀려난다(P'). 텍스쳐가공된 실의 품질검사는 품질센서 Qs 및 저자 감별장치 el. A로 행할 수 있다. 고유의 텍스쳐가공노즐(TD)은 노즐헤드(DK)에 공기조인트(LA) 와 같이 고정되어 있다. 압축공기는 텍스쳐가공 공정을 위하여 3바(bar) 이상의 압력 특히 4바(bar) 이상으로 공급되며 공기분사는 확대된 노즐출구방향으로 행해진다. 이미 노즐의 1차단면 확장의 경우에 그리고 트럼펫형의 경우에도 고압으로 인하여 초음속상태가 되는데 이것이 텍스쳐 가공을 하게된다. 텍스쳐의 개념은 현재까지 공지된 전문용어에 따라서 다중세사(실)의 정제 과정으로 이해되는바 이때 초음속에 이어서 충격파 또는 압력파가 작용한다. 초음속영역에서의 공기유동은 고도의 형태-와 노즐표면의 가공품질을 요한다. 실의 마찰에 의하여 생기는 응력을 받으면서도 가급적 수명을 오래유지하도록 노즐몸체는 특히 내마모성 세라믹이나 초경으로 제작된다. 두가지 상기 실시예에 따라 텍스쳐가공노즐로 취급하면 방사의 텍스쳐가공 품질이 공지된 바와같이 대단히 양호하다. 그러나 주된 단점을 든다면 작동 예컨대 보다 간단한 와류식노즐에 비하여 어렵다는 것이다. 텍스쳐노즐헤드의 특수한 품질과 형상 및 제조비용이 큰 제조비용을 요한다.
미특허 US-PS NO 3. 835 5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유사한 외측 텍스쳐 가공 공간을 가진 텍스쳐노즐을 도시하고 있으나 디프렉터가 납작하거나 또는 디프렉터판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작동시 평형상태를 유지하며 이는 측면의 힌지위치로 가능하다. 실을 꿰기위하여 여기에서는 상기 텍스쳐의 경우처럼 동일한 조건이 성립한다.
본 발명은 고압공기주입구를 가진 실통로 및 실통로에 대하여 대략 90°인 텍스쳐되는 실을 위한 디프렉터(deflector)에 의하여 제한된 텍스쳐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1개 실의 텍스쳐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한 일련의 실시예들을 가지고 설명하고자 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공지의 텍스쳐공정약도;
도 2는 외부에 위치한 텍스쳐공간을 가진 선행기술의 텍스쳐 노즐단면;
도 2a 및 2b는 도 2에 의한 텍스쳐 노즐의 구체적 유형의 두 약도;
도 3은 내부에 위치한 텍스쳐 공간을 가진 선행기술의 텍스쳐노즐에 대한 실꾀는 위치;
도 3a는 도 3에 의한 작동위치;
도 4 및 4a는 발명에 의한 텍스쳐노즐의 두 약도;
도 5는 도 4의 단면 V-V도
도 5a는 실꾀는 위치의 도 5;
도 6 및 6a 발명에 의한 텍스쳐노즐의 이형으로서 도 6a는 열린 상태 그리고 도 6은 닫힌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상이한 위치들에의 열림 또는 닫힘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실통로 내로 들어간 디프렉터의 특수형;
도 8 및 8a는 고정디프렉터를 가진 텍스처노즐;
도 9 및 9a는 이동부에 고정된 디프렉터를 구비한 텍스쳐노즐.
본 발명에 있어서 텍스쳐노즐의 경제적인 제작과 특히 실꿰기도 작동과 같이 실용적으로 최적의 취급을 허용하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과제가 설정되었다.
적어도 한 개의 실을 텍스쳐 가공시 실유도를 위한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있어서 실은 압축공기유입으로 실통로를 통하여 연이어 디프렉터로 제한된 텍스쳐공간을 통하여 유입되며 횡방향의 실통로에 대하여 텍스쳐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바 텍스쳐공간과 실꿰기 실통로의 영역내 전체 실패스가 개방되며 텍스쳐가공을 위하여 다시 닫혀짐으로 이동하는 실도 정지된 실과 같이 꿰어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법의 특히 우선 유형에 의하면 실은 직접 횡방향 유출에 따라서 텍스쳐공간으로부터 재차 실통로의 실유입의 실이동방향으로 재차 방향 전환을 한다. 방법의 기타 유익한 유형에 따라 디프렉터 자체는 텍스쳐 가공된 실이 디프렉터에 의하여 최소한 텍스쳐가공을 위하여 실을 유입하는 경우와 거의 같이 재차 교정이 되는 방식으로 실가이드로 구성된다. 새로운 방법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의 실이 실꿰는 방향과 텍스쳐 가공시의 전체 실패스를 거쳐 안내되는바
a) 이동중이거나 정지된 실을 꿰기위하여 전체 실패스는 실통로 및 연이어 디프렉터에 의하여 제한이 되는 텍스쳐 공간으로 구성되며 개방된 실꿰기 위치에서 장애물이 제거되며,
b) 텍스쳐가공을 위하여 실패스가 폐쇠된 작동위치로 돌려지는바
c) 텍스쳐 가공시 실은 실통로를 통하여 안내되고 연이어 실통로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또는 텍스쳐공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출된다.
발명에 의한 장치는 닫혀진 작동위치와 열려진 실꿰기 위치에서 조정이 가능한바 이때 실통로는 비교적 상대운동을 하는 요소에 의하여 제한을 받으며 전체 실패스의 신속한 개방 또는 차단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새 본발명의 요지는 종전의 텍스쳐 가공 방법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바 이에의하며 실을 꿰는 위치에 대해서는 즉 디프렉터는 실통로의 유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선행기술에서는 실꿰기는 경우에 따라서 보조수단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감수한다. 이에대하여 본발명은 전체 실패스의 신속한 개방을 제안하고 있음으로 이동중인 실도 감길수가 있다. 본발명은 다수의 특히 유리한 유형들을 허용한다. 제일 유리한 유형은 실통로과 텍스쳐 공간은 다같이 이동하는 요소에 의하여 제한을 받으며 전체 실패스의 신속한 개방 또는 차단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전체 실패스의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구상들이 생겨난다.
- 실통로의 가동요소와 디프렉터의 동시 운동에 의함.
- 예컨대 노즐판의 운동에 의한 텍스쳐 가공실의 개방에 의함
- 전체 실패스가 실꿰는 위치에서 실꿰기를 위하여 비어 있도록 디프렉터의 특수배열 또는 조립에 의함
- 또한 이러한 각 구상들이 공기주입의 제어로 조합이 가능하다.
대단히 유용한 경우는 가동(可動)요소들이 압축공기밸브와 결합되어서 실꿰는 위치에서 공기유입이 차단되며 작동위치에서는 공기유입구가 개방될때이다. 실패스와 공기유로의 양 패스기능의 "변환과정"을 조정함으로서 현재까지의 선행기술로서는 불가하였던 조작의 편리성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으로 텍스쳐노즐의 모든 전환기능을 크립식으로하여 신속한 변환이 가능하다. 이에따라서 실통로의 가동요소는 슬라이딩판으로 구성되는바 하나의 특히 경사형 조향레버에 의하여 작동위치와 실꿰는 위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다른 한가지 실시예에 따라서 실통로가 완전히 하나의 가동 노즐판 내에 형성되어서 작동위치에서 전 길이에 걸쳐서 실통로와 경계를 이루는 하나의 평섭동판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되는바 이때 실패스는 공기유동부위에서 특히 대략 U-형의 일정한 또는 확대단면을 가진다. 노즐출구 부위는 특별히 요구되는 경우에 따라서 다소 확대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해결방안은 까다로운 부위 즉 공기유동부위의 실패스가 간단히 삽입된 공구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패스의 제작비용을 대단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이 손상이 되지 않도록 꿰어지고 출구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입구측도 출구측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단면을 가진 실통로의 모서리를 최소한으로 따내는 것만으로 여러번 사용에 충분한다. 여러번 사용에 유리한 경우는 노즐판이 양질의 세라믹으로 제조될때이다. 가장 간단한 텍스쳐 가공노즐에 대하여서는 또한 노즐판이 실통로에 대하여 한 개, 두 개 또는 다수의 각이지게 배열된 압축공기유입구멍들을 가지고 있는바 실통로와 통해 있다. 텍스쳐 가공에 있어서 보다 고품질을 요할 경우에는 물론 대략 EP-PA NO 625 600에 따라서 각기 120°의 각도로 압축공기 유입구멍 3개를 감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가동측에 추가 압축공기 조인트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이다. 실통로가 적어도 공기유동 부위에서 대략 U-형 V-형 또는 반원형의 일정한 그리고/또는 확대단면을 가지면 동 실통로는 완전히 노즐판내에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포함시킬 수가 있다. 슬라이드판은 이에대하여 닫혀진 평슬라이드면으로 되어 있는데 개방된 V-또는 U-측에서 U또는 V단면을 닫거나 또는 실을 꿰기 위하여 완전히 개방시킨다. 디프렉터는 직접 실통로가 가동요소와 연결되어 열린 위치에서 실패스를 개방하거나 이를 자유롭게 한다. 슬라이드판 및 저지체는 공동의 토글보인트(toggle joint)에 의하여 가동체로서 움직일 수 있다. 간단한 유형은 저지체가 직접 그리고 고정 또는 관절형으로 토글조인트와 연결되고 닫혀진 작동위치 및 열려진 꾀는 위치의 조정을 위하여 실통로의 횡방향으로 선회가능하다는데 있다. 이것은 특히 경제적인 장치의 제조를 허용하는바 이로인하여 실통로내에 경사지게 통해있는 압축공기 주입구로서 그안에 설치된 실통로를 구비한 이동식 노즐판, 더욱이 실통로를 닫기 위한 슬라이딩판 및 디프렉터(deflector)와 차단밸브를 가지며 이는 이동단위로 구성되어서 전체 실통로에서 동시적으로 신속한 장애물의 제거와 공기주입구의 개폐를 하여준다. 이에대한 구체적 형태에서 이동단위는 하나의 힌지레버를 가지고 있는 바 여기에서 노즐판이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또한 디프렉터도 경사운동으로 순식간에 작동 또는 고정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때 노즐판의 이동에 의하여 공기차단 또는 방출이 행해진다.
도 2에 따르는 텍스처 노즐은 그것이 디프렉터의 운동에 해당되는한 새로운 고안에 의하여 경제적으로 개조가능하다. 이에반하여 도 2의 공기주입구 형태는 노즐몸체의 2개 슬라이딩 반쪽 형성을 곤란하게 한다. 반대로 도 3에 따른 내부에 위치한 텍스쳐가공 실로 해결할 경우에 작동위치를 위하여 확장되 실통로로 들어가는 디프렉터는 실통로의 반쪽을 직접 슬라이딩 하는 것을 방해한다. 텍스쳐 가공 개념에 있어서 작동중인 디프렉터가 실통로내로 들어가는 경우 발명에 따라 실통로로부터 디프렉터의 동시 조정되어 밖으로의 이동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통로는 깔때기-또는 트럼펫형으로 확장되는바 이 경우 디프렉터는 작동위치에서 용이하게 확장부로 들어 간다. 위치전환을 위하여 디프렉터는 추가로 실관축 "X" 방향으로 삽입 깊이 만큼 웁직인다. 그 길이는 이경우 수 ㎜이다. 디프렉터는 이에따라 두 개의 이동부인 하나의 X-축방향의 짧은 삽입부와 이에대하여 횡축으로 향한 이동부인데 이동부는 직접 실통로의 이동요소와 결부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디프렉터는 장치의 고정부와 실꾀임위치에서 실꼬임 텍스쳐 실 부위가 비어 있도록 결부되어 있다. 디프렉터는 이 경우 실통로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작동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텍스쳐 실은 노즐판의 측면 및 측면에 평행하게 배열된 특히 평탄한 디프렉터에 의하여 제한이 되어 있으며 적어도 두 측에서 특히 앞으로 그리고 실이동방향으로 개방이 되어 있다. 이에따라서 텍스쳐실은 또한 여기에서 정해진 요소들에 의하여 각각 소정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디프렉터는 실을 대략 직각 방향으로의 배출시키기 위하여 실주입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일방측 개방방향전환-또는 가이드홈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판 및 디프렉터는 이동단위로서 공동힌지레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간단한 형태에 따른 디프렉터는 경우에 따라서는 평판으로 교체하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레버와 고정되고 실통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디프렉터는 선정된 형태에 따라 텍스쳐 가공된 실의 직각 방향배출을 위하여 평배플판과 연이어 실 이송방향으로 하나의 방향전환홈을 가지고 있어서 다음의 실 진행방향과는 무관하게 텍스쳐 가공의 배출방향을 정해준다.
이동하는 노즐판과 장치의 고정부에 부착된 밸브몸체들은 연동이 가능한 차단밸브로서 유리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최소의 비용에 의한 유일한 이동으로 하나의 통로와 동시에 또다른 통로의 동시 개방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시운전시에는 물론이고 또한 기계운전중에 개별 실이 꿰어져야 할 때도 중요하다. 제안된 조치들은 선행기술에서는 불가능한 실용적인 장점을 가진 조합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
- 실꿰기 또는 작동을 위한 텍스쳐 노즐의 정확한 위치 이것이 공기 공급원과 접속
- 조작에 편리한 바 실의 실꿰기는 보조없이 신속히 행해지며 현저히 간이화 된다.
- 개별요소들에 대한 제조비용이 경제적이다.
- 연구가 증명하는 바와같이 적어도 간단한 텍스쳐노즐에 의한 개별 적용부분에서 고가의 노즐에 의하여 얻어진 종전의 품질과 대등한 텍스쳐 품질에 이를 수 있다.
다음으로 이제 전체 텍스쳐장치(1)를 설명하는 도 4 내지 5에 관련된 것이다. 텍스쳐장치(1)는 크램핑프레임(2), 노즐판(4)을 가진 이동노즐몸체(3), 슬라이딩판(5) 및 힌지레버(6)로 구성되어 있다. 크램핑 프레임(2)은 고정크램핑홀더(7), 크램프스트랩(8) 및 스프링(9)에 의한 탄성스크류조인트(10)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조인트(10)는 노즐판(4)을 가진 노즐몸체(3)가 노즐판(4)으로 조립-또는 분해되거나 또느 적당히 슬라이딩판이 교체되어야 할 때 활성화된다. 힌지레버(6)는 크램핑프레임(2) 내에 있는 회전축(11)에 의하여 90°정도 선회 가능하다. 힌지레버(6)에는 슬라이딩 축(12)이 부착되어 있어서 도상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노즐몸체(3)를 잡고 있다. 도 5 및 도 5a에서 추측할 수 있는 바와같이 힌지레버(6)의 개방운동은 닫혀진 작동위치(도 5)로부터 개방된 실꿰기 위치(도 5a)로 노즐판(4)을 강제로 밀어준다. 전 실통로는 도 4a에서 가장 잘 볼 수 있으며 실통로(GK)(20) 및 텍스쳐공간(T)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a, 5 및 5a에서 실통로(20)는 전체 실통로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단면을 가진 U-형 통로 볼 수 있다. 실통로(20)는 이와동시에 완전히 노즐판(4) 속에 가공되어 있는바 특히 세라믹으로 제작된다. 슬라이딩판(5)은 이러한 형태의 경우엔 실통로(20)의 홈이 없는 평판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판(5)은 대단히 내성이 큰 합성수지를 제작 가능하며 기밀 작용외에도 두 개의 도시된 위치로 조정을 위하여 경미한 슬라이딩을 허용한다. 도 4와 4a에 따른 해결의 경우 텍스쳐공간(T)은 노즐판(4)의 전면(14) 및 이에 대략 평행으로 배열된 디프렉터(16)의 배플면(baffle face)에 의하여 조성된다. 실패스는 실통로(20)를 거쳐서 텍스쳐공간(T)으로 통하고 가이드홈(17)을 거쳐서 디프렉터(16)에 이른다. 전체 실패스는 힌지레버(6)가 노즐판(4)에 따라 위로 선회 또는 밖으로 선회되어 밖으로 밀리고 디프렉터가 실패스로부터 외부로 선회될때에는 완전히 개방된다 (도 5a). 실의 삽입후 힌지레버(6)는 닫힘위치로 되닫히는 바 이때 가이드홈으로의 적절한 안내형에서 실(EF)은 자동적인 유동상태로 바뀐다. 텍스쳐가공시 제일 중요한 것은 텍스쳐 가공된 실의 배출방향이 실통로(20)에 대하여 약 90°의 각도(β)를 가지는 것이다. 도 4a, 5 및 5a에서 관심의 대상이되는 구조를 볼 수 있으며 이것이 압축공기 주입구 형태이다. 예컨대 4 내지 10 또는 그이상의 압력(bar)인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조인트(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바 고정크램핑홀더(7) 내에 배열되어 있다. 패킹링(36)을 가진 구멍(31)을 거쳐서 압축공기는 노즐몸체(3)의 저면(32)까지 통해 있다. 노즐몸체(3)는 노즐판홀더(18)를 가지고 있는데 그의 하부면(32)으로 크램핑홀더(7)의 슬라이드면(33)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특히 노즐판홀더(18)는 또한 용이하게 슬라이딩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조됨으로 모든 슬라이딩면들 보다 장시간 운전후에도 공기기밀외에 두가지 재질간에 틈새없이 정확히 양호한 슬라이딩 결합을 유지한다. 노즐판홀더(18)와 노즐판(4)은 공유구멍(34)을 가지고 있는데 작동위치(도 5)에서 구멍(31)과 구멍(34)은 일치하며 압축공기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한다. 비교적 단면이 큰구멍(31) 및 (34)는 한 개 또는 복수의 경사지게 위치한 작은 공기유입톨로를 통하여 실통로(20)와 통해 있다. 공기유입통로(35)의 크기와 배치는 당해 발명의 대상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예로서는 EP-PS NO. 88 254를 참조한다. 설명된 유형으로 그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요소가 힌지레버(6)인 유일한 작동 단위에 의해서 이제 모든 3가지 기본 기능이 동시에 그리고 안전하게 조정이되며 그의 내용을 들면 다음과 같다 :
- 텍스쳐공간(T)의 개방(디프렉터(16)의 운동)
- 실통로(20)의 개방(노즐판(4)이 밖으로 이동)
- 압축공기밸브의 작동
다음 도면들에 이형이 설명되어 있다. 도 6은 텍스쳐 가공을 위한 전장치의 작동위치를 도시하며 도 6a는 열려 있는 위치에서 실의 안내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와 도 5에 의한 해결에 대한 주요한 차이로서 도 6에서는 디프렉터(40)가 간단한 평판으로서 노즐판의 대향 전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 A를 두고 힌지레버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는 것이다. 디프렉터(40)는 도 4와 5의 경우에서 처럼 방향전환 또는 가이드홈(17)을 가지고 있음으로 텍스쳐 공정에 관련하여 기능적으로는 도 4,5 및 6의 해결방안들이 동일하다. 모든 해결방안에서 텍스쳐공간 내의 텍스쳐가공된 실 Gtex의 직각 배출이 매우 중요하다. 도 6 및 6a에서 실통로(20)에 대한 -20°각도내 무한 섬유실의 날실꾀기(진입)가 설명되어 있다. 디프렉터(40)에 의한 텍스쳐가공된 실(CG)의 배출은 평행선부화(〃)를 부쳐 표시하였다. 이것은 텍스쳐 처리된 실이 실유입의 경우와 같은 경우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태의 큰 이득을 들자면 기존장치에다가 새 텍스쳐가공장치가 방형전환을 위한 추가 실안내 장치가 필요없이 조립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편 모든 해결방안들은 또한 편위 배출방향을 허용하는바 이는 각도(d)로 표시되었다. 각도(d)는 큰 범위 내에서 방향전환에 따른 실이동방향이 텍스쳐공간(T)에 하등의 역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공간적인 원추로도 해석될 수 있다.
도 7은 열림-또는 닫힘위치이건간에 힌지레버(6)의 여러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디프렉터는 도 6 및 6a에서처럼 힌지레버(6)에 고정되어 있다. 도 7a는 내부에 들어 있는 텍스쳐공간(T)을 가진 또다른 매우 흥미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디프렉터(41)는 실통로(20)의 단부에서 확장부(42)로 침투해 있다. 디프렉터(41)는 암(43)과 회전핀(44)에 의하여 힌지레버(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디프렉터(41)는 압력스프링(46)에 의한 암연장(45)으로 작동위치에 이르도록 압축된다. 작동위치가 각각의 교체후에도 비교적 고정밀도로 재차 유지되도록 압축 스프링(46)은 암연장을 힌지레버(6)에 있는 스톱도구(stop dog)를 누른다. 특히 디프렉터(41)에서 또한 방향전환-또는 가이드홈(17)이 감안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또한 가이드포크(guide fork)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8a 및 9와 9a는 각 디프렉터의 다양한 고정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도 디프렉터는 다른 형태들의 경우와 같이 디프렉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열려 있는 또는 실꿰는 위치의 전장치를 그리고 도 8a는 닫혀있는 또다른 작동위치의 전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디프렉터(50)는 홀더포크(51)를 경유 직접록커(52)에 의하여 크램핑홀더(7)에 고정되어 있다. 디프렉터(50)즌 이로서 장치의 부동요소부분이다. 그럼에도 노즐몸체(3)는 실꿰는 위치로 이동함으로 여기에서도 실꿰기를 위한 전 실로가 완전히 개방된다. 때로는 도 7a에 따라서 디프렉터(50)를 물론 즉 내부에 위치한 텍스쳐 공간을 위하여 이동과 더불어 "X"축 방향만을 갖도록 하는 것이 특시 가능하다.
또다른 유형이 도 9와 9a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디프렉터(60)는 직접 가동노즐몸체(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꿰기 위치가 열려 있을 경우 텍스쳐 공간의 간격(A)(도 6a에 의함)은 불변이다. 중요한 점은 여기서 텍스쳐공간이 앞으로 화살표(61)에 따라서 개방 또는 열려 있다는 것이다. 실꿰기를 위하여 도 9에 따른 실은 실통로(20)에 삽입되며 노즐판(4)의 전면(15)에서 가이드홈(17)을 지나서 놓여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새로운 해결방안은 허다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동장치는 또한 후에 추가 실가이드가 필요없이 즉시 하나의 실통로에 조립이 가능하다. 해결방안은 단순한 병렬로 이동을 허용하며 허다한 경우에 있어서 적실필요가 없다. 또한 디프렉터의 제거와 와류식으로 텍스쳐식을 교환하고 경우에 따라 추가 실가이드를 설치함으로서 와류식 장치로 개조가 가능하다.
특히 새발명이 고장난 족조기의 경우 공기 주입전 압출로로 유리하다는데 있다.
직조시에 있어서 신속 정확한 실꿰기 공정에 유용

Claims (20)

  1. 실는 압축공기유입으로 실통로를 통하며 연이어 디프렉터로 제한된 텍스처 공간을 통하여 안내되고 동 텍스쳐 공간으로부터 실통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실에 의한 텍스쳐가공의 경우 실가이드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실꿰기를 위하여 텍스쳐공간과 실통로 영역에서 전 실패스가 개방되고 텍스쳐가공을 위하여 재차 닫혀져서 이동하는 실은 물론이고 정지하고 있는 실도 꿰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실는 텍스쳐공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배출후 직접 실통로에 대하여 재차 실가이드의 실 이동방향으로 방향전환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실가이드로서의 디프렉터는 텍스쳐된 실이 디프렉터에 의하여 재차 실통로에 대하여 실의 유입된 경우와 같은 방향으로 전환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압축공기 유입은 실패스의 개폐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조정되고 작동위치에서 공기유입이 개방되며 실꿰는 위치에서 공기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공기유입구를 가진 실통로 및 실통로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실의 배출을 위한 디프렉터에 의하여 제한된 텍스쳐공간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실의 텍스쳐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것은 폐쇄된 작동위치와 개방된 실꿰는 위치로 조정이되며 이때 실통로는 상대적으로 대하여 가동되는 요소로 제한을 받으며 전체 실의 신속한 개폐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폐쇄된 작동위치와 개방된 실꽤기 위치로 조정이 가능하며 이때 실통로는 상대적으로 마주보고 가동이 되는 요소로 제한을 받으며 전체 실패스의 신속한 개폐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디프렉터는 실꿰는 위치에서 텍스쳐공간(T)역은 실꿰기를 위하여 동시에 개방되도록 배치 또는 가동요소들과 동시 움직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실통로와 텍스쳐 공간은 조정운동 가능요소들에 의하여 제한을 받으며 전체 실패스의 신속한 개폐를 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운동가능한 요소들은 압축공기밸브와 결합이 되어 있어서 바늘꿰는 위치에서 공기유입이 차단되고 작동위치에서 공기유입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5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실통로의 운동요소는 슬라이딩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사 힌지레버에 의하여 작동위치 및 실꿰는 위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5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실통로는 완전히 움직이는 노즐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평슬라이드판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작동위치에서 전길이에 거쳐서 실통로를 제한하는바 이때 실통로는 공기유동역에서 특히 대략 U-형의 일정하거나 또는 확대된 단면을 가지며 예컨대 U-형, V-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5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움직이는 노즐판을 한 개, 두 개 또는 다수개의 경사지게 실통로와 통하는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5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디프렉터는 직접 실통로의 운동요소들과 결합되어 있으며 개방된 위치에서 실패스를 자유개방 또는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5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슬라이딩판 및 디프렉터는 운동부분으로 구성되며 공동힌지레버에 의하여 움직이는바 이때 디프렉터는 힌지레버와 고정연결되고 실통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5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는 그안에 들어 있는 실통로내에서 경사지게 통하는 압축공기 통로를 가지는 슬라이딩 노즐판, 또한 실통로의 폐쇄를 위한 슬라이딩판 및 디프렉터 및 차단밸브를 가지는바 전 실패스의 동시 신속한 개방과 공기유입의 개폐를 위하여 운동구성단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운동구성단위는 힌지레버를 가지는바 여기에 노즐판이 연결되고 이에의하여 또한 디프렉터가 경사운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작동 또는 삽입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노즐판의 운동에 의하여 조정되어 공기차단 또는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5항에 있어서,
    실통로출구는 깔때기-또는 트럼펫형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디프렉터는 작동위치에서 용이하게 확대부로 침투하는 바 이때 디프렉터는 추가로 최소한 실통로축 "X" 방향으로 들어간 깊이만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디프렉터는 2개의 운동부인 침투부와 이탈부를 가지는바 이때 이탈부는 직접 실통로를 위한 운동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5항에 있어서,
    디프렉터는 장치의 고정부와 결합되어서 실꿰는 위치에서 텍스쳐공간역을 실꿰기를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5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항에 따르는 장치에 있어서,
    디프렉터는 직조실의 대략 직각인 출구를 위한 브리커판과 연이어 실진행 방향에서 다음으로 이어지는 실의 진행방향과는 무관하게 직조의 출구방향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향전환 또는 가이홈을 가지며 이때 직조공간을 적어도 두측에서 실통로의 개방 및 실통로로부터 실의 대략 직각방향의 출구를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5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동노즐판과 장치의 고정부에 취부된 밸브몸체는 조정되어 작동가능한 차단밸브를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2084A 1995-09-20 1996-09-11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99900636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655/95-2 1995-09-20
CH265595 1995-09-20
PCT/CH1996/000311 WO1997011214A1 (de) 1995-09-20 1996-09-1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exturieren von wenigstens einem endlosfilamentga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635A true KR19990063635A (ko) 1999-07-26

Family

ID=423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084A KR19990063635A (ko) 1995-09-20 1996-09-11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48490A (ko)
EP (1) EP0851945B1 (ko)
JP (1) JP3152937B2 (ko)
KR (1) KR19990063635A (ko)
CN (1) CN1061710C (ko)
CA (1) CA2232653A1 (ko)
DE (1) DE19543631C2 (ko)
ES (1) ES2170866T3 (ko)
TW (1) TW328097B (ko)
WO (1) WO1997011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6176B (en) * 1995-10-13 1999-08-04 Heberlein & Co Ag Texturing process and apparatus
DE19605675C5 (de) * 1996-02-15 2010-06-17 Oerlikon Heberlein Temco Wattwil Ag Verfahren zum aerodynamischen Texturieren sowie Texturierdüse
DE19809600C1 (de) * 1998-03-03 1999-10-21 Heberlein Fasertech Ag Garnbehandlungseinrichtung
GB9902501D0 (en) * 1999-02-05 1999-03-24 Fibreguide Ltd Air jet
DE19924736A1 (de) * 1999-05-31 2000-12-07 Temco Textilmaschkomponent Verwirbelungsvorrichtung
DE19947894C1 (de) * 1999-10-06 2001-03-29 Akzo Nobel Nv Vorrichtung zum Verwirbeln von Multifilamentgarnen
TW503272B (en) 1999-10-06 2002-09-21 Heberlein Fibertechnology Inc Apparatus for intermingling multifilament yarns
US7127785B2 (en) * 2002-02-13 2006-10-31 International Machinery Sales, Inc Interlacing textile slide jet
US6834418B2 (en) * 2003-02-28 2004-12-28 Bell New Ceramics, Co., Ltd. Interlacing air nozzle
WO2004092462A1 (en) * 2003-04-15 2004-10-28 Golden Lady Company S.P.A. Method and device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a yarn particularly a synthetic multi-strand yarn, and yarn produced in this way
TWI246544B (en) * 2003-04-30 2006-01-01 Heberlein Fibertechnology Inc Die bas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die base
TWI260354B (en) * 2003-04-30 2006-08-21 Heberlein Fibertechnology Inc Device for the air treatment of yarn in a yarn canal
EP1584717A1 (de) * 2004-04-10 2005-10-12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Garnbearbeitungsmaschine
TWI313310B (en) * 2005-03-20 2009-08-11 Oerlikon Heberlein Temco Wattwil A Process and entangling nozzle for the production of knotted yarn
US20070039146A1 (en) * 2005-04-11 2007-02-22 Sear Nicolas C Interlacing textile jet
KR200464981Y1 (ko) 2010-09-06 2013-01-28 주식회사세라트랙 연신·가연사 가공용 슬라이드 제트 레버식 인서트장치
CN104357995A (zh) * 2014-12-05 2015-02-18 江苏佳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纱线网络喷嘴
EP3358052B1 (de) * 2017-02-01 2020-05-2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wirbeln mehrerer einzelfäden eines verbundfadens
WO2019076429A1 (de) 2017-10-16 2019-04-25 Heberlein Ag Verwirbelungsdüse oder texturierdüse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gar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295B (de) * 1907-03-28 1908-11-25 Minimax Cons Ltd Vorrichtung zum Abscheiden zerstäubter flüssiger Farbe aus der Abluft von Zerstäubungsanlagen.
US3835510A (en) * 1972-12-15 1974-09-17 Du Pont Baffle for texturing jet and method
US3881231A (en) * 1974-06-21 1975-05-06 Enterprise Machine & Dev Cylindrical baffle for yarn texturing air jet
US4936000A (en) * 1979-10-02 1990-06-26 Rieter Machine Works, Ltd. Lacing up of thread treating nozzles
EP0026360B1 (en) * 1979-10-02 1985-02-20 Maschinenfabrik Rieter Ag A thread treating apparatus
CH653383A5 (de) * 1982-03-10 1985-12-31 Heberlein & Co Ag Vorrichtung zur texturierung wenigstens eines aus einer mehrzahl von filamenten bestehenden endlosgarns.
US4641504A (en) * 1984-06-12 1987-02-10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Yarn heating chamber
IL76069A0 (en) * 1984-11-05 1985-12-31 Du Pont Yarn texturing jet
DE3711759C2 (de) * 1986-04-08 1994-02-17 Inst Textil & Faserforschung Garnverwirbelungsvorrichtung
CH675435A5 (ko) * 1988-01-21 1990-09-28 Heberlein & Co Ag
DE3832283C2 (de) * 1988-09-22 1993-12-02 Hoechst Ag Verwirbelungsdüse
WO1991003586A1 (de) * 1989-09-05 1991-03-21 Heberlein Maschinenfabrik Ag Einrichtung zum blastexturieren wenigstens eines multifilamentgarns
CH681989A5 (ko) * 1990-11-06 1993-06-30 Heberlein & Co Ag
CH687086A5 (de) * 1993-05-11 1996-09-13 Heberlein & Co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wenigstens eines laufenden Multifilamentgarns.
DE9307835U1 (ko) * 1993-05-25 1993-07-22 Fag Kugelfischer Georg Schaefer Kgaa, 8720 Schweinfurt, De
DE4323131A1 (de) * 1993-07-10 1995-01-12 Temco Textilmaschkomponent Vorrichtung zum Verwirbeln von Filamenten mit einer Vielzahl von Verwirbelungsdüsen
US5511295A (en) * 1995-03-15 1996-04-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for preparing highly coherent air jet textured yarn
US5575049A (en) * 1995-08-29 1996-11-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Yarn texturing jet with improved assembly and disassembly fe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11515A (ja) 1999-10-05
CN1196763A (zh) 1998-10-21
TW328097B (en) 1998-03-11
DE19543631C2 (de) 1998-01-22
ES2170866T3 (es) 2002-08-16
CA2232653A1 (en) 1997-03-27
JP3152937B2 (ja) 2001-04-03
DE19543631A1 (de) 1997-04-10
WO1997011214A1 (de) 1997-03-27
EP0851945A1 (de) 1998-07-08
EP0851945B1 (de) 2002-01-30
CN1061710C (zh) 2001-02-07
US6148490A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635A (ko) 최소한 하나의 무한세섬유실(이하"실"이라칭함)의 텍스쳐(texture)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3261071A (en) Yarn treating jet
US4592119A (en) Air jet yarn entangling apparatus
RU2142029C1 (ru) Способ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текстурирования, текстурирующее сопло, головка сопла
KR100442957B1 (ko) 얀 처리장치 및 그 이용
RU1834930C (ru) Многозев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вдоль нитей основы зевом
EP1926848A1 (de) Luftdüsenaggregat für eine luftdüsenspinnvorrichtung
US55795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uffer box crimping synthetic filament yarns
EP2388363B1 (de) Garnschleuse zur Abdichtung einer unter Überdruck stehenden Garnbehandlungskammer
JPH0549586B2 (ko)
KR910006404B1 (ko) 가연 장치(False Twist Unit)
JP4611709B2 (ja) 走行する糸をガス状または蒸気状の媒体で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30108A (ko) 가압 스팀 환경 내의 아크릴 섬유 신장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위한 자동 섬유 인입 디바이스
JPS63288240A (ja) 糸テキスチャード加工用のノズル
CN100359065C (zh) 用于加工纺织原料的装置
CH667116A5 (de) Duese zum eintragen des schussfadens an einer pneumatischen duesenwebmaschine.
WO1982000668A1 (en)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twisted multifilament yarns
DE3639031A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esponnenen fadens
US5475909A (en) Threading assembly for a yarn entangling nozzle
WO1999045185A1 (de) Garnbehandlungseinrichtung sowie verwendung derselben
US20030110754A1 (en) Method for false twisting filament yarn and a false twisting nozzle consisting of several components
KR102487507B1 (ko) 가압 증기 환경에서 아크릴 섬유 토우를 연신시키기 위한 장치
US4081000A (en) Weft insertion nozzle arrangement for a weaving machine
EP0077787B1 (en) Weaving loom
SU10860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текстурировани ни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