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405A -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405A
KR19990063405A KR1019980058058A KR19980058058A KR19990063405A KR 19990063405 A KR19990063405 A KR 19990063405A KR 1019980058058 A KR1019980058058 A KR 1019980058058A KR 19980058058 A KR19980058058 A KR 19980058058A KR 19990063405 A KR19990063405 A KR 19990063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mutual locking
plane
wheel unit
airba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올리버 데릭
Original Assignee
포흐 롤프 ; 그로테 클라우스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흐 롤프 ; 그로테 클라우스,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포흐 롤프 ; 그로테 클라우스
Publication of KR1999006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4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y 평면에 놓이게 되는 스티어링 휠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 몸체(1)를 구비하며, 상기 스티어링 휠 몸체 상에는 두 개 이상의 장착면 영역(2)과, 두 개 이상의 안내 페그(3)와, 림 및 안내면 영역(9)이 마련된 두 개 이상의 상호 록킹 개구(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 유닛은 x-y 평면에 수직한 z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팽창기 장착부(5)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6)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x-y 평면과 z 방향에 대해서는 이동할 수 없지만, 스티어링 휠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팽창기 장착부(5)는 리세스(7)와,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랫칭 돌출부(10)가 마련되어 있는 상호 록킹 탭(8)을 구비한다. 상기 팽창기 장착부(5)는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향하게 위치된다. 상기 장착면 영역(2)은 x-y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상기 안내 페그(3)는 장착면 영역(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x-y 평면으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상호 록킹 개구(4)는 x-y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며 정지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 영역(9)은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리세스(7)의 형상은 안내 페그(3)의 형상과 일치한다. 상호 록킹 탭(8)의 형상은 상호 록킹 개구(4)의 형상과 일치하고 에어백 모듈(6)이 설치될 때, 안내면 영역(9)에 의해 z 방향으로 수직하게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에어백 모듈의 설치가 완료될 때 랫칭 돌출부(10)에 의하여 상호 록킹 개구(4)의 림과 잠기게 되도록 상기 상호 록킹 탭의 정지 위치로 복귀된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본 발명은 설치 방향(z 방향) 뿐만 아니라 설치 평면(x-y 평면)에 대해서도 이동할 수 없지만,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로부터는 해제될 수 있게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미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최종 조립시에, 스티어링 휠을 너트에 의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나사 단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는 경우,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이 설치된 후에 장착되는데, 그 이유는 너트에 나사 결합되지 않고 남아있을 필요가 있는 스티어링 휠 허브(hub) 위의 중앙 부분을 에어백 모듈이 점유하기 때문이다. 소위 일체화된 에어백을 마련하고, 최종 조립된 에어백이 갖추어진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칼럼에 설치하는 경우, 스티어링 휠을 고정하는 여러 다른 조임 수단이 필요한 데, 그러나 이미 유사하게 제안되어 있는 이러한 모든 조임 수단은 백만회 이상 성공적으로 수행된 중앙 너트에 의한 통상의 스티어링 휠 조임보다 취급하기가 더욱 곤란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이 스티어링 칼럼에 장착되고 고정된 후에 설치된다. 그 다음에,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설치하기 위하여, 나선형 연결구가 필요하며, 그 접근 지점(access point)은 시각적 미려함(optical appeal)을 망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티어링 휠의 노출 표면에 마련되지 않는다. 나사를 삽입하고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부터 나사 연결키는 것은 공간의 유용성이 제한되는 것에 기인하여 항상 시간 소모적이며 곤란하다. 현재의 자동화 생산에 있어서는 최종 조립 시간을 단축하는 수단이 항상 요구되므로, 이에 따라 특히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부터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나선형의 연결구는 명백한 결점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나선형 연결구의 단점으로 인하여 스냅 인(snap-in) 형태의 연결구 또는 클립 연결구에 의하여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고정시키는 시도가 계속적으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연결구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경험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연결구가 에어백 작동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이거나, 또는 동적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이러한 연결구가 해제되기 때문이다. 로크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스냅 인 형태의 연결부 또는 클립 연결부를 로크하도록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는 어떤 예비 긴장(pretension)을 겪게 되어 연결구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해제될 수 없다. 그러나, 에어백을 폭발식으로 팽창시키는 경우,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는 상기 예비 긴장을 없애는 의도로 먼저 로드되어(loaded), 예비 긴장된 방향으로 로딩이 곧 뒤따르는 경우 랫칭 돌출부(latching protuberances)가 더 이상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 조립이 신속한 에어백을 설치하는 설치 수단을 스티어링 휠의 노출된 표면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설치를 위하여 스티어링 휠의 후방 측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을 생산하는 일반적 과정 중에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얻을 수 있는 초기에 언급한 형태의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스티어링 휠 몸체(1)의 일부와, 팽창기 장착부(5)와, 단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6)을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티어링 휠 몸체
3: 안내 페그
5: 팽창기 장착부
8: 상호 록킹 탭
10: 랫칭 돌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몸체에는, 설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개 이상의 장착면 영역과, 장착면 영역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설치 평면에서 설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 이상의 안내 페그(guide peg)와, 설치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두 개 이상의 상호 록킹 개구가 마련되고, 상호 록킹 개구의 형상과 일치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상호 록킹 탭을 팽창기 장착부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내 페그의 형상과 일치하는 리세스를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향하게 위치된 에어백 모듈의 팽창기 장착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호 록킹 탭은 에어백 모듈을 설치할 때 설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안내면 영역에 의하여 설치 방향에 수직하게 정지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이것은 최종 조립 상태에서 정지 위치로 복귀되어 랫칭 돌출부에 의하여 상호 록킹 개구의 림과 잠기게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8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몸체(1)에는 외피부(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외피부에 장착면 영역(2)이 설치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피부(11)에 의해 숨겨져 있는 안내 페그(3)도 스티어링 휠 몸체(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개구(4)를 통해 팽창기 장착부(5)에 결합된 탄성 재료의 상호 록킹 탭(8)이 결합될 수 있으며, 에어백 모듈이 팽창기 장착부(5)와 함께 스티어링 휠 상에 장착될 때 설치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상호 록킹 개구(4)가 스티어링 휠 몸체(1)의 장착면 영역(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마련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상호 록킹 탭의 하단부가 상호 록킹 개구(4)의 경사진 안내면 영역에 의하여 설치 방향에 수직한 상기 탭의 정지 위치로부터 탄력적으로 편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종 조립 위치에서, 상기 탭은 이들의 정지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랫칭 돌출부(10)에 의해 상호 록킹 개구의 림에 잠기게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이들의 치수는 랫칭 돌출부가 예비 긴장된 상호 록킹 개구(4)의 후방 측 림에 대항하여 내구력 있게 압박될 정도로 고정 상태에서 외피부(11)가 장착면 영역(2)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변형예로서, 팽창기 장착부(5)의 저부의 형상은 랫칭 작용으로 약간 굽혀지고, 이에 의하여 랫칭 결합에 필요한 예비 긴장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호 록킹 탭(8)은 팽창기 장착부(5)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장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 장착부(5)에 리벳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호 록킹 탭(8)과 스티어링 휠 몸체(1) 사이에는 결합 틈새(12)가 형성되는데, 이 틈새에 예컨대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한 후, 그 공구를 돌려 랫칭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파스터에 의해 달성되었으며, 통상의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범위내에서 요구 조건에 따라 에어백을 폭발시켜 그 에어백의 팽창 성능 성능을 검사하는 수많은 시험에 합격하였다. 강도에 있어서, 상기 랫칭 결합은 가해지는 동적인 응력으로 인한 어떤 돌발적인 랫칭 결합의 해제없이 예상되는 충격력을 견디어내는데 아무 지장이 없기 때문에, 에어백 성능과 관련한 어떠한 결점도 유발시키지 않고 최종 조립시에 조작하기 간편한 에어백 파스너를 제공하려는 본 발명의 목적이 쉽게 달성된다.

Claims (8)

  1. x-y 평면에 놓이게 되는 스티어링 휠을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휠 몸체(1)를 구비하며, 상기 스티어링 휠 몸체 상에는 두 개 이상의 장착면 영역(2)과, 두 개 이상의 안내 페그(3)와, 림 및 안내면 영역(9)이 마련된 두 개 이상의 상호 록킹 개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티어링 휠 유닛은 x-y 평면에 수직한 z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팽창기 장착부(5)를 구비하는 에어백 모듈(6)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은 x-y 평면과 z 방향에 대해서는 이동할 수 없지만, 스티어링 휠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기 장착부(5)는 리세스(7)와,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랫칭 돌출부(10)가 마련되어 있는 상호 록킹 탭(8)을 구비하며, 상기 팽창기 장착부(5)는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향하게 위치되며, 상기 장착면 영역(2)은 x-y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상기 안내 페그(3)는 장착면 영역(2)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x-y 평면으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상호 록킹 개구(4)는 x-y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며 정지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면 영역(9)은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리세스(7)의 형상은 안내 페그(3)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호 록킹 탭(8)의 형상은 상호 록킹 개구(4)의 형상과 일치하고 에어백 모듈(6)이 설치될 때, 안내면 영역(9)에 의해 z 방향으로 수직하게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에어백 모듈의 설치가 완료될 때 랫칭 돌출부(10)에 의하여 상호 록킹 개구(4)의 림과 잠기게 되도록 상기 상호 록킹 탭의 정지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몸체(1)에는 적어도 장착면 영역(2)과 안내 페그(3) 영역의 위치에서 외피부(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1)는 팽창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스티어링 휠 몸체 상의 장착면 영역(2) 및 상호 록킹 개구(4)와, 다른 한편으로 랫칭 돌출부(10)가 있는 상호 록킹 탭(8)은 랫칭 돌출부(10)가 상호 록킹 개구(4)의 후방 측 림에 대항하여 내구력 있게 압박될 정도로 고정 상태에서 외피부(11)가 장착면 영역(2)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 장착부(5)의 리세스(7)는 내측으로 크림프된 림(r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록킹 탭(8)은 스프링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호 록킹 탭(8)은 설치 방향에 정향되어 있는 팽창기 장착부(5)의 부분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록킹 탭(8)의 랫칭 돌출부(10)는 공구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유닛.
KR1019980058058A 1997-12-24 1998-12-24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KR19990063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722824U DE29722824U1 (de) 1997-12-24 1997-12-24 Lenkrad mit einem Airbagmodul
DE29722824.2 1997-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405A true KR19990063405A (ko) 1999-07-26

Family

ID=80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058A KR19990063405A (ko) 1997-12-24 1998-12-24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93268B1 (ko)
EP (1) EP0926039B1 (ko)
JP (1) JPH11255128A (ko)
KR (1) KR19990063405A (ko)
BR (1) BR9805540A (ko)
DE (2) DE29722824U1 (ko)
ES (1) ES22068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6377U1 (de) * 1999-04-09 1999-06-1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Airbagmodul
ES1045447Y (es) * 1999-11-23 2001-03-01 Dalphi Metal Espana Sa Disposicion de fijacion rapida entre el modulo airbag y el volante.
DE20006595U1 (de) 2000-04-10 2000-08-17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DE10157440A1 (de) * 2001-11-23 2003-06-12 Breed Automotive Tech Rasteinrichtung für ein Airbagmodul
GB2383301A (en) * 2001-12-18 2003-06-25 Autoliv Dev Air bag unit with locating means
DE10325435B4 (de) * 2003-06-05 200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efestigung eines beifahrerseitigen Airbag-Moduls
KR100521021B1 (ko) * 2003-08-26 2005-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모듈 조립구조
DE102006037672B4 (de) * 2006-08-11 2013-08-14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DE102011118090B4 (de) 2011-11-10 2015-08-06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JP2017222281A (ja) * 2016-06-16 2017-12-21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US11407436B2 (en) 2019-03-04 2022-08-09 Byton North America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fixed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972A (en) * 1983-10-31 1986-06-24 Amf Incorporated Miniature power switching relays
DE3433941A1 (de) * 1984-09-15 1986-03-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Kraftfahrzeuglenkrad
US5267486A (en) * 1989-11-30 1993-12-07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with pad
US5333897A (en) * 1993-10-25 1994-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 lock 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US5580082A (en) * 1994-07-07 1996-12-03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pad attachment structure
DE19501837C2 (de) 1995-01-21 2002-12-12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en
DE19503816B4 (de) 1995-02-06 2007-03-22 Volkswagen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aus einem Gehäuseboden und einem Gehäusedeckel bestehenden Gehäuses im Lenkrad
US5788268A (en) * 1995-07-21 1998-08-04 Textron Inc. Spring retainer air bag mounting device
US5599039A (en) * 1995-07-21 1997-02-04 Textron Inc. Spring retainer air bag mounting device
US5639113A (en) 1995-07-21 1997-06-17 Textron Inc. Mounting assembly for air bag
US5630611A (en) * 1995-07-21 1997-05-20 Textron Inc. Mounting assembly for air bag
US5947509A (en) * 1996-09-24 1999-09-07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with snap-on mounting attachment
US5762359A (en) * 1996-10-02 1998-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assembly
US5738369A (en) * 1996-10-09 1998-04-1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nap-on air bag and horn switch module
DE29621295U1 (de) * 1996-11-27 1997-02-06 Petri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Airbagmoduls im Lenkrad
US6017055A (en) * 1997-11-03 2000-01-25 Trw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6039A3 (de) 2001-04-04
BR9805540A (pt) 1999-12-14
US6193268B1 (en) 2001-02-27
DE29722824U1 (de) 1998-04-02
EP0926039A2 (de) 1999-06-30
ES2206817T3 (es) 2004-05-16
EP0926039B1 (de) 2003-09-17
DE59809634D1 (de) 2003-10-23
JPH11255128A (ja) 199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4323A (en) Passenger air bag module with snap-attachment deployment cover
US5887891A (en) Air bag apparatus with movably mounted door
US6196573B1 (en)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CN1835281B (zh) 车顶天线安装组件
US6276711B1 (en) Quick disconnect feature for snap-in driver air bag module
KR19990063405A (ko) 에어백 모듈을 구비한 스티어링 휠
KR100479748B1 (ko)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US20050023813A1 (en) Fastening device for curtain airbag tether
US5613700A (en) Air bag device
JP7455552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当該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組立体
US7255365B2 (en) Air bag module with adjustable cover
EP1314621A1 (en) Airbag module
US6352280B1 (en) Steering wheel with inserted airbag module
US6971708B2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WO2022028079A1 (zh) 一种车载天线组件
JP2001163146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20040041372A1 (en) Gas bag module
CN219601165U (zh) 一种适用于螺纹孔卡接固定的线束支架
JP3954257B2 (ja) 電装品のフレームへの固定構造
KR0122040Y1 (ko) 자동차용 에어백
US20230023988A1 (en) Hood Release Lever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US6799775B2 (en) Airbag housing
CN114069197A (zh) 一种车载天线组件
KR200148219Y1 (ko) 자동차용 커버 록킹장치
KR200168418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