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748B1 -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 Google Patents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748B1
KR100479748B1 KR10-2002-7003267A KR20027003267A KR100479748B1 KR 100479748 B1 KR100479748 B1 KR 100479748B1 KR 20027003267 A KR20027003267 A KR 20027003267A KR 100479748 B1 KR100479748 B1 KR 10047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xtending
holes
expansion suppression
moun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757A (ko
Inventor
워렐배리크리스쳔
홀메스프란시스제이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팽창 억제 시스템(10)용 장착 기구(36)는 스프링 공간(48)과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구멍(42)들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38)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지지 구조체(14)에 인접 배치되고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체(14)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제 2구멍(34)들에 정렬된다. 상기 장착 기구(36)는 또한 스프링 공간(48)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멍(42)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스프링(66)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 1구멍(42)과 제 2구멍(34)을 통하여 연장하는 팽창 억제모듈(11)의 다수개의 장착부재(28)들을 지지 구조물(14)에 유지시키도록 된다. 상기 스프링(66)은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72)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 억제 모듈(11)의 장착부재(28)들에 의해서 휨변형되는 경우, 스프링(66)의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팽창 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차량의 팽창 억제 시스템에 사용되어지는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내에 팽창 억제 시스템을 제공하여 좌석 밸트 억제기구의 사용을 통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전통적으로 부여되는 보호효과를 증대시키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몇몇 차량에서, 상기 팽창 억제 시스템은 차량내의 탑승자 격실내에서 운전자 또는 한명 또는 그 이상의 승객 탑승자들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에어백 시스템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구조체, 즉 조향 휠과 같은 곳에 부착되고, 커버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개되어 차량의 탑승자 격실내로 연장하는 에어백을 갖는 에어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개된 에어백은 탑승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충돌도중에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다양한 장착기구들이 차량내의 지지구조물, 예를들면 조향 휠 또는 대쉬 보드등에 팽창 억제 기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공지된 장착기구중에는, 장착볼트들이 상기 지지구조물의 후방측으로 부터 통과되어 상기 팽창억제 기구상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차량 조향휠에 장착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장착기구는, 상기 팽창 억제 모듈에 고정되고 장착볼트들을 에워싸는 슬리브 부재들이 조향 휠의 허브 부분상의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에 강제적으로 접촉되어 호른부(horn)를 동작시키는 회로를 완성하는 것이다.
팽창억제 모듈을 위한 장착기구의 일례가 Worrell등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제 5,380,03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는, 장착기구가 팽창억제 모듈을 조향휠의 허브부와 같은 지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상기 조향 휠은 상기 허브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와 다수개의 관통 구멍들을 갖는 전,후 대향면들을 갖는다. 상기 팽창억제 모듈은 다수의 장착기구들을 갖추며, 이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구멍들을 통과하고 그 내부에 유지되어진다. 각각의 장착부재들은 개별적으로 냉간 성형되고, 머리부와 이에 대향한 끝단을 갖는 견고한 둥근 철제 핀으로 되어진다. 상기 장착부재들의 각각의 머리부들은 전형적으로 4개이며, 철제 베이스 플레이트내로 개별적으로 프레스되거나 또는 용접된다. 각각의 장착 부재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구멍들을 가로지르는 스프링을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평편한 와이어 스프링이다. 제한된 굽힘 모멘트가 유용하므로, 이러한 평편형 와이어 스프링은 큰 벤딩 모멘트를 갖추어, 에어백 모듈을 조향휠의 지지플레이트에 조립하는 데에 필요한 큰 삽입노력, 예를들면 대략 80 뉴톤(80n)을 초래하게 된다.
그 결과, 팽창억제 모듈을 조향 휠에 고정하는 데에 보다 감소된 적은 노력을 들일 수 있는 팽창 억제시스템용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스냅결합(snap-on) 구조와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팽창억제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억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기구의 사시도로서, 팽창 억제 모듈을 도 1에 도시된 팽창억제 시스템의 조향휠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착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착기구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장착기구에 의해서 도 1의 팽창 억제 시스템의 조향 휠에 고정된 팽창 억제 모듈의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차량의 팽창 억제시스템용 장착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삽입노력을 갖는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를 제공함에도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 공간과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구멍들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을 포함한 팽창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이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은 지지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제 2구멍들에 정렬된다. 또한, 상기 장착기구는 상기 스프링 공간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멍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제 1구멍과 상기 제 2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로 연장하는 팽창억제 모듈의 다수의 장착부재들을 지지하도록 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 억제 모듈의 장착부재들에 의해서 휘어지는 경우, 스프링의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한가지 유익한 점은 개선된 장착기구가 팽창 억제 시스템에 제공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상기 장착기구가 비틀림 스프링을 제공하여 적은 감소된 삽입 노력으로도 팽창 억제 모듈을 지지구조물에 부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장착기구가 개선된 내구성을 갖추어 상기 스프링이 작업 포위체 내에서 항복(yield) 되지 않는 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상기 장착기구가 스냅 결합 구조를 갖는 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들과, 특성및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들을 통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및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팽창 억제 시스템 10의 일실시예가 차량(미도시)용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팽창 억제 시스템 10은 팽창 억제 모듈을 포함하며, 이는 참조 부호 11로 부여되고, 차량의 참조부호 12로 부여된 조향 휠과 같은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 휠 12은 중앙 허브 또는 지지 플레이트 14, 상기 지지 플레이트 14를 감싸는 림 16및, 상기 림 16과 지지 플레이트 14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스포크 18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 14는 종래의 방식으로 차량의 조향 축(미도시)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은 에어백및 팽창기와 같은 팽창억제 기구를, 이들은 참조 부호 22로 부여되어 있으며,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20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 억제 기구와 팽창기 22들은 그 외층이 부드러운 커버 또는 패드 26로 덮여진 용기 24내에 에워싸여 있다. 상기 용기 24는 베이스 플레이트 20에 고정구(미도시)에 의해서 볼트 결합되어 조립된 팽창 억제 모둘 11을 형성한다.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은 또한 다수의 신장된 실린더형 핀들 또는 장착 부재 28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베이스 플레이트 20에 견고히 장착되고 그로 부터 지지 플레이트 14를 향하여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4개의 장착부재 28들은 베이스 플레이트 20에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각각의 장착 부재 28들은 일반적인 둥근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장착부재 28들은 테이퍼진 단부 30와, 상기 장착부재 28의 길이방향 축에 일반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슬롯 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 14는 다수의 구멍 34들이 형성되고, 이는 장착 부재 28들의 수와 위치에 따라서 동일한 수와 위치를 갖추어 상기 구멍 34들이 장착부재 28의 테이퍼 단부 30들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내지 도 5에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착 기구는 참조부호 36로서 부여되어 있고, 이는 팽창 억제 모둘 11을 조향 휠 12의 지지 플레이트 14에 고정한다. 상기 장착 기구 36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향 휠 12의 지지 플레이트 14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 하우징 38을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 하우징 38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인 평편한 베이스 벽 40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벽 40은 일반적인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벽 40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그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돌기 41들을 갖추어 그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구멍 42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팽창 억제 기구 10의 장착 부재 28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돌기 41들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돌기 41들과 구멍 42들은 상기 장착부재 28들의 수와 위치에 일치됨으로써 상기 구멍 42들이 장착부재 28의 테이퍼 단부 30들을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스프링 하우징 38은 2개의 돌기 41들과 구멍 42들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 38은 한쌍의 측벽 44들과 단부벽 46들을 갖추고, 이들은 상기 베이스 벽 40의 외주부 주위를 에워싸서 연장함으로써 스프링 공간 48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 44들과 단부벽 46들은 상기 베이스 벽 40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수직이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측벽 44중의 하나는 관통하는 구멍 50을 갖추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 38은 상기 각각의 단부 벽 46으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부벽 52을 갖는다. 상기 상부 벽 52은 일반적으로 평편하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스프링 하우징 38은 다리 벽(leg wall) 54을 갖추며, 이는 각각의 상부 벽 52로 부터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벽 40을 지나쳐 아래로 연장하는 것이다. 상기 다리 벽 54은 일반적으로 평편하고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다리벽 54은 외측으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연장하는 플랜지 56를 갖는다. 각각의 다리 벽 54은 지지 플레이트 14의 일치하는 구멍 58을 통하여 연장하여 상기 플랜지 56가 지지 플레이트 14의 전면에 결합하여 스프링 하우징 38을 지지 플레이트 14상의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 38은 또한 상기 베이스 벽 40으로 부터 스프링 공간 48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보스 6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보스 60는 그 단면 형상이 실린더형이고 원형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보스 60는 일반적인 중공구조이고, 견고한 구조이다. 상기 스프링보스 60는 베이스 벽 40으로 부터 연장하는 돌기 62를 포함하여 그 내부에 공간 64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 하우징 38은 견고한 절연재료, 예를들면 플라스틱등으로 이루어지고, 통합 일체형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기구 36는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스프링 하우징 38의 스프링 공간 48에 배치된 스프링 66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66은 스프링 하우징 38의 한쌍의 구멍 42들 사이에서 이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이 지지 플레이트 14에 관련하여 이동되면, 스프링 66이 장착부재 28들에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66은 그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여 연장하는 꼬임 부(kink portion) 68와 상기 꼬임 부 68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리고 상기 단부 벽 46의 구멍 50을 통과하는 다리부 7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66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비틀림 코일 72들을 상기 구멍 42들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스프링 보스 60의 주위에서 갖는다. 상기 비틀림 코일 72들은 일반적으로 그 형상이 원형이며 헬리컬 적층을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 66의 굽힘 모멘트 또는 삽입 작용력은 상기 비틀림 코일 72들의 수를 가감시킴으로써 조절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 66은 비틀림 타입이며 둥근 와이어와 같은 탄성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 66은 측방향으로, 즉 장착부재 28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음으로서 상기 구멍 42들을 통하여 그리고 스프링 66을 지나쳐 장착 부재 28들의 삽입을 이루고, 이러한 동작은 상기 테이퍼 단부 30들의 구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66은 스프링 하우징 38내에 예비 조립되고 긴밀하게 결합되어 거친 작동도 보장하도록 편향지지된다. 상기 스프링 66의 중앙에 인접하여 비틀림 코일 72들의 부가는 스프링 66의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66은 통합 일체형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서 형성되어진 다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착 기구 36를 제외하고는,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과 조향 휠 12들이 Worrell 등에게 부여된 미국 특허 제 5,380,037호에 개시된 내용과 유사함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이는 여기에 참조로 수록된 것이다.
팽창 억제 기구 10의 작동에 있어서,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의 장착부재 28들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14의 전면을 향하여 그리고 구멍 34들을 통하는 제 1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66은 측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그들이 슬롯 32들에 정렬되고, 그 때에 상기 스프링 66들은 측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슬롯 32들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 66은 장착부재 28가 상기 구멍 34들로 부터 벗어나는 제 2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은 지지 플레이트 14에 대해 작동가능한 관계로 유지된다. 상기 비틀림 코일 72들은 팽창 억제 모듈 11을 조향 휠 12에 조립하는 도중에 상기 스프링 66을 변형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상기 휨 변형동안 스프링 66상의 응력(stress)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만일, 상기 팽창 억제 모듈 11을 지지 플레이트 14로 부터 분리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미도시)가 상기 조향 휠 12의 후방부에 제공된 구멍(미도시)들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의 날이 스프링 하우징 38 내에 제공된 공간내에 수용되고 스크류 드라이버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공간내에 위치된 스크류 드라이버 날의 회전은 상기 날로 하여금 스프링 66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66에 대향한 벽에 접촉하도록 하여 스프링 66이 측방향 외측으로 밀려져서 슬롯 30으로 부터 그 결합이 벗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장착부재 28들은 해제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4와의 결합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이동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되었다. 사용되었던 용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그 기재 용어의 본질을 나타내려고 의도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많은 다양한 수정구조와 변형 구조들이 상기 기재로 부터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특정 구조와는 다르게 실시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팽창 억제시스템용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은 삽입노력을 갖는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스프링 공간 (48)을 갖고, 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제 1구멍(42)들을 가지며, 지지 구조물(1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14)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다수의 제 2 구멍(34)들에 정렬되는 스프링 하우징(38);과
    상기 스프링 공간(48)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멍(42)들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제 1구멍(42)들과 제 2구멍(34)들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14)로 연장하는 팽창 억제 모듈(11)의 다수의 장착부재(28)들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72)을 포함하여 팽창 억제 모듈(11)의 장착부재(28)들에 의해서 휨변형되는 경우, 그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된 스프링(66)을 포함하는 팽창 억제 시스템(10)용 장착기구(3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72)은 상기 스프링(66)의 단부들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그 스프링(66)의 길이방향 축에 일정 경사각으로서 연장하는 꼬임 부(68)를 포함하고, 상기 꼬임 부(68)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리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둥근 와이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베이스 벽(40)과 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한쌍의 제 1구멍 (42)들을 갖추어 상기 장착부재(28)를 수용하며, 상기 스프링(66)은 상기 제 1구멍(42)들 사이에서 가로질러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베이스 벽(40)으로 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 1구멍(42)들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 보스(60)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보스(60)는 일반적인 실린더 형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상기 베이스 벽(40)의 측방및 단부들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대향된 측벽(44)들과 단부벽(46)들을 갖추어 상기 스프링 공간(48)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46)들 중의 하나는 관통하는 구멍(50)을 갖추어 상기 스프링(66)의 일단을 수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각각의 상기 단부벽(46)들로 부터 길이방향및 수직으로 연장하는 상부 벽(52)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상기 상부 벽(52)으로 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다리 벽(54)과 상기 다리 벽(54)으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기구(36).
  12. 지지 플레이트(14)와 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제 2구멍(34)들을 구비한 조향 휠(12);
    상기 적어도 한쌍의 제 2구멍(34)들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한쌍의 장착부재(28)들을 갖는 팽창 억제 모듈(11);및
    상기 적어도 한쌍의 장착부재(28)들을 수용하고, 상기 팽창 억제모듈(11)을 조향 휠(12)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기구(36)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기구(36)는 스프링 공간(48)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38)과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구멍(42)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지지 구조물(1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14)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제 2 구멍(34)들에 정렬되고,
    상기 스프링 공간(48)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멍(42)들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제 1구멍(42)들과 제 2구멍(34)들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14)로 연장하는 팽창 억제 모듈(11)의 다수의 장착부재(28)들을 유지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66)은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72)을 포함하여 상기 팽창 억제 모듈(11)의 장착부재(28)들에 의해서 휨변형되는 경우, 그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된 차량용 팽창 억제 시스템(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틀림 코일(72)은 상기 스프링(66)의 단부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그 스프링(66)의 길이방향 축에 일정 경사각으로서 연장하는 꼬임 부(68)를 포함하고, 상기 꼬임 부(68)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리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6)은 둥근 와이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베이스 벽(40)과 이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한쌍의 제 1구멍 (42)들을 갖추어 상기 장착부재(28)를 수용하며, 상기 스프링(66)은 상기 제 1구멍(42)들 사이에서 가로질러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베이스 벽(40)으로 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 1구멍(42)들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 보스(60)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상기 베이스 벽(40)의 측방및 단부들로 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대향된 측벽(44)들과 단부벽(46)들을 갖추어 상기 스프링 공간(48)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46)들 중의 하나는 관통하는 구멍(50)을 갖추어 상기 스프링(66)의 일단을 수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억제 시스템(10).
  20. 지지 플레이트(14)와 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한쌍의 제 2구멍(34)들을 구비한 조향 휠(12);
    상기 적어도 한쌍의 제 2구멍(34)들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한쌍의 장착부재(28)들을 갖는 팽창 억제 모듈(11);및
    상기 적어도 한쌍의 장착부재(28)들을 수용하고, 상기 팽창 억제모듈(11)을 조향 휠(12)에 고정하며, 스프링 공간(48)을 갖는 스프링 하우징(38)과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 1구멍(42)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기구(36);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38)은 지지 구조물(1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결되며, 상기 지지 구조물(14)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상기 적어도 한쌍의 제 2 구멍(34)들에 정렬되고,
    상기 스프링 공간(48)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멍(42)들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제 1구멍(42)들과 제 2구멍(34)들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구조물(14)로 연장하는 팽창 억제 모듈(11)의 다수의 장착부재(28)들을 유지하는 스프링(66)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66)은 상기 스프링(66)의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비틀림 코일(72)들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둥근 와이어와, 상기 스프링(66)의 길이방향 축에 일정 경사각으로서 연장하는 꼬임 부(68)및, 상기 꼬임 부(68)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리부(70)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 억제 모듈(11)의 장착부재(28)에 의해 휨 변형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66)의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키도록 된 차량용 팽창 억제 시스템(10).
KR10-2002-7003267A 1999-09-30 2000-09-28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KR100479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09,103 1999-09-30
US09/409,103 US6237944B1 (en) 1999-09-30 1999-09-30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757A KR20020037757A (ko) 2002-05-22
KR100479748B1 true KR100479748B1 (ko) 2005-03-31

Family

ID=2361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267A KR100479748B1 (ko) 1999-09-30 2000-09-28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37944B1 (ko)
EP (1) EP1222096B1 (ko)
KR (1) KR100479748B1 (ko)
DE (1) DE60008901T2 (ko)
WO (1) WO2001023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259A (ja) * 2000-02-03 2001-08-07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157043A1 (de) 2001-11-21 2003-06-18 Opel Adam Ag Mittel zur Befestigung eines Airbagmoduls in einem Kraftfahrzeug
GB2385834A (en) * 2002-03-01 2003-09-03 Autoliv Dev Air bag mounting arrangement on vehicle steering wheel
US6874808B2 (en) * 2002-09-20 2005-04-0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niform gap between an airbag module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US6783150B2 (en) 2002-09-30 2004-08-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nap together mounting of an air bag module and a vehicle steering wheel
US7185915B2 (en) * 2003-02-27 2007-03-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incorporating air bag device
US7059631B2 (en) * 2003-04-29 2006-06-13 Toyoda Gose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driver's side airbag to a steering wheel
KR100522872B1 (ko) * 2003-08-14 2005-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DE20316519U1 (de) * 2003-10-27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US7422236B2 (en) * 2005-03-21 2008-09-0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US7490852B2 (en) * 2005-03-21 2009-02-17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DE202010016004U1 (de) * 2010-12-01 2012-03-02 Dalphi Metal España S.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DE102014012700A1 (de) 2013-09-03 2015-03-05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sowie Gassackmodul, Fahrzeuglenkrad und Insassenschutzsystem mit einer derartigen Befestigungsvorrichtung
FR3020330A1 (fr) * 2014-04-29 2015-10-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nteneur airbag
JP6498994B2 (ja) * 2015-04-06 2019-04-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US9914420B2 (en) 2015-04-13 2018-03-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r airbag module new lock spring design proposal for visual verification of module's robust attachment to the steering wheel
DE102015011828B4 (de) 2015-09-17 2023-06-29 ZF Automotive Safety Germany GmbH Befestigungsvorrlchtung, Gassackmodul oder Lenkrad mlt elner solchen Befestigungsvorrlchtung und Montageverfahren
JP6695724B2 (ja) * 2016-03-29 2020-05-2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DE102016005020B4 (de) * 2016-04-26 2019-08-14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einheit und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mit einer solchen Gassackeinhei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102018102755A1 (de) * 2018-02-07 2019-08-08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modu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ssackmoduls und Lenkra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28874B (de) * 1972-11-02 1976-04-12 Mertens & Co Kommanditgesellsc Sattel, insbesondere zweiradsattel
US5087069A (en) * 1990-12-20 1992-02-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straint system mounting
US5207544A (en) * 1992-03-04 1993-05-04 Vsi Corporation Fastener assembly
US5577768A (en) * 1993-04-28 1996-11-26 Nippondenso Co., Ltd. Air bag device having a minimized cone depth
US5380037A (en) 1993-10-25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409256A (en) * 1994-01-04 1995-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r-side air bag module assembly
US5560642A (en) * 1995-01-06 1996-10-01 Takata, Inc. Driver air bag module assembly
DE19503816B4 (de) * 1995-02-06 2007-03-22 Volkswagen Ag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aus einem Gehäuseboden und einem Gehäusedeckel bestehenden Gehäuses im Lenkrad
US5508481A (en) * 1995-03-10 1996-04-16 General Motor Corporation Steering wheel with horn switch assembly
US5636858A (en) * 1995-05-05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O1996038326A1 (en) * 1995-05-31 1996-12-05 Alliedsignal Inc. Snap-on steering wheel with integral airbag housing
US5788268A (en) * 1995-07-21 1998-08-04 Textron Inc. Spring retainer air bag mounting device
US5624130A (en) * 1995-07-21 1997-04-29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inflator for snap-action attachment to a steering wheel
US5584501A (en) * 1995-09-15 1996-12-17 Trw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5620201A (en) * 1996-02-21 1997-04-15 Morton International, Inc. Removable, snap-in mou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DE29720079U1 (de) * 1997-11-12 1998-07-02 Trw Repa Gmbh Fahrzeuglenkrad mit integriertem Gassack-Modul
US6036223A (en) * 1998-01-12 2000-03-14 General Motors Corpoartion Hands free air ba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92832A (en) * 1998-03-04 2000-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US6082758A (en) * 1998-08-17 2000-07-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r air bag horn ground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23223A1 (en) 2001-04-05
KR20020037757A (ko) 2002-05-22
EP1222096B1 (en) 2004-03-10
US6237944B1 (en) 2001-05-29
EP1222096A1 (en) 2002-07-17
DE60008901T2 (de) 2004-07-29
DE60008901D1 (de)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748B1 (ko) 팽창 억제 시스템용 장착기구
US6196573B1 (en)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11034374B2 (en) Steering wheel
US5380037A (e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333897A (en) Snap lock 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US5433472A (en) Quick-locking device for retention of an inflator in a passenger-side canister
GB2385834A (en) Air bag mounting arrangement on vehicle steering wheel
CN111556837B (zh) 方向盘
EP1403149A1 (en) Snap together mounting of an air bag module and a vehicle steering wheel
EP1256506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6073514A (en) Steering wheel
CN215944428U (zh) 车辆方向盘
US6352280B1 (en) Steering wheel with inserted airbag module
JP2824382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振動吸収装置
JP401884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46814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CN216734062U (zh) 车辆方向盘
JP2761174B2 (ja) ベースプレート及びエアバッグカバーの連結構造とその連結方法
JP329945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92345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0152008B1 (ko) 조향 휠 조립체
JP3475520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096832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CN116061804A (zh) 车辆方向盘
JP2002200981A (ja) ホーン機構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