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033A -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033A
KR19990063033A KR1019980054779A KR19980054779A KR19990063033A KR 19990063033 A KR19990063033 A KR 19990063033A KR 1019980054779 A KR1019980054779 A KR 1019980054779A KR 19980054779 A KR19980054779 A KR 19980054779A KR 19990063033 A KR19990063033 A KR 1999006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s
fluorescent lamp
lead wire
hol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608B1 (ko
Inventor
마모루 후쿠시마
야스오 고바야시
소이치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6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45Thermic screen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01J61/366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8Manufacture of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주파 점등 형광램프의 수명말기의 플레어스템의 열파손 등의 문제점을 경감할 수 있는 형광램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구비하고,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각각 큰 단면적을 갖는 제1, 제2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준비하고, 제1 구멍에 제1 리드선을 삽입하고, 제2 구멍에 제2 리드선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플레어스템상 및 봉착부로의 퇴적물의 비래를 종래보다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제2 동작모드의 발생확률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 제1 동작모드가 어느쪽의 리드선에 발생해도 특이한 방전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고, 리드선 사이의 단락가능성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
본 발명은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형광램프의 고주파점등시의 램프수명말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템의 내부리드를 전극으로서 방전했을 때의 스템유리의 용융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고 또 필라멘트 및 내부리드선의 증발에 의해 발생한 비산물질이 스템선단부에 부착해서 퇴적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리드선 사이의 단락을 저감할 수 있는 형광램프,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및 형광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램프의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고주파전력을 인가해서 그 램프를 점등하면, 수명말기(누계로 수천시간 램프를 점등한 시점에서 램프는 수명이 끝난다)에 특유의 현상이 발생한다. 램프가 수명말기로 되어 필라멘트에 도포한 전자방사성 물질이 없어지면 통상 램프는 점등하지 않게 되어 수명이 끝난다. 그러나, 필라멘트의 전자방사성 물질이 없어져도 뜻하지 않게 방전이 유지되고 전자방사성 물질이 없어진 필라멘트나 내부리드선을 전극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특히 내부리드선을 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유지되면 정격값보다 큰 방전전류가 리드선에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리드선이 녹고 최종적으로는 스템이 열에 의해 용융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를 이하 제1 동작모드라 한다.
또, 형광램프의 수명말기의 다른 모드로서 필라멘트물질(W)나 필라멘트에 도포한 전자방사물질(BaO 등) 및 필라멘트를 유지하고 있는 내부리드선(Ni, Fe)이 비산하고 필라멘트에 가까운 플레어스템의 선단면에 부착해서 퇴적한다. 특히, 램프의 수명말기시에 이들 물질의 비산이 심하게 되어 이들은 플레어스템의 선단면에 부착해서 퇴적하기 쉽다. 상기 부착물은 도전물질이기 때문에 퇴적되면 도전로가 형성되어 통전할 가능성이 있다. 즉, 플레어스템 선단면에 부착해서 퇴적된 비산물에 의해 절연된 1쌍의 내부리드선 사이의 플레어스템표면의 부분에 도전경로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내부리드선 사이가 통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전경로에 전류가 흘러 플레어스템표면이 발열하고 플레어스템을 열파손시키거나 단락에 의해 큰 전력손실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동작모드를 이하 제2 동작모드라 한다.
이 제2 동작모드에 의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명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6-338289호(이하, 공지예 1이라 한다)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이것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공지예 1에 기재된 1실시예를 도시한 3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a)가 스템을 포함하는 램프의 단면도이고, 그의 A-A단면도가 (b), B-B단면도가 (c)이다.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쌍의 내부리드선(201)의 적어도 한쪽의 내부리드선(201)의 근원부에 오목부(凹陷部)(202)가 형성되어 있다(도시한 것은 한쪽의 리드선에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c)의 (203)은 배기관의 배기구멍이다. 또는 플레어스템의 중간부(204)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오목부는 단차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램프수명말기에 있어서 전극에서 비산한 물질이 플레어스템상에 퇴적하지만 단차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의 존재에 의해 그 부분만 퇴적물이 퇴적하기 어렵게 되므로, 도전로의 형성이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1쌍의 리드선 사이의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는 기재가 있다.
도 2는 공지예 1에 기재된 도 1의 구성의 대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도 1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다른 것은 오목부(202) 대신에 1쌍의 내부리드선(201)의 적어도 한쪽의 내부리드선(201)의 봉착부 근방을 포위하도록 절연관(205)를 마련하는 점에 있다(도시한 것은 한쪽의 리드선에만 절연관(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비산물질은 플레어스템에는 퇴적할 수 있지만, 봉착부 근방의 내부리드선(201)에는 퇴적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도전로의 형성이 방해를 받게 된다.
도 3은 공지예 1에 기재된 도 1의 구성의 다른 대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도 1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다른 것은 도 1의 오목부(202) 대신에 1쌍의 내부리드선(201)의 적어도 한쪽의 내부리드선(201)에 돌출부재(206)을 마련하는 점에 있다(도시한 것은 한쪽의 리드선에만 돌출부재(206)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비산물질은 플레어스템에는 퇴적할 수 있지만, 봉착부 근방의 내부리드선(201)로의 퇴적량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전로의 형성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관련된 공지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6-140000호가 있다. 이것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리드선(102)에 유리비드(101)을 고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의 산화속도를 저하시키고 형광램프가 극단적인 단수명으로 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유리비드(101)의 존재에 의해 리드선(102)와 플레어스템상에 걸치는 영역(110)으로의 상기 비산물의 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단, 유리비드(101)상에 상기 비산물질이 퇴적하기 때문에, 유리비드(101)상의 퇴적물을 거쳐서 상기 1쌍의 리드선 사이가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이 있어 문제가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105)는 비드마운트, (106)은 비드마운트(105)의 필라멘트코일, (109)는 배기관이다.
관련된 공지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3-81950호가 있다. 여기에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 관한 기술이 있고, 그것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3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램프의 전극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버튼스템(27)은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접착제에 의해 유리밸브(21) 끝부에 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버튼스템(27)에는 지지봉(29)가 마련되고, 이것에는 열차폐판(30)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은 전극(26)과 스템(27) 사이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스텐레스재 등의 내열성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홈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전극(26)의 뒷면부를 덮고 있다. (28a), (28b)는 리드선이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 동작모드의 현상이 발생해도 차열되기 때문에 스템(27)이 열에 의해 파손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는 개시가 있다.
관련된 공지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54-44372호가 있다. 여기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램프(1)의 내부(2)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mouth-piece)부(9)를 최냉점으로 하기 위해서 필라멘트(12)와 마우스피스부(9) 사이에 원판형상의 열차폐판(13)을 마련하고 필라멘트(12)의 복사열이 마우스피스(9)로 전열되는 것을 저감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13)은 리드선, (15)는 열차폐판(1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이다. 이 구성은 유리관에 도포된 형광체의 흑화가 필라멘트근방에서 발생해서 제품의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최냉점이 마우스피스부(9)에 생기도록 해서 그와 같은 고화(固化)를 저감하기 위해 열차폐판(13)을 마련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리드선(14)와 스템(16) 사이에 차폐물을 마련하고 있어 스템(16)상으로의 상기 비산물질의 퇴적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단, 열차폐판(13)은 리드선(14)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간극없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열차폐판상에 상기 비산물질이 퇴적해서 1쌍의 리드선(14) 사이가 단락하는 것을 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공지예 1 기재의 형광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모드의 발생의 저감효과가 충분하지 않았거나 램프를 양산하는데 있어서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결과 명확하게 되었다.
제1 동작모드에 관한 문제점
도 1∼도 3의 구성에 있어서 공통의 문제점으로서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대응이 검토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있다. 제1 동작모드는 1쌍의 리드선중 어느 한쪽에 발생하는 것이지만, 어느측에 발생하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동작모드로의 대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어느쪽의 리드선에 발생하더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램프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지예 1에서는 오목부, 절연관, 돌출부재 모두를 1쌍의 리드선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하는 것밖에 언급하고 있지 않고 양측에 마련하는 것을 필수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으로는 제1 동작모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제2 동작모드에 관한 문제점
1 도 1의 구성에서는 도전로의 연면거리(creepage distance)가 종래보다 길어지므로, 단락이 발생할 확률은 어느 정도 감소된다. 그러나,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고 임의의 빈도로 도전로가 형성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즉 제2 동작모드가 발생하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명확하게 되었다.
2 또, 도 3의 구성에서는 내부리드선(201)에 돌출부재(206)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은 기본적으로 한쪽만 들보형상인 구성이다. 따라서, 도 3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퇴적물이 돌출부재의 주위에서 돌아들어가서 플레어스템상에 퇴적하는 퇴적량을 무시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1쌍의 리드선 사이에 도전로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제2 동작모드의 발생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밖의 문제점
1 도 2의 구성에서는 절연관(205)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세라믹, 석영, 통상의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공지예 1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세라믹을 사용한 경우, 플레어스템의 재료는 유리이므로 양자의 열팽창계수의 값은 크게 다르다. 리드선에 절연관을 삽입하고, 그 후 그것을 유리재의 플레어스템으로 봉지하는(봉착하는) 제조공정을 취한다. 이 경우, 양자의 열팽창계수의 값의 차가 크기 때문에, 절연관을 봉착한 플레어스템이 봉착후 자연 냉각되면 유리인 플레어스템이 파괴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절연관을 유리로 제작한 경우에는 제1 동작모드의 대응을 충분히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1 동작모드가 발생했을 때는 리드선이 발열해서 절연관이 녹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재료로 어느것을 사용한다고 해도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2 도 3의 구성에서는 돌출부재(206)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세라믹, 석영, 통상의 유리,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공지예 1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 부재를 리드선에 확실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부재가 리드선의 주위를 회전해 버리고 더 나아가서는 리드선을 따라서 부재가 이동해 버리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부재 본래의 기능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양자를 고정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스토퍼가 필요로 된다. 이 스토퍼의 필요수는 2개 또는 4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리드선중 한쪽에 이 부재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극은 방전관의 양끝에 있기 때문에 스토퍼의 총수는 2개이다. 1쌍의 리드선의 양쪽에 이 부재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그 배인 4개가 필요로 된다. 부착하는데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고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나아가서는 이들 부재에 유리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동작모드의 대응을 충분히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1 동작모드가 발생했을 때는 리드선의 발열에 의해 부재가 녹아서 탈락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문제점을 경감할 수 있는 형광램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목부를 갖는 플레어스템을 갖는 형광램프의 플레어스템 근방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리드선에 절연튜브를 마련한 플레어스템을 갖는 형광램프의 플레어스템 근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리드선에 돌출부재를 마련한 플레어스템을 갖는 형광램프의 프레어스템 근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리드선을 유리봉으로 묶은 구성을 갖는 형광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세라믹판을 리드선에 삽입해서 유지한 구성을 갖는 형광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스템을 갖는 형광램프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구성에서 사용한 세라믹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세라믹판을 1쌍의 리드선에 삽입한 플레어스템부의 조감도,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한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세라믹판을 리드선에 삽입하고 그것을 중간리드선으로 유지한 구성을 갖는 형광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세라믹판을 1쌍의 리드선에 삽입하고 그것을 중간리드선으로 고정한 플레어스템부의 조감도,
도 1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에 도시한 플레어스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세라믹판을 리드선에 삽입하고 그것을 스토퍼로 유지한 구성을 갖는 형광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의 세라믹판을 1쌍의 리드선에 삽입하고 그것을 스토퍼로 고정한 플레어스템부의 조감도,
도 15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4에 도시한 플레어스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절연관의 조감도 및 3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6의 절연관을 갖는 플레어스템의 조감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절연관을 리드선에 삽입하고 그것을 스토퍼로 유지한 구성을 갖는 형광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7에 도시한 플레어스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플레어스템의 정점부와 리드선에 마련된 절연물의 간극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공지의 형광램프의 점등회로의 1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형광램프와 조명기구를 조합한 형광램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3, 도 24는 종래의 형광램프의 전극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램프의 전극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1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2개의 구성 중의 어느 하나를 취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① 발광관 봉지 끝부에 유리와 1쌍의 금속리드선으로 이루어지는 봉착부재에 의해 기밀하게 봉착되고, 발광관의 내부에 있는 이들 1쌍의 내부리드선의 내측 끝부에 필라멘트를 마련한 형광램프에 있어서, 필라멘트와 스템헤드부 사이에 제1, 제2 내부리드선을 관통해서 양리드선의 유리와의 봉착부 경계면을 덮도록 절연물을 마련하거나 스템헤드부 전체를 덮도록 절연물을 마련한다. 여기에서, 절연물에는 제1, 제2 구멍이 마련되고, 그것이 상기 1쌍의 리드선에 삽입된다. 이들 구멍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크다. 여기에서, 이들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뺀 값은 1.2이상 10이하이다. 또, 이들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이어도 좋다. 이것을 이하 제1 구성이라 한다.
이 구성에는 다음의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형광램프는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제1 및 제2 구멍을 갖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② 또, 본 발명의 형광램프는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각각 삽입된 관형상을 갖고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이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이다. 또,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이어도 좋다. 이것을 이하 제2 구성이라 한다.
2 제1 구성에서는 제1 및 제2 리드선의 주위에 절연물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동작모드가 어느쪽의 리드선에서 발생해도 특이한 방전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해 확인한 바로는 이와 같은 절연물이 없는 상태에서 제1 동작모드가 발생하면 방전에 의해 리드선은 용융해서 플레어스템부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과 같은 절연물을 마련하면 절연물의 존재에 의해 그와 같은 방전은 억제되고 정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물에서 필라멘트측에 리드선을 남긴 상태에서 방전이 정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절연물을 양 리드선의 유리와의 봉착부 경계면을 덮도록 마련하거나 스템헤드부 전체를 덮도록 마련하므로, 플레어스템상 및 봉착부로의 퇴적물의 비래(飛來)를 종래보다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제2 동작모드의 발생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제2 구멍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연물상에 퇴적물이 퇴적해도 1쌍의 리드선을 단락하는 도전로로는 거의 되지 않는다. 구멍과 리드선의 공극이 단락로의 형성을 저지하기 때문이다.
3 제2 구성에서도 제1 및 제2 리드선의 주위에 절연물인 제1, 제2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동작모드가 어느쪽의 리드선에 발생해도 특이한 방전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리드선의 굵기에 비해 필요충분한 크기로 이들 부재의 중공부분의 크기를 선택하면 이들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특이한 방전은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전이 리드선의 선단의 부분에서 플레어의 방향으로 진행해도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보다 앞쪽에서는 방전유지가 곤란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재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가 없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이들 부재가 봉착부를 덮고 있고 또한 리드선에 비해 관내경을 필요충분한 크기로 하므로 리드선 사이의 단락로의 형성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성에서는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필요 충분하게 큰 단면적의 중공부분을 갖는 제1, 제2 부재를 의도적으로 사용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드선 사이의 단락가능성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도 2의 구성에서도 리드선의 직경보다 관의 내경쪽이 약간 크다고 고려되지만(개시되어 있지는 않다), 양자의 직경의 크기의 차는 양자를 긴밀하게 끼워맞추기 위해 필요한 정도로서 아주 작은 차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형광램프의 끝부(전극을 유지하기 위한 스템이 존재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5의 (b)는 그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c)는 그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전극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관한 직관형 형광램프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내면에 형광체 피막을 그 내면에 마련한 유리관으로 구성된 발광관(1)이 있다. 발광관(1)의 끝부는 플레어스템(2)에 의해 발광관(1)내가 외계에 대해서 폐쇄(봉지)되어 있다. 이 플레어스템(2)에는 니켈피복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ψ0.6㎜의 1쌍의 내부리드선(3a), (3b)가 기밀하게 관통되어 있고, 이들 내부리드선(3a), (3b)의 끝부에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4)가 마련되어 있다. 필라멘트(4)에는 산화바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플레어스템(2)에는 1쌍의 내부리드선(3a), (3b) 봉지부 사이의 유리부분을 덮도록 직경 1㎜의 구멍을 2개소 뚫은 절연물(도시한 것은 세라믹판)(5)를 마련하고 있다. 또, 절연물은 1쌍의 내부리드선의 필라멘트측으로 감에 따라서 리드선간 거리를 확장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물(5)를 느슨하게 고정하고 있다.
절연물(5)의 형상은 세로 7㎜, 가로 14㎜, 두께 1㎜의 대략 장방형의 판으로 하고, 재질은 알루미나세라믹을 사용하였다. 도 7의 (a)는 그 세라믹판의 조감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의 (b)는 그 3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8은 도 7의 세라믹판을 1쌍의 리드선에 삽입한 플레어스템부의 조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이 세라믹판을 사용한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1)에는 1쌍의 내부리드선(2a), (2b)가 있고, 상기 1쌍의 내부리드선을 대략 직선으로 성형해서 세라믹판(3)을 통과시킨다(도 9의 (b)). 절연판을 통과시킨 후 1쌍의 내부리드선을 절곡 가공한다(도 9의 (c), (d)). 이것에 의해 세라믹판이 내부리드선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음에, 전극(필라멘트)(4)를 고정한다(도 9의 (e)).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스템마운트(5)는 내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유리관(6)과 양끝에서 봉지된다(도 9의 (f)). 이 때, 유리관의 한쪽에는 유리관내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관이 있고 이 배기관을 통해서 감압함과 동시에 전극에 도포된 탄산바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산염을 전극에 전류를 통전해서 활성화를 실행하고, 그 후 적량의 불활성가스를 봉입하고 또 적량의 수은을 봉입한 후 배기관을 절단해서 형광램프가 완성된다(도 9의 (g)).
이와 같이 구성된 램프를 고주파 점등용 안정기(고주파 점등회로)와 조합해서 점등하고, 수명말기에 있어서의 램프의 고장모드(상술한 제1 및 제2 동작모드)에 대해서 확인을 실행하였다. 이 확인에서는 램프 전극의 한쪽에는 양산용 설계값과 동량의 도포량의 전자방사성 물질을 도포하고, 다른 한쪽의 전극에는 극미량의 전자방사성 물질을 도포해서 수명말기의 재현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또, 전극 근방부분을 관찰할 목적으로 방전관(6) 중 그 부분의 형광막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필라멘트가 단선해도 방전을 유지하여 내부리드선이 전극(발광점)으로 되고 리드선이 용융을 시작해도 용융은 절연물이 있는 곳에서 정지하고 방전이 종료하여 스템가스가 용융하는 곳까지 도달하지 못했다. 이것은 제1 동작모드가 발생했지만 그것을 정지시킬 수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또, 필라멘트로 부터의 비산물이 절연물상에 부착해서 퇴적하는 것은 확인했지만, 리드선 사이를 전류가 통전해서 스템용융에 도달하는 모드로는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세라믹판이 제2 동작모드의 발생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 것을 의미한다.
확인을 위해, 종래의 형광램프에 있어서 그 수명말기에서 필라멘트로 부터의 비산물이 스템헤드부에 부착해서 퇴적한 것을 사용해서 1쌍의 리드선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50Ω∼200Ω으로 매우 작은 저항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램프에 의해 마찬가지로 저항을 측정한 결과 그 저항값은 거의 무한대이고, 제2 동작모드에 대해서 충분히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절연물이 리드선에 대해서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다소 움직이도록 하고 있으므로, 세라믹판과 리드선은 일부분만의 접촉 즉 점접촉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그 때문에, 도전로의 형성이 방해를 받는 것이라고 고려된다. 바꿔말하면, 세라믹판과 리드선의 공극이 도전로의 형성을 방해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반대로, 세라믹판을 리드선에 완전하게 고정해 버리면, 결과로서 1쌍의 리드선 사이에 도전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물로서 알루미나세라믹을 사용했지만, 그밖에 포스테라이트(2MgO·SiO2), 스테아타이트(MgO·SiO2), 지르콘(ZrO2·SiO2) 등의 절연성 세라믹이면 어느것이라도 좋다. 그밖에 내열성유리인 석영유리나 경질유리, 더 나아가서는 운모(mica)라도 좋다. 요컨데 내열성이 좋고 안정성이 있으며 진공중에 불순가스의 발생이 없는 것이면 어느것이라도 좋고, 또 가공성이 우수한 물질은 더욱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의 직경을 1㎜로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그 구멍의 단면적은 내부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크면 좋다. 단, 스템으로의 양산시의 장착성 및 램프제조후의 절연물의 거터(gutter)의 존재의 회피 및 거터에 의한 이음(異音) 발생의 회피의 필요를 고려하면, 그 구멍의 단면적은 내부리드선의 단면적의 1.2∼10배의 범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구멍도 리드선도 그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한 경우, 그 단면적 비율은 1.1배∼3.3배로 하는 것이 좋다(이하, 동일). 이 값보다 작으면 장착성이 나빠진다. 이 값보다 크면 세라믹판이 슬라이딩해서 이음을 발생하고 상품가치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구멍의 단면적이 너무 커지면 리드선 근방으로의 비산물 퇴적을 충분히 저지할 수 없으므로, 제2 동작모드의 억제효과가 충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2개의 구멍의 피치는 개략 리드간 피치와 동일해도 좋다. 구멍의 형상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했지만 그 밖에 임의의 형상이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절연물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장방형을 사용했지만, 스템헤드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고 특별히 지정할 필요는 없다. 판형상이 아니고 단순한 덩어리이라도 좋다.
또, 리드선에 마련한 절연물과 플레어스템의 간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형상의 플레어스템(2)의 정상부(501)과 리드선(3a), (3b)에 마련된 절연물(5)의 간극(502)의 치수는 0㎜이상 5㎜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 오목한 형상의 플레어스템(2)의 정상부(501)과 리드선(3a), (3b)에 마련된 절연물(5)의 간극(502)의 치수는 0㎜이상 5㎜이하로 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플레어스템의 형상은 다양하지만, 플레어스템의 정상부와 리드선에 마련된 절연물의 간극(502)의 치수는 0㎜이상 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치수가 0㎜라는 것은 플레어스템(2)의 정상부(501)과 리드선(3a), (3b)에 마련된 절연물(5)가 접촉한 상태를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절연물(5)의 다른 고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절연물(5)에는 1쌍의 내부리드선(3a), (3b)의 단면적의 1.2배∼10배의 크기의 단면적을 갖는 구멍이 3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멍에 내부리드선(3a), (3b)와 이들 1쌍의 내부리드선 봉지간 유리부에 마련된 중간리드선(6)을 각각 관통시킨다. 또, 리드선(6)을 절곡하는 것에 의해 절연물(5)를 유지하고 있다. 그 조감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 고정방법에서는 도 1의 동작모드가 발생해서 리드선(3a) 및 (3b) 모두 용융해서 탈락해도 절연물은 중간리드선(6)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탈락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리드선(3a) 및 (3b)의 탈락이 발생해도 제2 동작모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이와 같은 구성의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f)는 도 9의 (a)∼(f)에 대응하는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중간리드선(6)을 제3 구멍에 삽입하고 절곡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9의 (a)∼(f)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절연물(5)의 또 다른 고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물(5)에는 1쌍의 내부리드선(3a), (3b)의 단면적의 1.2배∼10배의 단면적을 갖는 구멍이 2개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을 관통해서 1쌍의 내부리드선(3a), (3b)가 있고 이들 1쌍의 내부리드선(3a), (3b)의 도중에 마련한 스토퍼(7a), (7b)에 의해 절연물(5)가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7a), (7b)는 금속선이고 리드선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금속선을 용접해서 스토퍼로 했지만, 절연물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어느것이라도 좋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램프의 플레어스템부의 조감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형광램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봉착부재인 플레어스템에 의해 설명했지만, 버튼스템방식, 핀치 밀봉(seal)방식 등 유리를 사용한 봉착부재를 사용하는 형광램프이면 어느 것이라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이와 같은 구성의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e)는 도 9의 (a)∼(e)에 대응하는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토퍼를 고정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9의 (a)∼(f)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실시예 2
도 16∼도 19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라믹판 등의 절연물 대신에 관형상의 전기적 절연물(이하, 절연관라고도 한다)을 사용한다. 도 16의 (a)는 절연관의 조감도를 도시한 도면, 도 16의 (b)는 그것을 도시한 3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관을 각각 리드선에 1개씩 삽입하고 스토퍼로 고정한다. 그 조감도를 도 17에 도시하고, 도 17의 스템을 갖는 형광램프의 3면도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 18의 (a)는 그 형광램프의 끝부(전극을 유지하기 위한 스템이 존재하는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8의 (b)는 그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의 (c)는 그의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어스템(2)에 마련된 선직경 0.6㎜의 1쌍의 리드선(3a), (3b)의 끝부에는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필라멘트(4)가 마련되어 있다. 필라멘트(14)에는 산화바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플레어스템(2)에는 1쌍의 내부리드선(3a), (3b)와 각각의 유리와의 봉착부 경계면을 덮도록 절연물(5a), (5b)가 마련되어 있다. 절연물의 형상은 중공의 원기둥형상이고, 중공의 구멍직경은 1㎜로 하고, 외경은 4㎜이고, 높이는 7㎜로 하였다. 이들 절연물(5a), (5b)는 각각의 리드선의 도중에 니켈선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7a), (7b)에 의해 느슨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19는 이와 같은 구성의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의 (a)∼(e)는 도 9의 (a)∼(e)에 대응한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절연관을 삽입하고 그것을 스토퍼로 고정하는 공정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도 9의 (a)∼(f)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램프를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주파 점등용 안정기(고주파 점등회로)와 조합해서 점등하고 수명말기 고장모드의 확인을 실시한 결과 제1 동작모드이어도 제2 동작모드이어도 스템용융까지 도달하지 않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 모드에 대해서는 필라멘트가 단선된 후 한쪽의 리드선에서 방전을 지속하여 리드선이 용융했지만, 절연물이 있는 곳까지 리드선이 용융한 시점에서 방전이 정지하고 스템용융까지 도달하지 않았다.
1쌍의 리드선과 유리의 봉착부 경계면이 절연물에 의해 전극비산물질이 부착해서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제2 동작모드는 발생하지 않았다. 양리드선 사이의 저항값을 체크한 결과 저항값이 거의 무한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본 방식에서는 리드선이 용융했을 때 나머지 중공부의 직경이 리드선에 대해서 너무 크면 스토퍼도 용융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절연물이 탈락해 버리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중공부의 단면적은 리드선의 단면적의 1.2∼4배의 범위가 최적이고 1.2∼10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물의 형상은 원기둥형상으로 했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리드선과 유리의 봉착부 경계면을 덮는 형상의 입체이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램프는 방전관인 유리관의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것에 적용해서 적합하다. 이 유리관의 두께는 0.6㎜∼0.7㎜정도이다.
그것에 대해 도 2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유리관(1)의 내면에 형광체(4)가 도포되어 있다. 전극(9)는 1쌍의 리드선(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유리관의 외경을 D, 내경을 d로 나타내고 있다. 스템(7)의 크기나 스템선단부분에서의 리드선의 간격ds의 크기는 유리관 내경의 크기에 의존한다. 이 리드선 간격ds의 값이 임의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제2 동작모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 간격이 어느 정도 좁게 되면 1쌍의 리드선 사이의 스템상의 연면거리가 짧아진다. 그러면, 단락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제2 동작모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고 고려된다. 유리관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램프에 적합한 리드선을 갖는 스템에서는 제2 동작모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램프에는 도 25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7이나 도 16에 도시한 부재를 전극과 스템 사이의 리드선에 마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4
실시예 1∼3에 도시한 구조의 램프는 주지의 형광램프 점등회로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형광램프장치로 된다.
도 21은 주지의 형광램프의 점등회로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1)은 교류전원, (2)는 정류회로, (3)은 평활회로, (4)는 고주파 인버터 점등회로, (5)는 형광램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형광램프(1)을 도 21과 같은 점등회로를 내장한 조명기구(2)와 조합한 형광램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문제점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물을 양 리드선의 유리와의 봉착부 경계면을 덮도록 마련하거나 스템헤드부 전체를 덮도록 마련하므로, 플레어스템상 및 봉착부로의 퇴적물의 비래(飛來)를 종래보다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제2 동작모드의 발생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구멍과 리드선의 공극이 단락로의 형성을 저지하기 때문에 절연물상에 퇴적물이 퇴적해도 1쌍의 리드선을 단락하는 도전로로는 되지 않는다.
또, 제1 및 제2 리드선의 주위에 절연물인 제1, 제2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동작모드가 어느쪽의 리드선에 발생해도 특이한 방전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필요 충분하게 큰 단면적의 중공부분을 갖는 제1, 제2 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리드선 사이의 단락가능성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4)

  1.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각각 큰 단면적을 갖는 제1, 제2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1 구멍에 상기 제1 리드선을 삽입하고, 상기 제2 구멍에 상기 제2 리드선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상기 스템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퇴적되는 것에 의해 그 퇴적물이 도전로를 형성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템 또는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정점부와 상기 부재의 간극치수는 0㎜이상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에 상기 제1 리드선을 삽입하고 상기 제2 구멍에 상기 제2 리드선을 삽입한 후, 상기 스템에서 연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상기 부재가 마련된 부분보다 앞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을 구부리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9.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제1 및 제2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준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을 각각 삽입하고, 그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2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상기 스템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퇴적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템 또는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정점부와 상기 부재의 간극치수는 0㎜이상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을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스템에서 연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상기 부재가 마련된 부분보다 앞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을 구부리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8.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각각 삽입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각각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1.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각각 삽입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각각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4.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1 리드선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제1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리드선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제2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각각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7.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1 리드선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제1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리드선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중공부분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제2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를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제2 리드선에 각각 유지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준비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30.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제1 구멍과 상기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제2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구멍에 상기 제1, 제2 리드선이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상기 스템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퇴적해서 그 퇴적물이 도전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리드선을 전극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그 방전의 지속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템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판형상이고 또한 절연성 세라믹, 석영유리 또는 운모 중의 어느 하나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에 상기 제1, 제2 리드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템에서 연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상기 부재가 마련된 부분보다 앞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은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2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및 상기 전극이 마련된 2조의 스템이 방전관의 양끝에 1조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0. 제30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1.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제1 및 제2 구멍을 갖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2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상기 스템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퇴적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리드선을 전극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그 방전의 지속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스템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판형상이고 또한 절연성 세라믹, 석영유리 또는 운모 중의 어느 하나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4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에 상기 제1, 제2 리드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템에서 연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상기 부재가 마련된 부분보다 앞의 부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이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상기 제1 리드선과 상기 부재상에 퇴적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에 도전경로가 형성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해 마련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1.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리드선을 전극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그 방전의 지속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및 상기 전극이 마련된 2조의 스템은 방전관의 양끝에 1조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3. 제41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4.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각각 삽입된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는 전극으로 부터의 비산물질이 스템표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퇴적해서 그 퇴적물이 도전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할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1 또는 제2 리드선을 전극발광점으로 해서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그 방전의 지속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리드선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5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판형상이고 또한 절연성 세라믹, 석영유리 또는 운모 중의 어느 하나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에 상기 제1, 제2 리드선이 각각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제1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부재의 중공부분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중공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제2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61.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와 상기 전극이 마련된 2조의 스템은 방전관의 양끝에 1조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62. 제54항에 있어서,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
  63.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제1 구멍 및 상기 제2 리드선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제2 구멍이 마련되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구멍에 상기 제1, 제2 리드선이 각각 삽입되어 있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의 점등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램프는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7.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상기 제1 및 제2 구멍을 갖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구멍에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이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1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1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1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의 점등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제2 리드선이 접하는 부분의 근방에서 상기 제2 구멍의 경계부분과 상기 제2 리드선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상기 제2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의 점등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것윽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70.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구멍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램프는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72. 전극에 통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리드선이 마련된 스템과 상기 제1 및 제2 리드선에 각각 삽입된 관형상을 갖고 또한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제1 및 제2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단면적에서 각각 뺀 값이 1.2이상 10이하인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의 점등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재의 중공부분의 직경을 상기 제1, 제2 리드선의 직경에서 각각 뺀 값이 1.1이상 3.3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7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램프는 그 외경치수가 5㎜이상 33㎜이하인 유리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램프장치.
KR1019980054779A 1997-12-16 1998-12-14 형광램프,형광램프의제조방법및형광램프장치 KR100573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09697 1997-12-16
JP97-346096 1997-12-16
JP98-164662 1998-06-12
JP16466298A JP3527851B2 (ja) 1997-12-16 1998-06-12 蛍光ランプ、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ラ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033A true KR19990063033A (ko) 1999-07-26
KR100573608B1 KR100573608B1 (ko) 2006-11-30

Family

ID=2648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779A KR100573608B1 (ko) 1997-12-16 1998-12-14 형광램프,형광램프의제조방법및형광램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24745B1 (ko)
JP (1) JP3527851B2 (ko)
KR (1) KR100573608B1 (ko)
CN (1) CN1118084C (ko)
DE (1) DE69819669T2 (ko)
ID (1) ID21460A (ko)
TW (1) TW5826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092B1 (ko) * 2001-03-29 2004-10-14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형광램프 및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595B1 (en) 2000-06-19 2002-11-26 Osram Sylvania Inc. Electric lamp having press seal configuration for exhaust tube protection
JP4382681B2 (ja) 2005-02-03 2009-12-16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7026811A (ja) * 2005-07-14 2007-02-01 Nec Lighting Ltd 蛍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3468A (en) * 1957-09-16 1961-03-22 Ge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w pressure electric discharge lamps
NL6501884A (ko) 1965-02-16 1966-08-17
JPH0381950A (ja) * 1989-08-24 1991-04-0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けい光ランプ
US5298834A (en) * 1990-10-30 1994-03-29 Okay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discharge lamp
NL9002771A (nl) * 1990-12-17 1992-07-16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092B1 (ko) * 2001-03-29 2004-10-14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형광램프 및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084C (zh) 2003-08-13
DE69819669D1 (de) 2003-12-18
DE69819669T2 (de) 2004-09-30
JP3527851B2 (ja) 2004-05-17
EP0924745A2 (en) 1999-06-23
EP0924745A3 (en) 1999-07-14
JPH11238458A (ja) 1999-08-31
TW582620U (en) 2004-04-01
EP0924745B1 (en) 2003-11-12
KR100573608B1 (ko) 2006-11-30
ID21460A (id) 1999-06-17
CN1220481A (zh) 199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167A (en) Lamp assembly with shroud employing insulator support stops
US6528945B2 (en) Seal for ceramic metal halide discharge lamp
US5686795A (en) Fluorescent lamp with protected cathode to reduce end darkening
US4495440A (en) Arc-extinguishing ampul and fluorescent lamp having such ampul mounted on each electrode structure
KR100573608B1 (ko) 형광램프,형광램프의제조방법및형광램프장치
US7438620B2 (en) Arc tube of discharge lamp having electrode assemblies receiving vacuum heat treat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arc tube
EP1044464B1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US6756723B2 (en) Fluorescent lamp,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uorescent lamp device
US6271627B1 (en) Sealing body having a shielding layer for hermetically sealing a tube lamp
US20050146275A1 (en) Arc tube for a discharge lamp
EP0734051B1 (en) A cold cathode subminiature fluorescent lamp
JP3379438B2 (ja) 箔シール構造をもつランプ
JP4498940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H11345596A (ja) 蛍光ランプ、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ランプ装置
JP3754573B2 (ja) 蛍光ランプ
US20060181216A1 (en) Lamp assembly
JP2000348679A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1185084A (ja) 蛍光ランプ及び照明器具
JPH06283140A (ja) コンパクト形けい光ランプ
JPH09265944A (ja) 金属蒸気放電灯
JP2005183110A (ja) ガラス封着用導入線、ガラス封着用導入線の加工法、電気部品、及び管球
JP2007507062A (ja) ガス放電ランプ
KR20040094805A (ko) 램프와 램프 제조방법
JPS6145552A (ja) 金属蒸気放電灯
JP2006134656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