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663A -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663A
KR19990062663A KR1019980052114A KR19980052114A KR19990062663A KR 19990062663 A KR19990062663 A KR 19990062663A KR 1019980052114 A KR1019980052114 A KR 1019980052114A KR 19980052114 A KR19980052114 A KR 19980052114A KR 19990062663 A KR19990062663 A KR 1999006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ranch
walls
soundproof wall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431B1 (ko
Inventor
코이치 마츠모토
미노루 야마모토
토시유키 와타나베
토시카즈 오사후네
Original Assignee
니혼도로코단
가이자끼 요이찌로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로코단, 가이자끼 요이찌로,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니혼도로코단
Publication of KR1999006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1Free-standing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음벽 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지지기둥을 마련하고 2개의 지지기둥사이에 벽 패널의 양쪽 테두리를 떨어뜨린 여러단에 걸치는 본체벽을 형성하며, 지지기둥 상부의 간극에 양측프레임을 떨어뜨린 최상단의 벽패널위에 설치하는 방음벽장치로서, 이 방음벽 장치는 양측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의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제 1 및 제 2의 분기벽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음원측과 반음원측에 경사지도록 벌렸을 때에 양 분기벽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벌렸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 끼리를 지지기둥을 걸치도록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는 죠인트부 차음판으로 연결했다.

Description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도로, 철도,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대책으로 마련되는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 철도,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대책으로서는 소음발생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소음이 전반(傳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는 각종 소음방지대책중에서 방음벽이 대책비용이 비교적 싸며 또한 여러 가지 소음발생원에 대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소음저감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방음벽의 높이를 높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방음벽을 높게하면 원가가 높아진다(높이가 높아질수록 시공비 등이 늘어나 원가가 높아지게 된다). 또 일조, 경관, 조망, 압박감, 통풍, 전파장해, 내풍화중 등의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직벽만으로는 소음저감효과가 불충분할 경우 방음벽의 선단부를 소음발생원측에 「く」자로 절곡한 앞이 구부러진 모양의 방음벽이나, 방음벽의 선단부를 소음발생원측으로 만곡시킨 만곡형 방음벽이 있지만 이는 직벽이상으로 경관, 조망, 압박감, 통풍, 전파장해, 내풍하중 등의 문제는 있다.
최근 교통량의 증가, 차량의 고속화에 따라 환경소음문제가 심각해지고 다른 대응책이 없기 때문에 3m, 7m, 10m 높이의 직벽형 방음벽이나 앞이 구부러진 모양의 방음벽, 만곡형 방음벽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음벽을 사용해도 이들은 방음벽의 높이에 맞는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먼쪽(방음벽보다 20m정도 벗어난 곳)에서는 방음벽의 높이를 1m 늘리는 것으로 얻어지는 소음저감효과는 약 1dB이다.
그래서 방음벽의 높이를 높게하지 않고 소음저감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위쪽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분기벽을 마련한 Y형 방음벽이 개발되었다. 이 Y형 방음벽을 사용하여 음원에서의 소음을 평가점으로 측정했다. 이 측정결과와 Y형 방음벽대신에 같은 높이의 직벽을 이용한 측정결과를 비교했을 때 Y형 방음벽은 직벽에 비해 소음저감효과가 컸다.
또 벽의 높이를 억제하고 소음저감효과를 증대시킨 방음벽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8-85921호 공보에 기재한 것이 개발되었다. 이는 지상에서 위쪽으로 뻗은 본체벽의 상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의 분기벽을 마련함과 동시에 음원측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진 제 2의 분기벽을 마련하고, 이들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에 이들 분기벽과는 다른 방향으로 재분기하는 재분기벽을 마련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면 분기벽과 재분기벽이 순록의 뿔과 같은 형상이기 때문에 순록형이라고 이름붙여지게 되었다. 이 순록형의 방음벽은 직벽형이나 상단부를 음원측으로 만곡시킨 만곡형에 비해 동일높이이면 소음저감효과가 높은 것이다.
Y형 및 순록형의 분기형 방음벽은 높이를 높게하지 않고 소음저감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상부의 분기벽이 벌려져있는 3차원 형상이기 때문에 시공이 곤란했었다. 또 이 분기벽부분을 직벽위에 뒤에서 부착하는 경우라도 부착전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많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여 효율이 상당히 좋지 않고 원가가 상승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방음벽의 높이를 높게하지 않고 소음저감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을 간단히 하며 보관, 운반시에는 스페이스를 작게하여 원가를 억제할 수 있는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소정간격을 두고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을 세워 마련하고, 2개의 지지기둥 서로에 대향하는 コ자형 간극에 벽패널의 양측단을 떨어뜨려 여러단에 걸치는 본체벽을 형성하며, 지지기둥 상부의 コ자형 간극에 양측 프레임을 떨어뜨려 최상단의 벽패널위에 설치하는 방음벽장치로서, 이 방음벽장치는 양측 프레임을 하단측에서 연결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의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지지기둥 사이의 거리보다도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음원측과 반음원측으로 경사지도록 벌렸을 때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이 방음벽장치의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벌렸을 때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 끼리를 지지기둥을 걸치도록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는 죠인트부 차음판으로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방음벽 상단측의 측면도.
도 2는 분기벽을 닫은 상태의 하단측의 확대측면도.
도 3은 방음벽의 평면도.
도 4는 음원측에서 본 방음벽의 정면도.
도 5는 닫은 상태의 분기벽의 하단을 부착틀에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음원측의 분기벽을 벌린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음원측의 분기벽과 지지기둥을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연결부재에 재분기벽을 부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음원측과 반대측의 분기벽을 벌린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지지기둥의 형상을 바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암과 가이드부의 관계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의 평면도.
도12는 경사판 기단측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긴 장판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긴 장판의 경사판과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5는 이 방음유니트를 조립한 상태의 방음벽의 정면도.
도16은 방음유니트의 부착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방음유니트의 개소에 있어서 음의 전파를 설명하는 도면.
도18은 소음발생시의 음압분포도.
도19는 음향강도의 분포도.
도20은 소음측정시험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21은 음파의 간섭을 설명하는 도면.
도22는 음파의 소용돌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정면도.
도24는 방음유니트의 측면도.
도25는 방음유니트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6은 접은상태의 방음유니트의 정면도.
도27은 접은상태에서 방음유니트을 벌리는 도중의 측면도.
도28은 죠인트부 차음판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29는 죠인트부 차음판의 수평단면도.
도30은 직벽과 순록형 방음벽의 각 주파수 마다 감음량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순록형 방음벽에서는 간극이 없는 것과 간극이 5cm, 10cm인 것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체벽(1)을 구성하는 지지기둥(2)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의 분기벽(3) 및 음원측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진 제 2의 분기벽(4)을 마련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의 하단을 이음매(5)로 개폐가능하게 부착틀(11)에 부착한 것을 본체벽(1)의 상단에 부착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에는 이들 분기벽(3)(4)이 벌어졌을 때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3)(4)를 유지하는 연결부재(7)(8)를 마련하고 있다. 연결부재(7)(8)의 일단은 양 분기벽(3)(4)에 고정하고, 타단은 부착틀(11)에 고정한다. 또 이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안전스토퍼(6)를 부착틀(11)과 양 분기벽(3)(4) 사이에 각각 부착하고, 각각의 연결부재(7)(8)에는 재분기벽(9)(10)을 마련했다.
도 2는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을 닫은 상태에서의 하단측 확대도이다. 이음매(5)는 H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2)(2)사이에 걸쳐진 부착틀(11)에 고착된다. 또 양 분기벽(3)(4)의 하단에는 이 부착틀(11)에 벌어졌을 때 접촉하는 고무제의 접촉부재(12)를 부착하고 있다.
도 3은 완성된 방음벽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지지기둥(2)(2)사이에 부착틀(11)을 부착하고 이 부착틀(11)에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의 하단측의 이음매(5)를 부착하며, 지지기둥(2)(2)사이에는 띳장(13)을 마련하고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제 1의 분기벽(3)(3) 사이에는 죠인트용 차음판(14)을 죠인트금구(15)로 부착하고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제 2의 분기벽(4)(4) 사이도 마찬가지로 죠인트용 차음판(16)을 죠인트금구(17)로 부착한다.
도 4는 음원측에서 본 방음벽 장치의 정면도이며, 인접하는 H강으로 형성된 지지기둥(2)(2)사이에 벽패널(18)을 고정하여 본체벽(1)을 형성하고 이 본체벽(1)의 상단에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을 마련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3)(4)을 닫은 상태에서 벌려 본체벽(1)의 상단에 설치할 때까지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5에 있어서는 양 분기벽(3)(4)이 닫히고 이들 분기벽(3)(4)에 재분기벽(9)(10)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이 닫은 상태에 있어서 내부의 공간에는 연결부재(7)(8), 죠인트용 차음판(14)(16)이나 죠인트금구(15)(17)를 수용해 둔다.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보관이나 운반시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의 분기벽(3)을 음원측으로 벌리고 연결부재(7)를 지지기둥(2)과 분기벽(3)사이에 부착한다. 도 6의 상태로 셋트하면 분기벽(3)에 겹쳐진 재분기벽(9)을 연결부재(7)측에 부착한다. 도 7의 상태에 있어서 음원측의 분기벽(3) 및 재분기벽(9)이 완성된다.
도 8은 음원측과 반대측의 제 2의 분기벽(4)을 벌려 셋트한 상태를 도시하고, 이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 재분기벽(10)을 연결부재(8)에 부착하면 음원측과 반대측의 분기벽(4) 및 재분기벽(10)이 완성된다.
도 9는 지지기둥(2)의 선단측이 음원측에 완만하게 경사진 것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벽패널(18)은 록월이나 글래스월 등과 철판, 알루미늄판 등을 짜 맞춘 패널판상의 것을 이용하고, 분기벽(3)(4)에는 흡음재(도 2의 도면상 크로스해칭으로 도시함)를 부착한다. 흡음재로서는 성형섬유 흡음체, 록월, 글래스월, 세라믹, 발포콘크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음재는 그 재질 등에 따라 볼트, 핀, 접착제, 다공판, 금망 등으로 부착된다. 재분기벽(9)(10)이나 본체벽(1)에도 마찬가지로 흡음재를 부착해도 좋다.
재분기벽(9)(10)을 마련하지 않은 높이 2.5m 의 본체벽(1)만으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대해 2개의 분기벽(3)(4)을 갖는 Y형 방음벽(높이 2.5m)에다 재분기벽(9)(10)을 마련한 것과 비교했다. 방음벽에서 4.5m 떨어진 도로위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250Hz, 500Hz, 1KHz, 2KHz, 4KHz의 옥타브 밴드의 음을 발생시키고, 도로의 단에서 20m떨어져 지상에서 1.2m의 높이로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소음레벨을 측정했다. 직벽형 방음벽에 대해 Y형 방음벽은 각각의 옥타브 밴드의 음에 대해 1,3,4,4,4(단위 dB)의 감음량을 나타냈다. Y형 방음벽에다 재분기벽(9)(10)을 각각 마련하고 흡음재를 마련하지 않는 것은 각각의 옥타브 밴드의 음에 대해 2,5,6,6,6(단위 dB)의 감음량을 나타냈다. 또한 흡음재를 부착한 것은 보다 더 감음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제 1실시예의 방음벽 장치에 의하면 지상에서 위쪽으로 뻗는 본체벽의 상단에 음원측으로 경사진 제 1의 분기벽을 마련함과 동시에 음원측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진 제 2의 분기벽을 마련한 방음벽으로서,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하단을 이음매로 개폐가능하게 부착틀에 부착하여 본체벽의 상단에 부착하고,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으로 벌어졌을 때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를 마련했기 때문에 시공전의 분기벽은 닫아둘 수 있어 많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관이나 운반이 편해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이와같이 자유롭게 접을 수 있는 분기벽을 이용하여 방음벽 장치를 시공할 경우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H강으로 지지기둥을 세워마련함과 동시에 지지기둥 사이에 벽패널을 고정하여 본체벽을 형성한 후 벽패널의 상단에서 지지기둥 사이에 걸치는 부착틀을 마련하고, 이 부착틀에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하단을 이음매로써 개폐가능하게 부착하며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소정각도로 벌려 연결부재로 양 분기벽을 소정의 경사각도로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시공전의 자재의 보관이나 운반도 쉬워져 원가절감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도 쉽게 행할 수 있게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방음벽장치(20)는 중앙에 위치하는 직사각형의 메인프레임(30)의 하측에 한쌍의 경사판(20A)(20B)의 기단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 메인프레임(30)의 수직부(30A)(30B)의 내면측에 상하방향에 걸쳐 가이드부(30C)를 형성하고, 한쌍의 경사판(20A)(20B)의 선단에 각각 암(26)(27)의 일단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이들 암(26)(27)의 타단을 가이드부(30C)에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한쌍의 경사판(20A)(20B)을 메인프레임(30)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프레임(30)에서 벗어난 암(26)(27)의 타단이 가이드부(30C)의 상단까지 이동하여 한쌍의 경사판(20A)(20B)이 벌려져서 분기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한쌍의 경사판(20A)(20B)의 각 내면에 경사판(20A)(20B)의 폭방향에 걸치는 긴 장판(20C)(20D)의 기단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이들 긴 장판(20C)(20D)의 선단측은 암(26)(27)에 형성된 장공(26A)(27A)안을 이동하는 핀(22)(2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경사판(20A)(20B)을 접을 때에 핀(22)(23)이 장공(26A)(27A)의 메인프레임(30)근처로 이동하여 긴 장판(20C)(20D)을 경사판(20A)(20B)쪽으로 쓰러뜨려 양자를 겹치게 하고, 경사판(20A)(20B)을 벌렸을 때에 핀(22)(23)이 장공(26A)(27A)의 메인프레임(30)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긴 장판(20C)(20D)을 경사판(20A)(20B)위에서 세워올려 재분기벽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방음벽장치(20)는 중간까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암(26)(27)과 가이드부(30C)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암(26)(27)의 타단에는 레일부재(24)가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레일부재(24)의 돌기부분이 가이드부(30C)에 삽입된다. 또 메인프레임(30)의 수직부(30A)의 양측에는 이음매(25)가 고착되어있고 경사판(20A)(20B)을 완전히 연 상태에 있어서 암(26)(27)의 타단측을 이 이음매(25)에 볼트 등으로 고착하도록 되어있다.
도 12는 경사판(20A)(20B)의 기단측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30)의 하측에 부착편(36)을 마련하고, 이 부착편(36)과 경사판(20A)(20B)의 기단부를 핀(21)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도 13은 긴 장판(20C)(20D)과 암(26)(27)의 장공(26A)(27A)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여기서는 한쪽만을 도시하지만 다른쪽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장공(26A)에는 핀(22)이 장공(26A)내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이 핀(22)의 일단측은 긴 장판(20C)에 마련한 부착부(28)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마련하고 있다.
도 14는 긴 장판(20C)(20D)의 기단측의 회동부분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경사판(20A)(20B)에는 부착부(28')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착부(28')에 대해 긴 장판(20C)(20D)의 절개부분을 겹치게 하여 핀(22)으로 긴 장판(20C)(20D)이 경사판(20A)(20B)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암(26)(27)의 일단측과 경사판(20A)(20B)과의 부착도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15는 소정간격으로 마련한 지지기둥(31)사이에 벽패널(32)을 부착하여 본체벽(33)을 구성하고, 이 본체벽(33)의 상단에 병렬로 방음벽장치(20)를 여러개 마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기둥(31)으로서는 H강을 이용했다. 이들 H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31)의 コ자형의 간극에 벽패널(32)을 위에서 떨어뜨려 본체벽(33)을 형성했다. 또 본체벽(33)의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병렬상태로 연결된 방음벽장치(20)는 지지기둥(31)의 상단측에 부착된다.
도 16은 방음벽장치(20)의 메인프레임(30)의 수직부(30A)(30B)를 고착하기 위한 부착구를 도시하고, 지지기둥(31)사이에 걸쳐 뻗는 측면 V자형의 V자 금구(34)와, 이 V자금구(34)의 양단측에 위치하여 H강에 고착되는 각부(脚部)(35)를 갖추고 있다.
상술한 방음벽 장치(20)는 플라스틱재료를 사출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대량으로 또한 저가로 제공할 수 있지만 플라스틱재 이외에도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경사판(20A)(20B)의 내외면이나 긴 장판(20C)(20D)의 내면에 흡음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17은 방음벽 장치(20)를 본체벽(33)의 상단에 부착한 방음벽에 있어 상단측의 음의 전파를 설명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음벽에 비해 재분기벽의 존재에 의해 회절음은 저감된다. 250Hz 옥타브 밴드의 소음발생시의 음압분포는 도 18에 도시하고, 음향강도의 분포는 도 19에 도시한다. 도 18의 수치의 단위는 dB이다. 도 19의 화살표시 방향은 음의 에너지의 흐름방향을 도시하고, 화살표시의 길이가 긴만큼 음의 에너지가 큰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이 방음벽 장치(20)를 본체벽(3)의 상단부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감음량(dB)을 계측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3.5m의 단차에 붙은 성토의 도로(X)단에 각각 방음벽을 길이 100m에 걸쳐 설치하여 방음효과를 측정했다. 방음벽에서 4.5m떨어진 도로(X)위에 스피커(Y)를 설치하고 250Hz, 500Hz, 1KHz, 2KHz, 4KHz의 옥타브 밴드의 음을 발생시켜 도로(X)단에서 20m 떨어져 지면에서 1.2m의 높이로 마이크로폰(Z)을 설치하여 소음레벨을 측정했다. 방음벽으로서는 지상에서 높이 2.5m의 본체벽(33)만으로 이루어지는 직벽타입을 비교예로 하고, 이 비교예에 대해 방음벽장치(20)를 마련한 전 높이 2.5m의 방음벽을 실시예로 하여 각 주파수에 있어 감음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실시예는 직벽 타입에 비교하여 250Hz에 있어서 2dB, 500Hz에 있어서 5dB, 1KHz, 2KHz, 4KHz의 각각에 있어서 6dB의 감음효과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음의 회절점의 음압레벨이 작아지면 회절음은 약해진다. 실시예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음원과 반대측의 분기벽(20B)에서 재분기한 재분기벽(20D)의 선단에서는 음원에서 돌아들어간 음파(a)가 제 2의 분기벽(20B)에서 반사된 음파(b)와 간섭하여 어떤 주파수에서는 극히 음압레벨이 작아지고 최종적인 회절음이 격감한다. 또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어떤 주파수에서 에너지류가 수음점측에서 음원측으로 소용돌이가 되고, 소음저감효과가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전에는 경사판을 접어둘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나지 않아 보관이나 운반이 편리해지며 현장에서 본체벽의 상단부에 시공할 때에는 경사판을 벌려 암을 메인프레임에 고착하면 간단히 분기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메인프레임을 이용하여 본체벽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분기벽을 형성하는 경사판 뿐만아니라 재분기벽을 형성하는 긴 장판을 개폐가능하게 마련해 두는 것에 의해 경사판을 벌리는 것만으로 이 긴 장판도 경사판위에서 세울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관한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고속자동차도로의 방음벽으로서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도로측에서 본 정면도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41)을 세워마련하고, 2개의 지지기둥(41)의 서로 대향하는 コ자형 간극(41A)에 벽패널(42)의 양측테두리를 떨어뜨려 여러단에 걸치는 본체벽(43)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벽(43)위에 또한 지지기둥(41)의 상부의 コ자형 간극(41A)에 방음벽장치(50)의 양측프레임(51)(도 24참조)을 떨어뜨려 방음벽 장치(50)를 설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방음벽장치(50)끼리를 지지기둥(41)을 걸치도록 죠인트부 차음판(44)으로 연결하고 있다.
방음벽 장치(50)는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지지기둥(41)의 コ자형 간극(41A)에 끼워넣어져 고착되는 양측프레임(51)(도면은 한쪽만을 도시함)과, 양측프레임(51)을 하단측에서 연결하는 하부프레임(52)과, 하부프레임(52)에 각각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을 음원측과 반음원측에 경사지도록 벌렸을 때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50A)(50B)을 유지하는 연결부재(55)로 이루어진다. 이 연결부재(55)는 2개의 암(55A)(55B)으로 이루어지고 암(55A)(55B)의 일단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의 상부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은 양측암(51)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된다. 2개의 양측 암(51)의 각각에 연결부재(55)의 암(55A)(55B)을 마련하는 것이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을 벌린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24에 도시하는 방음벽 장치(50)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의 내측에 이 내측에서 올라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의 상부와 V 자형을 이루는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50C)(50D)을 마련하고 있다. 이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50C)(50D)의 일단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연결부재(55)를 구성하는 암(55A)(55B)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암(55A)(55B)의 긴쪽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하부프레임(52)과 제 1의 분기벽(50A)의 하단부는 간극(d)을 벌려 개폐가능하게 부착된다. 분기벽(50A)(50B)의 하부프레임(52)으로의 부착은 하부프레임(52)에 브라켓(59)을 부착하고, 이 브라켓(59)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의 하단부에서 뻗는 부착부재(61)(62)를 회동축(63)(64)으로 연결한다. 이 회동축(63)(64)으로서는 볼트를 이용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을 벌린 상태에서 넛트를 체결하도록 한다.
양측프레임(51)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51A)이 형성되고, 이 장공(51A)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죠인트부재(55C)를 마련하며, 이 죠인트부재(55C)에 암(55A)(55B)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부착한다. 이 타단의 회동축이 되는 부재로서는 볼트를 이용하고, 고정할 때에는 넛트를 체결하면 된다. 또 죠인트부재(55C)를 장공(51A)에 부착하는 부재로서도 볼트를 이용하고 고정할 때에는 넛트로 이 볼트를 체결하며, 죠인트부재(55C)를 양측 프레임(51)에 고정하도록 한다. 암(55A)(55B)의 일단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에 마련한 브라켓(65)(66)에 볼트로 회동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고, 도 24의 상태에 있어서 넛트를 체결하여 이 브라켓(65)(66)에 암(55A)(55B)의 일단을 고정한다. 또 암(55A)(55B)에는 장공(55a)(55b)을 형성해 두고, 이 장공(55a)(55b)에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50C)(50D)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또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한다. 이 장공(55a)(55b)에는 볼트를 삽통하고 도 24의 상태에 있어서 넛트를 체결하여 재분기벽(50C)(50D)의 상부측을 암(55A)(55B)에 고정하도록 한다. 또 도 24에서 부호 60으로 도시하는 부재는 고정부재로서 분기벽(50A)(50B)을 벌려 각 회동부분을 고정한 후 뒤에서 마련하는 것으로서 양측 프레임(51)과 분기벽(50A)(50B)의 상단측을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또 부호 50E로 도시하는 것은 흡음재로서 분기벽(50A)(50B) 및 재분기벽(50C)(50D)의 소정개소에 마련된다.
도 25는 방음벽 장치(50)를 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암(55A)(55B)이나 분기벽(50A)(50B), 재분기벽(50C)(50D)도 모두 양측 프레임(51)과 겹치도록 접혀지게 된다. 이 접힌 상태에서 열림방지 스토퍼(50F)를 부착해둔다.
도 26은 도 25의 상태에 있어서 방음벽 장치(50)의 정면도이다. 분기벽(50A)(50B)은 8장의 패널(P1∼P8)로 이루어지고, 세로틀(67)과 가로틀(68)로 틀이 짜여지며, 중간부에 있어서 연결세로틀(69)로 연결하고 있다. 하부프레임(52)의 양단과 중간의 3곳에 브라켓(59)이 마련되어있고 이 브라켓(59)은 コ자형을 이루며 부착부재(61)(62)도 コ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 양측프레임(51)의 상부에는 고리(51B)를 마련하고, 이 고리(51B)를 크레인 등에 걸어 방음벽 장치(50)를 들어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양측 프레임(51)을 H형강의 コ자형홈(41A)(도 23참조)으로 떨어뜨리도록 되어있다.
도 27은 방음벽 장치(50)를 도 25의 상태에서 벌리는 중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죠인트부재(55C)는 이 도면에 있어서 서서히 상승하고, 암(55A)(55B)은 죠인트부재(55C)의 상승에 따라 평행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 재분기벽(50C)(50D)은 서서로 올라가려고 한다.
도 28은 방음벽 장치(50)의 제 1 및 제 2의 분기벽(50A)(50B)을 벌렸을 때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50A)끼리 및 (50B)끼리를 지지기둥(41)을 걸치도록 죠인트부 차음판(44)으로 연결한 상태의 상세를 설명한다. 이 죠인트부 차음판(44)으로서는 합성고무(EPDM(에틸렌·프로필렌·타포리머) 또는 CSM(클로로슬폰화 폴리에틸렌)(44) 등이 적절하게 사용되고,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는 파형형상으로 되어있다.
도 29는 죠인트부 차음판(44)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분기벽(50A)(50B)의 내측에서 그 양측을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이 차음판(44)의 내측에는 부착판(44A)을 마련하고 있고 이 부착판(44A)으로 분기벽(50A)(50B)의 내측에 고정한다. 이 고정판(44A)은 알루미늄 또는 철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에 도시하는 간극(d)의 상하폭은 분기벽(50A)의 상하방향 길이의 5%이하이면 음향성능에 영향은 없다. 이와같은 간극(d)을 마련하는 것으로 분기벽(50A)(50B)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먼지,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로측 분기벽(50A)의 하부에 간극(d)을 마련하고, 반대측에는 간극(d)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역으로 도로측에는 간극(d)을 마련하지 않고 그 반대측 분기벽(50B)의 하부에 간극(d)을 마련해도 좋다. 또 죠인트부 차음판(44)의 중앙부는 고무제의 파형형상을 하여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분기벽(50A)사이(분기벽 (50B)사이)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아도 이 부분을 신축시켜 대응할 수 있다.
도 30은 순록형의 방음벽 장치(높이 5m)의 분기벽(50A)의 하부에 간극(d)을 형성하지 않은 것과, 5cm의 폭으로 형성한 것과, 10cm폭으로 형성한 것과, 종래의 5m의 높이의 직벽형 방음벽을 주파수와 감음량의 관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음원위치는 방음벽장치에서 5m에 설치하고 마이크를 반음원측에 방음벽에서 10m의 거리에서 높이 1.2m로 설치했다. 이 그래프의 결과에서도 순록형 방음벽 장치에서는 간극(d)의 유무로 소음저감효과는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순록형의 방음벽 장치에 비해 직벽형 방음벽에서는 소음저감효과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제 3실시예에 의하면 소정간격을 두고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을 세워마련하고, 2개의 지지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コ자형 간극에 벽패널의 양측 테두리를 떨어뜨려 여러단에 걸치는 본체벽을 형성하며, 지지기둥 상부의 コ자형 간극사이에 양측 프레임을 떨어뜨려 최상단의 벽패널위에 설치하는 방음벽 장치로서, 이 방음벽 장치는 양측 프레임을 하단측에서 연결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의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지지기둥 사이의 거리보다도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음원측과 반음원측에 경사지도록 벌렸을 때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방음벽 장치의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벌렸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 끼리를 지지기둥을 걸치도록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는 죠인트부 차음판으로 연결했기 때문에 방음벽 장치의 구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진다. 또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지지기둥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방음벽장치를 접은 상태에서 지지기둥의 コ자형 간극에 양측 프레임을 떨어뜨려 양측 프레임을 지지기둥에 고착한 후 분기벽을 벌릴 수 있다. 각 방음벽 장치를 닫은채료 지지기둥 사이에 떨어뜨려 그 양측 프레임을 고착한 후 분기벽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불균일이 발생해도 죠인트부 차음판은 수평방향으로 신축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 끼리를 지지기둥을 걸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방음벽 장치의 분기벽은 개폐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운반시에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방음벽 장치의 하부프레임과 제 1 또는 제 2의 분기벽의 하단은 간극을 두고 개페가능하게 부착했기 때문에 이 간극을 마련하는 것으로 먼지, 빗물이 분기벽 사이의 내부의 바닥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음벽 장치에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을 마련한 것은 보다 더 소음저감효과를 꾀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간격을 두고 H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둥을 세워마련하고,
    2개의 지지기둥의 서로 대향하는 コ자형 간극에 벽패널의 양측 테두리를 떨어뜨려 여러단에 걸치는 본체벽을 형성하며,
    지지기둥 상부의 コ자형 간극에 양측 프레임을 떨어뜨려 최상단의 벽패널위에 설치하는 방음벽 장치로서,
    이 방음벽 장치는 양측프레임을 하단측에서 연결하는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각각의 하단이 개폐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지지기둥 사이의 거리보다도 수평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과,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음원측과 반음원측에 경사지도록 벌렸을 때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양 분기벽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방음벽 장치의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을 벌렸을 때에 서로 인접하는 분기벽 끼리를 지지기둥을 걸치도록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는 죠인트부 차음판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방음벽 장치의 하부프레임과 제 1 또는 제 2의 분기벽의 하단은 간극을 두고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적어도 2개의 암으로 이루어지고, 각 암의 일단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상부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타단은 양측 프레임의 적어도 한쪽으로 회동가능하게 또한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내측에 이 내측에서 세워올라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상부와 V자형을 이루는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재분기벽의 일단은 제 1 및 제 2의 분기벽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은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암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암의 긴쪽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장치.
KR1019980052114A 1997-12-01 1998-12-01 방음벽장치 KR100611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45833 1997-12-01
JP34583397A JP3789035B2 (ja) 1997-12-01 1997-12-01 開閉式分岐型遮音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663A true KR19990062663A (ko) 1999-07-26
KR100611431B1 KR100611431B1 (ko) 2007-04-25

Family

ID=1837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14A KR100611431B1 (ko) 1997-12-01 1998-12-01 방음벽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71096A (ko)
EP (1) EP0919668B1 (ko)
JP (1) JP3789035B2 (ko)
KR (1) KR100611431B1 (ko)
DE (1) DE69826216T2 (ko)
TW (1) TW3861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90248T1 (de) * 1996-10-09 2005-03-15 Itoon Schalldaempfungswand
US6681023B1 (en) * 1998-03-09 2004-01-20 River Forks Research Corp. Radial pickup microphone enclosure
JP3474817B2 (ja) * 1999-11-17 2003-12-08 イソ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吸音材
DE10312783A1 (de) * 2003-03-21 2004-09-30 Röhm GmbH & Co. KG Lärmschutzwandsystem aus einem Sockel und einem transparenten Aufsatz
US20060000671A1 (en) * 2004-06-30 2006-01-05 Nathan Nolley Adjustable acoustic wings
US20060285697A1 (en) * 2005-06-17 2006-12-21 Comfozone, Inc. Open-air noise cancellation for diffraction control applications
US20080190690A1 (en) * 2007-02-09 2008-08-14 Richard Waters Acoustic panel
KR100850551B1 (ko) * 2007-03-26 2008-08-0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벽
KR100880921B1 (ko) 2008-09-09 2009-02-02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방음벽
US7896126B1 (en) * 2009-12-18 2011-03-01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ound suppression
FI122884B (fi) * 2010-07-26 2012-08-15 Jarmo Airaksinen Yläpäästään vapaa seinärakenne ja seinärakenteen käyttö melu- tai näköesteenä
EP2543766B1 (de) 2011-07-07 2017-03-29 Wittfeld GmbH Schutzwand für Verkehrswege
EP2682524A3 (de) * 2012-07-03 2016-11-09 Strabag Rail GmbH Mobile niedrige Lärmschutzwand
CN111074804A (zh) * 2019-12-26 2020-04-28 王洪忠 一种环保工程用组合式的噪音防治设备
CN117569234B (zh) * 2024-01-15 2024-03-15 广州市泰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弧形隔声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7539A (en) * 1957-10-04 1961-11-07 Reeves Bros Inc Sound shield
US4193474A (en) * 1978-04-11 1980-03-18 Toray Industries, Inc. Sound insulating unit and sound barrier
DE3809063C2 (de) * 1988-03-18 1993-11-25 Richard Bitterling Schallschutzwand
JP2865275B2 (ja) 1994-07-20 1999-03-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音壁
JP3644075B2 (ja) * 1995-05-30 2005-04-27 日東紡績株式会社 遮音壁用太陽電池付板状体構造
JPH09228324A (ja) * 1996-02-23 1997-09-02 Bridgestone Corp 防音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H09264009A (ja) * 1996-03-29 1997-10-07 Bridgestone Corp 防音壁
JPH09264006A (ja) * 1996-03-29 1997-10-07 Bridgestone Corp 防音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6121B (en) 2000-04-01
EP0919668A2 (en) 1999-06-02
EP0919668A3 (en) 1999-07-07
DE69826216T2 (de) 2005-10-27
DE69826216D1 (de) 2004-10-21
KR100611431B1 (ko) 2007-04-25
JP3789035B2 (ja) 2006-06-21
JPH11158821A (ja) 1999-06-15
US5971096A (en) 1999-10-26
EP0919668B1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2663A (ko) 방음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RU2324795C2 (ru) Акустический экран кочетова
JP2865275B2 (ja) 防音壁
US4136856A (en) Sound attenuating structure
KR100550835B1 (ko) 권입형 방음벽
GB2310445A (en) Y-shaped soundproof wall
KR102385827B1 (ko) 하중전이 방지형 방음벽
JP3914395B2 (ja) 騒音低減装置とそれを取り付けた遮音壁及びその取付方法
KR100622022B1 (ko) 루프형 방음벽 구조
JP4198632B2 (ja) 防音ユニット
JP3655856B2 (ja) 防音装置および防音装置を備えた防音壁
KR19990008937U (ko) 방음벽 조립체
EP0744496B1 (en) Noise reducer for wayside acoustical barriers
JP3883799B2 (ja) 遮音壁
JPH07180118A (ja) 高架式建造物における桁裏面の被覆用ルーバーおよびルーバーパネル
JP3618914B2 (ja) 防音ユニット
KR200227056Y1 (ko) 추락방지용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방음벽
JPH09264009A (ja) 防音壁
JPH09264006A (ja) 防音壁
JP4091836B2 (ja) 鉄道用防音壁
JP2000248516A (ja) 防音壁
KR910001951B1 (ko) 소리음파의 간섭과 회절원리를 이용한 방음장치
AU2015314080A1 (en) Anti-noise facility for tracked transport road and tracked transport road provided with such a facility
JP3277326B2 (ja) 車両走行路天井用吸音ルーバー
JPH09264010A (ja) 防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