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0138A -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138A
KR19990060138A KR1019970080359A KR19970080359A KR19990060138A KR 19990060138 A KR19990060138 A KR 19990060138A KR 1019970080359 A KR1019970080359 A KR 1019970080359A KR 19970080359 A KR19970080359 A KR 19970080359A KR 19990060138 A KR19990060138 A KR 1999006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spection
automation system
setting unit
distribution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일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8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0138A/ko
Publication of KR1999006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138A/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운전상태 및 동작상황을 점검하고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선로에 근접 설치된 제어단말기기에 대해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점검,기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스템 각부를 총괄 제어하고, 모든 연산과 제어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제어에 따라 각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표시화는 표시부(102)와; 통신기기의 고유 주소, 수신신호의 감도 및 송신신호의 출력범위, 무선통신시 사용하는 주파수대를 각기 설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부(103), 신호출력 설정부(104), 통신주파수 설정부(105)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전용 통신선 또는 유무선의 전화선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106)과; 점검 및 기록의 시퀀스나 수신정보의 저장을 위한 디스크 드라이버(107)와; 점검정보의 기록을 위한 메모리 카드(108)와; 점검 쉬트의 출력 프린터 연결 등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마련된 시리얼 포트 및 패러럴 포트의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109)와;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위한 신호 송신부(110) 및 신호 수신부(111)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본 발명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운전상태 및 동작상황을 점검하고 기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 설치된 기기의 유지, 보수를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하여 유선 및 무선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기기의 운전상태 및 동작 상황을 점검, 기록할 수 있도록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 자동화 시스템이 점차적으로 설치되면서 자동화 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연계되는 단말 제어장치의 종류 및 수량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유지,보수의 대상도 점차 증가하게 된다.
물론 네트워크로 연계된 단말기기들은 중앙 사령실의 점검 프로그램에 따라 주기적으로 원방감시되며, 이상 발생시 현장 요원의 파견으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전용 통신선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점검 프로그램이 점검할 수 없는 단말기기의 개별적인 점검시 등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직접 점검 요원의 수작업으로 점검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전력계통 자동화 시스템의 단말기기들은 대개 고압의 선호를 제어하는 기기들이기 때문에 작업의 안정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가공용 개폐기 콘트롤러의 경우 지상으로 부터 6~7m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점검이 결코 용이하지 않다.
지상용 개폐기 콘트롤러의 경우는 지상에 위치하게 되나 점검을 위해서는 체결되어 있는 점금장치를 해제하고 고압선로에 근접한 위치에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 및 무선의 통신방식을 채용한 신호 송수신기를 단말기에 장착하고 휴대용 점검,기록 관리기로 그 점검 및 운전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말제어기들의 점검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단말 제어기기(10)의 출력장치가 표시부(11)만 구비되는 경우, 점검 대상의 모든 동작상태는 표시부(11)에 표시되며, 점검원이 설치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그 정보를 점검,기록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단말 제어기기(20)의 출력장치로 표시부(21)가 구비되고, 통신용 포트(22)가 구비되는 경우, 모든 동작상태는 상기와 같이 표시부(21)에 표시되며, 통신용 포트(22)를 통해 설치 현장에서 점검원이 점검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컴퓨터나 점기용 기기로 그 정보를 점검,기록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서와 같이 단말 제어기기(30)의 출력장치로 표시부(31)가 구비되고, 모뎀(32) 및 통신용 포트(33)를 통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 단말 제어기기(30)는 그 모뎀(32)을 통해 자동화 시스템의 중앙 사령실과 연계되어,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프로그램의 요구에 따라 동작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모든 동작상태는 표시부(31)에 표시되어 설치 현장에서 점검원이 점검,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되는 모든 동작상태 및 점검에 필요한 정보는 통신용 포트(33)를 통해 현장에서 점검원이 점검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컴퓨터나 점검용 기기로 그 정보를 점검,기록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첫 번째, 두 번째 경우에 있어서는 동작상태의 점검 기록을 위해 운전원이 설치 현장에서 설치된 단말 제어기기의 외함을 열고 표시부의 표시내용을 육안으로 점검,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두 번째 경우에 있어서, 점검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컴퓨터가 구비되어 있다면 통신용 포트를 통해 점검,기록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단말 제어기기의 외함을 열어야 하며, 선로의 정전시가 아닐 때 작업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결함이 있었다. 세 번째 경우에 있어서, 전용 통신선의 문제 발생시 점검 및 기록은 두 번째 경우의 상황과 동일하다. 선로에 관계된 대부분의 단말 제어기기는 설치장소가 도심의 경우 가로변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고압의 선로를 제어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그 관리는 엄격하며 손쉽게 외함을 열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로 인하여 점검작업이 어려워지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로에 근접 설치된 제어단말기기에 대해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점검,기록 관리를 수행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의 다른 블록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의 또 다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마이크로프로세서 102 : 표시부
103 : 어드레스 설정부 104 : 신호출력 설정부
105 : 통신 주파수 설정부 106 : 모뎀
107 : 디스크 드라이버 108 : 메모리 카드
109 :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 110 : 신호 송신부
111 : 신호 수신부 112 : 안테나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각부를 총괄 제어하고, 모든 연산과 제어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제어에 따라 각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표시화는 표시부(102)와; 통신기기의 고유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부(103)와; 수신신호의 감도 및 송신신호의 출력범위를 조정하는 신호출력 설정부(104)와; 무선통신시 사용하는 주파수대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주파수 설정부(105)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전용 통신선 또는 유무선의 전화선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106)과; 점검 및 기록의 시퀀스(sequence)나 수신정보의 저장을 위한 디스크 드라이버(107)와; 점검정보의 기록을 위한 메모리 카드(108)와; 점검 쉬트(sheet)의 출력 프린터 연결 등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마련된 시리얼 포트 및 패러럴 포트의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109)와;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위한 신호 송신부(110) 및 신호 수신부(111), 안테나(112)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어드레스 설정부(103)를 이용하여 휴대용 점검,기록 관리기의 고유번호 및 통신하고자 하는 통신기기의 고유번호를 설정하고, 신호출력 설정부(104)를 이용하여 신호의 수신감도 및 출력신호의 범위를 설정하게 되며, 통신 주파수 설정부(104)를 통해서는 사용되는 무선신호의 주파수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설정된 모든 사항이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 입력된다. 이때, 표시부(102)에는 설정된 사항이 모두 표시된다.
휴대용 점검,기록 관리기의 정보들을 자동화 시스템의 사령실과 연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 부터 모뎀(106)을 통해 전용 통신선으로 연계되거나, 그 모뎀(106)을 통해 유,무선의 전화선으로 연계된다.
자동화 시스템의 네트워크가 무선 시스템을 지원한다면 휴대용 점검 및 기록관리기의 신호출력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신호 중계 기지국과 연결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중앙 사령실과 연계시킬 수 있다.
통신기기로 부터 전송된 무선정보는 안테나(112)를 통해 신호 수신부(111)에서 소정 형태의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 입력된다.
입력된 정보의 송신 및 점검 정보의 요구 명령 등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서 출력되어 신호 송신부(110)에서 송신하는데 적당한 형태로 변조된 후 상기 안테나(112)를 통해 전송된다.
점검 정보의 문서 출력시에는 정의된 문서 형식의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로 부터 시리얼 또는 패러랠 포트인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109)를 통해 프린터로 출력된다.
무선신호 방식이 아닌 유선신호 방식의 신호 전송에 있어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에서 모뎀 또는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109)를 통해 유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점검 시퀀스는 사전에 컴퓨터에서 작성되어 디스켓에 저장된 후 현장에서 디스크 드라이버(107)를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휴대용 점검, 기록 관리기 자체의 조작을 통해서도 점검 시퀀스가 수행될 수 있으며, 작성된 점검 시퀀스를 그 디스크 드라이버(107)를 통해 디스켓에 저장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정의된 형식에 따라 상기 디스크 드라이버(107)를 통해 디스켓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로에 근접 설치된 제어 단말기기를 유선 및 무선 통신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점검, 기록관리기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점검작업을 변경없이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므로 외함을 열지 않고도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제어기기의 설치장소에 근접한 위치에서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중에도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에서 휴대용 점검 및 기록 관리기로 수집한 정보를 유,무선의 전송 채널을 통해 자동화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바로 전송할 수 있고 자동화 시스템의 명령을 전송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스템 각부를 총괄 제어하고, 모든 연산과 제어기능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1)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1)의 제어에 따라 각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표시화는 표시부(102)와; 통신기기의 고유 어드레스, 수신신호의 감도 및 송신신호의 출력범위, 무선통신시 사용하는 주파수대를 각기 설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부(103), 신호출력 설정부(104), 통신주파수 설정부(105)와;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 전용 통신선 또는 유무선의 전화선을 통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변,복조 기능을 수행하는 모뎀(106)과; 점검 및 기록의 시퀀스나 수신정보의 저장을 위한 디스크 드라이버(107)와; 점검정보의 기록을 위한 메모리 카드(108)와; 점검 쉬트의 출력 프린터 연결 등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마련된 시리얼 포트 및 패러럴 포트의 외부기기 접속용 포트(109)와; 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위한 신호 송신부(110) 및 신호 수신부(11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KR1019970080359A 1997-12-31 1997-12-31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KR19990060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59A KR19990060138A (ko) 1997-12-31 1997-12-31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359A KR19990060138A (ko) 1997-12-31 1997-12-31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138A true KR19990060138A (ko) 1999-07-26

Family

ID=6618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359A KR19990060138A (ko) 1997-12-31 1997-12-31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01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15B1 (ko) * 1999-09-27 2002-03-22 이동률 무선중계 기능을 구비한 선로 개폐 제어장치
KR20030068619A (ko) * 2002-02-15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현장조사 지원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15B1 (ko) * 1999-09-27 2002-03-22 이동률 무선중계 기능을 구비한 선로 개폐 제어장치
KR20030068619A (ko) * 2002-02-15 2003-08-25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현장조사 지원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01677U (zh) 混合型电台自动测试系统
JP2015027870A (ja) Dfdauに基づくテスト装置とテスト方法
US20200156678A1 (en) Railroad track verification and signal testing system
CN103036631A (zh) 射频传输线路在线故障定位方法及设备
US8949076B2 (en) Real 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communications networks and radio frequency distribution networks
KR20020041146A (ko) Dsrc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비트 오류율 시험 장치 및방법
KR19990060138A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현장용 점검 및 기록 관리장치
KR100730627B1 (ko) 상 정보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JP2003050620A (ja) 機器監視システム
RU204559U1 (ru) Прибор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пд2-саут
CN210724815U (zh) 一种用于直升机无线电系统的自动检测试验台
JPS61126842A (ja) 自動検針装置
Wavetronix SmartSensor HD
CN219625892U (zh) 一种轨道交通站台门控制系统检测装置
JP4080832B2 (ja) 原子力プラントの遠隔試験装置およびその試験方法
JP2002008176A (ja) フィールドターミナル
CN210041839U (zh) Ap模拟小车检修盒
JP2524631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の検査装置
JP3300649B2 (ja) 列車案内表示制御装置の試験装置
CN111432391B (zh) 一种计轴维护系统及维护方法
JP3137916B2 (ja) 電力用自動検針システム
CN112684775B (zh) 一种acm混浆密度液位自动控制器的检测系统
KR20190117163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플랜트 공정감시제어반 방법
CN116388892A (zh) 一种综合通信设备的自动测试系统
KR20220130918A (ko) 전력설비 온라인 진단시스템에서의 진단항목 매칭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