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613A -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613A
KR19990054613A KR1019970074473A KR19970074473A KR19990054613A KR 19990054613 A KR19990054613 A KR 19990054613A KR 1019970074473 A KR1019970074473 A KR 1019970074473A KR 19970074473 A KR19970074473 A KR 19970074473A KR 19990054613 A KR19990054613 A KR 1999005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line
image
generator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140B1 (ko
Inventor
김의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140B1/ko
Priority to JP31131298A priority patent/JP3167684B2/ja
Priority to DE19853480A priority patent/DE19853480C2/de
Priority to CN98123063A priority patent/CN1124026C/zh
Priority to GB9826738A priority patent/GB2332802B/en
Priority to US09/206,970 priority patent/US6282321B1/en
Publication of KR1999005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04N1/41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for the transmission or storage or reproduction of two-tone pictures, e.g. black and white pictures
    • H04N1/413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 H04N1/417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using predictive or differential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Studio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화소보다 큰 이미지에 대해 콘텍스트를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레지스터의 위치 번호를 결합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 위치(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에는 산술적인 제로를 삽입해서 콘텍스트를 발생하여 수평크기가 작은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고속 동작과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JBIG을 이용하는 이미지의 화소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JBIG 코덱(codec)에 있어서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화면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콘텍스트를 발생시키는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신호 압축과 신장을 위한 부호화에는 손실(loss) 부호화와 비손실(lossless) 부호화가 있다. LBP(Laser Beam Pirnter)나 팩스 응용 제품에는 출력 품질을 높이기 위해 비손실 부호화를 이용하며 이를 위한 이진 이미지 압축/신장 표준인 JBIG(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이 제정되었다.
이 JBIG을 이용하는 화소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현재 화소에 대해 주변화소값에 따라 확률을 적응적으로 적용해서 부호화하고 있으며,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를 사용하여 소정수(수천개)의 화소까지 부호화를 행하고 있다.
종래의 이미지의 화소신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4,982,29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콘텍스트 발생을 위해 필요한 지연된 화소 정보의 저장을 위해 2개의 이미지 버퍼, 주변화소의 형태에 따라 필요한 윈도우 처리부, 현재 화소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유니트 및, 압축된 출력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이미지 스캐너에서 읽어진 정보가 이미지 버퍼에 저장되고, 저장된 화소정보에 대해 각 화소의 위치를 판별한다. 판별된 위치에 따라 적용될 윈도우가 선택되고, 이를 적용하여 주변 화소들에 의한 콘텍스트가 발생된다. 발생된 콘텍스트에 의해 사용된 상태정보가 상태 테이블에서 읽어지고 이를 산술 부호화기(arithmetic encoder)에 인가함으로써 부호화가 수행된다. 이러한 동작은 다중 레이어(multi-layer)에서 수행되며 이것은 단일 레이어(single-layer)를 응용한 시스템에서도 유사하게 적용이 된다.
상술한 장치의 적용분야가 팩스와 같이 출력 화소의 크기가 소정수(수천개) 이상이 되는 것에 대한 것으로 아주 작은 크기를 갖는 이미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는 화면의 크기가 콘텍스트의 수평크기보다 큰 경우에 유효하며 고속의 동작을 요구할 경우 내장되는 이미지 버퍼의 기입 및 독출속도가 실제 요구되는 동작속도를 만족하지 못하여 고속 동작에 제약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JBIG을 이용하는 화소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의 수평 크기가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도 작은 경우를 포함한 모든 크기의 이미지를 고속으로 처리할수 있는 콘텍스트 발생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이미지의 수평 크기가 상태 적응형 확률 계산을 위한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도 작은 경우를 포함한 모든 크기의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는 입력 화소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1 윈도우 중 하나의 윈도우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1 발생기, 입력 화소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2 윈도우 중 하나의 윈도우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2 발생기 및 입력 이미지가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이면 제2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방법은 2-라인/3-라인 모드에 응답하여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 중 선택된 하나의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제1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단계, 2-라인/3-라인 모드에 응답하여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와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중 선택된 하나의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제2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입력 이미지가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이면 제2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2-라인 템플레트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1화소 콘텍스트 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각 화소 콘텍스트 발생기에 적용되는 2-라인 템플레트용 레지스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2화소 콘텍스트 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화면의 수평 크기가 4인 경우 현재 화소 위치에 따라 사용되는 레지스터의 번호이다.
도 8은 3-템플레트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각 화소 콘텍스트 발생기에 적용되는 3-라인 템플레트용 레지스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JBIG 표준안에 따른 2-라인 템플레트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현재 처리되고 있는 화소는 ?이며, 이 화소의 부호화(coding)를 위해 주변의 0에서 9까지 10개의 화소값에 따라 확률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콘텍스트를 만들게 된다. 여기서, 템플레트는 윈도우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 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2 라인을 지원하기 위해 1개의 라인 메모리(110)는 기입 어드레스(WADDR)와 독출 어드레스(RADDR)에 의해 제어되며, 이 라인 메모리(110)와 도 1에 도시된 2-라인 템플레트용 레지스터들(121,122)에 의해 일반적인 처리에 따라 콘텍스트보다 큰 수평화소 크기를 갖는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콘텍스트보다 작은 수평 화소를 갖는 작은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레지스터(130),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140) 및 선택기(150)가 구성되어 있다.
즉, 선택기(150)는 작은 화면 모드신호(Small_Pic)에 따라 콘텍스트보다 작은 수평 화소를 갖는 작은 화면이면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140)에서 발생하는 2-라인 템플레트용 작은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레지스터들(121,122)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한다.
또한, 2-라인 템플레트용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화소 내지 6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146) 및 이미지의 수평 크기에 따라 1화소 내지 6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146)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147)로 되어 있다.
즉,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140)는 2-라인 템플레트 구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6개의 화소의 지연을 필요로 하므로 수평 크기가 6화소까지의 작은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평 화소의 개수가 6화소보다 큰 이미지의 경우는 라인 메모리(110)와 레지스터들(121,122)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처리 방법을 따른다.
예로서, 1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있어서, 1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는 이전 화소 정보가 저장된 레지스터(130)의 번호와 이에 대응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은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발생하기 위한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의 위치를 결합하고, 이전 화소 정보를 가지지 않는 콘텍스트는 산술적인 제로 "0"을 삽입해서 수평크기가 1화소인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각 화소 콘텍스트 발생기는 콘트롤러일 수도 있고, 또한 프로그램화된 로직 어레이(PLA:Programmable Logic Array)나 ROM(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수평 화소가 큰 이미지를 위한 2-라인 템플레트 구조에서는 레지스터의 출력이 10개가 필요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라인 템플레트용 작은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발생하기 위해서 레지스터의 출력이 11개가 필요한 이유는 라인의 지연량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템플레트 위치 번호는 레지스터(130)의 번호와 일치하지 않지만 각 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146)는 레지스터(130)의 번호와 현재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에 대한 템플레트 위치를 결합시켜서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도 5에 도시된 현재 화소정보인 ?는 레지스터(130)의 0번에 저장되고, 0번에 저장된 화소정보는 1번의 레지스터(130)에 저장된다. 즉, 0번은 이전 라인의 화소 정보가 되고, 1번은 2라인 지연을 갖는 화소 정보가 된다.
따라서, 1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1)는 처음 라인의 화소의 콘텍스트를 미리 설정된 초기값 "00000000000"으로서 발생하고, 이전 라인의 화소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템플레트 위치 6번에 해당하므로 그 다음 라인의 화소의 콘텍스트부터는 레지스터(130)의 0번에 저장된 화소값이 매 라인의 콘텍스트 데이터 위치 6번에서 갱신되는 "0000[0]000000"을 발생시킨다. [0]에서 []는 갱신을 의미하며, 0는 레지스터(130)의 번호를 뜻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2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화소 크기가 2인 경우 현재 화소 ?는 레지스터(130)의 0번에 저장되고 0번에 저장된 화소값은 1번에 저장된다. 다음 라인에서는 1번에 저장된 화소값은 2번에 저장된다.
2화소 콘텍스트 발생기(142)에서 발생되는 각 라인의 첫 번째 화소를 위한 콘텍스트는 "0000[1][0]00000"가 되며, 두 번째 화소를 위한 콘텍스트는 "000[2][1]00000[0]가 된다. 여기서, 첫 번째 라인의 첫 번째 화소의 콘텍스트는 초기값 "00000000000"이다.
도 7의 (a),(b)와 (c)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를 이용하여 수평 크기가 4인 이미지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레지스터(130)의 번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입력되는 화소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레지스터(130)에 저장되고, 한 화소씩 이동할 때마다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레지스터(130)의 번호가 결합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템플레트 위치에는 "0"이 삽입된 콘텍스트가 발생된다.
JBIG의 템프레트 구성은 모서리에 대해 별도의 법칙을 가지며 이전 화소 정보를 가지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0"의 값을 갖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JBIG 표준안에 따른 3-라인 템플레트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현재 처리되고 있는 화소는 ?이며, 이 화소의 부호화를 위해 주변의 0에서 9까지 10개의 화소값에 따라 확률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여 콘텍스트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 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3 라인을 지원하기 위해 2개의 라인메모리(210,220)와 도 8에 도시된 3-라인 템플레트용 레지스터들(231,232,233)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처리에 의해 콘텍스트보다 큰 수평화소 크기를 갖는 이미지의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콘텍스트보다 작은 크기의 이미지를 위해 레지스터(240)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지스터(240)의 출력은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250)에 인가된다.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250)는 레지스터(240)의 출력을 이용해서 이미지 수평 크기에 따라 1화소 내지 5화소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선택기(260)는 작은 화면 모드신호(Small_Pic)에 따라 작은 화면이면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250)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레지스터(240)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작은 이미지의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기(250)의 상세 블록도로서, 1화소 내지 5화소 콘텍스트 발생기(251-255) 및 이미지 수평 크기에 따라 1화소 내지 5화소 콘텍스트 발생기(251-255)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25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250)는 3-라인 템플레트 구조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5개의 화소의 지연을 필요로 하므로 수평 크기가 5화소까지의 작은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평화소가 5화소보다 큰 이미지의 경우는 라인 메모리(210,220)와 레지스터(230)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콘텍스트 처리 방법을 따른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를 발생하기 위한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구조에서 필요한 레지스터(240)의 출력이 12개 인 것은 라인의 지연량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소 크기가 1인 경우에 현재 화소 정보 ?가 입력되면 레지스터(240)의 0번에 저장되고 0번에 저장된 화소값은 1번에 저장된다. 즉, 0번은 이전 라인의 화소 정보가 되고, 1번은 2라인 지연을 갖는 화소 정보가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1화소 콘텍스트 발생기(251)에서 발생하는 화소 크기가 1인 이미지의 콘텍스트는 변형된 3-러인 템플레트 위치 4와 9번에 대응하는 이전 화소값이 레지스터(240)의 0번과 1번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00[1]0000[0]0000"이 된다.
화소 크기가 2인 경우, 0번에서 4번까지의 레지스터(240)에 저장된 화소값이 사용되며, 도 10에 도시된 2화소 콘텍스트 발생기(252)에서 발생하는 각 라인의 첫 번째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는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 3번, 4번, 8번, 9번에 대응하는 이전 화소값이 레지스터(240)의 0번, 1번, 2번, 3번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00[3][2]000[1][0]000"이 되고, 각 라인의 두 번째 화소에 대한 콘텍스트는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 0번, 4번, 5번, 9번, 10번에 대응하는 이전 화소값이 레지스터(240)의 0번, 1번, 2번, 3번, 4번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0[4][3]000[2][1]000[0]"이 된다.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 회로와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 회로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 보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화하는 것이 회로의 하드웨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모드(2-라인 모드라고 약칭함)인지 3-라인 템플레트용 작은 화면 콘텍스트 발생모드(3-라인 모드라고 약칭함)인지를 나타내는 LRLTWO신호는 JBIG 헤더정보로부터 얻게 된다. 이 2-라인/3-라인 모드신호(LRLTWO)는 멀티플렉서(334) 및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350)에 인가된다.
2-라인 모드이면 제1 라인 메모리(310)만이 인에이블신호(EN0)에 의해 동작하며, 레지스터(331)의 4개의 출력(R0-R3)와 제1 라인 메모리(310)의 출력단에 연결된 레지스터(332)의 7개 출력(R4-R10) 모두가 사용되고 이 출력들은 2-라인/3-라인 모드신호(LRLTWO)에 따라 동작하는 멀티플렉서(334)를 통해 선택기(360)에 인가된다. 또한, 레지스터(340)는 0번에서 10번까지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화소값이 사용된다. 이때, 2-라인 모드에서는 레지스터(333)의 출력은 이용되지 않는다.
또한, 3-라인 모드이면 2개의 라인 메모리(310, 320)가 인에이블신호(EN0,EN1)에 의해 동작하며, 레지스터(331)는 2개의 출력(R0,R1), 제1 라인 메모리(310)에 연결된 레지스터(332)의 5개의 출력(R5-R9), 제2 라인 메모리(320)의 출력단에 연결된 레지스터(323)의 3개의 출력(R11-R13)이 2-라인/3-라인 모드신호(LRLTWO)에 따라 동작하는 멀티플렉서(334)를 통해 선택기(360)에 인가된다. 또한, 레지스터(340)에 저장된 12개의 화소값이 모두 사용된다.
여기서, 3-템플레트에 의한 콘텍스트 발생은 템플레트의 순서에 의해 레지스터(331,332,333)의 번호가 결정된다.
작은 이미지 콘텍스트 발생기(350)의 상세 블록도인 도 13에 있어서,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기(3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미지 수평 크기에 따라 6화소까지 콘텍스트를 발생하고,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기(3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수 있으며, 이미지 수평 크기에 따라 5화소까지 콘텍스트를 발생한다.
멀티플렉서(353)는 2-라인/3-라인 모드신호(LRLTWO)의 로직값이 "1"이면 2-라인 모드이므로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기(351)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이 모드신호(LRLTWO)의 로직값이 "0"이면 3-라인 모드이므로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기(352)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한다.
본 발명은 모서리처리에 대한 일정한 규칙을 가진 이미지 처리를 행하는 JPEG이나 MPEG에도 응용이 가능하며, 이미지의 크기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의 기본크기인 8보다 작은 이미지에 대해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JBIG를 응용하는 인코더와 디코더에 적용이 가능하며, JPEG와 MPEG을 이용한 시스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장되는 버퍼 메모리(라인 메모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수평크기가 작은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와 고속 동작과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입력 화소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1 윈도우 중 하나의 윈도우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1 발생기;
    입력 화소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개의 제2 윈도우 중 하나의 윈도우에 의해 상기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2 발생기; 및
    입력 이미지가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이면 상기 제2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2. 2-라인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1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화소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2 발생기; 및
    입력 이미지가 작은 이미지임을 나타내는 작은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2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제1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생기는,
    상기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에 대응하여 입력 이미지가 겹치는 화소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이전 화소값을 이용하여 작은 이미지를 위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콘트롤러; 및
    입력 이미지의 수평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콘트롤러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각 콘트롤러는 입력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의 위치 번호를 결합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 위치에는 산술적인 제로를 삽입해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콘트롤러는 프로램화된 로직 어레이 및 메모리 중 하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6. 3-라인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1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화소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2 발생기; 및
    입력 이미지가 작은 이미지임을 나타내는 작은 화면 모드이면 상기 제2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제1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생기는,
    상기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에 대응하여 입력 이미지가 겹치는 화소값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이전 화소값을 이용하여 작은 이미지를 위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콘트롤러; 및
    입력 이미지의 수평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콘트롤러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각 콘트롤러는 입력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레지스터의 위치 번호를 결합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에는 산술적인 제로를 삽입해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9. 제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콘트롤러는 프로램화된 로직 어레이 및 메모리 중 하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10. 2-라인 템플레트/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 발생 모드신호(2-라인/3-라인 모드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제1 및 제2 버퍼 메모리;
    상기 제1 버퍼메모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에 대응하여 콘텍스트의 수평 화소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공급하는 제1 레지스터;
    상기 제2 버퍼메모리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3-라인 템플레트에 대응하여 콘텍스트의 수평 화소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콘텍스트를 공급하는 제2 레지스터;
    상기 2-라인/3-라인 모드신호에 따라 2-라인 모드이면 상기 제1 레지스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3-라인 모드이면 상기 제1 및 제2 레지스터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1 선택기;
    콘텍스트가 수평 화소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를 위한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에 대응하여 화소값을 저장하는 제3 레지스터;
    상기 제3 레지스터에 저장된 화소값을 이용하여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2-라인 및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발생기; 및
    입력 이미지가 작은 이미지임을 나타내는 작은 화면 모드이면 상기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선택기로부터 공급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제2 선택기를 포함하여,
    2-라인 모드이면 제1 버퍼 메모리만 동작하고, 3-라인 모드이면 제1 및 제2 버퍼 메모리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는,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를 이용하여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2-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1 발생기;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를 이용하여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3-라인 템플레트용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제2 발생기; 및
    상기 2-라인/3-라인 모드신호에 따라 2-라인 모드이면 상기 제1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3-라인 모드이면 상기 제2 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제3 선택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기는 입력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레지스터의 위치 번호를 결합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 위치에는 산술적인 제로를 삽입해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생기는 입력 이미지와 겹치는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레지스터의 위치 번호를 결합하고, 이미지가 겹치지 않은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위치에는 산술적인 제로를 삽입해서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14. (a) 2-라인/3-라인 모드에 응답하여 2-라인 템플레트와 3-라인 템플레트 중 선택된 하나의 템플레트에 의해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큰 이미지의 화소신호의 제1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단계;
    (b) 2-라인/3-라인 모드에 응답하여 변형된 2-라인 템플레트와 변형된 3-라인 템플레트 중 선택된 하나의 템플레트에 의해 상기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의 화소 신호의 제2 콘텍스트를 발생하는 단계; 및
    (c) 입력 이미지가 콘텍스트의 수평 크기보다 작은 이미지이면 상기 제2 콘텍스트를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 콘텍스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방법.
KR1019970074473A 1997-12-26 1997-12-26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KR10026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73A KR100269140B1 (ko) 1997-12-26 1997-12-26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JP31131298A JP3167684B2 (ja) 1997-12-26 1998-10-30 小画面のためのコンテキスト発生回路及びその方法
DE19853480A DE19853480C2 (de) 1997-12-26 1998-11-19 Kontexterzeugungsschal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für kleine Bildschirme
CN98123063A CN1124026C (zh) 1997-12-26 1998-12-07 用于小屏幕的范围产生电路和方法
GB9826738A GB2332802B (en) 1997-12-26 1998-12-07 Context gene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mall screen
US09/206,970 US6282321B1 (en) 1997-12-26 1998-12-08 Context gene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mall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73A KR100269140B1 (ko) 1997-12-26 1997-12-26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13A true KR19990054613A (ko) 1999-07-15
KR100269140B1 KR100269140B1 (ko) 2000-10-16

Family

ID=1952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473A KR100269140B1 (ko) 1997-12-26 1997-12-26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2321B1 (ko)
JP (1) JP3167684B2 (ko)
KR (1) KR100269140B1 (ko)
CN (1) CN1124026C (ko)
DE (1) DE19853480C2 (ko)
GB (1) GB23328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563B2 (en) * 2001-03-30 2005-02-22 Rico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nformation using late contexts
US7587092B2 (en) * 2005-11-25 2009-09-08 Microsoft Corporation Layer-based context quantization with context partitioning
US8111259B1 (en) 2006-07-06 2012-02-07 Marvell International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ontext memory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276B2 (ja) * 1987-10-09 1996-09-11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リジナル・イメ−ジのペル信号の処理方法
JP3108479B2 (ja) * 1991-08-28 2000-11-13 株式会社リコー 符号化復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154606A (ja) * 1993-11-26 1995-06-16 Seiko Epson Corp 画像符号化装置
US5420692A (en) * 1994-06-06 1995-05-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facsimile message
JP3223046B2 (ja) * 1994-07-20 2001-10-29 ケイディーディーアイ株式会社 誤差拡散法2値画像の符号化装置
GB9422738D0 (en) * 1994-11-10 1995-01-04 Univ Western Ontario Context-based, adaptive, progressive, lossless compression of still continuous -tone images
JPH08242380A (ja) * 1995-03-06 1996-09-17 Tec Corp 画像符号化装置
JP3276860B2 (ja) * 1996-09-02 2002-04-22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圧縮/復元方法
US5886655A (en) * 1997-04-09 1999-03-23 Hewlett-Packard Company Arithmetic coding context model that accelerates adaptation for small amounts of data
US5857035A (en) * 1997-05-19 1999-01-05 Hewlett-Packard Company Arithmetic coding compressor for encoding multiple bit val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826738D0 (en) 1999-01-27
GB2332802A (en) 1999-06-30
KR100269140B1 (ko) 2000-10-16
JPH11234527A (ja) 1999-08-27
CN1221162A (zh) 1999-06-30
CN1124026C (zh) 2003-10-08
GB2332802B (en) 2000-01-19
DE19853480A1 (de) 1999-07-01
US6282321B1 (en) 2001-08-28
DE19853480C2 (de) 2003-02-06
JP3167684B2 (ja) 200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248A (en)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7433522B2 (en) JBIG cod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low cost, high-performance ping-pong buffer arrangement
US5680225A (en) Image reduction with fine-line protection
US5243441A (en) Half tone image processing circuit with improved scale reduction images and method for reducing half tone images
KR100269140B1 (ko) 작은 화면을 위한 콘텍스트 발생 회로 및 그 방법
US7072530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565963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image data
US20070040842A1 (en) Buffer memory system and method
US7142328B2 (en) Image reduction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JPH0799543B2 (ja) 画像処理装置
JP3622042B2 (ja) 符号器,復号器及び符号・復号器
EP1585340A2 (en) Inverse prediction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999627B2 (en) Deterministic prediction in an image processing system
JP357657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3875465B2 (ja) 画像縮小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3214617B2 (ja) 多値画像プリンタ
JP4080726B2 (ja) 画像縮小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5101728A (ja) 画像処理装置
JPH0937261A (ja) 符号化方式及び装置
JP2638270B2 (ja) 二値画像符号化回路
KR900008807B1 (ko) 의사중간조 화상데이터의 최적화 코딩을 위한 비트단위의 화소 위치 변환회로
JP3227236B2 (ja) 画像処理装置
JPH09205553A (ja) 画像符号化装置
JPH10108028A (ja) デジタル信号符号化/復号化回路
JPH07154606A (ja) 画像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