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2900A -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2900A
KR19990052900A KR1019970072433A KR19970072433A KR19990052900A KR 19990052900 A KR19990052900 A KR 19990052900A KR 1019970072433 A KR1019970072433 A KR 1019970072433A KR 19970072433 A KR19970072433 A KR 19970072433A KR 19990052900 A KR19990052900 A KR 19990052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fa
subscriber
exchan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권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7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2900A/ko
Publication of KR1999005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900A/ko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안내대로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안내대로 재호출하여 호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부가 서비스 중 CFB(Call Foward Back) 및 CFN(Call FowardNo answer)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이 있으나, 사설 교환기에서 두가지 서비스를 병행하여 따로 시행하므로 인하여 해당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만 받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설 교환기에서 CFN과 CFB 두 개의 기능을 하나의 서비스로 처리하고 안내대(70)에서 CFA 실패한 서비스에 대하여 이를 대처토록 하며, 다양한 서비스의 종류를 줄이고 서비스의 성공 확율을 높이게 됨으로서,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설 교환기에서 안내대로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안내대로 재호출하여 호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반 교환기에서 CFN이란 착신 요구시 지정된 시간동안 최초 목표 착신 가입자가 무응답인 경우 지정된 착신 전환 가입자에게 전화가 옮겨 가는 서비스이다.
화중 착신 기능(CFB:Call Forward Busy call, 이하 CFB라 칭함), 및 무응답 착신 기능(CFN:Call Forward No Answer, 이하 CFN이라 칭함)이 분리되어 있어 이용자의 입장에서 착신 가입자와 통화하기 위해 길게 다이얼링하여 실패하는 경우도 많았고, 또한, 서비스의 특성상 세 가지 중에서 한가지 서비스만을 택하여 실행하여야 하였음으로 서비스 간에 연결이 유기적이지 못하였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부가 서비스 중 CFB 및 CFN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이 있으나, 사설 교환기에서 두가지 서비스를 병행하여 따로 시행하므로 인하여 해당 등록되어 있는 서비스만 받는 결점이 있었다.
일 예로, CFN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통화중인 경우면, 호를 받지 않지만 해당 CFN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가입자는 CFB에는 가입하지 않았으므로 받지 않는 상황을 다르게 처리하여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개인 교환기에서 CFN(Call Foward No answer)서비스와 CFB(Call Foward Back)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로 묶어 착신 전환 기능(CFA:Call forward all, 이하 CFA라 칭함) 서비스하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제 신호의 교환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 회로망과, 교환 회로망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신호망 접속부와, 각 교환 회로망 및 신호망 접속부에 각각 접속되어와 같은 모든 동작들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교환 제어부와, 교환 제어부와 연결되어 동일 그룹 내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발신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 시도를 위한 발신 가입자의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면, 교환 제어부로 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교환 제어부에서는 안내대 내의 사설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사설 착신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CFA:Call forward all, 이하 CFA라 칭함)이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제 1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CFA가 등록이 되어 있으면, 착신 전환되도록 지정된 해당 사설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 선로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CFA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사설 가입자의 호가 비지 또는 무응답 상태여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제 2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CFA 착신 하도록 설정된 사설 가입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면, 안내대로 착신 전환 요구하는 단계와, 착신 전화 요구를 수신한 상기 안내대의 해당 CFA 호를 수신하여 안내대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 전환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데 적합한 사설 교환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설 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환 회로망 20 : 가입자 라인 접속부
30 : 국간 선로 접속부 40 : 신호망 접속부
50 : 데이터 베이스 60 : 교환 제어부
70 : 안내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ASS 교환기 시스템의 구성도로, 교환 회로망(10), 교환 가입자 라인 접속부(20), 국간 선로 접속부(30), 신호망 접속부(40), 데이터 베이스(50), 교환 제어부(60) 및 안내대(7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ASS 교환기 시스템을 보면, 먼저, 교환 회로망(10)은 실제 신호의 교환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가입자 라인 접속부(20)는 가입자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이 교환 회로망(10)과 접속되기 알맞은 형태로 되도록 그 가입자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을 변환하며, 국간 선로 접속부(30)는 중계선으로부터 들어온 신호들이 교환 회로망(10)과 접속되기 알맞은 형태로 되도록 그 중계선으로 부터 들어온 신호들을 변환한다.
신호망 접속부(40)는 교환 회로망(10), 신호망 및 통신망 등과의 접속을 제공하며, 교환 제어부(60)는 각 교환 회로망(10) 및 신호망 접속부(40)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와 같은 모든 동작들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교환기는 교환 회로망(10)의 형태에 따라서 공간 분할 교환기와 시분할 교환기로 구분되고, 교환 제어부(70)의 제어 방식에 따라서 포션 논리 제어(Wired-logic control)와 축적 프로그램 제어(Stored Program Control; SPC)로, 제어 기능의 분산 정도에 따라서 집중 제어 방식과 분산 제어 방식으로 각각 구분되며, 최근의 디지탈 교환기들은 대부분이 분산 제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안내대(70)는 교환제어부(60)와 연결되어 동일 그룹 내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발신 처리 기능, 내선 가입자로부터 호가 착신되면 안내대(7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선 착신 대기 수가 표시되고 이를 착신된 차례대로 자동으로 호를 연결하여 주는 기능 및 임의의 가입자/외부호와 통화중인 상태에서 착신번 번호를 누른 후에 기존에 통화중인 가입자는 보류음을 들려주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안내대(70)는 동일 그룹 가입자의 과금 및 통계 처리하며, 각종 호 처리 상황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안내대(70) 운용자가 한눈에 동일 그룹 가입자의 호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설 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화 시도를 위한 발신 가입자의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가입자 라인 접속부(20) 또는 국간 선로 접속부(30)로 호가 접속되면, 다시, 교환 회로망(10)을 통해 교환 제어부(60)로 사설 가입자와의 통화 요구가 수신된다(단계 202).
착신 가입자가 안내대(70)에 속한 그룹 내의 가입자이므로 교환 제어부(60)에서는 해당 안내대(70)를 통하여 안내대(70) 내의 사설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204).
사설 착신 가입자가 CFA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교환 제어부(60)에서 판단한다(단계 206).
단계 206에서 판단하여 안내대(70)에 속한 그룹 내의 착신 가입자가 CFA에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 라인 접속부(20)에서, 최초 착신 가입자를 일정 시간 호출하고, 응답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없으면 연결이 되지 않았음으로 교환 회로망(10), 가입자 라인 접속부(20)를 통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알려 후크 오프(hook off) 시킨다. 또한, 최초 착신 가입자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는 일반 전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초 목표 착신 가입자와 연결시켜 준다(단계 208).
한편, 단계 206에서 판단하여 CFA가 등록이 되어 있으면, 착신 전환되도록 지정된 해당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 선로를 형성시킨다(단계 210).
여기서, CFA란 착신 되는 모든 호를 기 지정된 가입자로 착신 전환되는 기능으로 만약 이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면 바로 지정된 착신 전환 가입자에게로 전환되는 기능이다.
CFA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가입자의 호가 비지 또는 무응답 상태여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가를 판단한다(단계 212).
단계 212에서 판단하여 CFA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가입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전에 수화기를 훅 오프하여 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해당 CFA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가입자에게 호를 연결한다(단계 214).
단계 212에서 판단하여 CFA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가입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면, 안내대(70)로 착신 전환 요구한다(단계 216).
착신 전화 요구를 수신한 안내대(70)의 CFA 키가 점멸 표시하도록 하고, 이를 안내대의 운용자가 인지하여 해당 안내대(70)의 운용자는 해당 CFA 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한다(단계 218).
그리고, CFA 서비스 코드는 안내대의 운용자가 안내대를 통하여 교환 제어부(60)으로 입력하며, 입력하는 방법을 일 예를 살펴보면, 안내대 운용자는 일 예로 "SEL키+*+지정할 착신 전화 가입자 전화 번호+#"을 입력하여, 이 서비스를 활성화 시키고, CFA를 해제 하고자 하는 경우 "SEL키+#+지정할 착신 전화 가입자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CFA를 해제한다.
그리고, 그룹으로 묶여진 가입자도 일반 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전화기 서비스에서 하는 방법으로도 CFA의 서비스 등록 및 해제가 가능하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에서 CFN과 CFB 두 개의 기능을 하나의 서비스로 처리하고 안내대(70)에서 CFA 실패한 서비스에 대하여 이를 대처토록 하며, 다양한 서비스의 종류를 줄이고 서비스의 성공 확율을 높이게 됨으로서, 안내대 운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를 제고(提高)할 수 있다.

Claims (1)

  1. 실제 신호의 교환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 회로망(10)과, 상기 교환 회로망(10)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신호망 접속부(40)와, 상기 각 교환 회로망(10) 및 상기 신호망 접속부(40)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와 같은 모든 동작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교환 제어부(60)와, 상기 교환 제어부(60)와 연결되어 동일 그룹 내의 가입자 및 중계선에 대한 발신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통화 시도를 위한 발신 가입자의 다이얼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교환 제어부(60)로 호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교환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안내대(70) 내의 착신 사설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사설 가입자가 착신 전환 기능(CFA:Call forward all, 이하 CFA라 칭함)이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상기 제 1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CFA가 등록이 되어 있으면, 착신 전환되도록 지정된 해당 사설 가입자를 호출하여 통화 선로를 형성시키는 단계;
    CFA로 착신 전환되도록 설정된 상기 사설 가입자의 호가 비지 또는 무응답 상태여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상기 제 2 판단 단계에서 판단하여 CFA 착신되도록 설정된 사설 가입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면, 안내대(70)로 착신 전환 요구하는 단계;
    착신 전화 요구를 수신한 상기 안내대(70)의 해당 CFA 호를 수신하여 안내대(70)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KR1019970072433A 1997-12-23 1997-12-23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KR19990052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33A KR19990052900A (ko) 1997-12-23 1997-12-23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33A KR19990052900A (ko) 1997-12-23 1997-12-23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900A true KR19990052900A (ko) 1999-07-15

Family

ID=6609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433A KR19990052900A (ko) 1997-12-23 1997-12-23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29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5772B2 (ja) 電話呼処理方法
KR100513217B1 (ko) 호출처리시스템및방법
US6157640A (en) Providing feature logic control in parallel with voice over a single subscriber access
US6453023B1 (en) Voice mail intervention
US4446553A (en) Arrangement for multiple custom calling
KR100219038B1 (ko) 교환망에서의 변경번호 자동연결 서비스 처리방법
JP3782885B2 (ja) 通話システム、交換機、および通話の保留制御方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9990052900A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JPH02260749A (ja) 交換装置
JP3150264B2 (ja) 内線電話番号変更時での着信接続制御方法
KR100228553B1 (ko) 즉시 회신 서비스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JP3193932B2 (ja) 構内交換装置
KR20010040284A (ko) 전화 시스템에서의 자동 응답과 메시지 녹음을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100302365B1 (ko) 불완료 호 역접속 방법
KR100270735B1 (ko) 사설교환기에서음성사서함으로호전환방법
KR100526497B1 (ko) 디지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내선 착신 호 처리방법
KR100611799B1 (ko) 특수 기능을 제공하는 교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454938B1 (ko) 교환기의다중착신서비스방법
JPH1117817A (ja) 構内交換機転送方式
KR19990020265A (ko) 키폰 시스템에서 내선 통화 및 착신호 전환 방법
KR19980027454A (ko) 전자 교환기의 착신 전환 선택 방법
KR20000027204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