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7204A -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7204A
KR20000027204A KR1019980045087A KR19980045087A KR20000027204A KR 20000027204 A KR20000027204 A KR 20000027204A KR 1019980045087 A KR1019980045087 A KR 1019980045087A KR 19980045087 A KR19980045087 A KR 19980045087A KR 20000027204 A KR20000027204 A KR 2000002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service
transmitted
perso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4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7204A/ko
Publication of KR2000002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2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8Notifying a called subscriber of an incoming call during an ongoing call, e.g. Call Wa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통신 교환기(60)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가 등록된 제1 이동 단말기(10)는 제3 이동 단말기(20)와 통화중 상태에서 제2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착신 호 접속 요구가 전송되면, 제1 이동 단말기(10)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개인 통신 교환기(60)로부터 대기음을 수신하게 된다. 또한 개인 통신 교환기(60)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또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등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디지트 및 펑션 키 입력에 따라 제2 이동 단말기(30)로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에 대한 안내 방송을 송출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착신 통화에 대한 전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 대기 서비스,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가 등록 및 활성화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착신 호 접속 요구가 전송되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개시되어 대기음을 수신한후,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에 대한 안내 방송을 호 요구한 이동 단말기로 송출하여 착신 호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에 관계되는 특수 서비스에는 모든 호에 대한 착신 기능(call forward all), 통화중 착신 기능(call forward busy), 무응답 착신 기능(call forward no answer) 등이 있고, 또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와 같은 기능들을 이용하여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통화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모든 호에 대한 착신 기능은 착신되는 모든 호를 지정된 이동 단말기로 착신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고, 통화중 착신 기능은 착신 요구시 통화중(busy)인 경우에 지정된 이동 단말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며, 무응답 착신 기능은 착신 요구시 지정된 시간 내에 무응답인 경우 지정된 이동 단말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며, 음성 사서함 서비스는 착신 요구시 통화중인 경우 메시지 또는 발신측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을 음성으로 전달하도록 호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하여 쓸 수 있는 각각의 서비스들이다.
그러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들중 종래의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고,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중인 이동 단말기로 착신 호 접속 요구가 전송되면, 통화중에 대한 대기음만 송출하고 호 접속을 요구한 이동 단말기로 착신 통화를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이 등록 및 활성화된 경우,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착신 호 접속 요구가 전송되면, 호 접속을 요구한 다른 이동 단말기로 착신 통화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은 교환기에서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이 제1 이동 단말기에 등록 및 활성화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제1 이동 단말기와 제3 이동 단말기간 통화중인 경우, 제1 이동 단말기는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요구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호처리부를 통하여 가입자 위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1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통화중일 경우, 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음 송출에 대응하여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지트 키 및 특정 펑션 키입력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만 전송되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 디지트 키 및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면,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이동 단말기로 송출하여 착신 전환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제1, 제3, 제2 이동 단말기 40, 50 : 제1, 제2 기지국 제어기
60 : 개인 통신 교환기 61, 67 : 제2, 제1 호 처리부
63 : 호처리 정합 제어부 65 : 가입자 위치 제어부
69 : 통화중 대기 제어부 70 : 홈 위치 등록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블록 구성도로서, 제1, 제2, 제3 이동 단말기(10, 30, 20)와, 제1, 제2 기지국 제어기(40, 50)와, 개인 통신 교환기(60)와, 홈 위치 등록기(70)를 포함한다.
제1, 제2, 제3 이동 단말기(10, 30, 20)는 고정되어 있는 또는 이동하고 있는 가입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로서, 다수의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의 제어를 받으며, 다수의 기지국이 제어 가능한 지역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제1, 제2, 제3 이동 단말기(10, 30, 20) 각각이 모여 이동국을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이동국들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제1, 제2, 제3 이동 단말기(10, 30, 20)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와 제3 이동 단말기(20) 간에 통화중이고, 제1 이동 단말기(10)에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 및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또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등이 등록되어 있는 단말기로서, 이러한 제1 이동 단말기(10)로 호 접속을 요구하기 위해 제2 이동 단말기(20)로부터 호 접속 요구 메시지가 제2 기지국 제어기(50)로 전송된다.
제2 기지국 제어기(50)는 다수의 기지국(도시되지 않음)들과 접속되어 있고,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며, 다수의 기지국들중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호 접속 요구 메시지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제어한후, 수신된 호 접속 요구 메시지 신호를 개인 통신 교환기(60)로 전송한다.
개인 통신 교환기(60)는 제2 기지국 제어기(50)와 접속되어 있으며, 기지국을 통해 제2 기지국 제어기(50)로부터 전송된 호 접속 요구 메시지를 타 교환기(도시되지 않음) 및 자국 호인 경우 자국 교환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하도록 스위칭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 제2 호 처리부(67, 61)와, 호처리 정합 제어부(63)와, 가입자 위치 제어부(65)와, 통화중 대기 제어부(67)를 구비한다.
제1, 제2 호 처리부(67, 61)는 제1, 제2 기지국 제어기(40, 50)로부터 전송된 호 접속에 대한 정보들을 처리하는 블록으로, 먼저 제2 호 처리부(61)는 제2 기지국 제어기(50)로부터 전송된 호 접속 요구 메시지 신호와 제1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 요구 신호를 호 처리 정합 제어부(63)의 정합 제어에 의해 호 위치 등록기(7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제1 호 처리부(67)는 제1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호 접속에 대한 각종 정보들에 대하여 처리하고, 제2 호 처리부(61)와 상호 접속되어 제1 이동 단말기(10) 및 제2 이동 단말기(30)간에 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홈 위치 등록기(70)는 제2 호 처리부(61)로부터 제1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 요구 신호를 수신한후, 통화중인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위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 처리 정합 제어부(63)의 정합 제어에 의해 제2 호처리부(61)를 통해 가입자 위치 제어부(65)로 전송한다.
가입자 위치 제어부(65)는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착신 위치 메시지를 확인한후, 제1 이동 단말기(10)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통화중이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활성화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활성화되어 있으면, 제1 호 처리부(67)의 호 처리 제어에 의해 통화중 대기 제어부(69)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10)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대한 대기음을 송출한다.
통화중 대기 제어부(69)는 제1 이동 단말기(10)에 등록되어 있는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이러한 서비스들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제1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트 키와 특정 펑션 키입력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서 디지트 키 입력 신호가 전송되지 않고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만 전송될 경우, 통화중 대기 서비스만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고, 상기 판단에서 디지트 키 및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가 전송될 경우,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을 활성화하여 사용하도록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제1 호 처리부(67)를 통해 홈 위치 등록기(70)로 전송한다. 이후,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70)에서 호 설정을 위한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호처리부(61)의 호 처리에 의해 제2 이동 단말기(30)로 응답 메시지에 대한 안내 방송을 송출하여 착신 통화에 대한 호 전환 서비스가 진행되게 된다.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이동 단말기(10) 및 제3 이동 단말기(20) 간에 통화중이고, 제2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통화중인 제1 이동 단말기(10)로 호 접속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2 기지국 제어기(50)를 통해 개인 통신 교환기(60)로 호 접속 요구 메시지가 전송된다(단계 200).
개인 통신 교환기(60)내의 제2 호 처리부(61)는 제2 이동 단말기(30)로부터 호 접속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고, 제1 이동 단말기(10)가 통화중 대기 서비스와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이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201).
상기 판단에서 상술한 서비스들이 등록되어 있으면,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위치 요구를 호처리 정합 제어부(63)의 정합 제어에 의해 홈 위치 등록기(70)로 전송한다. 이후, 홈 위치 등록기(70)에서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위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호처리 정합 제어부(63)의 정합 제어에 의해 제2 호처리부(61)로 전송한다(단계 202).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위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호처리부(61)에서 전송받은후, 제2 호처리부(61)는 가입자 위치 제어부(65)로 제1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착신 위치 요구를 하면, 가입자 위치 제어부(65)는 제1 이동 단말기(10)로의 착신 위치를 확인한후, 제1 이동 단말기(10)가 통화중인 상태인가를 판단한다(단계 203).
상기 판단에서 통화중이 아니면, 제2 이동 단말기(30) 및 제1 이동 단말기(10) 간에 일반호가 접속된다(단계 204). 반면에 상기 판단에서 통화중이면, 제1 호처리부(67)의 호 처리 제어에 의해 통화중 대기 서비스 사용 여부를 통화중 대기 제어부(69)로 전송한다. 그러면 통화중 대기 제어부(69)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제1 기지국 제어기(4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10)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대한 대기음을 송출한다(단계 205).
대기음 송출이 완료된후, 통화중 대기 제어부(69)는 제1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단계 206). 상기 검사에서 서비스들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제1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디지트 키 및 특정 펑션 키입력 신호 등이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7).
상기 판단에서 디지트 키 입력 신호가 전송되지 않고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만 전송될 경우, 통화중 대기 서비스만을 사용하고(단계 208), 상기 판단에서 디지트 키와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가 전송될 경우,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제1 호처리부(67)의 호 제어에 의해 홈 위치 등록기(70)로 전송한다(단계 209).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수신한 홈 위치 등록기(70)에서 호 설정을 위한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제2 호처리부(61)로 전송하면, 제2 호처리부(61)의 호 처리 제어에 의해 제2 이동 단말기(30)로 응답 메시지에 대한 안내 방송을 송출하여 착신 통화에 대한 호 전환 서비스가 진행되게 된다(단계 210).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가 등록 및 활성화되어 있고, 통화중 대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중이고 상술한 서비스들이 등록된 이동 단말기로 호 접속 요구가 전송되면, 특정 디지트 및 펑션 키 입력으로 호 접속을 요구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로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에 대한 안내 방송을 송출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착신 통화에 대한 전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에서 음성 사서함 전환 서비스 또는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등이 제1 이동 단말기에 등록 및 활성화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제3 이동 단말기간 통화중인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는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대한 위치 요구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개인 통신 교환기내의 제2 호처리부를 통하여 가입자 위치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통화중일 경우, 대기음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대기음 송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지트 키 및 특정 펑션 키입력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만 전송되면,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디지트 키 및 상기 특정 펑션 키 입력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면,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통화 전환 번호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로 송출하여 착신 전환 서비스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KR1019980045087A 1998-10-27 1998-10-27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KR20000027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087A KR20000027204A (ko) 1998-10-27 1998-10-27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087A KR20000027204A (ko) 1998-10-27 1998-10-27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204A true KR20000027204A (ko) 2000-05-15

Family

ID=1955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087A KR20000027204A (ko) 1998-10-27 1998-10-27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7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55B1 (ko) * 2003-05-14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의 통화중 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355B1 (ko) * 2003-05-14 2009-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의 통화중 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97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9990009277A (ko) 개인 통신 서비스에서의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JP2001245357A (ja) 着信転送方式
AU697638B2 (en)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27204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00978114B1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KR100271518B1 (ko) 음성메시징시스팀을 이용한 원격착신호전환서비스 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KR100251721B1 (ko) 착신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씨티-2착신정합교환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42695B1 (ko) 브이에이디가 있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KR100208288B1 (ko) 서치 도중 발신 중도 포기 호 처리 방법
KR19990066274A (ko) 음성메시지전달시스템에서의음성메시지전달방법
KR100650580B1 (ko) 보이스메일시스템을 이용한 착신전환서비스기능이 구비된사설교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42705B1 (ko) 다이얼 펄스 전화기의 디지트를 훅 플레쉬로 처리하는 방법
JP2737258B2 (ja) 加入者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JPH0393393A (ja) 加入者集線通信方式
JPH01137855A (ja) 転送電話機
KR19980037038A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전환서비스방법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KR19980027454A (ko) 전자 교환기의 착신 전환 선택 방법
JPS63125025A (ja) 不在時着信呼通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