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0300A - 후방브레이크 유닛 - Google Patents

후방브레이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0300A
KR19990050300A KR1019970069380A KR19970069380A KR19990050300A KR 19990050300 A KR19990050300 A KR 19990050300A KR 1019970069380 A KR1019970069380 A KR 1019970069380A KR 19970069380 A KR19970069380 A KR 19970069380A KR 19990050300 A KR19990050300 A KR 1999005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outlet
piston
brake shoe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일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0300A/ko
Publication of KR1999005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00A/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브레이크 유닛에 관한것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파이프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리딩 브레이크 슈(20)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에 공급하기 위한 휠 실린더(10)를 구비한 후방브레이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파이프로부터 유압이 유입되는 입구부(11), 및 상기 입구부(11)와 각각연통하며 리딩브레이크 슈(20)측의 제 1출구(12a) 및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의 측의 제 2출구(12b)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2)의 내경은 상기제 1출구(12a)로부터 제 2출구(12b)를 향해 크게 수렴 형성되며, 본체(12)의 중앙에는 스프링(13)이 삽설되며, 상기 본체(12)의 제 1출구(12a)측에는 피스톤시트(14),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이 내설되고, 상기 제 1출구측에는 제 1출구측(12a)의 각각의 구성요소보다 크게 형성되는 피스톤 시트(14'),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리딩 브레이크 슈보다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에 보다 큰 유압을 제공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드럼에 가하는 제동력을 유사하게 함으로써 편제동 및 브레이크의 밀림이 방지되어 제동성능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후방브레이크 유닛
본 발명은 후방브레이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리딩슈(leading shoe)와 트레일링슈(trailing shoe)간의 제동력의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슈에 각각 다르게 동력을 공급할 휠실린더를 구비한 브레이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되어 있어 주행 중 자동차를 제동시키거나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같은 브레이크장치는 최근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취해지고 있는바, 이같은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는 개략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레이크페달(BP), 브레이크마스터 실린더(C), 및 브레이크파이프(P) 및 브레이크유닛(1)으로 구성된다.
또한, 브레이크유닛(1)은 휠실린더(2)와, 상기 휠실린더(2)에 연계되는 리딩브레이크 슈(leading brake shoe)(3)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슈(trailing brake shoe)(4)와, 각각의 브레이크슈(3, 4)에 연계되는 브레이크드럼(5)으로 구성된다
이같은 구조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BP)을 밟으면 상기 마스트실린더(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브레이크 파이프(P)를 통해 휠실린더(2)에 공급되며, 이와 같이 휠실린더(2)에 공급된 유압은 휠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브레이크 슈(3,4)를 브레이크 드럼(5)을 향해 이동시켜 각각의 브레이크슈에 제공된 라이닝(3a,4a)을 브레이크드럼(5)에 압착시킴으로써 브레이크드럼(5)에 제동력이 가해지게 됨에 따라 자동차가 감속되거나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슈(3,4)를 강제시키는 휠실린더(2)의 구성을 살펴보면, 브레이크 파이프로 부터의 유압이 공급되는 분기형 본체(2a)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a)의 내측중앙에는 스프링(2b)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b)의 양단부에는 피스톤(6)이 제공되는바, 상기 피스톤(6)의 일단부, 즉, 스프링(2b)측의 일단부에는 피스톤 시트(7) 및 피스톤 커프(piston cuft)(8)가 상기 스프링(2b)에 연계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6)의 타단부, 즉, 상기 각각의 브레이크 슈(3,4)측에는 상기 피스톤(6)이 관통되는 캡(9)이 제공된다 미설명부호A는 어셔스터스프링이며, E는 익스텐션스프링이다.
이같은 휠실린더의 구조에 의하면, 브레이크 라인으로부터 유압이 본체(2b)내로 공급되는 경우 그 유압이 그 본체(2b)의 분기부로 동일하게 공급됨으로써 각각의 브레이크 슈(3,4)에 균일한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제적인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 드럼(5)이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중에 각각의 브레이크 슈(3,4)가 휠실린더(2)에 의해 드럼을 향해 강제되면 마찰력에 의해 각각의 브레이크 슈(3,4)는 브레이크드럼(5)과 함께 회전하려는 경향이 발생되며 이에따라 리딩브레이크 슈(3)에는 자기배력(self enerzing)현상이 발생되어 제동력이 증가하게 되는반면,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4)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에서 이탈되려는 힘을 받게되어 확장력이 감소하게 되어 제동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이크 유닛은 실제적으로 제동 안정성면에서는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리딩브레이크 슈와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의 제동력의 차이가 증가하게 되면 전체적인 제동력의 저하가 초래됨은 물론 일측 브레이크 슈의 과도한 마찰로 인해 수명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후방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리딩 브레이크 슈 보다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에 더큰 유압력을 공급할 수 있는 휠 실린더를 구비한 리방 브레이크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리딩 브레이크 슈 보다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에 더큰 유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2중 구조를 갖는 휠실린더를 구비한 후방 브레이크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레이크 유닛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휠실린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유닛에 적용되는 휠실린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유닛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휠실린더 11: 입구부
12: 본체 13: 스프링
14,14':피스톤시트 15,15':피스톤커프
16,16':피스톤 20: 리딩 브레이크슈
30: 트레일링 브레이크슈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파이프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리딩 브레이크 슈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에 공급하기 위한 휠 실린더를 구비한 후방브레이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휠 실린더는 상기 브레이크 파이프로부터 유압이 유입되는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와 각각연통하며 리딩브레이크슈측의 제 1출구 및 상기 트레일링브레이크슈 측의 제 2출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경은 상기제 1출구로부터 제 2출구를 향해 크게 수렴 형성되며, 본체의 중앙에는 스프링이 삽설되며, 상기 본체의 제 1출구측에는 피스톤시트, 피스톤커프 및 피스톤이 내설되고, 상기 제 1출구측에는 제 1출구측의 각각의 구성요소보다 크게 형성되는 피스톤 시트, 피스톤토커프및 피스톤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유닛에 적용되는 휠실린더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휠실린더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브레이크유닛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따른 후방 브레이크 유닛은 기본적으로 휠 실린더(10), 상기 휠 실린더(10)에 각각 연계작동되는 리딩 브레이크 슈(20)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실린더(10)는 브레이크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입구부(11), 및 상기 입구부(11)로 유입된 유압을 양측으로, 즉, 리딩브레이크 슈(20)와 트레일링브레이크 슈(30)에 유압력을 분산공급하기 위한 본체(12)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휠실린더(10)의 본체(12)는 상기 리딩브레이크 슈(20)로 유압을 공급 하기위한 제 1출구부(12a)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2출구부(12b)를 구비하는바, 상기 본체(12)의 내부의 직경은 제 1출구부(12a)로부터 제 2출구부(12b)를 향해 직경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수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2)에는 또한 스프링(13)이 내설되는바, 상기 스프링(13) 또한 상기 본체(12)의 내부와 유사한 형태로 일단부(13a)로부터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13)은 본체(12)의 제 1출구측의 일단부(13a)로부터 상기 본체(12)의 제 2출구측의 타단부(13b)를 향해 직경이 증가하도록 수렴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2)의 내부에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내설되는바, 즉, 상기 스프링(13)의 일단부(13a)측에는 피스톤시트(14), 피스톤커브(15) 및 피스톤(16)이 연계적으로 내설되며, 또한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13b)측에도 피스톤 시트(14'), 피스톤 커프(15') 및 피스톤(16')이 연계적으로 내설된다. 물론,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유압작동을 위해 상기 본체(12)의 제 1출구(12a)에는 캡(17)이 제공되며 또한 제 2출구(12b)에도 캡(17')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13)의 일단부(13a)측에 배설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즉,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의 크기는 상기 스프링(13)의 타단부(13b)측에 배설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 즉, 피스톤시트(14'),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의 크기보다 상대적이고 비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브레이크유닛의 조립방식 및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업자는 브레이크 드럼(5)에 각각의 브레이크 슈(20;30)가 예비조립된 상태에서 휠 실린더(10)의 각각의 피스톤(16;16')의 단부를 각각의 브레이크 슈(20;30)에 고정 시킴으로써 후방브레이크 유닛의 조립이 완성되며, 이같은 브레이크유닛을 자동차의 휠 및 브레이크장치에 연계설치함으로써 자동차에 대한 설치를 완성시킨다.
이같은 상태에서 예컨대 자동차의 제동 또는 정지를 위해 운저자가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전술된 마스터실린더, 브레이크파이프라인을 통해 유압이 휠 실린더(10)의 유압부(11)를 통해 본체(12)에 공급된다.
이와같이 공급된 유압은 본체(12)의 제 1출구(12a) 및 제 2출구(12b)를 향해 분산공급됨과 동시에 스프링(13)이 작동되며 이에따라 상기 스프링(13)의 일단부(13a)에 연계된 피스톤(16)에 의해 리딩브레이크슈(20)에 유압이 가해지며 또한 스프링(13)의 탄단부(13b)에 연계된 피스톤(16')에 의해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의 탄단부(13b)에 연계된 피스톤(16')에 의해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에 유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2)의 각각의 출구부(12a,12b)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유압이 각각 다르게 제공되는바, 즉, 제 1출구부(12a)에 제공되는 유압보다 제 2출구부(12b)에 제공되는 유압이 상대적으로 작게 됨에 따라 실제적으로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리딩브레이크 슈(20)에 가해지는 제동력보다 크게된다.
이에따라, 실제적으로 자기배력현상이 발생되는 리딩 브레이크 슈의 제동력과 순수한 마찰에 의한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의 제동력이 유사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에 균일한 제동력이 가해지게 되어 편제동 및 브레이크밀림등이 방지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후방브레이크 유닛에 의하면, 리딩 브레이크 슈보다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에 보다 큰 유압을 제공하여 각각의 브레이크 슈가 브레이크 드럼에 가하는 제동력을 유사하게 함으로써 편제동 및 브레이크의 밀림이 방지되어 제동성능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파이프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리딩 브레이크 슈(20) 및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에 공급하기 위한 휠 실린더(10)를 구비한 후방브레이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파이프로부터 유압이 유입되는 입구부(11), 및 상기 입구부(11)와 각각연통하며 리딩브레이크 슈(20)측의 제 1출구(12a) 및 상기 트레일링 브레이크 슈(30)의 측의 제 2출구(12b)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2)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2)의 내경은 상기제 1출구(12a)로부터 제 2출구(12b)를 향해 크게 수렴 형성되며, 본체(12)의 중앙에는 스프링(13)이 삽설되며, 상기 본체(12)의 제 1출구(12a)측에는 피스톤시트(14),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이 내설되고, 상기 제 1출구측에는 제 1출구측(12a)의 각각의 구성요소보다 크게 형성되는 피스톤 시트(14'), 피스톤커프(15') 및 피스톤(16')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브레이크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3)은, 본체(12)의 제 1출구(12a)를 향하는 일단부(13a)로부터 제 2출구(12b)를 향하는 탄단부(13b)를 향해 직경이 크게 수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후방브레이크 유닛.
KR1019970069380A 1997-12-16 1997-12-16 후방브레이크 유닛 KR19990050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80A KR19990050300A (ko) 1997-12-16 1997-12-16 후방브레이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380A KR19990050300A (ko) 1997-12-16 1997-12-16 후방브레이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00A true KR19990050300A (ko) 1999-07-05

Family

ID=6609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380A KR19990050300A (ko) 1997-12-16 1997-12-16 후방브레이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0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50300A (ko) 후방브레이크 유닛
US6942074B2 (en) Drum brake system for vehicle
JP271463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6325181B1 (en) Piston assembly for use in a wheel cylinder of a drum brake assembly
KR0135153Y1 (ko) 차량용 브레이크 호스
KR0145535B1 (ko)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
KR200238170Y1 (ko) 리어브레이크유닛
KR200263241Y1 (ko) 차량이동 방지용 브레이크 장치의 유체단속부
KR20090078993A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61202A (ko) 드럼 브레이크의 제동력 균일 구조
KR100457090B1 (ko) 차량의 드럼식 브레이크장치
KR100243607B1 (ko) 차량의 2중제동장치
KR200150714Y1 (ko) 자동차 마스터 실린더용 에어 배출 장치
KR0178648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시동오프 방지장치
KR100255052B1 (ko) 차량의 브레이크슈 자동조정장치
KR200293354Y1 (ko)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KR19980036267U (ko) 노이즈 저감형 브레이크 드럼
KR20080023559A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KR20020025566A (ko) 자동차용 디스크브레이크의 캘리퍼
JP2000074102A (ja) 液圧式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9980021753A (ko) 대형 차량의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
KR20030031606A (ko) 브레이크슈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
KR20000019198U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시스템의 비례제어밸브어셈블리
KR19990033586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라이닝의 편마모 방지구조
KR980008935A (ko) 자동차의 듀얼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