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354Y1 -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354Y1
KR200293354Y1 KR2019970041636U KR19970041636U KR200293354Y1 KR 200293354 Y1 KR200293354 Y1 KR 200293354Y1 KR 2019970041636 U KR2019970041636 U KR 2019970041636U KR 19970041636 U KR19970041636 U KR 19970041636U KR 200293354 Y1 KR200293354 Y1 KR 200293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brake
reducing valve
pressure reducing
drum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96U (ko
Inventor
정 훈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70041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3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후륜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에 감압밸브를 일체로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500)는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에 감압밸브(530)를 설치함으로써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하여 제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감압밸브(530)가 휠실린더(5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엔진룸(미도시)에 별도의 감압밸브 장착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유압라인(31)의 양단을 마스터실린더(30)와 휠실린더(520)의 감압밸브(530)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본 고안은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륜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 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 중에 방출하여 제동작용을 한다.
한편, 자동차는 주행중 감속되면 후륜측의 하중이 전륜으로 이동하여 후륜의 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 제동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후륜의 제동압력이 전륜보다 감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이유로 통상적으로 전륜측에는 가격이 비싸지만 제동력이 우수한 캘리퍼 디스크브레이크를 장착하고 후륜측에는 제동력은 약간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한 드럼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4FL,4FR)과 후륜(5RL,5RR)에 각각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디스크브레이크(4a)과 드럼브레이크(5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 브레이크(4a,5a)에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전달하는 마스터실린더(3)와 배력장치(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마스터실린더(3)에는 후륜(5RL,5RR)측으로 전달되는 유압을 감압하기 위해 감압밸브(3a)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감압밸브(3a)의 세부적인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1은 브레이크패달이며 6은 전륜(4FL,4FR)과 후륜(5RL,5RR) 측으로 유압이 전달되는 유압라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자동차의 브레이크장치는 주행중에 브레이크패달(1)을 밟게 되면 배력장치(2)에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이 발생되고, 계속하여 마스터실린더(3)에서는 배력에 의해 제동유압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압라인(6)을 통해 제동유압이 전륜(4FL,4FR)과 후륜(5RL,5RR)에 마련된 각각의 디스크브레이크(4a)와 드럼브레이크(5a)에 전달되어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후륜(5RL,5RR)으로 전달되는 유압은 마스터실린더(3) 일측에 마련된 감압밸브(3a)를 통과하여 감압된 상태로 후륜(5RL,5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a)로 전달됨으로써, 전륜(4FL,4FR)보다 상대적으로 후륜(5RL,5RR)이 약한 제동력을 받게 된다. 이것은 주행중인 차량을 제동하면 전륜(4FL,4FR)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며 후륜(5RL,5RR)측에 작용하는 하중은 감소된다. 이로 인해 전,후륜(4FL,4FR,5RL,5RR)측에 동일한 제동력이 작용한다면 후륜(5RL,5RR)은 전륜(4FL,4FR)보다 먼저 정지되어 노면에서 미끄러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륜(5RL,5RR) 측에서 발생되는 제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압밸브(3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압밸브(3a)는 마스터실린더(3)의 유압이 토출되는 아웃포트(미도시)에 직접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엔진실(미도시)에 마스터실린더(3)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의 장착공간을 미리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마스터실린더(3)와 결합된 감압밸브(3a)에 유압라인(6)을 체결하는 공정이 매우 난해하여 조립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륜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에 감압밸브를 일체로 설치하여 감압된 제동유압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에 감압밸브 장착공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또한 유압라인의 양단을 마스터실린더와 휠실린더의 감압밸브에 직접 연결하여 설치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브레이크장치의 개략적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FL,40FR..전륜 40a..디스크브레이크 50RL,50RR..후륜
500..드럼브레이크 520..휠실린더 521..피스톤
524..유입구 526..제 1결합부 527..수나사부
530..감압밸브 531..유입포트 532..토출포트
535..제 2결합부 536..암나사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레이크패달의 작동에 의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마스터실린더,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피스톤이 내장된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를 갖춘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제동유압이 전달되는 휠실린더의 유입구에는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시켜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감압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차량의 전륜(40FL,40FR)을 제동하는 디스크브레이크(40a)와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하는 드럼브레이크(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석에 마련된 브레이크패달(10)과 연계 작동되어 배력을 형성하는 배력장치(20), 배력장치(20)에서 힘을 전달받아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마스터실린더(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크브레이크(40a)와 드럼브레이크(500)는유압라인(31)을 통해 마스터실린더(30)로부터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전륜(40FL,40FR)과 후륜(50RL,50RR)을 제동하게 된다.
한편,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작용시 차량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제동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감압된 압력으로 제동이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휠실린더(520)에 마련된 감압밸브(proportioning valve,530)에 의해 수행된다.
후륜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는 라이닝(511)이 부착된 한쌍의 브레이크슈(510)를 외향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후륜(50RL,50RR)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미도시)의 내주면에 라이닝(511)이 마찰하여 제동력이 발생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휠실린더(520)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휠실린더(520)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523)을 경계로 좌우 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제동유압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한쌍의 피스톤(521), 오일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우트(525)가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521)의 외주면에는 휠실린더(520)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씰(5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피스톤(521) 사이에 코일스프링(523)이 개재되어 휠실린더(520)내부에서 피스톤(521)의 균형이 유지된다.
그리고 휠실린더(520) 내부로 제동유압이 전달되도록 천공된 유입구(524)에는 유압라인(31)을 통해 마스터실린더(30)로부터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하는 감압밸브(5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휠실린더(520)에는 중심부에 유입구(524)가 천공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수나사부(527)가형성된 제 1결합부(526)가 외부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감압밸브(530)는 유입포트(531)와 토출포트(532)가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감압피스톤(533)이 스프링(53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압라인(31)과 연계된 유입포트(531)를 통해 유입되는 제동유압이 감압피스톤(533)을 밀게 되고, 포출포트(532)를 통해 감압된 상태로 휠실린더(520) 내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토출포트(532)가 형성된 감압밸브(530)의 선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536)가 형성된 제 2결합부(535)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 2결합부(535)의 암나사부(536)를 이용하여 휠실린더(230)의 제 1결합부(526)에 결합하면, 감압밸브(530)가 휠실린더(520)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 때, 제 1결합부(526)와 제 2결합부(535)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씰(537)이 마련되는데, 이것은 제동유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감압밸브(530)는 차량의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에만 설치되어 전륜(40FL,40FR)으로 전달되는 제동유압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을 통해 후륜(50RL,50RR)을 제동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10)을 밟게 되면 배력장치(20)에서 배력이 발생되고, 이 힘에 의해 마스터실린더(30)에서는 상당한 제동유압이 형성된다. 이 제동유압은 유압라인(31)을 통해 전륜(40FL,40FR)을 제동하는 디스크브레이크(40a)와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브레이크(500)로 전달됨으로써, 차량의 제동이 수행된다.
이 때,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는 유압라인(31)을 통해 감압밸브(530)가 일체로 마련된 휠실린더(520)로 제동유압이 전달되어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즉, 유입포트(531)를 통해 감압밸브(530) 내로 유입되는 제동유압은 스프링(534)에 탄지되어 있는 감압피스톤(533)을 밀면서 들어오기 때문에, 토출포트(532)를 통해 유입구(524)로 들어가는 제동유압은 적당히 감압된 상태이다. 계속하여 감압된 유압에 의해 피스톤(521)이 외측으로 전진함으로써, 라이닝(511)이 부착된 브레이크슈(510)가 외향작동되어 드럼(미도시)의 내주면과 마찰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후륜(50RL,50RR)의 제동작용은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에 마련된 감압밸브(530)에 의해 제동유압이 감압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전륜(50RL,50RR)의 제동력보다 작은 힘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자동차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륜(40FL,40FR)이 상대적으로 후륜(50RL,50RR)보다 강한 힘으로 제동작용을 하여야 안정되게 제동력을 발휘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감압밸브(530)가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차량이 안정되게 제동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500)가 장착된 차량의 브레이크장치는 제동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라인(31)의 일단부가 마스터실린더(30)와 연결되며 이의 타단부는 감압밸브(530)의 유입포트(531)에 직접연결됨으로써, 유압라인(31)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며, 감압밸브(530)가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장착을 위한 차량의 엔진룸 공간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는 후륜을 제동하는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에 감압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하여 제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감압밸브가 휠실린더에 일체로 결합되어 엔진룸에 별도의 감압밸브 장착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또한 유압라인의 양단을 마스터실린더와 휠실린더의 감압밸브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브레이크페달(10)의 작동에 의해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마스터실린더(30), 상기 마스터실린더(30)로부터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피스톤 (521)이 내장된 드럼브레이크(500)의 휠실린더(520), 상기 휠실린더의 유입구(524)에는 상기 마스터실린더(30)로부터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감압시켜 상기 피스톤 (521)을 작동시키는 감압밸브(530)가 마련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실린더(520)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527)가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유입구(524)가 천공된 제 1결합부(52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감압밸브(530)는 상기 수나사부(527)에 이물림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536)가 형성된 제 2결합부(53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의 드럼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브레이크(500)는 차량의 후륜(50RL,50RR)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2019970041636U 1997-12-27 1997-12-27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KR200293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36U KR200293354Y1 (ko) 1997-12-27 1997-12-27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36U KR200293354Y1 (ko) 1997-12-27 1997-12-27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96U KR19990028996U (ko) 1999-07-15
KR200293354Y1 true KR200293354Y1 (ko) 2003-03-03

Family

ID=493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636U KR200293354Y1 (ko) 1997-12-27 1997-12-27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3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96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808B1 (en) Combined service and parking brake system
KR19990082329A (ko) 주행·주차 겸용의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93354Y1 (ko)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KR19990028997U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CN111911564A (zh) 一种独立驻车epb制动钳装置
US4303148A (en) Single piston-cylinder duo-servo drum brake
KR100444459B1 (ko)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100352949B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KR19980048732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3669226A (en) Piston assembly for dual-network disk-brake system
KR100312596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구조
KR200153508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푸쉬로드 설치구조
US20220145950A1 (en) Drum brake for vehicle
KR200213811Y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EP0190190B1 (en) Clutch brake method
KR100224035B1 (ko)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KR100217675B1 (ko) 브레이크슈 어저스팅장치를 구비한 휠실린더
JP3802709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KR100412263B1 (ko) 브레이크의 휠 실린더 냉각장치
KR200145059Y1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휠 실린더 구조
KR0178648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시동오프 방지장치
KR0185896B1 (ko) 자동차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22042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크 보조장치
KR19980049040A (ko) 자동차의 디스크식 브레이크용 브레이크오일의 누설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