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035B1 -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035B1
KR100224035B1 KR1019960076130A KR19960076130A KR100224035B1 KR 100224035 B1 KR100224035 B1 KR 100224035B1 KR 1019960076130 A KR1019960076130 A KR 1019960076130A KR 19960076130 A KR19960076130 A KR 19960076130A KR 100224035 B1 KR100224035 B1 KR 10022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air conditioner
relay
air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860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035B1/ko
Publication of KR1998005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콘 콤푸레셔의 공압을 이용하여 특히 고속주행상태에서의 제동작용을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한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는, 브레이크 드럼(1)의 양 브레이크 슈(2) 사이에 설치되며 양 브레이크 슈(2)에 대향되도록 고정된 양 피스톤(11)을 구비한 양방향 실린더(10), 상기 양방향 실린더(10)에 공압을 부여하는 에어콘 콤푸레셔(12),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ECU(13), 차속에 따른 제동력 값을 읽어 그 신호를 상기 ECU(13)에 보내는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 상기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의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릴레이1(15) 및 릴레이2(16)를 접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의 공압을 양방향 실린더(10)로 보내는 체크밸브1(17), 제동해제시 악셀페달을 밟으면 악셀페달 피스톤 센서(22)에서 ECU(13)가 읽어 릴레이2(16)를 단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양방향 실린더(10)의 공압을 배출시키는 에어벤트 홀(18), 에어콘을 이용시 에어콘 스위치(19)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3(20)이 접점되어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2(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콘 콤푸레셔의 공압을 이용하여 특히 고속주행상태에서의 제동작용을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초기 제동시간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제동성능을 향상되도록 한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제동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장치이며, 보통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브레이크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제동장치에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는 풋 브레이크와, 손으로 조작하는 핸드 브레이크가 있다.
풋브레이크는 주행 중 사용되며 바퀴에 직접 제동작용을 하는 휠브레이크를 사용한다.
핸드브레이크는 주로 주차용으로 사용되거나 제동장치의 고장시 비상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조작기구로는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며, 이외에 엔진의 부압이나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서보브레이크와, 압축공기만을 사용하는 공기브레이크도 있다.
유압식 브레이크는 파스칼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며, 브레이크 본체를 비롯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매스터 실린더, 그 유압을 받아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압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휠 실린더 및 이 두 부품을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파이프 및 호스로 되어 있다.
브레이크 본체는, 매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오는 유압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하는 부분이며 구조상으로는 드럼식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브레이크로 나누어진다.
드럼식 브레이크는 휠, 휠에 장착된 드럼, 드럼내에 설치되는 휠 실린더, 브레이크 슈, 라이닝, 리턴 스프링, 브레이크 파이프 및 브레이크 호스 등으로 구성되며, 브레이크 슈의 장치법이나 휠 실린더의 구조 등에 의해 리딩 트레일링 슈식과, 2리딩 슈식이 있다.
브레이크 드럼은 바퀴 휠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며 슈의 마찰력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한다.
휠 실린더는 매스터 실린더에서 보내주는 유압을 받아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이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슈는 휠 실린더의 유압을 받아 좌우로 밀려 벌러서 브레이크 드럼에 압착하는 역할을 하고, T 형단면을 하고 있으며 강판을 프레스한 백 플레이트에 장치되어 있으나, 드럼과 슈의 틈새를 조정하기 위한 캠이 백 플레이트에 설치되어있는 것도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은 브레이크 슈의 드럼과 접촉하는 면에 붙여져 있으며 브레이크 드럼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마찰재에 의한 우븐 라이닝과 몰드 라이닝이 있다.
리턴 스프링은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벌려진 브레이크 슈를 복귀시킨다.
브레이크 파이프는 매스터 실린더에서 휠 실린더로 브레이크액을 도입하는 것이며, 브레이크 호스는 프레임에 장치된 파이프와 차축이나 바퀴 등을 연결하는 것으로 플렉시블 호스라고도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매스터 실린더내의 피스톤은 브레이크액을 휠 실린더로 압송하고, 휠 실린더는 그 유압을 받아 피스톤을 좌우로 벌림으로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압착시켜 브레이크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 페달을 놓아주면 매스터 실린더의 유압이 저하되므로 브레이크 슈는 리턴 스프링의 힘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휠 실린더내의 브레이크액은 매스터 실린더로 되돌아가 브레이크 작용이 풀린다.
이때 브레이크 작동시 라이닝과 드럼의 접촉으로 인한 심한 마찰과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럴 경우 접촉부의 마모에 따른 부품의 수명단축이 초래되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제동력 확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불의의 교통사고를 발생시키게 염려를 안게 된다.
발열이 심할 경우에는 브레이크와 인접된 타이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타이어를 손상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또한 급제동시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바로 제동이 걸리는 것이 아니라 유압이 발생되어 유압의 전파로 제동이 걸리게 되어 어느 정도의 공주거리가 늘어나게 되는 폐단이 있다.
즉 풋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므로써만이 제동이 걸리게 되고, 이때에는 유압경로를 거치게 되는 까닭에 그 제동작용이 즉시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얼마간의 공주거리를 유발시키게 됨에 따라 그 만큼의 제동효과를 즉시로 기대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이럴 경우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고속주행시에서의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기구의 계속적인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드럼과 패드간의 슬림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제동거리가 길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이어와 노면과의 미끄럼 현상으로 추돌사고의 위험을 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콘 콤푸레셔의 공압을 이용하여 특히 고속주행상태에서의 제동작용을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초기 제동시간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제동성능을 향상되도록 한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는, 브레이크 드럼의 양 브레이크 슈 사이에 설치되며 양 브레이크 슈에 대향되도록 고정된 양 피스톤을 구비한 양방향 실린더, 상기 양방향 실린더에 공압을 부여하는 에어콘 콤푸레셔, 에어콘 콤푸레셔를 작동시키는 ECU, 차속에 따른 제동력 값을 읽어 그 신호를 상기 ECU에 보내는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의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릴레이1 및 릴레이2를 접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의 공압을 양방향 실린더로 보내는 체크밸브1, 제동해제시 악셀페달을 밟으면 릴레이2를 단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양방향 실린더의 공압을 배출시키는 에어벤트 홀, 에어콘을 이용시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3이 접점되어 에어콘 콤푸레셔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1차로 선제동시키게 되며, 기존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2차로 제동되어져 신속한 제동작용에 의한 초기 제동시간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제동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브레이크 드럼 2: 브레이크 슈
3: 브레이크 페달 4: 부스터
5: 매스터 실린더 6: 브레이크 실린더
10: 양방향 실린더 11: 피스톤
12: 에어콘 콤푸레셔 13: ECU
14: 브레이크페달피스톤 센서 15,16,20: 릴레이
17,21: 체크밸브 18: 에어벤트 홀
19: 에어콘 스위치 22: 악셀페달피스톤 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는, 브레이크 드럼(1)의 양 브레이크 슈(2) 사이에 설치되며 양 브레이크 슈(2)에 대향되도록 고정된 양 피스톤(11)을 구비한 양방향 실린더(10), 상기 양방향 실린더(10)에 공압을 부여하는 에어콘 콤푸레셔(12),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ECU(13), 차속에 따른 제동력 값을 읽어 그 신호를 상기 ECU(13)에 보내는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 상기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의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릴레이1(15) 및 릴레이2(16)를 접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의 공압을 양방향 실린더(10)로 보내는 체크밸브1(17), 제동해제시 악셀페달을 밟으면 악셀페달 피스톤 센서(22)에서 ECU(13)가 읽어 릴레이2(16)를 단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양방향 실린더(10)의 공압을 배출시키는 에어벤트 홀(18), 에어콘을 이용시 에어콘 스위치(19)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3(20)이 접점되어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의 값이 기준치 이상이라 함은 100Km/h 이상의 고속주행 상태임을 말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페달(3)을 밟는 속도를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ECU(13)에 보내게 되면, 상기 ECU(13)는 차속에 따른 제동력 값을 읽어 기준치 이상일 경우라고 판달될 경우, 릴레이1(15) 및 릴레이2(16)를 접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의 공압을 체크밸브1(17)을 통해 양방향 실린더(10)로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양방향 실린더(10)의 양 피스톤(11)이 양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양 브레이크 슈(2)가 양 방향으로 벌어져 브레이크 드럼(1)에 밀착되어 제동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부스터(4), 매스터 실린더(5), 브레이크 실린더(6)를 포함한 기존의 제동장치에 의해서도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1차로 선제동시키게 되며, 기존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2차로 후제동되어져 신속한 제동작용에 의한 초기 제동시간을 단축시키게 된다.
한편 제동해제시에는 악셀페달을 밟으면 악셀페달 피스톤 센서(22)에서 ECU(13)가 읽어 릴레이2(16)를 단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양방향 실린더(10)의 공압이 에어벤트 홀(18)을 통해 배출되어져 제동이 해제된다.
한편 에어콘을 이용시에는 에어콘 스위치(19)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3(20)이 접점되어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게 되고 체크밸브2(21)를 통해 에어콘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는, 에어콘 콤푸레셔의 공압을 이용한 본 발명의 장치가 1차로 선제동시키게 되며, 기존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2차로 제동되는 작용에 의해, 특히 고속주행상태에서의 제동작용을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어 초기 제동시간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제동성능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브레이크 드럼(1)의 양 브레이크 슈(2) 사이에 설치되며 양 브레이크 슈(2)에 대향되도록 고정된 양 피스톤(11)을 구비한 양방향 실린더(10), 상기 양방향 실린더(10)에 공압을 부여하는 에어콘 콤푸레셔(12),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ECU(13), 차속에 따른 제동력 값을 읽어 그 신호를 상기 ECU(13)에 보내는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 상기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의 값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릴레이1(15) 및 릴레이2(16)를 접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의 공압을 양방향 실린더(10)로 보내는 체크밸브1(17), 제동해제시 악셀페달을 밟으면 악셀페달 피스톤 센서(22)에서 ECU(13)가 읽어 릴레이2(16)를 단속시켜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양방향 실린더(10)의 공압을 배출시키는 에어벤트 홀(18), 에어콘을 이용시 에어콘 스위치(19)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3(20)이 접점되어 에어콘 콤푸레셔(12)를 작동시키는 체크밸브2(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실린더(10)는 브레이크 페달 피스톤 센서(14)의 값이 기준치 이상인 100Km/h 이상의 고속주행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KR1019960076130A 1996-12-30 1996-12-30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KR10022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130A KR100224035B1 (ko) 1996-12-30 1996-12-30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130A KR100224035B1 (ko) 1996-12-30 1996-12-30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60A KR19980056860A (ko) 1998-09-25
KR100224035B1 true KR100224035B1 (ko) 1999-10-15

Family

ID=1949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130A KR100224035B1 (ko) 1996-12-30 1996-12-30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0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555A (ko) * 1999-12-31 2001-07-11 이계안 유압작동식 주차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860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035B1 (ko) 고속주행에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장치
KR100220425B1 (ko) 보조 로테이팅 브레이크장치
KR100220424B1 (ko) 전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크 보조장치
KR100369034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67530B1 (ko) 휠브레이크드럼냉각장치
KR100224427B1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402569Y1 (ko) 차량의 보조 제동장치
KR100254992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00693602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장치
KR200213811Y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0173868B1 (ko) 자동차 주행중 시동 '오프'시의 브레이크 유압 공급장치
KR19980049130A (ko) 엔진구동식 브레이크 장치
KR0126342Y1 (ko) 자동차용 제동장치
KR970002204Y1 (ko) 유압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0178648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시동오프 방지장치
JPH06294425A (ja) ブレーキ装置
KR19990019603A (ko) 차량에서 스티어링 휠의 브레이크 시스템
KR19980085858A (ko) 자동차의 타이어 공기압조절 제동장치
KR19990025354U (ko) 개량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88335B1 (ko) 급제동시 제동답력 배력장치
KR100211706B1 (ko) 브레이크페달 연동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9980032788U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의 제동력향상구조
KR19980061149A (ko) 차량의 보조제동장치
KR19990019127U (ko) 제동거리 단축을 위한 보조브레이크장치
KR19980038332U (ko) 용적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