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673A -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673A
KR19990047673A KR1019970066177A KR19970066177A KR19990047673A KR 19990047673 A KR19990047673 A KR 19990047673A KR 1019970066177 A KR1019970066177 A KR 1019970066177A KR 19970066177 A KR19970066177 A KR 19970066177A KR 19990047673 A KR19990047673 A KR 1999004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vehicle
electric vehicle
battery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713B1 (ko
Inventor
성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7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2Gears rack and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50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60G2800/012Roll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시 롤링을 억제시키는 방향으로 배터리 팩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는 차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 트레이;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의 동력 방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 트레이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상기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롤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배터리 트레이상에서 이동시키도록 배터리 팩과 차체측에 각각 제공되는 랙과 이에 치합되어 모터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피니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선회시 배터리 팩에 의한 무게 중심 이동으로 증가되는 롤링을 억제시키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동력 발생장치에 동력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팩을 구비한다.
이 배터리 팩은 동력 발생장치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차체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 트레이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팩에 의하여 차체 중량이 크므로 배터리 트레이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 팩으로 말미암아 차량 선회시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롤링 증대로 선회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시 롤링을 억제시키는 방향으로 배터리 팩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가 적용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배터리 트레이 5:배터리 팩 7:랙 9:피니언 11:롤러 13:레일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는 차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 트레이;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의 동력 방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 트레이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상기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롤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배터리 트레이상에서 이동시키도록 배터리 팩과 차체사이에 제공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이동수단이 배터리 팩을 배터리 트레이상에서 차량의 롤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는 선회시 이동수단이 작동하여 차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팩을 이동시켜 차체가 상승하는 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가 적용된 평면도로서, 차체(1)의 하측에 설치된 배터리 트레이(3)에 배터리 팩(5)이 장착되어 있다.
즉, 배터리 트레이(3)는 배터리 팩(5)을 탑재한 상태에서 차체(1)의 하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배터리 트레이(3)에 탑재된 배터리 팩(5)은 전기자동차의 동력 방생장치(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팩(5)을 배터리 트레이(3)상에 탑재한 전기자동차는 차량의 무게가 내연기관을 장착한 차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선회시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차량의 롤링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량의 롤링을 감소시키는 구성 및 방법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이동하는 무게 중심을 안정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즉, 본 실시예는 차량 선회시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차체(1)가 상승하는 측이 있을 때, 이 쪽으로 배터리 팩(5)을 이동시켜, 차체(1)의 상승을 억제시켜 롤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 트레이(3)상에서 배터리 팩(5)을 이동시키도록 배터리 팩(5)과 차체(1)사이에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이 이동수단은 롤링을 어떠한 방법으로 감소시키느냐에 따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팩(5)을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것을 예시하므로 직선 운동하는 랙(7)과 이 랙(7)이 직선 운동하도록 모터(M)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9)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 상기 모터(M)는 별도의 제어 수단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데, 그 구체적인 것은 생략한다.
즉, 랙(7)은 배터리 팩(5)의 일측, 즉 상단에 그 길이가 차폭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배터리 팩(5)에 고정되고, 피니언(9)은 이 랙(7)에 치합되고 모터(M)와 함께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한편,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른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차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배터리 팩(5)이 더욱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배터리 팩(5)과 배터리 트레이(3)상에는 가이드 수단이 제공된다.
이 가이드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1)와 레일(13)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11)는 배터리 팩(5)의 하측에 설치되고, 레일(13)은 이 롤러(11)의 대향측 배터리 트레이(3)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은 배터리 팩(5)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전후방에 복수 설치되고, 롤러(11)는 상기 레일(13)의 일측에 각각 복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로 주행하게 되면, 차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15,17)에 의하여 바퀴(19,21)상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전기자동차로 선회 주행하게 되면(도 4에서 좌측으로 선회한다고 가정), 차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반경의 외측(우측)으로 기울게 된다.
따라서 차체(1)의 일측(좌측)은 상승되어 차량의 무게 중심이 선회 외측(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모터(M)을 작동시키면, 피니언(9)이 구동되어 이에 치합된 랙(7)을 선회 내측(좌측)으로 이동시켜 결국 배터리 팩(5)을 선회 내측(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하중이 증대되는, 즉 선회 방향의 내측인 차체(1)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므로 차체(1)는 보다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어 롤링을 감소시킨다(적어도 배터리 팩(5)에 의하여 선회 외측으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발생되는 차량의 롤링부분만큼).
상기와 같은 선회 운행 완료시에는 모터(M)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배터리 팩(5)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3)이 배터리 트레이(3)상에서 차폭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배터리 팩(3)의 하측에 설치된 롤러(11)는 레일(13)의 지지를 받으면서 원활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이동수단이 배터리 팩을 이동시켜 차량의 롤링을 감소시키므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선회시 이동수단이 작동하여 차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배터리 팩을 이동시켜 차체가 상승하는 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므로 차량의 롤링을 감소시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4)

  1. 차체의 하측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 트레이;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의 동력 방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배터리 트레이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
    상기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롤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 팩을 상기 배터리 트레이상에서 이동시키도록 배터리 팩과 차체사이에 제공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배터리 팩을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랙;
    상기 랙에 치합되어 이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에 설치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터리 팩이 배터리 트레이상에서 차폭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과 배터리 트레이상에 형성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배터리 팩의 하측에 설치된 롤러;
    상기 롤러의 대향측 배터리 트레이상에 설치된 레일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KR1019970066177A 1997-12-05 1997-12-05 전기자동차롤링저감장치 KR100302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177A KR100302713B1 (ko) 1997-12-05 1997-12-05 전기자동차롤링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177A KR100302713B1 (ko) 1997-12-05 1997-12-05 전기자동차롤링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673A true KR19990047673A (ko) 1999-07-05
KR100302713B1 KR100302713B1 (ko) 2001-11-22

Family

ID=3752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177A KR100302713B1 (ko) 1997-12-05 1997-12-05 전기자동차롤링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364B2 (en) 2015-08-21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Balanc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22113197A1 (de) 2022-05-25 2023-11-30 Audi Aktiengesellschaft Elektrofahrzeug und Balancieren eines Elektro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364B2 (en) 2015-08-21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Balanc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22113197A1 (de) 2022-05-25 2023-11-30 Audi Aktiengesellschaft Elektrofahrzeug und Balancieren eines Elektro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713B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6465A1 (en) Chassis for electric vehicles
US20060151220A1 (en) Apparatus capable of running using electric wheels
EP1034956A3 (e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motor control unit in a hybrid vehicle
KR940018285A (ko) 전동차량
DE69902991T2 (de) Angetriebenes trittbett als modul
JP2003246284A (ja) 電気自動車のスタンド装置
PL393689A1 (pl) Urządzenie napędowe do pojazdu hybrydowego
JP3069096B1 (ja) 電動車両
KR19990047673A (ko) 전기자동차 롤링 저감장치
CN109959520A (zh) 一种测试用目标车辆高速移动底盘
JPH02117476A (ja) 車輌の可動式リヤスポイラー
CN215828284U (zh) 一种丝杠螺母双驱动举升式agv小车
CN116395047A (zh) 一种山地适用的车载吊装系统光伏板安装车及其使用方法
JP7235414B2 (ja) 電動車両
KR100314457B1 (ko) 전기자동차의무게중심자동조절장치
EP0786277B1 (en) Improvements in toy electric cars which can travel on tracks with guide grooves
JP200113088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機器配置構造
CN219192081U (zh) 一种太阳能车载导航仪
KR0150319B1 (ko) 자동차의 흙받이 높이조절장치
CN219585758U (zh) 一种具有顶升机构的agv小车
JP2005329821A (ja) 車両の前部構造
FR2256649A6 (en) Propulsion system for an automobile - has auxiliary wheels driving dynamos powering batteries or compressors
CN116995855A (zh) 一种环卫专用车齿轮齿条电磁馈能装置
JP2024043045A (ja) 車両
CN209813768U (zh) 汽车座椅调整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