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445A - 자동시스템을갖춘절삭공구의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시스템을갖춘절삭공구의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445A
KR19990046445A KR1019990008454A KR19990008454A KR19990046445A KR 19990046445 A KR19990046445 A KR 19990046445A KR 1019990008454 A KR1019990008454 A KR 1019990008454A KR 19990008454 A KR19990008454 A KR 19990008454A KR 19990046445 A KR19990046445 A KR 1999004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enter
shaft
predetermi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564B1 (ko
Inventor
정태일
Original Assignee
정태일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일,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태일
Priority to KR101999000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5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절삭공구을 정밀하게 다듬질하기 위하여 자동시스템으로 작동되게 구성된 절삭공구의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공작물이 하나씩 설정된 위치에 자동 배출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공급수단과, 상기 공작물공급수단에서 배출되어 낙하된 공작물을 받아 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수평 이동되게 왕복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이송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의 이동이 완료되면 선단부에 주축센터 및 슬라이드링이 구비된 중심의 실린더축이 함께 전/후진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주축대구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링의 전/후진시 외주면 일측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설정 각도가 변경되고, 이에 탄성적으로 가변 작동되는 집게블록이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이동된 공작물을 척킹 또는 척킹해제되도록 상호 연결 형성된 공작물척킹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이 이동완료 및 주축대구동수단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의 집게블록 중앙에 공작물이 설정범위에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심압센터축이 공작물을 푸싱 하여 왕복 작동되게 형성된 심압대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절삭공구를 전자동으로 연삭가공 공정이 가능하여 무인화 연삭작업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위의 시간과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단축 내지는 생략되어 생산가공의 효율성이 극대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 및 인건비 등이 절감되어 단시간 내에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연삭가공의 정밀도가 높아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여 제품에 대한 상품성 및 신뢰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Grinding attachment of a cutting tool making preparations for automatic system}
본 발명은 원통형의 절삭공구을 정밀하게 다듬질하기 위하여 자동시스템으로 작동되게 구성된 절삭공구의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공대상의 절삭공구를 자동으로 공급 및 견고하게 척킹(chucking)한 후 그 외주면을 연삭가공(硏削加工)하여 자동으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이루어져, 상기 가공대상물만 공급되면 전자동으로 무인 연삭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시간,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단축되어 원가 및 인건비 등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한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cutting tools)는 절삭가공(cutting work)시에 사용되는 가공용 도구로, 선반(旋盤) 또는 드릴링, 밀링 및 태핑 머신 등의 평삭기계, 기타 공작기계 등에서 공작물 절삭에 사용하는 바이트, 밀링커터, 드릴, 호브, 리머, 탭등의 공구들은 전체 또는 일부분이 공구용 특수강 및 탄소 공구강(炭素工具鋼), 고속도강(高速度鋼) 또는 초경합금(超硬合金)등 비교적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크며 인성이 크고 열처리가 용이한 것 등의 특성을 갖춘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 졌다.
이러한, 절삭공구는 가공할 공작물을 용이하게 절삭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그 절삭공구의 핵심 부분은 절삭날에 있다. 따라서, 절삭공구는 기본적으로 절삭날의 각도, 즉 각종 면들이 상호 이루는 각도와 여유각, 날끝각, 형상 및 모양 등은 물론 절삭날을 정밀하게 연삭하고 다듬질하는 마무리 가공작업에 따라 양질의 절삭공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통형상의 절삭공구인 공작물을 연삭가공 처리하기 위한 종래 절삭공구의 수동식 연삭장치를 도 7 내지 도 9a, 9b를 참고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작물(W)의 형상 및 모양에 따른 연삭가공 작업은 먼저, 연삭가공 대상의 공작물(W)이 원형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에 다각형의 홀더체결면(W1)이 형성된 것은, 공작물 파지구(20)를 이용하는 작업방법이 있으며, 연삭가공 대상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칩 배출홈(W2)이 형성된 것은, 주축대(10)의 회전면판(11)에 끼워져 함께 회동되게 결합되도록 설정형상으로 이루어진 구동핀(12)들을 선택 교체하여 행하는 작업방법이 있다.
첫 번째, 공작물 파지구(20)를 이용한 작업방법은 일면에 소정각도를 유지하면서 개구된 수용홈(21)에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 일단부에 조임 및 풀림 가능하게 형성된 나비볼트(22)를 선택 조절하여 상기 공작물(W)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주축대(10)의 주축센터(13)와 심압대(30)의 심압센터(31) 사이에 정위치 시킨 후 심압대(30)를 조절하여 주축 및 심압센터(13, 31)의 양끝단에 정 위치된 상기 공작물(W)의 양단면 중앙에 밀착 고정하여 척킹시킨다.
여기서 주축대(10)의 회전면판(11)에 끼워져 고정된 구동핀(12)이 상기 공작물 파지구(20)와 상호 접촉되고, 이때 회전면판(11)의 구동력이 구동핀(12) 및 공작물 파지구(20)를 통해 공작물(W)까지 동력이 전달되어 함께 회동되어 연삭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두 번째, 구동핀(12)들을 선택 교체하여 행하는 작업방법은 주축센터(13)와 심압센터(31) 사이에 공작물(W)을 정 위치시켜 심압대(30)를 조정하여 상기 공작물(W)을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주축대(10)의 회전면판(11)에 일단이 끼워져 고정된 구동핀(12) 타단이 공작물(W)의 칩 배출홈(W2)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면판(11) 회동시 상기 센터 사이에 척킹된 공작물(W)도 함께 회동됨과 동시에 연삭숫돌(40)도 회동되어 수동에 의한 연삭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동식 연삭장치는 연삭가공처리 공정 전체가 하나하나 작업자가 직접 조립 및 조작하여 세팅한 다음 연삭가공 작업이 수행되므로, 연삭작업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위의 시간과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증대되어 생산가공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성 및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고가의 생산유지관리비 및 인건비 등에 의해 생산원가도 함께 상승됨과 동시에 단시간 내에 제품의 대량생산이 불가함과 연삭가공의 정밀도가 떨어져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하여 제품에 대한 상품성 및 신뢰성 등이 함께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통형의 공작물을 전자동으로 공급 및 척킹한 후 그 외주면을 연삭가공 처리한 다음 자동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적재되게 구성되어 전자동으로 무인 연삭가공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단위의 시간,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단축되어 생산원가 및 인건비 등을 대폭 절감됨은 물론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축대구동부 및 공작물척킹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a, 2b는 본 발명 슬라이드링의 작동에 따라 공작물척킹부의 중간연결체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 중간연결체의 크랭크암의 작동됨에 의해 집게블록이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작물공급부 및 이송부가 상호 작동되는 상태 및 가공작업이 완료된 후 배출가이드부를 통해 공작물이 적재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주축대구동부 및 심압대구동부 사이에 공작물이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 공작물척킹부의 집게블록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 상태 측단면도,
도 7은 종래 수동식 연삭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종래 연삭장치의 주축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a, 9b는 종래 연삭장치에 의해 연삭가공할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공작물 파지구 및 회전면판의 구동핀을 선택 체결하여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공작물공급부, 110-호퍼(hopper),
111-수용공간, 120-공급로울러,
130-로울러구동부, 200-공작물이송부,
210-하우징, 220-푸싱구동부,
221-제1푸시로드, 230-공작물받이구,
231-안취홈, 300-주축대구동부,
310-스핀들축, 311-축공,
312-주축센터, 313-센터삽지홀,
314-핀가이드홀, 315-제한턱,
316-풀리(pulley), 317-중심체,
320-실린더축, 321-핀연결구멍,
322-결합홀, 330-주축실린더,
331-제2푸시로드, 340-슬라이드링,
341-접촉안내면, 342-안착홀,
343-연결핀, 344-핀끼움홀,
350-회전면판부, 351-센터커버,
400-공작물척킹부, 410-중간연결체,
411-베어링, 412-크랭크축,
413-슬리브(sleeve), 420-크랭크암,
430-집게블록, 431-각부집게,
432-탄성체, 433-탄성지지체,
434-캠작동홀, 435-크랭크핀,
436-걸이홈, 437-조절볼트도그,
438-인장스프링, 440-블록작동체,
441-캠(cam), 442-캠커버,
500-심압대구동부, 510-심압센터축,
520-심압축실린더, 521-제3푸시로드,
600-배출가이드부, 700-연삭숫돌,
W-공작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공작물이 하나씩 설정된 위치에 자동 배출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공급수단과, 상기 공작물공급수단에서 배출되어 낙하된 공작물을 받아 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수평 이동되게 왕복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이송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의 이동이 완료되면 선단부에 주축센터 및 슬라이드링이 구비된 중심의 실린더축이 함께 전/후진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주축대구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링의 전/후진시 외주면 일측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설정 각도가 변경되고, 이에 탄성적으로 가변 작동되는 집게블록이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이동된 공작물이 척킹 또는 척킹해제되도록 상호 연결 형성된 공작물척킹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이 이동완료 및 주축대구동수단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의 집게블록 중앙에 공작물이 설정범위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심압센터축이 공작물을 푸싱 하여 왕복 작동되게 형성된 심압대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주축대구동수단의 주축센터와 심압대구동수단의 심압센터축 사이공간의 직하부(直下部)에서 지정된 장소까지 연삭가공이 완료되어 낙하되는 공작물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적재(積載)되도록 배출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작물공급수단은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대략 나팔관 형상의 상광하협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내부에 일정수량이 공급되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된 호퍼와, 외주 일면에 공작물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입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내부 하단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링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공급로울러와, 상기 공급로울러가 설정된 범위까지 회동되도록 동력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된 로울러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울러는 원통형상으로 외주 일면에 형성된 입출홈이 하나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출홈이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도록 크기가 가변 가능하게 이루어져 선택 조절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공작물이송수단은 상기 호퍼의 외측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설정된 거리까지 수평 왕복 작동되게 제1푸시로드가 구비된 푸싱구동부와, 상기 푸싱구동부의 제1푸시로드의 선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소정의 안취홈이 형성된 공작물받이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축대구동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축공이 관통되며 선단부 중심에 주축센터가 삽입되게 대응되는 센터삽지홀이 형성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관통된 핀가이드홀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제한턱이 돌출 형성되어 중심체에 삽입되게 형성된 스핀들축과, 상기 스핀들축의 축공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왕복되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 관통된 핀연결구멍이 형성되며 후단에 직경이 확대되어 끝단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실린더축과, 상기 실린더축의 결합홀에 선단이 끼워져 상호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제2푸시로드가 수평으로 푸싱 왕복되게 후단부에 내설된 주축실린더와, 상기 스핀들축 선단부가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설정된 각도에 따라 경사진 접촉안내면이 이루어진 안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핀들축의 핀가이드홀 및 실린더축의 핀연결구멍에 소정의 연결핀이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핀끼움홀이 형성된 슬라이드링과, 상기 스핀들축의 외측 중간부분 일면을 감싸며 내부로 절삭유 및 불순물의 유입을 막아주는 센터커버가 형성되며, 이 커버의 연부 내측와 상호 연결되어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면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은 회동이 원활하게 소정의 베어링이 구비되고, 그 베어링과 상호 연결 고정된 크랭크축 일단이 외부로 수평 연장되고 함께 슬리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대구동수단의 회전면판부 외측 설정면에 상호 맞대응되게 각각 부착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중간연결체와, 상기 중간연결체의 크랭크축 중간부분에 일단이 상호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링의 작동에 의해 접촉안내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홀에 수용된 크랭크암과, 동일 형상 및 모양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져, 그 중앙에 한 쌍의 각부집게가 각각 수용되어 체결 고정되고, 이 각부집게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 양측면에 각각 한 쌍의 탄성지지체가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소정길이 및 폭으로 캠작동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집게블록과, 상기 중간연결체의 크랭크축 선단이 중앙에 삽지 고정되도록 일단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집게블록의 캠작동홀에 끼워져 일정범위 회동되도록 대응형상의 캠이 형성되며 상기 캠작동홀에서 캠이 이탈되지 않도록 캠커버가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블록작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심압대구동수단은 일정길이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의 공작물받이구에 놓여진 공작물의 일측면을 설정길이 밀어줌과 동시에 척킹되게 형성된 심압센터축과, 상기 심압센터축의 타단에 제3푸시로드의 선단이 상호 연결되어 설정된 지점까지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심압축실린더와, 상기 심압센터축의 왕복이동시 안내함과 동시에 축의 외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심압축실린더가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 심압대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통형 절삭공구를 전자동으로 연삭가공 공정이 가능하여 무인화 연삭작업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위의 시간과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단축 내지는 생략되어 생산가공의 효율성이 극대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 및 인건비 등이 절감되어 단시간 내에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연삭가공의 정밀도가 높아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여 제품에 대한 상품성 및 신뢰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축대구동부 및 공작물척킹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 슬라이드링의 작동에 따라 공작물척킹부의 중간연결체가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 중간연결체의 크랭크암의 작동됨에 의해 집게블록이 작동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공작물공급부 및 이송부가 상호 작동되는 상태 및 가공작업이 완료된 후 배출가이드부를 통해 공작물이 적재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주축대구동부 및 심압대구동부 사이에 공작물이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111)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공작물(W)이 하나씩 설정된 위치에 자동 배출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공급부(100)와, 상기 공작물공급부(100)에서 배출되어 낙하된 공작물(W)을 받아 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수평 이동되게 왕복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이송부(200)와, 상기 공작물이송수단(200)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W)의 이동이 완료되면 선단부에 주축센터(312) 및 슬라이드링(340)이 구비된 중심의 실린더축(320)이 함께 전/후진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주축대구동부(300)와, 상기 슬라이드링(340)의 전/후진시 외주면 일측에 경사진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되어 설정 각도가 변경되고, 이에 탄성적으로 가변 작동되는 집게블록(430)이 대응되게 작동되어 상기 공작물이송부(200)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이동된 공작물(W)을 척킹 또는 척킹해제되도록 상호 연결 형성된 공작물척킹부(400)와, 상기 공작물이송부(200)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W)이 이동완료 및 주축대구동부(300)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공작물척킹부(400)의 집게블록(430) 중앙에 공작물(W)이 설정범위에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심압센터축(510)이 공작물(W)을 푸싱 하여 왕복 작동되게 형성된 심압대구동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축대구동부(300)의 주축센터(312) 및 심압대구동부(500)의 심압센터축(510) 사이공간의 직하부에서 지정된 장소까지 연삭가공이 완료되어 낙하되는 공작물(W)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적재되도록 배출가이드부(6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작물공급부(100)는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대략 나팔관 형상의 상광하협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내부에 일정수량이 공급되도록 수용공간(111)이 구비된 호퍼(110)와, 외주 일면에 공작물(W)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입출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110)의 내부 하단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링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공급로울러(120)와, 상기 공급로울러(120)가 설정된 범위까지 회동되도록 동력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된 로울러구동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울러(120)는 원통형상으로 외주 일면에 형성된 입출홈(121)이 하나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출홈(121)이 공작물(W)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도록 크기가 가변 가능하게 이루어져 선택 조절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공작물이송부(200)는 상기 호퍼(110)의 외측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설정된 거리까지 수평으로 왕복 작동되게 제1푸시로드(221)가 구비된 푸싱구동부(220)와, 상기 푸싱구동부(220)의 제1푸시로드(221)의 선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소정의 안취홈(231)이 형성된 공작물받이구(23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축대구동부(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축공(311)이 관통되며 선단부 중심에 주축센터(312)가 삽입되게 대응되는 센터삽지홀(313)이 형성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관통된 핀가이드홀(314)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제한턱(315)이 돌출 형성되어 외측에 풀리(316)가 회동되게 구비된 중심체(317)에 삽입되게 형성된 스핀들축(310)과, 상기 스핀들축(310)의 축공(311)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왕복되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 관통된 핀연결구멍(321)이 형성되며 후단에 직경이 확대되어 끝단 중앙에 결합홀(322)이 형성된 실린더축(320)과, 상기 실린더축(320)의 결합홀(322)에 선단이 끼워져 상호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제2푸시로드(331)가 수평으로 푸싱되어 왕복되게 후단부가 내설된 주축실린더(330)와, 상기 스핀들축(310) 선단부가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설정된 각도에 따라 경사진 접촉안내면(341)이 이루어진 안착홀(242)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핀들축(310)의 핀가이드홀(314) 및 실린더축(320)의 핀연결구멍(321)에 소정의 연결핀(343)이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핀끼움홀(344)이 형성된 슬라이드링(340)과, 상기 스핀들축(310)의 외측 중간부분 일면을 감싸며 내부로 절삭유 및 불순물의 유입을 막아주는 센터커버(351)가 형성되며, 이 커버의 연부 내측와 상호 연결되어 상기 풀리(316)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면판부(3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작물척킹부(400)는 회동이 원활하게 소정의 베어링(411)이 구비되고, 그 베어링(411)과 상호 연결 고정된 크랭크축(412) 일단이 외부로 수평 연장되고 함께 슬리브(4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대구동부(300)의 회전면판부(350) 외측 설정면에 상호 맞대응되게 각각 부착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중간연결체(410)와, 상기 중간연결체(410)의 크랭크축(412) 중간부분에 일단이 상호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링(340)의 작동에 의해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홀(342)에 수용된 크랭크암(420)과, 동일 형상 및 모양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져, 그 중앙에 한 쌍의 각부집게(431)가 각각 수용되어 체결 고정되고, 이 각부집게(431)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 양측면에 탄성체(432)가 구비된 각각 한 쌍의 탄성지지체(433)가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소정길이 및 폭으로 캠작동홀(43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집게블록(430)과, 상기 중간연결체(410)의 크랭크축(412) 선단이 중앙에 삽지 고정되도록 일단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집게블록(430)의 캠작동홀(434)에 끼워져 일정범위 회동되도록 대응형상의 캠(441)이 형성되며 상기 캠작동홀(434)에서 캠(441)이 이탈되지 않도록 캠커버(442)가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블록작동체(4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심압대구동부(500)는 일정길이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공작물이송부(200)의 공작물받이구(230)에 놓여진 공작물(W)의 일측면을 설정길이 밀어줌과 동시에 척킹되게 형성된 심압센터축(510)과, 상기 심압센터축(510)의 타단에 제3푸시로드(521)의 선단이 상호 연결되어 설정된 지점까지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심압축실린더(520)와, 상기 심압센터축(510)의 왕복이동시 안내함과 동시에 축의 외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심압축실린더(520)가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 심압대하우징(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공작물척킹부(400)의 집게블록(430)은 첨부도면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 상태 측단면도를 예시한 것으로, 집게블록(430)은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축(412)이 끼워져 상호 결합되게 형성되며 타단부 및 중간부에 걸이홈(436)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크랭크핀(435)과, 공작물(W)에 따라 선택적으로 대응되게 가변 조정되도록 상기 크랭크핀(435)들의 걸이홈(436)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조절볼트도그(437)와,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435)들의 걸이홈(436)들에 양측단이 각각 탄성적으로 상호 결합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핀(435)이 설정된 간격에서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인장스프링(438)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작물(W)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것을 척킹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중간연결체(410)의 크랭크축(412)에 각각 상호 결합된 한 쌍의 크랭크암(420)이 슬라이드링(340)의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일정각도 사선으로 경사져 위치되게 한 쌍의 크랭크핀(435)이 동일한 위치 상태로 각각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크랭크암(420)의 회동에 따라 크랭크축(412)의 선단에 연결된 크랭크핀(435)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동되어 한 쌍의 조절볼트도그(437)가 공작물(W)을 척킹 또는 척킹해제되게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호퍼(110) 내부의 수용공간(111)에 연삭가공 처리할 다량의 공작물(W)을 적당하게 공급시킨 후 작업자가 설정된 작동버튼을 온(ON)시키면 상기 로울러구동부(130)에 의해 공급로울러(120)가 회동되고, 이때 공급로울러(120)의 입출홈(121)에 수용된 하나의 공작물(W)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설정된 위치에 반복 낙하되도록 상기 공작물공급부(100)가 자동으로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공작물공급부(100)에서 낙하된 공작물(W)이 상기 공작물이송부(200)의 공작물받이구(230) 안취홈(231)에 안착된 후 수평상태로 전/후 왕복 작동되는 상기 푸싱구동부(220)의 제1푸시로드(221)에 의해 공작물받이구(230) 상부에 안착된 공작물(W)을 설정된 위치까지, 즉 주축대구동부(300)의 주축센터(312) 및 심압대구동부(500)의 심압센터축(510)의 정 중앙위치에 놓여지도록 작동된다.
또한 연삭가공 처리할 임의 공작물(W)이 정 위치되면 상기 주축대구동부(300)의 주축실린더(330)가 작동되고, 이에 제2푸시로드(331)에 연결된 실린더축(320)이 수평상태의 횡측방향으로 설정거리 후퇴하고, 이때 스핀들축(310)의 선단에 위치된 슬라이드링(340)이 핀가이드홀(314)의 범위 내에서 후퇴되므로, 상기 공작물척킹부(400)의 크랭크암(420)의 타단이 슬라이드링(340)의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크랭크암(42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회동되어 상기 크랭크축(412)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집게블록(430)이 작동된다.
상기 크랭크축(412)의 회동에 따라, 그 선단에 취부된 블록작동체(440)가 캠작동홀(434) 내에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집게블록(430)이 탄성적으로 일정간격 확장된 상태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심압대실린더(520)의 제3푸시로드(521)가 작동되어 심압센터축(510)이 수평상태 횡측으로 설정거리 푸싱되어 상기 공작물받이구(230)의 안취홈(231)에 안착된 공작물(W)을 상기 집게블록(430)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각부집게(431) 사이로 공작물(W)의 일부가 삽입 수용되어 위치되고 상기 주축대구동부(300)가 원상태로 복원 작동되어 척킹되므로, 상기 공작물(W)이 집게블록(430)의 각부집게(431)에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주축센터(312) 및 심압센터축(510) 사이에 위치되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이러한, 자동시스템에 의해 공작물(W)이 탄성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척킹되므로, 연삭숫돌(700)에 의해 공작물(W)이 원활하게 연삭가공 처리된다.
상기 공작물(W)이 연삭가공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주축대구동부(300)의 주축실린더(330)가 다시 작동되고, 이에 제2푸시로드(331)에 연결된 실린더축(320)이 수평상태의 횡측방향으로 설정거리 후퇴하고, 이때 스핀들축(310)의 선단에 위치된 슬라이드링(340)이 후퇴되면 상기 공작물척킹부(400)의 크랭크암(420)의 타단이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크랭크축(412)도 함께 회동되어 상기 집게블록(430)이 확장되고 상기 심압축실린더(520)의 작동에 의해 공작물(W)에 가압중이던 심압센터축(510)이 후퇴됨으로 척킹상태가 완전 해제되므로, 가공된 공작물(W)이 직하방으로 낙하되고, 이는 다시 배출가이드부(600)를 따라 이동되어 소정의 적재대에 순차적으로 정렬 적재된다.
따라서, 다량의 공작물(W)을 단시간 내에 손쉽고 편리하게 무인화로 공작물(W)을 자동시스템에 의해 신속하게 연삭가공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절삭공구를 전자동으로 연삭가공 공정이 가능하여 무인화 연삭작업에 따라 제품의 생산단위의 시간과 불필요한 공정 및 작업이 단축 내지는 생략되어 생산가공의 효율성이 극대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원가 및 인건비 등이 절감되어 단시간 내에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연삭가공의 정밀도가 높아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여 제품에 대한 상품성 및 신뢰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111)으로 이루어져 공급된 공작물(W)이 하나씩 설정된 위치에 자동 배출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공급수단과,
    상기 공작물공급수단에서 배출되어 낙하된 공작물(W)을 받아 이를 설정된 위치까지 자동으로 수평 이동되게 왕복 작동되도록 형성된 공작물이송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W)의 이동이 완료되면 선단부에 주축센터(312) 및 슬라이드링(340)이 구비된 중심의 실린더축(320)이 함께 전/후진되게 작동되도록 형성된 주축대구동수단과,
    상기 슬라이드링(340)의 전/후진시 외주면 일측에 경사진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되어 설정 각도가 변경되고, 이에 탄성적으로 가변 작동되는 집게블록(430)이 대응되게 확장 또는 복귀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이동된 공작물(W)을 척킹 또는 척킹해제되도록 상호 연결 형성된 공작물척킹수단과,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에 의해 설정위치까지 공작물(W)이 이동완료 및 주축대구동수단의 작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의 집게블록(430) 중앙에 공작물(W)이 설정범위에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심압센터축(510)이 공작물(W)을 푸싱하여 왕복 작동되게 형성된 심압대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공급수단은 상/하단이 각각 개구되고 대략 나팔관 형상의 상광하협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내부에 일정수량이 공급되도록 수용공간(111)이 구비된 호퍼(110)와,
    외주 일면에 공작물(W)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입출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110)의 내부 하단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링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 공급로울러(120)와,
    상기 공급로울러(120)가 설정된 범위까지 회동되도록 동력이 공급되게 상호 연결된 로울러구동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은 상기 호퍼(110)의 외측에 일단이 부착 고정되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설정된 거리까지 수평으로 왕복 작동되게 제1푸시로드(221)가 구비된 푸싱구동부(220)와,
    상기 푸싱구동부(220)의 제1푸시로드(221)의 선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면에 소정의 안취홈(231)이 형성된 공작물받이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구동수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축공(311)이 관통되며 선단부 중심에 주축센터(312)가 삽입되게 대응되는 센터삽지홀(313)이 형성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관통된 핀가이드홀(314)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제한턱(315)이 돌출 형성되어 외측에 풀리(316)가 회동되게 구비된 중심체(317)에 삽입되게 형성된 스핀들축(310)과,
    상기 스핀들축(310)의 축공(311)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왕복되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 관통된 핀연결구멍(321)이 형성되며 후단에 직경이 확대되어 끝단 중앙에 결합홀(322)이 형성된 실린더축(320)과,
    상기 실린더축(320)의 결합홀(322)에 선단이 끼워져 상호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제2푸시로드(331)가 수평으로 푸싱되어 왕복되게 후단부에 내설된 주축실린더(330)와,
    상기 스핀들축(310) 선단부가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 일측에 설정된 각도에 따라 경사진 접촉안내면(341)이 이루어진 안착홀(242)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핀들축(310)의 핀가이드홀(314) 및 실린더축(320)의 핀연결구멍(321)에 소정의 연결핀(343)이 삽지되도록 대응되게 핀끼움홀(344)이 형성된 슬라이드링(340)과,
    상기 스핀들축(310)의 외측 중간부분 일면을 감싸며 내부로 절삭유 및 불순물의 유입을 막아주는 센터커버(351)가 형성되며, 이 커버의 연부 내측와 상호 연결되어 상기 풀리(316)의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면판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은 회동이 원활하게 소정의 베어링(411)이 구비되고, 그 베어링(411)과 상호 연결 고정된 크랭크축(412) 일단이 외부로 수평 연장되고 함께 슬리브(4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대구동부(300)의 회전면판부(350) 외측 설정면에 상호 맞대응되게 각각 부착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중간연결체(410)와,
    상기 중간연결체(410)의 크랭크축(412) 중간부분에 일단이 상호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링(340)의 작동에 의해 접촉안내면(34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홀(342)에 수용된 크랭크암(420)과,
    동일 형상 및 모양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져, 그 중앙에 한 쌍의 각부집게(431)가 각각 수용되어 체결 고정되고, 이 각부집게(431)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 양측면에 탄성체(432)가 구비된 각각 한 쌍의 탄성지지체(433)가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소정길이 및 폭으로 캠작동홀(43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집게블록(430)과,
    상기 중간연결체(410)의 크랭크축(412) 선단이 중앙에 삽지 고정되도록 일단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집게블록(430)의 캠작동홀(434)에 끼워져 일정범위 회동되도록 대응형상의 캠(441)이 형성되며 상기 캠작동홀(434)에서 캠(441)이 이탈되지 않도록 캠커버(442)가 체결 고정되게 형성된 블록작동체(4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압대구동수단은 일정길이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공작물이송수단의 공작물받이구(230)에 놓여진 공작물(W)의 일측면을 설정길이 밀어줌과 동시에 척킹되게 형성된 심압센터축(510)과,
    상기 심압센터축(510)의 타단에 제3푸시로드(521)의 선단이 상호 연결되어 설정된 지점까지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 심압축실린더(520)와,
    상기 심압센터축(510)의 왕복이동시 안내함과 동시에 축의 외면 전체가 커버링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심압축실린더(520)가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된 심압대하우징(5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척킹수단의 집게블록(430)은 일단부가 상기 크랭크축(412)이 끼워져 상호 결합되게 형성되며 타단부 및 중간부에 걸이홈(436)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크랭크핀(435)과,
    공작물(W)에 따라 선택적으로 대응되게 가변 조정되도록 상기 크랭크핀(435)들의 걸이홈(436)들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조절볼트도그(437)와,
    상기 한 쌍의 크랭크핀(435)들의 걸이홈(436)들에 양측단이 각각 탄성적으로상호 결합 고정되어 상기 크랭크핀(435)이 설정된 간격에서 탄력적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인장스프링(4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구동수단의 주축센터(312)와 심압대구동수단의 심압센터축(510) 사이공간의 직하부에서 지정된 장소까지 연삭가공이 완료되어 낙하되는 공작물(W)이 원활하게 안내되어 적재되도록 배출가이드부(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울러(120)는 원통형상으로 외주 일면에 형성된 입출홈(121)이 하나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출홈(121)이 공작물(W)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도록 크기가 가변 가능하게 이루어져 선택 조절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KR1019990008454A 1999-03-13 1999-03-13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KR10028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54A KR100287564B1 (ko) 1999-03-13 1999-03-13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454A KR100287564B1 (ko) 1999-03-13 1999-03-13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445A true KR19990046445A (ko) 1999-07-05
KR100287564B1 KR100287564B1 (ko) 2001-04-16

Family

ID=3751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454A KR100287564B1 (ko) 1999-03-13 1999-03-13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010B1 (ko) 2019-02-26 2019-05-09 현일균 절삭공구용 연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564B1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075B2 (en) Composite NC lathe
EP0552425B1 (en) Camshaft boring machining method and apparatus
US6997656B2 (en) Device and assembly for holding an object
CN107877239B (zh) 一种直型工件转体180度翻转装夹加工机械手装置
JP2005047002A (ja) センタリングマシン
JP5116688B2 (ja) 内部切削加工用切削工具の送り装置
KR100287564B1 (ko)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US6119330A (en) Fully automatic cutting metal-working machine
KR100191290B1 (ko) 슬롯팅 기계
CN109848448A (zh) 一种用于拖拉机壳体背面加工的刀具及加工方法
CN214392359U (zh) 桌面车床
JP3621043B2 (ja) Nc旋盤による傾斜穴加工方法、傾斜穴加工用nc旋盤及びnc旋盤に使用される傾斜穴加工用チャック
US4105361A (en) Machine tool having quill control means
JPH03117501A (ja) 軸物専用工作機械
CN219967567U (zh) 一种陶瓷梳齿圆锥角磨削的上下料装置及磨床
JP4605936B2 (ja) 同一円周上の複数箇所の旋削加工方法
CN217167409U (zh) 一种中心打孔及倒角两用装置
EP1203634B1 (en) Transfer type machine tool
KR890005636Y1 (ko) 선반에 있어서 피스턴 핀구멍의 테이퍼 가공장치
CN211103034U (zh) 一种麻花钻倒头车床
CN217619479U (zh) 一种轴类零件的自动外圆磨床
JP2002346802A (ja) 棒状被削材の切削加工方法及び装置
JP2003200302A (ja) 2主軸対向旋盤における偏心ワークの加工方法
JPH05277857A (ja) 加工ユニット
KR20040075669A (ko) 공작기계용 탭핑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