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10B1 - 절삭공구용 연삭기 - Google Patents

절삭공구용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10B1
KR101977010B1 KR1020190022593A KR20190022593A KR101977010B1 KR 101977010 B1 KR101977010 B1 KR 101977010B1 KR 1020190022593 A KR1020190022593 A KR 1020190022593A KR 20190022593 A KR20190022593 A KR 20190022593A KR 101977010 B1 KR101977010 B1 KR 10197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l
grinding
holder unit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일균
Original Assignee
현일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일균 filed Critical 현일균
Priority to KR102019002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절삭공구의 연삭과 그 가공된 형태 관찰을 이동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절삭공구의 일단을 파지하는 홀더유닛과, 상기 홀더유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연삭숫돌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홀더유닛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며 연삭숫돌을 통해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과 연삭숫돌 사이의 상측에서 하방에 위치한 절삭공구의 형태를 확대하여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관찰유닛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연삭작업을 하면서 수시로 절삭공구의 연삭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삭공구용 연삭기{Grinding machine for cutting tools}
본 발명은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삭공구의 연삭된 형태를 손쉽게 관찰할 수 있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공구란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가공용 도구로써, 선반 또는 드릴링 머신, 밀링 머신 등에서 공작물 절삭에 사용하는 바이트, 밀링커터, 드릴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절삭공구는 전체 또는 일부가 공구용 특수강, 탄소공구강, 초경합금 등 비교적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큰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절삭공구는 가공할 공작물을 용이하게 절삭하기 위한 것으로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삭공구는 절삭날의 각도, 즉 각종 면들이 상호 이루는 각도와 여유각, 날끝각, 형상 및 모양 등을 정밀하게 연삭하고 다듬질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절삭공구의 품질이 결정된다.
절삭공구에 절삭날을 가공하기 위하여 연삭기가 사용되며, 상기 연삭기는 작업자가 절삭날의 형태를 관찰하며 가공하는 수동식 연삭기와, 입력된 절삭날의 형태에 따라 절삭날을 가공하는 자동식 연삭기로 나뉘어진다.
자동식 연삭기의 경우 작업자의 수고를 덜 수 있고 대량의 절삭공구를 신속하게 가공/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절삭공구 등에 묻은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까지 절삭공구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여 가공을 하게 되어 가공된 다수의 절삭공구 상의 절삭날의 형태가 정확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수동식 연삭기를 이용한 절삭공구의 가공이 현재에도 이루어지고 있다. 수동식 연삭기의 경우 작업자가 가공하는 중간에 절삭날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별도의 관찰장치가 마련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 수행으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87564호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2697호 '연삭가공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절삭공구의 연삭과 그 가공된 형태 관찰을 이동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절삭공구용 연삭기는 바(bar) 형태를 이루는 절삭공구의 일단을 파지하는 홀더유닛과, 상기 홀더유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연삭숫돌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홀더유닛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며 연삭숫돌을 통해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과 연삭숫돌 사이의 상측에서 하방에 위치한 절삭공구의 형태를 확대하여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관찰유닛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연삭작업을 하면서 수시로 절삭공구의 연삭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찰유닛은 절삭공구의 형태를 확대하는 확대경과, 상기 확대경의 상측에 구비되어 확대경으로부터 확대된 상을 작업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찰유닛은 확대경과 모니터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대경과 절삭공구 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z축 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과 연삭숫돌이 상측에 구비되는 작업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는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의 상측에서 위치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관찰유닛이 구비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의 상측에서 홀더유닛에 파지된 절삭공구의 양측 방향인 x축으로 관찰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는 x축 조절구와, 상기 x축 조절구의 상측에서 홀더유닛에 파지된 절삭공구의 길이방향인 y축으로 관찰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지지대가 결합되는 y축 조절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삭숫돌은 작업대의 상면 타측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홀더유닛은 연삭숫돌과 제1 지지대의 사이에서 구비되는 이동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삭숫돌을 향해 이동가능하되, 상기 이동대의 상면에는 홀더유닛의 전방으로 판 형태인 보조작업판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작업판의 상면에는 절삭공구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일부가 접함으로써 연삭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삭면확인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삭면확인유닛은 직육면체인 벽돌 형태를 이루면서 보조작업판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구가 돌출형성된 이동블럭과, 판 형태를 이루며 보조작업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는 연삭면확인판을 포함하여, 상기 절삭공구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연삭면확인판의 측단부를 접해봄으로써 연삭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삭면확인판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은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유입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유입홀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에 에어호스를 연결하고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배출홀로 공기가 배출되어 이동블럭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공구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연삭하면서 홀더유닛에 파지된 상태로 작업자의 이동없이 연삭된 형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작업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적용되는 확대경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적용되는 관찰유닛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적용되는 관찰유닛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보조작업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연삭면확인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적용되는 연삭면확인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적용되는 연삭면확인유닛의 이동블럭 내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절삭공구의 연삭과 그 가공된 형태 관찰을 이동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바(bar) 형태를 이루는 절삭공구의 일단을 파지하는 홀더유닛과, 상기 홀더유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연삭숫돌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홀더유닛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며 연삭숫돌을 통해 절삭공구를 연삭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과 연삭숫돌 사이의 상측에서 하방에 위치한 절삭공구의 형태를 확대하여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관찰유닛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연삭작업을 하면서 수시로 절삭공구의 연삭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절삭공구용 연삭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절삭공구용 연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이루는 절삭공구(10)의 일단을 파지하는 홀더유닛(100)과, 상기 홀더유닛(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절삭공구(10)를 연삭하는 연삭숫돌(200)을 포함한다.
상기 절삭공구(10)는 홀더유닛(100)에 일단이 클램핑된 상태로 홀더유닛(100)의 후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홀더유닛(100)을 전후좌우로 조절함에 따라 연삭하여야 하는 부분이 연삭숫돌(200)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연삭된다. 따라서, 연삭숫돌(20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면서 두 면이 전후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절삭공구용 연삭기는 작업자가 홀더유닛(100)을 조절하며 수동으로 절삭공구(10)를 연삭하는 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홀더유닛(100)과 연삭숫돌(200) 사이의 상측에서 하방에 위치한 절삭공구(10)의 형태를 확대하여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관찰유닛(3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찰유닛(300)은 절삭공구(10)의 형태를 확대하는 확대경(310)과, 상기 확대경(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확대경(310)으로부터 확대된 상을 작업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320)는 확대된 상을 반사거울 또는 반사렌즈 등을 통해 전달받으며, 작업자가 위치한 후방을 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 예로 작업자는 홀더유닛(100)을 전방으로 절삭공구(10)가 연삭숫돌(200)과 맞닿게 하여 소정의 형태로 절삭공구(10)를 연삭한 다음, 홀더유닛(1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절삭공구(10)의 연삭된 부분이 확대경(3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니터(320)를 통해 연삭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절삭공구(10)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연삭하면서 홀더유닛(100)에 파지된 상태로 작업자의 이동없이 연삭된 형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바,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절삭공구(10)가 홀더유닛(100)에 고정된 상태를 연삭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수동으로 절삭공구(10)를 연삭함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찰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경(310)과 절삭공구(1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z축 조절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축 조절구(330)는 후술할 x축 조절구(430) 및 y축 조절구(440)가 위치한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x축, y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절이 잦은 z축의 조절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확대경(310)과 모니터(320)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z축 조절구(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경(310)과 모니터(320)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작업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확대경(310)이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유닛(100)과 연삭숫돌(200)이 상측에 구비되는 작업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400)는 작업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연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대(400)에 관찰유닛(300)이 다양한 형태를 가진 지지대에 의해 구비될 수 있으나, 홀더유닛(10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대는 'ㄱ'자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작업대(4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에 관찰유닛(300)이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 지지대(410)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4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관찰유닛(300)이 구비되는 제2 지지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대(410)와 제2 지지대(420) 사이에는 관찰유닛(300)을 x축으로 조절하는 x축 조절구(430)와, 관찰유닛(300)을 y축으로 조절하는 y축 조절구(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의 x축은 홀더유닛(100)에 파지된 절삭공구(10)의 양측 방향을 의미하며, y축은 홀더유닛(100)에 파지된 절삭공구(10)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x축 조절구(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410)의 상측에서 관찰유닛(300)을 x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y축 조절구(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조절구(4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2 지지대(420)가 결합되어 관찰유닛(300)을 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x축 조절구(430)와 y축 조절구(440)는 각각 두 개의 판이 도브테일 조인트 형태로 결합되어 상측에 위치한 판이 하측에 위치한 판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x축 조절구(430), y축 조절구(440) 및 z축 조절구(330)가 구비될 수 있는바, 관찰유닛(300)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미세조정하며 절삭공구(10)의 연삭면을 면밀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삭숫돌(200)은 작업대(400)의 상면 타측부 측, 즉 제1 지지대(410)가 형성된 측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삭숫돌(200)과 제1 지지대(410)의 사이에 긴 판 형태인 이동대(3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대(45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업대(400)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대(450)의 상면에 결합된 홀더유닛(100)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유닛(100)은 이동대(450)를 따라 연삭숫돌(200)을 향해 이동되거나 연삭숫돌(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대(450)의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유닛(100)의 전방으로 판 형태인 보조작업판(460)이 수평으로 놓일 수 있다. 상기 보조작업판(460)에는 절삭공구(10)를 연삭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구 또는 장치가 놓여져,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작업판(460)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공구(10)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일부가 접함으로써 연삭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삭면확인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삭공구(10)는 다양한 형태로 연삭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타단에 반달형태인 홈이 형성되도록 연삭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이 돌출된 부분과 이루는 경계가 정확하게 일직선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연삭면확인유닛(5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삭면확인유닛(500)을 절삭공구(10)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접하도록 한 다음, 관찰유닛(300)을 통해 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연삭면확인유닛(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럭(510)과 연삭면확인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블럭(510)은 직육면체인 벽돌 형태를 이루면서 보조작업판(360)의 상면에 놓여지며,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구(5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삭면확인판(520)은 판 형태를 이루며 보조작업판(36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구(5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삭면확인판(520)은 이동블럭(510)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삭면확인판(520)의 측단부를 절삭공구(10)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접해봄으로써, 연삭면이 정확한 각도로 연삭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연삭면확인판(520)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삭공구(10)에 형성되는 연삭면에 따라 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절삭공구(10)의 타단에 반달 형태인 홈이 형성되고, 연삭면확인판(52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 연삭면 확인판(520)의 측단부를 상기 홈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홈과 돌출된 부분 간의 경계가 정확히 일직선을 이루는지, 홈이 수평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510)은 보조작업판(460)의 상면에 놓여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금속과 같이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작업자가 이를 이동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블럭(5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유입홀(512)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유입홀(512)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512)에 에어컴프레셔 등과 같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와 연결된 에어호스(20)를 연결하고 유입홀(512)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배출홀(513)로 공기가 배출되어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이동블럭(51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연삭면확인유닛(500)을 이동시킬 때 에어호스(2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고, 연삭면확인유닛(500)을 통해 연삭면의 각도를 확인할 때는 공기의 주입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10 : 절삭공구 20 : 에어호스
100 : 홀더유닛
200 : 연삭숫돌
300 : 관찰유닛 310 : 확대경
320 : 모니터 330 : z축 조절구
400 : 작업대 410 : 제1 지지대
420 : 제2 지지대 430 : x축 조절구
440 : y축 조절구 450 : 이동대
460 : 보조작업판
500 : 연삭면확인유닛 510 : 이동블럭
511 : 고정구 512 : 유입홀
513 : 배출홀 520 : 연삭면확인판

Claims (10)

  1. 바(bar) 형태를 이루는 절삭공구(10)의 일단을 파지하는 홀더유닛(100)과, 상기 홀더유닛(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절삭공구(10)를 연삭하는 연삭숫돌(200)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홀더유닛(100)을 전후좌우로 조절하며 연삭숫돌(200)을 통해 절삭공구(10)를 연삭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유닛(100)과 연삭숫돌(200) 사이의 상측에서 하방에 위치한 절삭공구(10)의 형태를 확대하여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관찰유닛(300)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연삭작업을 하면서 수시로 절삭공구(10)의 연삭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절삭공구용 연삭기에 있어서,
    상기 관찰유닛(300)은 절삭공구(10)의 형태를 확대하는 확대경(310)과, 상기 확대경(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확대경(310)으로부터 확대된 상을 작업자가 볼 수 있는 모니터(320)와, 상기 확대경(310)과 모니터(320)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확대경(310)과 절삭공구(10) 간의 거리가 조절되는 z축 조절구(330)를 포함하는 한편,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 지지대(410)와, 일단이 상기 제1 지지대(4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타단에 관찰유닛(300)이 구비되는 제2 지지대(420)를 포함하면서 상기 홀더유닛(100)과 연삭숫돌(200)이 상측에 구비되는 작업대(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삭숫돌(200)은 작업대(400)의 상면 타측부 측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유닛(100)은 연삭숫돌(200)과 제1 지지대(410)의 사이에서 구비되는 이동대(45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삭숫돌(200)을 향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대(450)의 상면에는 홀더유닛(100)의 전방으로 판 형태인 보조작업판(460)이 구비되되,
    직육면체인 벽돌 형태를 이루면서 보조작업판(460)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구(511)가 돌출형성된 이동블럭(510)과, 판 형태를 이루며 보조작업판(46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구(511)에 결합되는 연삭면확인판(520)을 포함하여 상기 절삭공구(10)의 타단에 형성된 연삭면에 연삭면확인판(520)의 측단부를 접해봄으로써 연삭면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연삭면확인유닛(500)이 상기 보조작업판(46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블럭(510)은 소정의 중량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유입홀(512)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유입홀(512)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513)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512)에 에어호스(20)를 연결하고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배출홀(513)로 공기가 배출되어 이동블럭(5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410)의 상측에서 홀더유닛(100)에 파지된 절삭공구(10)의 양측 방향인 x축으로 관찰유닛(3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x축 조절구(430)와, 상기 x축 조절구(430)의 상측에서 홀더유닛(100)에 파지된 절삭공구(10)의 길이방향인 y축으로 관찰유닛(30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지지대(420)가 결합되는 y축 조절구(4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면확인판(520)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용 연삭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2593A 2019-02-26 2019-02-26 절삭공구용 연삭기 KR10197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93A KR101977010B1 (ko) 2019-02-26 2019-02-26 절삭공구용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93A KR101977010B1 (ko) 2019-02-26 2019-02-26 절삭공구용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010B1 true KR101977010B1 (ko) 2019-05-09

Family

ID=6654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93A KR101977010B1 (ko) 2019-02-26 2019-02-26 절삭공구용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3078A (zh) * 2021-02-13 2021-06-29 赵行 一种cnc刀具用吸附贴合式磨刀机
CN113579964A (zh) * 2021-08-05 2021-11-02 青岛理工大学 一种砂轮打磨控制装置及包括该装置的闭环控制系统
CN115256151A (zh) * 2022-08-11 2022-11-01 湖州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cvd金刚石微细磨削工具
KR20220157621A (ko) 2021-05-21 2022-11-29 (주)대성하이텍 마이크로 공구연삭기용 3방향스핀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564B1 (ko) 1999-03-13 2001-04-16 정태일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KR20050032697A (ko) 2003-10-02 2005-04-08 변정식 연삭가공장치
JP2010105120A (ja) * 2008-10-29 2010-05-13 Big Tool Co Ltd 段付きドリル研磨装置
JP2014166659A (ja) * 2013-02-28 2014-09-11 Ms Technical Product Co Ltd 左刃研磨機
KR20150020758A (ko) * 2013-08-19 2015-02-27 김기태 바이트 공구의 반경 연삭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564B1 (ko) 1999-03-13 2001-04-16 정태일 자동시스템을 갖춘 절삭공구의 연삭장치
KR20050032697A (ko) 2003-10-02 2005-04-08 변정식 연삭가공장치
JP2010105120A (ja) * 2008-10-29 2010-05-13 Big Tool Co Ltd 段付きドリル研磨装置
JP2014166659A (ja) * 2013-02-28 2014-09-11 Ms Technical Product Co Ltd 左刃研磨機
KR20150020758A (ko) * 2013-08-19 2015-02-27 김기태 바이트 공구의 반경 연삭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3078A (zh) * 2021-02-13 2021-06-29 赵行 一种cnc刀具用吸附贴合式磨刀机
KR20220157621A (ko) 2021-05-21 2022-11-29 (주)대성하이텍 마이크로 공구연삭기용 3방향스핀들
CN113579964A (zh) * 2021-08-05 2021-11-02 青岛理工大学 一种砂轮打磨控制装置及包括该装置的闭环控制系统
CN115256151A (zh) * 2022-08-11 2022-11-01 湖州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cvd金刚石微细磨削工具
CN115256151B (zh) * 2022-08-11 2024-03-01 湖州中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cvd金刚石微细磨削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10B1 (ko) 절삭공구용 연삭기
JP4948389B2 (ja) 工作物加工用工作機械
JP2004001182A (ja) ロッド材料にフライス作業および旋削作業を実施するフライス盤
CN103567821A (zh) 一种全自动钻头研磨机
KR100935150B1 (ko) 다이아몬드 바이트 연마장치
CN113732941A (zh) 一种研磨机
CN210757010U (zh) 数控磨床
KR200191364Y1 (ko) 공구연마대
CN210757183U (zh) 角度可调砂轮修整器以及具有角度可调砂轮修整器的磨床
CN110549217B (zh) 数控磨床
CN205630316U (zh) 移动修盘器
TWM546285U (zh) 立式磨床
JP2011194552A (ja) ワーク支持装置付き複合平面研削装置
KR20070034199A (ko) 숫돌·공구의 위치 및 자세 변경이 가능한 만능 공구 연마기
US20220072672A1 (en) Apparatus for cutting, grinding, and polishing work pieces at multiple axes
US6409578B1 (en) Adjustable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JP4195343B2 (ja) 内面研削盤
CN114310419A (zh) 十六轴数字控制五轴联动精密铣磨加工中心
JP4401643B2 (ja) ツルーイング位置算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ツルーイング方法
US5321918A (en) Spindle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747703A (zh) 一种冲击试样u型缺口加工系统
KR20200130984A (ko)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CN211029612U (zh) 双头砂轮修整器以及具有双头砂轮修整器的磨床
CN215201022U (zh) 一种带有可调节砂轮装置的微型钻头加工定位机构
JP2011194533A (ja) ドレッサ付き複合平面研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