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984A -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 Google Patents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984A
KR20200130984A KR1020190055624A KR20190055624A KR20200130984A KR 20200130984 A KR20200130984 A KR 20200130984A KR 1020190055624 A KR1020190055624 A KR 1020190055624A KR 20190055624 A KR20190055624 A KR 20190055624A KR 20200130984 A KR20200130984 A KR 2020013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xis
saddle
shaft
gr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934B1 (ko
Inventor
임현우
Original Assignee
유로프리시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프리시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로프리시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93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24B47/0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8Table-like supports for panels, she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자동운전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킨 수동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베드 위에 좌우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새들; 휠 형태의 제1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좌우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X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2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전후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Y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3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수직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Z축 기동부; 연삭숫돌을 상기 새들 위에서 고속 회전기키기 위한 연삭부; 상기 X축 기동부는 상기 제1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1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 상기 제1모터가 일정한 주기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새들이 좌우로 왕복기동하도록 하는 제1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Grinding Machine Having Automotive Driving Function}
본 발명은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자동운전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킨 수동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연삭기(Grinding Machine)는 숫돌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기계장치로서 일반 기계가공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삭기는 다양한 형태의 숫돌을 고속회전시키면서 새들(saddle) 위에 놓인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피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선반 또는 방전가공으로는 할 수 없는 매우 정밀한 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근래의 첨단 반도체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미세 부품을 가공하는데도 연삭기가 사용된다.
연삭기는 피가공물을 연삭함에 있어서 아주 조금씩 가공해나간다. 숫돌과 피가공물의 손상과 충격을 최소화하고 열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통의 경우에는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새들을 좌우방향(X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면서 가공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새들을 전후방향(Y축 방향 ) 및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여가면서 움직일 수 있다.
연삭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데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 연삭량이 많거나 복잡한 형상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작업자는 연삭기 앞에서 꼼짝없이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하면서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1mm 이하의 오차범위를 갖는 다수의 홈(1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피가공물(W, 도시된 것은 반도체용 금형부품이다)을 가공하기 위하여 연삭숫돌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단순 반복 작업을 수시간 동안 하여야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시키고자 수치제어(NC) 연삭기가 공급되어 있지만, 이는 대량생산에 적합한 장치이다. 즉 여러 개의 피가공물에 대하여 많지 않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피가공물을 작업대에 설치하고 영점을 세팅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치제어 연삭기는 일반적인 수동 연삭기에 비하여 가격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예를 들어 가격이 10배까지 차이가 난다) 소규모 가공업체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605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46507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부분적으로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된 수동 연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동 연삭기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가공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선택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동 연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베드 위에 좌우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새들; 휠 형태의 제1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좌우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X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2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전후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Y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3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수직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Z축 기동부; 연삭숫돌을 상기 새들 위에서 고속 회전기키기 위한 연삭부;
상기 X축 기동부는 상기 제1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1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 상기 제1모터가 일정한 주기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새들이 좌우로 왕복기동하도록 하는 제1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Y축 기동부는;
상기 제2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2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Z축 기동부는 상기 제3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3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모터와 상기 제3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새들의 위치 내지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2,3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1축, 제2축 및 제3축을 원하는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3축에는 회전수 계측기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3모터는 모두 서보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축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연삭기를 기본으로 하되, 여기에 전기력으로 구동하는 모터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하여 운전할 수 있는 수동 연삭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작업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피가공물은 수동 모드를 이용하여 가공하고 긴 작업시간을 요하며 단순작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은 피가공물에 대하여는 자동 모드를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생산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수동 연삭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수동 연삭기보다 약간의 비용을 더 추가함으로써 NC 연삭기와 대등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수동과 자동을 극히 용이하게 번갈아가면서 작업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치구가공에 대한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동 연삭기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피가공물의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이하, 연삭기라 한다)는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수동 연삭기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화 기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도입하여 이루어진 융합적 기술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러므로 장치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동 연삭기와 유사하다.
지면에 놓이는 육면체 형태의 본체(1)는 각종 부속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역할을 한다. 본체(1)의 상면에는 베드(3)가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베드(3)는 서있는 작업자의 상체 높이에 위치된다. 피가공물(W)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새들(5)은 본체(1)의 상면에 마련된 베드(3) 위에 좌우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새들(5)은 좌우방향(즉, X축 방향), 전후방향(즉, Y축 방향) 및 상하방향(즉, Z축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기동부에 연결되어 있다. 새들기동부는 휠 형태의 제1핸들(7)을 회전시킴으로써 새들(5)을 좌우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X축 기동부(9)와, 휠 형태의 제2핸들(11)을 회전시킴으로써 새들(5)을 전후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Y축 기동부(13)와, 휠 형태의 제3핸들(15)을 회전시킴으로써 새들(5)을 수직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Z축 기동부(17)를 포함한다.
연삭부(19)는 새들(5) 위에 지그 등에 의해 고정된 피가공물(W)을 연삭한다. 연삭부(19)는 연삭숫돌(21), 숫돌회전모터(23) 및 연삭부지지대(25)를 포함한다. 연삭숫돌(21)은 새들(5) 상부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연삭숫돌(21)의 회전축은 지면에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Y축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삭숫돌(21)을 연마하기 위한 숫돌연마기가 연삭숫돌 옆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X축 기동부(9)는 제1핸들(7)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축(27)과, 제1축(27)을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1)에 설치되는 제1모터(29)와,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1모터(29)와 제1축(27)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31)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31)는 2개의 축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제1모터(29)가 일정한 주기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새들(5)이 좌우로 왕복기동하도록 하는 제어부(32)가 더 포함된다. 제어부(32)는 제1축(27)의 회전량 또는 새들(5)의 좌우 운동폭을 계측하기 위한 길이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와 함께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와 출력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입력부는 키보드(33)가 될 수 있고 출력부는 모니터(3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정 작업에 임하면서 작업자가 제어부를 조작하여 새들(5)의 좌우방향으로의 운동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Y축 기동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들(1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축(37)과, 제2축(37)을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1)에 설치되는 제2모터(39)와,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2모터(39)와 제2축(37)을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어부(32)는 제2모터(39)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2연결부(41)는 제2모터(39)의 출력축과 제2축(39)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풀리와, 기어풀리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한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방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Z축 기동부(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핸들(15)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축(43)과, 제3축(43)을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1)에 설치되는 제3모터(45)와,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3모터(45)와 제3축(43)을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부(47)를 포함한다. 제3모터(45)의 회전 역시 전술한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되게끔 할 수 있다.
제3연결부(47)는 제3모터(45)의 출력축과 제3축(43)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풀리와, 기어풀리에 설치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모터(45)의 중량에 의해 제3축(43)에 휨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모터(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브래킷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2,3모터(29, 39, 45)는 모두 서보모터일 수 있으며, 특히 엔코더가 부착된 서보모터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각 회전축(27,37,43)과 새들(5)의 구체적인 연결구조는 도시가 생략되었는데, 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동 연삭기의 연결구조와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 연삭기의 제어 측면에서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2)는 키보드(33) 또는 기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X축기동부(9), Y축기동부(13) 및 Z축기동부(17)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2)는 새들(5)의 X축 상의 이동거리를 계측하기 위한 제1계측부(49)와, Y축 상의 이동거리를 계측하기 위한 제2계측부(51)와 Z축 상의 이동거리를 계측하기 위한 제3계측부(53)로부터 새들의 위치 내지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들 계측부(49,51,53)는 각 회전축(27,29,37)의 회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측할 수 있다.
위에 설명 및 도시된 각 연결부(31,41,47)는 도시된 것 이외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웜 또는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에 의한 연결도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55)가 렌즈(55a)가 직하방향을 향하도록 피가공물(W)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55)는 연삭부지지대(25)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카메라(55)가 촬영하는 피가공물(W)의 이미지는 제어부(32)에 전송된다. 새들(5)의 X-Y축 상에서 움직이는 이동거리는 그대로 모니터(35)에 디스플레이된다. 모니터(35) 상에서 특정 지점이 움직이는 거리는 계측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가공물을 새들 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새들을 움직여가면서 바로 피가공물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연삭작업 후 정확한 치수로 연삭되었는지 여부를 피가공물을 그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32)는 사용자가 결정한 특정 위치를 원점으로 세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결정된 원점에서 새들(5)을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피가공물(W)의 각부 치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 연삭기의 작용 내지 사용 방식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수동모드를 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2)는 X축기동부(9), Y축기동부(13) 및 Z축기동부(17)로 가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1,2,3핸들(7,11,15)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수동 연삭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1,2,3핸들(7,11,15)을 사용함에 따른 부하가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자동모드를 택하고, 제어부(32)에 수치, 가공시간 등을 입력하고 동작명령을 내리면, 제어부(32)는 주어진 명령에 따라 X축기동부(9), Y축기동부(13) 및 Z축기동부(17)를 각각 작동시킨다. 각 기동부는 주어진 명령에 따라서 피가공물을 연삭 가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동모드에서의 수치값은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는 이 수치값을 이용하여 자동모드에서 각 기동부(9,13,17)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렇게 수동모드에서의 수치값과 자동모드에서의 수치값이 통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수치값은 카메라에 의해 모니터에 현출되는 이미지와도 호환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부 기동부(예를 들어, X축 기동부(9))는 자동모드로 하고 나머지 기동부는 수동모드(예를 들어, Y축기동부(13), Z축기동부(17))로 운전할 수도 있다. 즉 단순반복적인 동작은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작업자의 세밀한 감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동모드로 하는 것이다. 연삭기는 장치의 특성상 연삭작업 중에 숫돌이 마모되므로 가공오차에 관하여 변수가 많기 때문이다. 정밀한 부품의 가공시 숫돌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숫돌의 마모 여부를 민감하게 체크하여야 한다. 그래서 가공과정 전체를 자동모드로 설정하고 운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모드에서 운전할 때, X축기동부(9), Y축기동부(13) 및 Z축기동부(17)에 의한 회전력이 제1,2,3핸들(7,11,15)에 전달되지 않도록 회전축(27,29,37)마다 제1,2,3클러치(57,59,6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2,3클러치(57,59,61)는 수동모드 전환시 온(on)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자동모드 전환시 오프(off)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자식 클러치일 수 있다. 이것은 자동모드에서 잘못하여 제1,2,3핸들(7,11,15)을 건드림으로써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55)는 카메라거치봉(63)에 설치되며,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55)는 Y축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 카메라회전축(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메라(55)가 90ㅀ 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렌즈(55a)의 방향이 Z축에서 X축으로 바뀌게 되어 피가공물의 Z축 방향으로의 높이까지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는 카메라거치봉(63)은 카메라지지대(67)에서 핸들(69)을 돌림으로써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메라(55)는 정확히 90ㅀ 각도로만 전후방향(또는 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숫돌연삭부(71)가 연삭부지지대(25) 상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숫돌연삭부(71)는 연삭숫돌(21)의 두께를 미세하게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확하게 연삭된 연삭숫돌(21)을 이용하여 피가공물(W)을 가공할 경우에 즉시로 정확한 수치의 가공이 가능해진다. 숫돌연삭부(71)는 바이트(73) 및 바이트(73)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의 바이트홀더(75)를 포함하며 연삭숫돌(21) 근방에 고정 설치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는 임의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설명되지 않은 모든 조합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1 : 본체 3 : 베드
5 : 새들 7, 11, 15 : 제1,2,3핸들
9, : X축 기동부 13 : Y축 기동부
17 : Z축 기동부 19 : 연삭부
21 : 연삭숫돌 25 : 연삭부지지대
27,37,43 : 제1,2,3축 29,39,45 : 제1,2,3모터
31,41,47 : 제1,2,3연결부
33 : 키보드 35 : 모니터
49,51,53 : 제1,2,3계측부 55 : 카메라
57,59,61 : 제1,2,3클러치 63 : 카메라거치봉
65 : 카메라회전축 67 : 카메라지지대
69 : (높이조절용)핸들

Claims (6)

  1.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베드 위에 좌우방향으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올려놓고 고정하기 위한 새들; 휠 형태의 제1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좌우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X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2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전후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Y축 기동부; 휠 형태의 제3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새들을 수직방향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Z축 기동부; 연삭숫돌을 상기 새들 위에서 고속 회전기키기 위한 연삭부;
    상기 X축 기동부는 상기 제1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1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1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 상기 제1모터가 일정한 주기로 정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새들이 좌우로 왕복기동하도록 하는 제1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축 기동부는;
    상기 제2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2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Z축 기동부는 상기 제3핸들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3모터;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모터와 상기 제3축을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새들의 위치 내지 이동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2,3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5. 제1항에 있어서,
    피가공물(W)의 상부에 카메라(55)가 더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49)가 촬영하는 피가공물(W)의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에 전송됨으로써, 상기 새들의 X-Y축 상에서 움직이는 이동거리는 그대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Y축과 평행을 이루고 있는 카메라회전축(65)을 중심으로 90ㅀ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KR1020190055624A 2019-05-13 2019-05-13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KR10230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624A KR102301934B1 (ko) 2019-05-13 2019-05-13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624A KR102301934B1 (ko) 2019-05-13 2019-05-13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84A true KR20200130984A (ko) 2020-11-23
KR102301934B1 KR102301934B1 (ko) 2021-09-15

Family

ID=7368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624A KR102301934B1 (ko) 2019-05-13 2019-05-13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563B1 (ko) * 2023-07-11 2023-10-20 김상민 평면 연삭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784A (ko) * 2001-12-18 2002-03-29 김중근 수직형 cnc 밀링 머신
KR20020059918A (ko) * 2001-01-09 2002-07-16 안승억 절삭용 바이트의 자동 연마 장치
JP2005144600A (ja) * 2003-11-14 2005-06-09 Yuasa Technical Engineering Co Ltd 機上計測装置
KR20060056050A (ko)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일리시스 자동화된 360°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411068B1 (ko) * 2012-12-17 2014-06-25 권석화 공작물 너얼링 절삭 가공 장치
KR20160046507A (ko) 2014-10-21 2016-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두차를 이용한 섬유사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및 역세 방법
JP2018183861A (ja) * 2017-08-31 2018-11-22 株式会社入曽精密 取付具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18A (ko) * 2001-01-09 2002-07-16 안승억 절삭용 바이트의 자동 연마 장치
KR20020023784A (ko) * 2001-12-18 2002-03-29 김중근 수직형 cnc 밀링 머신
JP2005144600A (ja) * 2003-11-14 2005-06-09 Yuasa Technical Engineering Co Ltd 機上計測装置
KR20060056050A (ko)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일리시스 자동화된 360°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방법
KR101411068B1 (ko) * 2012-12-17 2014-06-25 권석화 공작물 너얼링 절삭 가공 장치
KR20160046507A (ko) 2014-10-21 2016-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두차를 이용한 섬유사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 및 역세 방법
JP2018183861A (ja) * 2017-08-31 2018-11-22 株式会社入曽精密 取付具および撮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563B1 (ko) * 2023-07-11 2023-10-20 김상민 평면 연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934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5817B2 (ja) 機械加工前のギヤ等の歯付き被加工物を機械加工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795470B1 (ko) 고속 연마기능을 갖는 터닝가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870055A (zh) 数控机床
JP4456520B2 (ja) 多軸球面研削装置及び研削方法
CN102870054A (zh) 数控机床
CN101799676B (zh) 机床
CN109551496A (zh) 一种工业机器人智能打磨系统及打磨方法
JP2000202754A (ja) グラインディングウォ―ム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KR940003150B1 (ko) 수치 제어되는 공작 기계상에서 공작물의 미스얼라인먼트를 보정하는 방법
JP7258563B2 (ja) 自動研削装置
WO2018047312A1 (ja) ワーク測定方法
CN104526507A (zh) 全自动抛光打磨生产线
JPH05208356A (ja) カップ研削盤
KR102301934B1 (ko) 자동운전 기능을 갖는 수동 연삭기
CN104414040B (zh) 饰件加工装置
TWI624741B (zh) 自動化偵測磨削之智慧型磨床設備
CN105436612A (zh) 自动化数控磨齿设备及磨齿方法
KR20120067995A (ko) 기어 제작을 위한 장치
CN113953850A (zh) 一种针对固定直径圆环类工件加工设备
JPH0283118A (ja) 金属被加工物の放電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39266B1 (ko) 지능형 복합 절삭가공시스템
CN205630316U (zh) 移动修盘器
CN209665388U (zh) 一种工业机器人智能打磨系统
CN109129067B (zh) 自动化侦测磨削的智能型磨床设备
WO20182138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ix-sided processing of workpie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