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033A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033A
KR19990046033A KR1019990008578A KR19990008578A KR19990046033A KR 19990046033 A KR19990046033 A KR 19990046033A KR 1019990008578 A KR1019990008578 A KR 1019990008578A KR 19990008578 A KR19990008578 A KR 19990008578A KR 19990046033 A KR19990046033 A KR 19990046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nozzle
longitudinal direction
m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19990008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033A/ko
Publication of KR1999004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033A/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기(除塵幾)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면서도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피제진물의 모든 면적에 고압의 분사공기를 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먼지의 제거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진물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진수단이 구비된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수단은, 모터(1)와,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는 모터(1)의 축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측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의 내측과 외주부를 통하여는 통기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자(22)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직경방향으로는 공기공급구멍(23b)이 형성되어 컨베어(1)의 지지플레이트(13)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 양단부 내측이 베어링(B)에 의해 상기 회전자(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자(23)와, 상기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상기 통기구멍(22a) 및 공기공급구멍(23b)과 통하는 에어챔버(25)를 형성하는 1쌍의 시일(24)과, 상기 회전자(22)의 외주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바(26)와, 이 지지바(26)의 타단에 결합된 노즐(27)과, 회전자(22)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에 형성된 통기구멍(22a)에 결합되어 있는 컨넥터(28)와, 상기 회전자(22)의 통기구멍(22a)과 노즐(27)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컨넥터(28)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27)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29)로 되어, 상기 고정자의 공기공급구멍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노즐을 통해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전물에 분사되어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진기 {}
본 발명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제진기(除塵幾)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품의 각 구성부를 이루는 부품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일상생활용품이나 전자제품 등은 많은 부품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품을 이룬다. 이와 같이 여러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물품 중 특히 정밀도가 요구되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 등은 부품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기의 오작동이나 작동 불능의 결과를 초래하게 될 우려가 매우 큰 것이다.
따라서 전자제품 등의 부품은 그 생산과정이나 생산이 완료된 후 그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여야 만이 완성품의 품질을 신뢰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제진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어(101)의 컨베어벨트(102) 상부 또는 하부에 먼지제거용의 노즐(103)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컨베어벨트(102)에 실려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부품(이하 "피제진물"이라 한다)에 노즐(103)을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부품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진기에 있어서는 노즐(103)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항상 한 위치로만 분사되는 것이므로 컨베어벨트(102) 위의 피제진물이 고압의 공기에 접할 시간이 짧은 것이어서 먼지 제거효율이 양호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먼지의 제거효율를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분사되는 공기를 고압으로 하고 분사용 노즐의 수를 많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대용량의 콤퓨레셔가 요구되고 부품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인로 인하여 장치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그 구성이 극히 간단하면서도 적은 공기의 양으로도 피제진물의 많은 면적에 고압의 분사공기가 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먼지의 제거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진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진수단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제진기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베어 11. 모터 12. 컨베어벨트
13. 지지플레이트 14. 리드스크류 15. 체인
16. 모터 2. 제진수단 21. 모터
22. 회전자 23. 고정자 24. 시일
25. 에어챔버 26. 지지바 27. 노즐
28. 콘넥터 29. 연결호스
본 발명의 제진기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진물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진수단이 구비된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수단은, 모터와,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는 모터의 축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측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의 내측과 외주부를 통하여는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자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직경방향으로는 공기공급구멍이 형성되어 컨베어의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 양단부 내측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상기 공기공급구멍과 통하는 에어챔버를 형성하는 1쌍의 실과,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바와, 이 지지바의 타단에 결합된 노즐과, 회전자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에 형성된 통기구멍에 결합되어 있는 컨넥터와, 상기 회전자의 통기구멍과 노즐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컨넥터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로 되어, 상기 고정자의 공기공급구멍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노즐을 통해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전물에 분사되어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은 지지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 노즐은 고정구에 의해 지지바에 고정 가능하도록 하여, 노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그 회전 반경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제진수단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는 가이드바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바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지플레이트와 함께 제진수단을 승강시킴으로서 노즐과 피제진물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지시부호 1은 모터(11)에 의해 컨베어벨트(12)를 구동시키도록 된 통상의 컨베어이다. 이 컨베어(1)에 있어서 컨베어벨트(12)의 상 하부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13)에는 컨베어벨트(12) 위의 피제진물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제진수단(2)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진수단의 사시도를, 도 3은 제진수단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21은 모터이며, 지시부호 22는 회전자이다. 회전자(22)는 대직경부(22a)와 소직경부(22b)로 된 원형의 봉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대직경부(22a) 외주에는 직경방향으로 결합구멍(22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대직경부(22a)쪽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의 내측과 외주부를 통하여는 통기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전자(22)는 소직경부(22b)쪽 선단부가 키(K)와 고정구(T1)에 의해 모터(21)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22)의 소직경부(22b) 외주에는 고정자(23)가 결합되어 있다. 이 고정자(23)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외주에 플랜지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23a)의 외면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는 공기공급구멍(23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자(23)는 플랜지부(23a)가 컨베어(1)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13)에 고정구(T2)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그 일단부가 모터(21)에 고정되어 있고 또 길이방향 양단부 내측이 베어링(B)에 의해 상기 회전자(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지시부호 24는, 상기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상기 통기구멍(22a) 및 공기공급구멍(23b)과 통하는 에어챔버(25)를 형성하는 1쌍의 시일(Seal)이다
상기 회전자(22)의 결합구멍(22c)에는 봉 형상으로 된 지지바(26)의 일단부가 고정구(T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바(26)의 타단부에는 노즐(2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노즐(27)은 고정구(T4)에 의해 지지바(26)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시부호 28은, 회전자(22)의 대직경부(22a)쪽 선단부의 통기구멍(22a)에 결합되어 있는 컨넥터이고, 지시부호 29는, 상기 회전자(22)의 통기구멍(22a)과 노즐(27)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컨넥터(28)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27)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이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자(23)의 플랜지부(23a)에 형성된 공기공급구멍(23b)에는 콤퓨레셔(도시하지 않음)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공기공급관(AP)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수단(2)의 모터(21)가 작동하면 모터(21)의 축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자(22)와 함께 지지바(26)와 노즐(27)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함께 공기공급관(AP)과 공기공급구멍(23b)를 통하여 에어챔버(25) 내로 유입된 공기는 통기구멍(22a)과 컨넥터(28)와 연결호스(29)와 노즐(27)로 공급되어 컨베어벨트(12) 위의 피제진물에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어벨트(12)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13)가 리드스크류(14)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리드스크류(14)는 체인(15)를 통하여 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3)와 함께 제진수단(2)을 승강시킴으로서 노즐(27)과 피제진물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진수단(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집진후드(17)와 집진호퍼(18)가 설치되어 제진수단(2)에 의해 제거된 먼지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지시부호 19는, 지지플레이트(13)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피제진물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가 제거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컨베어벨트(12) 위에 탑재되어 피제진물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제진수단(2)이 설치된 위치에 피제진물이 이르게 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노즐(27)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피제진물의 표면에 연속 반복적으로 분사되는 작용에 의해 피제진물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는 제거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진작용에 있어서 노즐(27)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피제진물의 표면에 고압의 공기를 균일하고 반복적으로 분사함으로 먼지의 제거는 매우 효과적이고 완벽하게 제거되는 것이고 제거된 먼지는 집진후드(16)와 집진호퍼(17)를 통하여 별도의 집진장치에 의해 집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있어서 노즐(27)의 회전반경을 피제진물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한 상태로 제진작용를 행하면 피제진물에 대한 제진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즐을 회전시키면서 컨베어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피제진물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피제진물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므로, 피제진물 전체에 고압의 공기를 균일하고 연속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제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공기 분사량으로도 우수한 제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적은 용량의 콤퓨레셔 등을 이용할 있어 장치의 가격을 대폭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진물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제진수단이 구비된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수단은,
    모터(1)와, 길이방향의 일측 선단부는 모터(1)의 축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타측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의 내측과 외주부를 통하여는 통기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자(22)와, 중공의 통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직경방향으로는 공기공급구멍(23b)이 형성되어 컨베어(1)의 지지플레이트(13)에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길이방향 양단부 내측이 베어링(B)에 의해 상기 회전자(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자(23)와, 상기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회전자(22)와 고정자(23) 사이에 상기 통기구멍(22a) 및 공기공급구멍(23b)과 통하는 에어챔버(25)를 형성하는 1쌍의 시일(24)과, 상기 회전자(22)의 외주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바(26)와, 이 지지바(26)의 타단에 결합된 노즐(27)과, 회전자(22)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에 형성된 통기구멍(22a)에 결합되어 있는 컨넥터(28)와, 상기 회전자(22)의 통기구멍(22a)과 노즐(27)을 연결하기 위하여 일단부는 컨넥터(28)에 그리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27)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호스(29)로 되어, 상기 고정자의 공기공급구멍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노즐을 통해 컨베어벨트 위의 피제전물에 분사되어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노즐(27)은 지지바(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 노즐(27)은 고정구(T4)에 의해 지지바(26)에 고정 가능하도록 하여, 노즐(27)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그 회전 반경을 달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제진수단(2)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13)는 리드스크류(14)에 승강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고 상기 리드스크류(14)는 모터(1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함께 제진수단을 승강시킴으로서 노즐과 피제진물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1019990008578A 1999-03-15 1999-03-15 제진기 KR19990046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578A KR19990046033A (ko) 1999-03-15 1999-03-15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578A KR19990046033A (ko) 1999-03-15 1999-03-15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033A true KR19990046033A (ko) 1999-06-25

Family

ID=5478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578A KR19990046033A (ko) 1999-03-15 1999-03-15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0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684A (ko) * 2001-01-30 2002-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압기기 연결용 회전 어댑터
CN112845369A (zh) * 2020-12-30 2021-05-28 苏州易助能源管理有限公司 组件沿口积灰处理器
CN115253676A (zh) * 2022-08-02 2022-11-01 凯里市凯荣玻璃有限公司 Scr脱硝催化剂的清灰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684A (ko) * 2001-01-30 2002-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공압기기 연결용 회전 어댑터
CN112845369A (zh) * 2020-12-30 2021-05-28 苏州易助能源管理有限公司 组件沿口积灰处理器
CN115253676A (zh) * 2022-08-02 2022-11-01 凯里市凯荣玻璃有限公司 Scr脱硝催化剂的清灰装置
CN115253676B (zh) * 2022-08-02 2024-03-26 凯里市凯荣玻璃有限公司 Scr脱硝催化剂的清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057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KR900001858B1 (ko) 고압 유체식 처리장치
KR19990046033A (ko) 제진기
KR100883682B1 (ko) 각관 표면 세척 장치
KR101351526B1 (ko) 드라이아이스 세정기
KR200174939Y1 (ko) 제진기
JPH05131179A (ja) 回転洗浄乾燥装置
KR101375222B1 (ko) 회전 노즐 방식의 세정기
CN209971922U (zh) 一种瓦楞纸板清扫除尘装置
KR200190024Y1 (ko) 자동세척기의 세척 장치
KR200218333Y1 (ko) 필터세척장치
CN206810550U (zh) 一种可旋转的脱模剂喷射装置
JP2022131658A (ja) エアノズル
JPH01251651A (ja) ワーク洗浄・バリ取り装置
JPH01192144A (ja) セラミックパッケージの異物除去装置およびその除去方法
JP3159513U (ja) マルチ偏心駆動ノズル装置
JPH0389986A (ja) サクション孔の洗浄装置
KR870001453Y1 (ko) 세척용 회전 분사노즐
CN109604234B (zh) 轴类零件加工装置
CN210995531U (zh) 一种辊轴清洗机的风干装置
CN216164866U (zh) 一种鱼皮加工装置
KR102424228B1 (ko) 분체 도료 제거 장치
CN217222614U (zh) 一种用于电路板的双面清洗装置
KR100845893B1 (ko) 렘젯 에어나이프, 기판 이송 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공정용 기기
KR101979359B1 (ko) 도포장치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