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730A -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730A
KR19990043730A KR1019970064772A KR19970064772A KR19990043730A KR 19990043730 A KR19990043730 A KR 19990043730A KR 1019970064772 A KR1019970064772 A KR 1019970064772A KR 19970064772 A KR19970064772 A KR 19970064772A KR 19990043730 A KR19990043730 A KR 1999004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otor
safety belt
seat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6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730A/ko
Publication of KR1999004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730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의 전후위치 조정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조건이 콘트롤유니트에 의해 판별되어 안전밸트의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안전밸트의 높낮이조절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필러(100)의 하방에 마련되며 내부에 장착된 감김장치에 의해 밸트(200)의 감김/플림작용이 가능한 리트랙터(300)와, 소정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필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밸트안내고리(400)와, 밸트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트고정구(500)와, 밸트고정구를 록킹결합시키는 버클부재(600)가 구비된다. 높이조절수단은 밸트안내고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블록(70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근접위치에 마련되는 모터(800)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다. 제어수단은 시트(900)의 록킹부(9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위치감지센서와,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모터를 구동시키는 콘트롤유니트(9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는 신체조건에 맞게 안전밸트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며 그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승차감이 향상되고 사고시 부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씨트에 채용되는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씨트의 전후 이동거리에 따라 안착자의 신체 조건이 판단되어 안전벨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안착자의 안전사고는 물론이고 안착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좌측 필러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리트렉터(20)와, 필러의 상단부 즉, 운전자의 상체와 대응되는 적당한 위치에 나사결합되는 밸트안내고리(30)가 구비된다.
또한 운전석의 우측 로크플레이트(20)의 측면에 일단이 나사체결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단부에 결합되는 버클(40)이 마련되고, 이 버클에 안전밸트를 록킹고정시키는 밸트고정구(50)가 밸트(10)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밸트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상기 밸트고정대를 잡아당기면 리트랙터에 감겨있던 밸트가 풀리게 되며, 적당한 길이로 밸트를 풀어서 상기 버클에 밸트고정대를 록킹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밸트고정대가 버클에 고정되면 느슨해진 밸트는 리트랙터의 내부에 장착된 판스프링에 의해 타이트하게 감겨짐으로써, 운전자의 흉부 및 허리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밸트장치는 필러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밸트안내고리의 높낮이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갖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신체가 왜소한 운전자가 상기와 같은 안전밸트를 착용할 때는 밸트안내고리가 운전자의 머리부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안전밸트의 착용이 불편하므로 안전밸트의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착용하더라도 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 요소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균키 이상의 운전자가 상기와 같은 안전밸트를 착용시에는 밸트연결고리가 신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운전자의 흉부 등을 압박하게 되어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첫째, 필러의 상단부에 고정용슬라이드블록을 마련하고, 이 고정용슬라이드블록에 밸트연결고리를 결합시킴으로써, 밸트연결고리가 고정용슬라이드블록상에서 상하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밸트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편안한 승차감을 보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밸트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하여 안전밸트 착용으로인한 압박과 불편함이 해소되고 안전밸트 착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안전밸트 미착용으로인한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안전밸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시트의 전후위치 조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밸트연결고리의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밸트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안전밸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안전벨트가 장착된 시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필러 200...밸트
300...리트랙터 400...밸트안내고리
500...밸트고정구 600...버클부재
700...슬라이드블록 800...모터
900...시트 920...콘트롤유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밸트 높이조절장치는, 필러의 하방에 마련되며 내부에 장착된 감김장치에 의해 밸트의 감김/플림작용이 가능한 리트랙터와, 소정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필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밸트안내고리와, 밸트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트고정구와, 밸트고정구를 록킹결합시키는 버클부재가 구비되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필러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일단에 상기 밸트안내고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근접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일단을 연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일측면에 소정폭의 절개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밸트안내고리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시트의 록킹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콘트롤유니트가 구비되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하여 시트의 전후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밸트연결고리가 상하로 이동되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안전밸트가 착용됨으로써, 안전밸트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는 도2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100)의 하방에 마련되며 내부에 장착된 감김장치에 의해 밸트(200)의 감김/플림작용이 가능한 리트랙터(300)와, 소정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필러(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밸트안내고리(400)와, 밸트(200)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트고정구(500)와, 밸트고정구를 록킹결합시키는 버클부재(60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은 필러(10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드블록(700)의 일단에 밸트안내고리(400)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슬라이드블록(700)의 근접위치에 마련되어 슬라이드블록의 일단을 연동시키는 모터(800)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드블록(700)은 일측면에 소정폭의 절개부(711)가 형성된 하우징(710)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축(720)과, 이 스크류축(7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하우징의 절개부(711)로 돌출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밸트안내고리(400)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부재(730)가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스크류축(720)이 회전됨과 동시에 슬라이딩부재(73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시트(900)의 록킹부(910)에 복수의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되고,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는 콘트롤유지트(920)가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운전자가 시트(900)에 착석하여 시트의 전후이동레버(911)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시트의 전후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면 시트록킹부(910)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의 위치감지신호가 콘트롤유니트(920)에 입력되고, 입력된 위치데이터를 콘트롤유니트(920)가 판별하여 모터(800)를 적당하게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80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는 스크류축(720)이 연동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73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부재(730)의 일단에 결합된 밸트안내고리(40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밸트(200)의 높낮이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정되도록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밸트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시트(900)의 록킹부(910)에 복수로 마련된 위치감지센서와, 이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운전자의 신체조건을 판단하여 모터(800)를 적당하게 구동시키는 콘트롤유니트(920)에 의해 자동으로 밸트안내고리(400)의 높낮이가 조정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여 안전밸트를 착용한 상태로 시트(900)의 전후 위치만 조정하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안전밸트의 길이 및 높낮이가 조정되어 안전밸트의 착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밸트(200)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승차자들의 안전밸트 착용 기피 현상이 줄어들게 되고, 안전밸트 미착용으로인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전밸트의 길이 및 높낮이가 조정가능함으로써, 안전밸트의 착용감이 안정되어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부상을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필러의 하방에 마련되며 내부에 장착된 감김장치에 의해 밸트의 감김/플림작용이 가능한 리트랙터와, 소정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필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밸트안내고리와, 밸트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트고정구와, 밸트고정구를 록킹결합시키는 버클부재가 구비되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필러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일단에 상기 밸트안내고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근접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일단을 연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은 일측면에 소정폭의 절개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밸트안내고리와 연결되는 슬라이딩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류축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트의 록킹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콘트롤유니트가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트의 높이조절장치.
KR1019970064772A 1997-11-29 1997-11-29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KR19990043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2A KR19990043730A (ko) 1997-11-29 1997-11-29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772A KR19990043730A (ko) 1997-11-29 1997-11-29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730A true KR19990043730A (ko) 1999-06-15

Family

ID=6609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772A KR19990043730A (ko) 1997-11-29 1997-11-29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893A (zh) * 2022-07-12 2022-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装置、座椅及车辆
KR20230114461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테스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461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테스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CN115179893A (zh) * 2022-07-12 2022-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装置、座椅及车辆
CN115179893B (zh) * 2022-07-12 2023-12-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装置、座椅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801B2 (en) Vehicle air bag minimum distanc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7364186B2 (en) Vehicle air bag minimum distanc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EP0447364B1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US6820895B2 (en) Vehicle air bag minimum distance enforce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5441332A (en) Seat integrated vehicle safety apparatus
US5022677A (en) Motor vehicle seat featuring two seat belts
JPS6261859A (ja) 自動調節式安全シ−トベルト装置
US6250680B1 (en) Passenger safety belt restraint arrangement
KR19990043730A (ko)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KR100590955B1 (ko) 자동차용 자동 시트 벨트 구조
KR016025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자동높이조절장치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200142038Y1 (ko) 시트일체형 시트벨트
KR102662369B1 (ko) 시트벨트 장치
KR10047104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US4730874A (en) Seat for vehicle
KR0133480Y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100391282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보강구조
KR100379963B1 (ko) 다방향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200168416Y1 (ko) 자동차의 유아용 시트 구조
KR20230055229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착용 전 상태의 위치 조정구조
CN116888020A (zh) 安全带卷收器
JP2024506471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