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040B1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040B1
KR100471040B1 KR10-2002-0006970A KR20020006970A KR100471040B1 KR 100471040 B1 KR100471040 B1 KR 100471040B1 KR 20020006970 A KR20020006970 A KR 20020006970A KR 100471040 B1 KR100471040 B1 KR 10047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seat belt
height
cylinder devic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118A (ko
Inventor
김진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04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쿠션에 설치된 하중감지 수단과, 상기 하중감지 수단에 연결된 엑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유압이 상승되어 앵커 플레이트의 높이를 탑승자의 몸무게에 비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자동으로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도모하므로 시트벨트 착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Height-adjuster of seat-be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에 설치된 하중감지 수단과, 상기 하중감지 수단에 연결된 엑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유압이 상승되어 앵커 플레이트의 높이를 탑승자의 몸무게에 비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자동으로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도모하여 시트벨트 착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탑승해서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차실내의 전, 후방으로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탑승자가 자동차에 탑승하여 시트에 착석할 경우에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 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으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에는 통상적으로 시트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시트벨트는 차실내의 좌, 우측 하단부에 고정되어 시트벨트 웨빙을 탄력적으로 감아 수용하는 리트렉터와, 이 리트렉터로 부터 인출된 시트벨트 웨빙을 좌, 우측 센터 필라에 걸어주는 앵커 플레이트와, 이 앵커 플레이트를 통과한 시트벨트 웨빙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진 텅과, 이 텅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벨트 웨빙이 탑승자의 신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버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에 앉은 탑승자는 상기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어 앵커 플레이트를 거쳐나온 시트벨트 웨빙에 끼워진 텅을 자신의 가슴부위 또는 복부부위로 지나도록 한 다음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클에 체결시키게 되면, 탑승자의 신체가 상기 시트벨트 웨빙에 의해 시트로 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어 나가는 시트벨트 웨빙의 높낮이를 탑승자의 체형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좋게 하면서 지나친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는 차체의 센터필라에 장착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벨트 높이 조절 장치는 다양한 탑승자의 체형 조건과 착좌 습관에 맞춰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시트벨트 높이조절 장치는 수동으로 조절하게 되어 있어서, 이렇게 수동으로 조절하다 보니 사람이 일일이 몸을 비틀고, 높이를 조절해야 하므로 위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쿠션에 설치되는 가압판과, 제1실린더 장치로 구성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받아 유압을 발생시키는 하중감지 수단과, 상기 제 1실린더 장치측과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유압을 받아 높이 조절부 및 록킹부를 움직여주는 제2실린더 장치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의 높이를 탑승자의 몸무게에 비례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자동으로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도모하므로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는 시트쿠션(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전달하는 가압판(12)과, 상기 가압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작동하는 제 1실린더 장치(13)로 구성된 하중 감지수단과;
상기 제 1실린더 장치(13)측과 유로(14)를 통해 연결되고, 유압을 받아 높이 조절부(16) 및 록킹부(19)를 움직여주는 제 2실린더 장치(15)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수단과;
상기 엑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높이 조절부(16)와, 상기 높이 조절부(16)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부(19)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16)와, 상기 높이 조절부(16)의 하단에 양쪽으로 갈라져 형성된 직경이 작은 유압라인(17)과, 상기 유압라인(17)의 양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 장치(18)와, 상기 제3실린더 장치(18)의 피스톤 로드(18a)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센터 필라(100) 상에 장착된 고정홈부(20)에 록킹돌기(19a)가 록킹될 수 있게 되며,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부(16) 상에 힌지고정된 록킹부(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시트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시트쿠션(11)의 내부에는 판형상으로 탑승자의 하중을 전달 받는 가압판(12)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12)과 연결되어 하중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작동하는 제1실린더 장치(13)가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중감지 수단의 제1실린더 장치(13) 측과 유로(14)를 통해 연결되고, 유압을 받아 높이조절 수단 즉, 시트벨트 웨빙이 지지되는 센터 필라(100)의 앵커 플레이트(미도시)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움직여주는 제2실린더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실린더 장치(15)는 높이조절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센터 필라(100)에 설치된 앵커 플레이트의 위치를 상하로 전환하여 가변가능하도록 상기 앵커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제2실린더 장치(15)측과 유로(14)를 통해 연결되는바, 상기 유로(14)의 상단부와 연결된 높이조절 수단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16)와, 상기 높이 조절부(16)의 하단에 양쪽으로 갈라져 형성된 직경이 작은 유압라인(17)과, 상기 유압라인(17)의 양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 장치(18)와, 상기 제3실린더 장치(18)의 피스톤 로드(18a)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센터 필라(100) 상에 장착된 고정홈부(20)에 록킹돌기(19a)가 록킹될 수 있게 되며,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부(16) 상에 힌지고정된 록킹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부(20)는 높이조절 수단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톱니형상 구조로 상기 높이조절 수단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9b는 상기 록킹부(19)가 원위치로 리턴될 수 있도록 팽창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을 나타낸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 탑승자가 시트(10)의 시트쿠션(11)에 착석하면 상기 시트쿠션(11)에 내장된 가압판(12)이 가압되어 밀리게 되는데, 그 밀린 압력이 제 1실린더 장치(13)의 피스톤 로드(13a)를 통해 유로(14)를 따라 제 2실린더 장치(15)에 삽입되어 있는 높이 조절부(16)의 저면을 밀게 되므로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 수단에 형성된 록킹부(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에 의해 양측에 설치된 고정홈부(20)에 록킹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6)를 센터 필라(100)상에 고정되도록 하여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후, 탑승자가 시트(10)에 하중을 가하지 않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19b)에 의해 유압은 하방으로 작용하고, 그로 인해 높이조절 수단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는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가슴에 걸쳐지는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시나 급제동시에 탑승자의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는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자동으로 최적의 시트벨트 착용 조건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체형의 탑승자에 대한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11 : 시트쿠션
12 : 가압판 13 : 제1실린더 장치
13a : 피스톤 로드 14 : 유로
15 : 제2실린더 장치 16 : 높이 조절부
17 : 유압라인 18 : 제3실린더 장치
18a : 피스톤 로드 19 : 록킹부
19a : 록킹돌기 19b : 리턴 스프링
20 : 고정홈부

Claims (2)

  1. 삭제
  2. 시트쿠션(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전달하는 가압판(12)과, 상기 가압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작동하는 제 1실린더 장치(13)로 구성된 하중 감지수단과; 상기 제 1실린더 장치(13)측과 유로(14)를 통해 연결되고, 유압을 받아 높이 조절부(16) 및 록킹부(19)를 움직여주는 제 2실린더 장치(15)를 포함하는 엑추에이터수단과; 상기 엑추에이터 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높이 조절부(16)와, 상기 높이 조절부(16)의 상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부(19)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수단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16)와, 상기 높이 조절부(16)의 하단에 양쪽으로 갈라져 형성된 직경이 작은 유압라인(17)과, 상기 유압라인(17)의 양측에 설치된 제3실린더 장치(18)와, 상기 제3실린더 장치(18)의 피스톤 로드(18a)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상기 센터 필라(100) 상에 장착된 고정홈부(20)에 록킹돌기(19a)가 록킹될 수 있게 되며,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부(16) 상에 힌지고정된 록킹부(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10-2002-0006970A 2002-02-07 2002-02-0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10047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70A KR100471040B1 (ko) 2002-02-07 2002-02-0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70A KR100471040B1 (ko) 2002-02-07 2002-02-0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18A KR20030067118A (ko) 2003-08-14
KR100471040B1 true KR100471040B1 (ko) 2005-03-08

Family

ID=3222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970A KR100471040B1 (ko) 2002-02-07 2002-02-07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5450A (ja) * 1990-06-26 1992-02-24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20010065440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5450A (ja) * 1990-06-26 1992-02-24 Toyota Motor Corp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20010065440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118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8498B (zh) 四点式座椅安全带系统
US5015010A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EP1927520B1 (en) Child Safety Restraint
US3471197A (en) Passenger restraining system
US6139111A (en) Four point seat-mounted restraint apparatus
US7469928B2 (en) Adaptive seat belt system
WO2005102112A2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US20150375647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9340130B2 (en) Vehicle seat
US6213508B1 (en) Vehicle seat belt device
KR10047104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100298614B1 (ko)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JP2006103402A (ja) 乗員腰部拘束装置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100590955B1 (ko) 자동차용 자동 시트 벨트 구조
KR0157841B1 (ko)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100379963B1 (ko) 다방향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19980023797U (ko) 3점식 드라이버 시트와 일체형인 시트벨트를 갖는 버스
KR96001053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벨트 걸이장치
KR200142038Y1 (ko) 시트일체형 시트벨트
FI99102C (fi) Ajoneuvon turvavyöjärjestelmä
JPH05147485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2014227032A (ja) 車両用シート
KR19990043730A (ko)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