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598A -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598A
KR19990042598A KR1019970063461A KR19970063461A KR19990042598A KR 19990042598 A KR19990042598 A KR 19990042598A KR 1019970063461 A KR1019970063461 A KR 1019970063461A KR 19970063461 A KR19970063461 A KR 19970063461A KR 19990042598 A KR19990042598 A KR 1999004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re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213B1 (ko
Inventor
이시춘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7006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A)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5 내지 99중량부, (B)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75중량부 및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를 0 내지 30중량부 혼합사용하고, 상기(A + B + C1 + C2) 100중량부에 대하여 (D)마그네슘 산화물 0.01 내지 0.2중량부를 부가하여 제조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열안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를 충격 보강재로 하고 마그네슘 산화물을 적정량 사용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내화학약품성, 기계적성질, 전기적 성질등이 매우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과 전기, 전자부품등 산업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유리전이 온도 이하에서는 충격강도가 매우 불량하여 그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다. 이에 반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은 양호하지만 내화학약품성이 취약하여 그 사용 용도가 제한을 받고 있어 두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져 왔다.
미국특허 3,218,372 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95 내지 5중량부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5 내지 95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내화학약품성이 향상되고 용융점도가 감소하여 가공성이 향상됨을 제안 하였다. 또한,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연성이 뛰어남을 제시하였으나, 상기 조성물은 저온에서 매우 낮은 내충격성을 나타내었으며 내충격성과 내화학약품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고, 고온의 환경에서 급격한 내충격성의 저하를 나타내었다.
미국특허 3,864,428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내지 85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 내지 75중량부와 충격보강재로서 부타디엔계 고무의 코어구조에 비닐계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 2 내지 35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수지 조성물은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함유함으로써 내화학성 및 충격성이 모두 향상되었지만 부타디엔계 코어-쉘 고분자는 불포화기의 영향으로 인해 내후성과 열안정성이 취약하여 장기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의 사용에는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4,257,937에는 충격보강재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충격성, 강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를 개시하고 있고, 미국특허 4,264,487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내지 95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50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형태의 충격보강재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가지 조성물은 부타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충격보강재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열안정성과 장기 내열성은 매우 우수하였지만,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유리전이 온도는 디엔계 고무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충격보강재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매우 취약하였다.
미국특허 4,888,388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혼합물에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와 실리콘계고무 혼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이용하는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 있고,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코어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내후성과 열안정성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고무 복합체에서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저온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 5,025,066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 혼합물 등에 충격보강재로서 실리콘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와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조합하여 두 코어-쉘 조성비를 1/9 내지 9/1로 사용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내후성은 우수한 반면에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급격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거나 상용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미국특허 제 4,452,932에서는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에 사용되는 티탄 산화물계 촉매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시키고 적절한 반응 방지제를 투입하여 물성을 안정화시키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으로 사용되는 촉매로는 티탄 산화물, 파라톨루엔 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을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블랜드에 사용할 경우 기계적 물성을 떨어뜨리거나 블랜드의 색상을 변색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디엔계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와 실리콘계 고무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복합체를 코어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하고 여기에, 마그네슘 산화물을 부가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5 내지 99중량부, (B)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75중량부,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를 0 내지 30중량부 혼합사용하고,(D)마그네슘 산화물을 0.01 내지 0.2중량부 부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A)의 그 제조방법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의 응용은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여러 회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테레프탈릭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나 내열성 등을 고려하면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의 사용량은 5 내지 99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중량부 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B)는 분자량 조절제와 촉매의 존재하에서 디히드릭페놀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릭페놀과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가지달린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선형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가지달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히드록시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히드릭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바람직한 디히드릭페놀은 비스페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즉, 비스페놀A 이다. 비스페놀A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다른 디히드릭페놀로 대체될 수 있다. 비스페놀 A이외의 디히드릭페놀은 히드로퀴논,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및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과 같은 할로겐화 비스페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단일 중합체이거나 두 종류 이상의 디히드릭페놀을 사용한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로서 가장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며, 이 수지는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코어-쉘 형태 공중합체의 상용화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저온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나 작업성을 고려하면 중량평균 분자량 20,000 내지 8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량은 1 내지 7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의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는 디엔계 단량체로 부터 만들어진 고무의 코어 구조에 비닐 모노머가 그라프트 되어 있는 딱딱한 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디엔계 코어-쉘 공중합체(C1)는 탄소수 4 내지 6의 디엔계 고무 중에서 1종 이상 선택한 것을 중합한 후 비닐계 단량체를 고무에 그라프트시켜 코어-쉘 구조를 만들었으며 고무 함량은 2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되는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t-부틸스틸렌, 알파-메틸 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스티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클로로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디비닐벤젠등과 같은 방향족 비닐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시안화비닐 단량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두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다른 종류의 코어-쉘 공중합체를 이루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는 불포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부터 만들어진 고무와 실리콘계 고무가 복합체를 이루는 형태의 고무를 코어로 가지고 그 코어 구조에 역시 비닐 모노머가 그라프트 되어 있는 공중합체이다.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는 유화중합을 통하여 제조하는 것이 입자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장 알맞으며 먼저 유기실록산과 경화제를 이용하여 실리콘계 고무 라텍스를 중합한 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고무속으로 함침시키고 함침된 단량체들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실리콘계 고무는 시클로실록산으로 부터 만들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등이 있다. 이들 실록산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실리콘계 고무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고무 복합체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경화제는 트리메톡시메틸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또는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이 있으며, 그중 테트라에톡시실란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실리콘계 고무속으로 함침시킨 뒤 경화제와 함께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경화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1,4-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에 그라프팅 가능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그리고 아크릴로니트릴같은 불포화 화합물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고무에 그라프트시켜 딱딱한 쉘을 만들어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를 만들었다.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가 주성분이므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 혼합물에 충격보강재로 이용되었을 경우 상온에서는 높은 충격강도를 보이나 저온에서는 낮은 충격강도를 보인다. 반면 디엔계 고무를 코어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만을 충격보강재로 이용하였을 경우에는 저온 내충격강도는 우수하나 열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디엔계 고무를 코어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에 소량의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를 혼합하여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선행기술에서 예측할 수 있는 경우와 달리 오히려 디엔계 고무를 코어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를 충격보강재로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저온 충격강도를 나타냈으며 장기 열안정성 또한 우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저온에서의 내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 산화물이 첨가되었는데, 예를들면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으로 함량은 0.01 내지 0.2중량부이다. 마그네슘 산화물의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의 향상을 달성하기 어렵고,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충격강도가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기타 첨가제를 넣어 사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알루미나 등 무기 충전제를 첨가할 경우 기계적인 강도 및 열변형 온도(HDT :Heat Distortion Temperature)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기타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할제, 염료, 안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A),(B) 및 (C1,C2)를 동시에 함께 공급하여 압출하거나 또는 수지의 가공에 사용되는 압출기를 두 영역으로 나누어 (B)와(C1,C2)를 첫 번째 영역에 먼저 공급한 뒤 보조공급장치를 이용하여 (A)를 두 번째 영역에서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A),(B)와(D)를 동시에 공급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이것을 (A),(B),(C1,C2)에 소량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A)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는 (주)선경인더스트리의 스카이톤 1100디(SKYTON 110D)를 사용하였다.
(B)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형으로 일본 테이진(TEIJIN)사의 팬라이트(PANLITE) L-1250W를 사용하였다.
(C1)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일본 구레하(KUREHA)사의 파라로이드(PALALOID) EXL-2602이고, (C2)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는 실리콘 중합체/아크릴계 고무 복합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일본 엠알씨(MRC)사의 메타블렌(METABLEN)RK-200이다.
(D)마그네슘 산화물은 일본 교화화학(Kyowa Chemicals)사의 교화마그(Kyowamag) 150grade이다.
실시예 1∼4
(A)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폴리카보네이트 수지, (C1)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 (C2)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 및 (D)마그네슘 산화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ø=45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4는 (C2)를 사용하지 않고 (C1)만을 충격보강재로 투입하여 실험하였다. 이때, 안정제로 페놀계(Phenolic antioxidant) 등의 1차 산화방지제 0.6중량부, 후 가공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인계 산화방지제(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핀)가 0.6중량부 첨가되었다.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정도 건조후 10 Oz사출기에서 성형온도 230∼300℃, 금형온도 60∼90℃조건으로 사출하여 물성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ASTM D256에 따라 아이조드 충격강도(1/8" 노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실시예와 비교하여 마그네슘 산화물을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 및 3과 동일하게 한 후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PBT(A) 40 40 40 40 40 40
PC(B) 50 50 50 50 50 50
C1 9 9 10 10 9 10
C2 1 1 - - 1 -
D 0.03 0.1 0.03 0.1 - -
아이조드 충격강도(노치 1/8" kg cm/cm) 124 비파괴 98 비파괴 84 72
(단위 : 중량부)
실시예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그네슘 산화물을 소량 첨가할 경우 매우 높은 충격강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색의 변화 가스발생의 문제점은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재로 하고 여기에 산화마그네슘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종래의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4)

  1. (A)폴리(1,4-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5 내지 99중량부, (B)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75중량부,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를 0 내지 30중량부 혼합사용하고, 상기(A + B + C1 + C2) 100중량부에 대하여 (D)마그네슘 산화물 0.01 내지 0.2중량부를 부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1)는 탄소수 4 내지 6의 디엔계 단량체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중합한 뒤 비닐계 단량체를 고무에 그라프트 시킨 코어-쉘 구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실리콘계 고무가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무 복합체를 코어 구조로 가지는 코어-쉘 공중합체(C2)는 불포화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와 실리콘계 고무가 복합체를 이루는 형태의 고무를 코어 구조로 가지고 그 코어 구조에 비닐계 단량체가 그라프트 되어 있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공중합체(C2)의 실리콘계 고무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및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함량은 고무 복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70063461A 1997-11-27 1997-11-27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6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461A KR100364213B1 (ko) 1997-11-27 1997-11-27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461A KR100364213B1 (ko) 1997-11-27 1997-11-27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598A true KR19990042598A (ko) 1999-06-15
KR100364213B1 KR100364213B1 (ko) 2003-02-19

Family

ID=3749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461A KR100364213B1 (ko) 1997-11-27 1997-11-27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231B1 (ko) * 1997-12-15 2003-02-19 제일모직주식회사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31270B1 (ko) * 2001-11-01 2005-11-28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굴곡 강성이 우수한 시트 압출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압출시트
WO2008076470A3 (en) * 2006-08-01 2008-09-18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mi shiel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291B1 (ko) * 2013-12-09 2017-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231B1 (ko) * 1997-12-15 2003-02-19 제일모직주식회사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31270B1 (ko) * 2001-11-01 2005-11-28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굴곡 강성이 우수한 시트 압출용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압출시트
WO2008076470A3 (en) * 2006-08-01 2008-09-18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mi shie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213B1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973A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EP1529810B1 (en) Modified weatherable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KR101453773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1267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709878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가지는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성형품
KR20080063052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JPH11181268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397466B1 (ko) 고유동, 고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40105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57684B1 (ko) 내피로 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20110077805A (ko) 코어-쉘 구조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KR1008785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364213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64231B1 (ko)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83171B1 (ko) 유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78571B1 (ko)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94981B1 (ko) 고충격, 고내피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계 얼로이수지 조성물
KR1008991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30569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JPH1112454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01871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65805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JP200210530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615909B1 (ko)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KR20120077599A (ko) 유동성과 내열도가 증가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