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882A -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882A
KR19990041882A KR1019970062557A KR19970062557A KR19990041882A KR 19990041882 A KR19990041882 A KR 19990041882A KR 1019970062557 A KR1019970062557 A KR 1019970062557A KR 19970062557 A KR19970062557 A KR 19970062557A KR 19990041882 A KR19990041882 A KR 1999004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optical pickup
dvd
heigh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882A/ko
Priority to JP10331480A priority patent/JPH11242821A/ja
Priority to CN98126902A priority patent/CN1122984C/zh
Priority to US09/199,354 priority patent/US6084726A/en
Publication of KR1999004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의 높이를 줄여 이러한 축습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광픽업 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소형의 광픽업 장치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 등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에 형성되는 축공(18)에 결합되는 회전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 홀더(10)의 반경을 대략 14.6㎜로 하고 높이를 대략 5㎜로 하며, 중심으로부터 대물렌즈(12,14)까지의 거리가 줄어들어 트래킹 구동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자성체(16)의 강성값을 줄이고, 강성값의 저하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렌즈 홀더(10)의 질량을 최적화시켜 구동감도를 향상시킨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렌즈 홀더(10)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전체 액츄에이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광픽업 장치를 소형의 크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것으로서, 특히 반경 14.6㎜인 렌즈 홀더에 직접 레이저 통과공을 형성하고 씨디용 대물렌즈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를 고정함으로써, 대물렌즈를 포함한 렌즈 홀더의 두께를 줄이고 이에 따라 전체 액츄에이터의 두께를 줄여 소형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 등에 적용하기 위한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데크에 설치되어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기록 피트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가 내장된 홀로그램 소자와, 이 홀로그램 소자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을 집속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대물렌즈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에서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와 래디얼 방향의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대물렌즈를 래디얼 방향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의 크기 및 기록 피트 트랙에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광 초점의 에러를 보정하는 것이 액츄에이터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중 씨디 재생용 대물렌즈와 디브이디 재생용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 씨디-디브이디 겸용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한 제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0)에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고정시키고, 렌즈 홀더(110)를 요크(130)에 형성한 회전축(138)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축습동 액츄에이터는 하방에 한 개의 홀로그램소자를 설치하고, 렌즈 홀더(110)가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12)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가 선택적으로 홀로그램 소자의 광경로에 위치시킴으로써, 한 개의 홀로그램 소자로 씨디 또는 디브이디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습동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먼저 요크(130) 상에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가공한 회전축(138)을 고정하여 렌즈 홀더(110)가 거의 마찰 없이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요크(130)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1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136)를 교번으로 고정시키고, 렌즈 홀더(110)의 측면에는 마그네트(134,136)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120)을 접착하여 마그네트(134,136)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10)를 구동시키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136)를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4)도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6)의 자속을 받는 권선 코일(120)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렌즈 홀더(110)를 큰 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의 위치를 전환한다.
또한 권선 코일(120)의 후방 렌즈 홀더(110)에는 4개의 자성체(116)를 각각 고정하여 마그네트(134,136)의 자속에 끌리는 힘으로 렌즈 홀더(110)를 일정 높이로 부상시켜 렌즈 홀더(110)가 상하 좌우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서스펜션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는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렌즈 홀더(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110)의 상면에 돌출된 고정부(113,115)를 미리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부(113,115)에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고정하였다. 물론 이러한 고정부(113,115)의 중심에는 레이저 광이 통과하기 위한 레이저 통과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3,115)는 렌즈 홀더(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크(130)에 조립된 상태에서 일부가 마그네트(134,136)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110)에 대물렌즈(112,1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3,115)를 렌즈 홀더(1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은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0)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대물렌즈(112,114)의 중심이 일정거리(L1) 만큼 이동하여야만 대물렌즈(112,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트래킹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충분한 구동감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112,114)는 렌즈 홀더(110)의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13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렌즈 홀더(110) 및 요크(130)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렌즈 홀더(110)의 폭은 대략 14.6㎜ 정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정된 렌즈 홀더(110) 내에서 충분한 구동감도를 얻기 위하여 두 개의 대물렌즈(112,114)를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부득이 고정부(113,115)가 마그네트(134,13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였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축습동 액츄에이터에서 상하로 극성이 분할되어 착자된 마그네트(13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바디(one body)형 제품을 사용하였으므로 중심 부분에 수평한 1㎜의 비착자구역(m)이 형성되어 권선 코일(120)에 충분한 자속을 공급하려면 마그네트(134)의 높이는 이 비착자구역(m)을 포함하여 대략 7㎜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축습동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110)는 높이가 커지게 되어 종래의 경우 대물렌즈(112,114)를 포함한 렌즈 홀더(110)의 높이가 대략 11㎜가 되고, 전체 액츄에이터의 높이가 13.5㎜ 정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축습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광픽업 장치는 소형의 크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 등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의 높이를 줄여 이러한 축습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광픽업 장치를 소형화함으로써, 소형의 광픽업 장치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 등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범위를 비교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홀더 12 : 씨디용 대물렌즈
13,15 : 레이저 통과공 14 : 디브이디용 대물렌즈
20 : 권선 코일 30 : 요크
34,36 : 마그네트 38 : 회전축
50 : 홀로그램 소자 52 : 풀미러
54 : 디스크
본 발명은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 및 자성체를 고정한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에 형성되는 축공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 및 자성체에 대응되게 마그네트를 고정한 요크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 홀더의 반경을 대략 14.6㎜로 하고 높이를 대략 5㎜로 하며, 중심으로부터 대물렌즈까지의 거리가 줄어들어 트래킹 구동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자성체의 강성값을 줄이고, 강성값의 저하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렌즈 홀더의 질량을 최적화시킨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이다.
따라서 렌즈 홀더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전체 액츄에이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픽업 장치를 소형의 크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에 형성되는 축공(18)에 결합되는 회전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로 구성된다.
이러한 렌즈 홀더(10)는 반경 14.6㎜로 형성된 원반형의 몸체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형성하고 직접 대물렌즈(12,14)를 고정함으로써, 대물렌즈(12,14)를 포함한 높이를 대략 5㎜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38)은 테프론 코팅을 하여 렌즈 홀더(10)가 거의 마찰 없이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렌즈 홀더(10)의 측면에는 90°의 각도로 4분할된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20) 및 1개의 자성체(16)을 고정하며, 상기 요크(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36)를 각각 고정시켜 권선 코일(20)이 마그네트(34,36)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마그네트(3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바디(two body)형 제품을 사용하여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비착자구역을 제거하고, 권선 코일(20)에 충분한 자속을 공급하도록 높이를 대략 6㎜로 한다.
상기에서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36)를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4)도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6)의 자속을 받는 권선 코일(20)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렌즈 홀더(10)를 큰 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의 위치를 전환한다.
또한 권선 코일(20)의 후방 렌즈 홀더(10)에는 4개의 자성체(16)를 각각 고정하여 마그네트(34,36)의 자속에 끌리는 힘으로 렌즈 홀더(10)를 일정 높이로 부상시켜 렌즈 홀더(10)가 상하 좌우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서스펜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54)의 하방에서 이동하는 픽업 베이스(60)에 한 개의 홀로그램소자(50)를 설치하고, 이 홀로그램소자(50)로부터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이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레이저 통과공(13,15)을 통하여 대물렌즈(12,14)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풀미러(52)를 고정한다. 따라서 렌즈 홀더(10)를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2)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를 선택적으로 홀로그램 소자(50)의 광경로에 위치시킴으로써, 한 개의 홀로그램 소자(50)로 씨디 또는 디브이디인 디스크(54)를 선택적으로 재생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홀더(10)에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통과공(13,15)을 렌즈 홀더(10)에 상하로 형성하고 대물렌즈(12,14)를 직접 고정하므로, 대물렌즈(12,14)의 위치를 마그네트(34,36)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렌즈 홀더(1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물렌즈(12,14)의 중심으로부터 렌즈 홀더(10)의 중심인 회전축(38)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트래킹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대물렌즈(12,14)의 구동거리는 도 10에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0)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대물렌즈(12,14)의 중심이 일정거리(L) 만큼 이동하므로, 종래의 이동거리(L1)보다 짧아져 구동감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저하된 구동감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트래킹 에러 보정시 회전하는 렌즈 홀더(1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때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렌즈 홀더(1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우선, 자속이 강한 마그네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전류에 의해 권선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렌즈 홀더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권선 코일의 권선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동일한 전류에 의해 권선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력을 증가시켜 렌즈 홀더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권선 코일의 저항 값은 줄임으로써, 동일한 전류에 의해 권선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력을 증가시켜 렌즈 홀더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성체의 강성값을 줄이고, 강성값의 저하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렌즈 홀더의 질량을 최적화시켜 렌즈 홀더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4가지 방법 중 실시가 가장 용이한 방법으로 자성체(16)의 강성값을 줄여 렌즈 홀더(1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심으로부터 대물렌즈(12,14)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더라도 트래킹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충분한 구동감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홀더(10)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형성하여 대물렌즈(12,14)를 직접 고정함으로써, 대물렌즈(12,14)를 렌즈 홀더(10)의 반경 내에 위치시켜 렌즈 홀더(10)의 높이를 줄이고, 이에 따라 렌즈 홀더(10)의 중심으로부터 대물렌즈(12,14)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구동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자성체(16)의 강성값을 줄이고, 강성값의 저하에 따른 공진주파수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렌즈 홀더(10)의 질량을 최적화시켜 렌즈 홀더(10)의 회전각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구동감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10)의 높이를 대략 5㎜로 줄이고, 마그네트(34,36)의 높이를 대략 6㎜로 줄여 액츄에이터 전체의 높이(H)를 8.5㎜ 정도까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광픽업 장치는 소형의 크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 등에는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픽업 베이스(60)에 설치된 홀로그램소자(50)에서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은 풀미러(52)에서 수직으로 반사되어 렌즈 홀더(10)의 레이저 통과공(13,15)을 통하여 씨디용 대물렌즈(12)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에 수직으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대물렌즈(12또는14)를 통과한 레이저 광은 디스크(54) 상에 집속되어 기록이 재생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대물렌즈(12또는14)가 광경로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디스크(54)를 재생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6)의 자속을 받는 권선 코일(20)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렌즈 홀더(10)를 큰 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의 위치를 전환하여 디스크(54)를 재생한다.
그리고 디스크(54)의 재생중 씨디용 대물렌즈(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홀더(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래킹 에러를 보정한다. 또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싱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14)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광의 포커스 에러를 보정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에 형성되는 축공(18)에 결합되는 회전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 홀더(10)의 반경을 대략 14.6㎜로 하고 높이를 대략 5㎜로 하며, 중심으로부터 대물렌즈(12,14)까지의 거리가 줄어들어 구동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자성체(16)의 강성값을 줄임으로써 구동감도를 향상시킨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렌즈 홀더(10)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전체 액츄에이터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광픽업 장치를 소형의 크기를 요하는 씨디롬이나 디브이디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원반형의 몸체의 외주내에 레이저 통과공(13,15)을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대물렌즈(12,14)를 고정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를 고정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에 형성되는 축공(18)에 결합되는 회전축(38)을 중심에 고정하고,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게 마그네트(34,36)를 고정한 요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0)는 반경이 14.6㎜이고, 높이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0)와 요크(30)를 포함한 전체의 높이(H)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0)의 측면에는 90°의 각도로 4분할된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20) 및 1개의 자성체(16)을 고정하고, 요크(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선 코일(20) 및 자성체(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36)를 각각 교번으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34,36)는 투바디형으로 높이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19970062557A 1997-11-25 1997-11-25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41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557A KR19990041882A (ko) 1997-11-25 1997-11-25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JP10331480A JPH11242821A (ja) 1997-11-25 1998-11-20 Cd−dvd兼用の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CN98126902A CN1122984C (zh) 1997-11-25 1998-11-25 用于小型盘和数字视盘的光学头致动器
US09/199,354 US6084726A (en) 1997-11-25 1998-11-25 Optical pickup actuator for both a compact disc and a digital video dis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557A KR19990041882A (ko) 1997-11-25 1997-11-25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882A true KR19990041882A (ko) 1999-06-15

Family

ID=1952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557A KR19990041882A (ko) 1997-11-25 1997-11-25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84726A (ko)
JP (1) JPH11242821A (ko)
KR (1) KR19990041882A (ko)
CN (1) CN112298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25B1 (ko) 2005-12-09 2007-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바형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모바일용 액추에이터
US9709769B2 (en) * 2014-12-10 2017-07-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for optically aligning light collection components and optically aligned light collection system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20Y2 (ko) * 1984-09-28 1992-01-28
JP2676342B2 (ja) * 1987-04-17 1997-1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光学部品駆動装置
US4998802A (en) * 1988-06-03 1991-03-12 Kabushiki Kaisha Sankyo Seiki Seisakusho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in an optical pickup
JPH03122826A (ja) * 1989-10-05 1991-05-24 Canon Inc アクチュエータ
JP2984526B2 (ja) * 1993-08-31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056702C (zh) * 1993-10-13 2000-09-20 株式会社三协精机制作所 物镜驱动装置
KR100373673B1 (ko) * 1995-05-08 2003-05-09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기록·재생장치및광픽업
JP2981644B2 (ja) * 1995-09-14 1999-11-22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切替え方法
JP2850822B2 (ja) * 1995-12-26 1999-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1951A (zh) 1999-07-07
US6084726A (en) 2000-07-04
JPH11242821A (ja) 1999-09-07
CN1122984C (zh)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020B1 (ko) 광픽업의 렌즈홀더 조정장치
KR200212483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JPH09288835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9990041882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0917005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444563B1 (ko)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KR100211817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KR200212484Y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KR100227744B1 (ko) 광픽업 장치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KR100624861B1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KR100194350B1 (ko)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진동 흡수 구조
KR20040016674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KR100194348B1 (ko) 코일식 디브이디용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211818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장치
KR100220964B1 (ko) 축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 구조
JPH09231603A (ja) 光学ピックアップ
KR19990079247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11185266A (ja) 2軸アクチュエータ、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198683A (ja)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JPH09198708A (ja)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30033588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8541328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に対する光学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及びかかる光学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を有する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027675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