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247A -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247A
KR19990079247A KR1019980011752A KR19980011752A KR19990079247A KR 19990079247 A KR19990079247 A KR 19990079247A KR 1019980011752 A KR1019980011752 A KR 1019980011752A KR 19980011752 A KR19980011752 A KR 19980011752A KR 19990079247 A KR19990079247 A KR 1999007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bobbin
yoke
optical picku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1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247A/ko
Publication of KR1999007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247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습동 방식 액츄에이터의 마그네트의 자속 이용효율을 증가시켜 렌즈 홀더에 발생되는 전자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마그네트와 권선 코일의 수를 줄여 부품 비용과 조립공정을 감소시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 통과공(14,16)을 형성하여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0,62)를 고정하고 저면에 원통형의 보빈(20)을 형성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철편(26)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권선 고정되는 포커스 코일(30)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래킹 코일(3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을 감싸도록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되고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하나의 레이저 통과공(14 또는 16)에 대응되게 레이저 통과공(46)을 바닥에 형성한 요크(40)와, 상기 렌즈 홀더(10)가 요크(40) 상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회전축(1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요크(40)에 가이드(44)를 형성하여 고정한 마그네트(50)로 구성된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요크(40)의 외벽이 트래킹 코일(32) 및 포커스 코일(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자기 폐쇄회로를 형성하므로 자기 이용효율을 증가시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습동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액츄에이터에 자기 폐쇄회로를 형성하여 자기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권선 코일 및 마그네트의 수를 감소시켜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장치는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의 데크에 설치되어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기록 피트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가 내장된 홀로그램 소자와, 이 홀로그램 소자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레이저 광을 집속하여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초점을 형성하기 위한 대물렌즈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광픽업 장치의 대물렌즈에서 디스크의 기록 피트에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나 트래킹 방향의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대물렌즈를 광축 방향이나 트래킹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의 크기 및 기록 피트 트랙에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광 초점의 에러를 보정하는 것이 액츄에이터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중 씨디 재생용 대물렌즈와 디브이디 재생용 대물렌즈를 고정한 렌즈 홀더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및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 씨디-디브이디 겸용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한 제품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홀더(110)에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고정시키고, 렌즈 홀더(110)를 요크(130)에 형성한 회전축(138)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축습동 액츄에이터는 하방에 한 개의 홀로그램소자를 설치하고, 렌즈 홀더(110)가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12)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가 선택적으로 홀로그램 소자의 광경로에 위치시킴으로써, 한 개의 홀로그램 소자로 씨디 또는 디브이디를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습동 액츄에이터의 렌즈 홀더(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먼저 요크(130) 상에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가공한 회전축(138)을 고정하여 렌즈 홀더(110)가 거의 마찰 없이 회전축(138)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고, 요크(130)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착자된 마그네트(134)와 좌우로 착자된 마그네트(136)를 교번으로 고정시키고, 렌즈 홀더(110)의 측면에는 마그네트(134,136)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2개씩의 권선 코일(120)을 접착하여 마그네트(134,136)의 자속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렌즈 홀더(110)를 구동시키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극성이 좌우로 분할된 마그네트(136)를 180°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6)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하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4)도 180° 간격으로 배치되게 하여 이 마그네트(134)의 자속이 미치는 권선 코일(1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 렌즈 홀더(1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렌즈 홀더(1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로 극성이 분할된 마그네트(136)의 자속을 받는 권선 코일(120)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렌즈 홀더(110)를 큰 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112)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의 위치를 전환한다.
또한 권선 코일(120)의 후방 렌즈 홀더(110)에는 4개의 자성체(116)를 각각 고정하여 마그네트(134,136)의 자속에 끌리는 힘으로 렌즈 홀더(110)를 일정 높이로 부상시켜 렌즈 홀더(110)가 상하 좌우로의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서스펜션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는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렌즈 홀더(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110)의 상면에 돌출된 고정부(113,115)를 미리 형성하고, 각각의 고정부(113,115)에 씨디용 대물렌즈(112)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114)를 고정하였다. 물론 이러한 고정부(113,115)의 중심에는 레이저 광이 통과하기 위한 레이저 통과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13,115)는 렌즈 홀더(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크(130)에 조립된 상태에서 일부가 마그네트(134,136)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110)에 대물렌즈(112,1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3,115)를 렌즈 홀더(1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은 렌즈 홀더(110)가 일정 각도 회전할 때 대물렌즈(112,114)의 중심이 일정거리 만큼 이동하여야만 대물렌즈(112,114)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트래킹 에러를 보정할 수 있는 충분한 구동감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대물렌즈(112,114)는 렌즈 홀더(110)의 중심에 위치한 회전축(13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렌즈 홀더(110) 및 요크(130)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렌즈 홀더(110)의 직경은 대략 14.6㎜ 정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정된 렌즈 홀더(110) 내에서 충분한 구동감도를 얻기 위하여 두 개의 대물렌즈(112,114)를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부득이 고정부(113,115)가 마그네트(134,13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였던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있어서는 요크(130)의 내측면에 고정된 마그네트(134,136)에서 나온 자속은 권선 코일(120)을 지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시켜 렌즈 홀더(1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액츄에이터는 권선 코일(120)을 지난 자속을 유도하는 별도의 자기 폐쇄회로를 형성하지 않았으므로, 권선 코일(120)에서 발생되는 전자력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권선 코일(120)에서 충분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4개의 두꺼운 마그네트(134,136)와 8개의 권선 코일(120)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134,136) 및 권선 코일(120)의 수가 많아 부품 비용이 높고, 조립 공정수가 많으므로 조립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그네트의 자속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켜 렌즈 홀더에 발생되는 전자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마그네트와 권선 코일의 수를 줄여 부품 비용과 조립공정을 감소시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습동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홀더 12 : 회전축
14,16,46 : 레이저 통과공 20 : 보빈
22 : 환형홈 24,28 : 협지부
26 : 철편 30 : 포커스 코일
32 : 트래킹 코일 40 : 요크
42 : 축홀더 44 : 가이드
50 : 마그네트 52 : 관통공
60,62 : 대물렌즈
본 발명은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레이저 통과공을 형성하여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를 고정하고 저면에 원통형의 보빈과 이 보빈의 중심에 회전축을 형성한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 홀더의 보빈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철편과, 상기 렌즈 홀더의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 고정되는 포커스 코일과, 상기 렌즈 홀더의 보빈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래킹 코일과, 상기 렌즈 홀더의 보빈을 감싸도록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되고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홀더와 렌즈 홀더에 형성한 하나의 레이저 통과공에 대응되게 레이저 통과공을 바닥에 형성한 요크와, 상기 렌즈 홀더의 보빈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요크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고정한 마그네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로부터 나온 자속이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을 지나 요크의 외벽에 유도된 후 다시 요크의 바닥과 가이드를 거쳐 마그네트로 복귀하는 자기 폐쇄회로가 형성되므로,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에 발생하는 전자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의 자기 효율이 증가하므로, 환형의 1개의 마그네트와 4각형의 두 개의 트래킹 코일 및 포커스 코일만으로 렌즈 홀더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감소하여 부품 비용 및 조립 공정이 감소되므로 조립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양호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 2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통과공(14,16)을 형성하여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0,62)를 고정하고 저면에 원통형의 보빈(20)을 형성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철편(26)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권선 고정되는 포커스 코일(30)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래킹 코일(3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을 감싸도록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되고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하나의 레이저 통과공(14 또는 16)에 대응되게 레이저 통과공(46)을 바닥에 형성한 요크(40)와, 상기 렌즈 홀더(10)가 요크(40) 상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회전축(1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요크(40)에 가이드(44)를 형성하여 고정한 마그네트(50)로 구성한다.
상기의 회전축(12)은 보빈(20)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요크(40)의 중심에는 회전축(12)이 삽입되는 축홀더(42)를 형성하여 렌즈 홀더(10)와 요크(40)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회전축(12)은 테프론 코팅처리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축홀더(42)에 회전축(12)이 삽입되는 홀은 회전축(12)이 최소의 마찰을 받으면서 가장 안정되게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하며, 축홀더(12)의 상면이 렌즈 홀더(10)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에는 4분할된 위치에 협지부(24)를 갖는 환형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철편(26)에는 보빈(20)의 협지부(24)에 일치되는 협지부(28)를 형성하여 각각의 협지부(24,28)가 일치되도록 철편(26)을 환형홈(22)에 삽입한 후, 본딩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50)에는 철편(26)의 협지부(28)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관통공(5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렌즈 홀더(10)에 철편(26)을 고정하는 것은 마그네트(50)의 자력에 의해 철편(26)이 끌리게 함으로써, 철편(26)이 고정된 렌즈 홀더(10)가 부상되게 하여 요크(4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환형홈(22) 및 철편(26)에 협지부(24,28)를 형성한 것은 각각의 협지부(24,28)가 서로 결합되게 하여 철편(26)의 위치를 고정하며, 또한 철편(26)의 협지부(28)가 마그네트(50)의 관통공(52)에 대응되게 하여 마그네트(50)로 이끌리는 힘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함으로써, 렌즈 홀더(10)가 일정한 위치에 지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트래킹 코일(32)은 4각형으로 권선된 2개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권선된 한 부분이 마그네트(50)에 형성한 관통공(52)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180°간격으로 철편(26) 및 포커스 코일(30)의 위에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트래킹 코일(32)의 수직되는 한 부분만이 마그네트(50)의 관통공(52) 정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은, 트래킹 코일(32)의 수직으로 권선된 부분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는데, 가령 트래킹 코일(32)의 수직으로 형성된 두 부분에 모두 마그네트(50)의 자속이 미칠 경우, 좌우의 수직방향으로 권선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은 방향이 반대이고 그 힘이 동일하므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하여 트래킹 코일(32)에서 수직으로 권선된 한 부분에만 마그네트(50)의 자속이 미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크(40)에 형성한 가이드(44)는 마그네트(50)의 일부분 중 트래킹 코일(32)의 수직한 부분에 자속이 미치도록 요크(40)의 바닥을 절개하여 수직으로 두 개를 형성한다. 따라서 마그네트(50)에서 나온 자속은 트래킹 코일(32) 및 포커스 코일(30)을 지나 요크(40)의 외벽에서 유도된 후 요크(40)의 바닥과 가이드(44)를 지나고 다시 마그네트(50)로 복귀되는 자기 폐쇄회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과로 트래킹 코일(32)과 포커스 코일(30)에서 강한 전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환형으로 된 한 개의 마그네트(50)를 사용하고 트래킹 코일(32)의 수를 2개로 줄이며 포커스 코일(30)의 권선 수를 줄이더라도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12)을 렌즈 홀더(10)의 보빈(20)에 일체로 형성하고, 회전축(12)이 삽입되는 축홀더(42)를 요크(40)에 형성하였으나,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회전축(43)을 요크(40)에 고정하고, 축홀더(13)를 렌즈 홀더(10)의 보빈(20)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디스크 플레이어에 장착하기 위하여 픽업 베이스에 고정하는데, 이때에는 픽업 베이스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레이저 다이오드와 한 개의 포토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광학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레이저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적정한 장소에 프리즘 및 콜리메이트 렌즈를 구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이 요크(40) 및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레이저 통과공(14,16,46)을 통하여 대물렌즈(60 또는 62)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픽업 베이스에 설치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수평으로 조사된 레이저 광은 프리즘 및 콜리메이트 렌즈를 지나며 수직으로 반사되어 요크(40) 및 렌즈 홀더(10)의 레이저 통과공(14,16)을 통하여 씨디용 대물렌즈(60)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2)에 수직으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대물렌즈(60 또는 62)를 통과한 레이저 광은 디스크 상에 집속되고 반사되는 레이저 광은 다시 대물렌즈(60 또는 62)와 콜리메이트 렌즈 및 프리즘을 통하여 포토 다이오드에 조사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이 광학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로 재생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대물렌즈, 예를 들어 씨디용 대물렌즈(60)가 광경로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브이디를 재생하기 위하여 렌즈 홀더(10)에 고정된 씨디용 대물렌즈(60)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2)의 위치를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마그네트(50)의 자속을 받는 트래킹 코일(32)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를 흘려 렌즈 홀더(10)를 큰 폭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씨디용 대물렌즈(60)와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2)의 위치를 전환하여 디브이디를 재생한다.
그리고 디스크의 재생중 씨디용 대물렌즈(60) 또는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2)에서 형성한 레이저 광의 초점에 트래킹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마그네트(50)의 자속이 미치는 트래킹 코일(32)에 전원을 인가하여 좌우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홀더(10)를 트래킹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래킹 에러를 보정한다. 또 레이저 광의 초점에 포커싱 에러가 발생할 때에는 포커스 코일(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하 방향으로 전자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대물렌즈(60,6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광의 포커스 에러를 보정한다.
이때 마그네트(50)에서 나온 자속은 트래킹 코일(32) 및 포커스 코일(30)을 지나 요크(40)의 외벽에서 유도된 후 요크(40)의 바닥과 가이드(44)를 지나고 다시 마그네트(50)로 복귀됨으로써, 트래킹 코일(32)과 포커스 코일(30)에서 효율적으로 전자력이 발생하여 렌즈 홀더(10)에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게 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통과공(14,16)을 형성하여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0,62)를 고정하고 저면에 원통형의 보빈(20)을 형성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철편(26)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권선 고정되는 포커스 코일(30)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래킹 코일(3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을 감싸도록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되고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하나의 레이저 통과공(14 또는 16)에 대응되게 레이저 통과공(46)을 바닥에 형성한 요크(40)와, 상기 렌즈 홀더(10)가 요크(40) 상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회전축(1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요크(40)에 가이드(44)를 형성하여 고정한 마그네트(50)로 구성된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로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그네트(50)로부터 나온 자속은 포커스 코일(30) 및 트래킹 코일(32)을 지나 요크(40)의 외벽에 유도된 후 다시 마그네트(50)로 복귀하는 자기 폐쇄회로가 형성되므로, 트래킹 코일(32) 및 포커스 코일(30)에 발생하는 전자력이 강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50)의 자기 효율이 증가하여 환형의 1개의 마그네트(50)와 4각형의 두 개의 트래킹 코일(32) 및 포커스 코일(30)만으로 렌즈 홀더(10)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부품 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부품 비용 및 조립 공정이 감소되므로, 그 결과로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레이저 통과공(14,16)을 형성하여 씨디용 및 디브이디용 대물렌즈(60,62)를 고정하고 저면에 원통형의 보빈(20)을 형성한 렌즈 홀더(10)와,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철편(26)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권선 고정되는 포커스 코일(30)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트래킹 코일(3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을 감싸도록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으로 되고 렌즈 홀더(10)에 형성한 하나의 레이저 통과공(14 또는 16)에 대응되게 레이저 통과공(46)을 바닥에 형성한 요크(40)와, 상기 렌즈 홀더(10)가 요크(40) 상에서 회전되게 연결하는 회전축(12)과,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요크(40)에 가이드(44)를 형성하여 고정한 마그네트(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2)은 보빈(20)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요크(40)의 중심에는 회전축(12)이 삽입되는 축홀더(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3)은 요크(40)의 중심에 고정하고, 상기 보빈(20)의 중심에는 회전축(43)이 삽입되는 축홀더(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10)의 보빈(20)에는 4분할된 위치에 협지부(24)를 갖는 환형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철편(26)에는 보빈(20)의 협지부(24)에 일치되는 협지부(28)를 형성하여 환형홈(22)에 삽입 고정하며, 상기 마그네트(50)에는 철편(26)의 협지부(28)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관통공(5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코일(32)은 4각형으로 권선된 2개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권선된 한 부분이 마그네트(50)의 관통공(52)에 위치하도록 180°간격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40)에 형성한 가이드(44)는 철편(26)의 협지부(28)에 위치하지 않은 트래킹 코일(32)의 수직으로 권선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바닥을 절개하여 수직으로 두 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19980011752A 1998-04-03 1998-04-03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79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752A KR19990079247A (ko) 1998-04-03 1998-04-03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752A KR19990079247A (ko) 1998-04-03 1998-04-03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247A true KR19990079247A (ko) 1999-11-05

Family

ID=6586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752A KR19990079247A (ko) 1998-04-03 1998-04-03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958B1 (en) Optical pick-up and disk player
US6034940A (en) Optical pickup actuator
US766804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43672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US5724324A (en) Optical pickup actuator with an objective lens fixing part suspended by an elastic members
JP2005522812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ための読み取り/書き込みヘッド及びかような読み取り/書き込みヘッドを有する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19990079247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3331443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ヘッド
KR100444563B1 (ko) 2축액튜에이터및광디스크장치
KR19990041882A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965B1 (ko)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장치
KR2003008328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930004022Y1 (ko) 대물렌즈 구동장치
JP2000020988A (ja)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
KR0155102B1 (ko) 힌지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이중 대물렌즈
KR100669626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200212484Y1 (ko) 축방식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조정구조
JP3083068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235189Y1 (ko) 광픽업액츄에이터의보빈어셈블리구조
KR100570962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100288419B1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964B1 (ko) 축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댐핑 구조
JP3318061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4193868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JPH11185266A (ja) 2軸アクチュエータ、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