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381U -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Google Patents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1381U KR19990041381U KR2019980008205U KR19980008205U KR19990041381U KR 19990041381 U KR19990041381 U KR 19990041381U KR 2019980008205 U KR2019980008205 U KR 2019980008205U KR 19980008205 U KR19980008205 U KR 19980008205U KR 19990041381 U KR19990041381 U KR 1999004138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mp
- pipe
- support
- drainage
- sedimentation t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와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돌 등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내는 침사조를 설치한 침사조를 갖는 집수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주배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연결관(25)과 생활오수유입관(26)이 연결되어 차도(10)와 인도(12) 사이의 배수로(13)의 집수구(14) 하측에 배설되는 집수통(20)의 상부에 상기 집수구에 배치되는 뚜껑받침부(44)와 하부의 연결관(42)을 갖는 집수호퍼(40)가 연결관이 삽입되는 편심구멍(32)이 형성된 편심판체(30)에 의해 조립 시공되어 시공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집수정조립체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밀착 삽입되는 플랜지(52)를 갖고, 측면 상부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 침사조(50)를 구비하고, 상기 침사조의 상부에 두 개의 지지대(54)(55)를 십자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중 일측지지대(55)의 양단을 연장하여 지지편(56)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 양측에 상기 지지편이 삽입되는 걸림홈(43a)(43b)을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시공오차에 의해 정렬되지 않은 집수구(14)와의 연결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기능과 더불어 침사조에 의해 오수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및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완벽한 기능을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집수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수와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돌 등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내도록 침사조를 설치한 침사조를 갖는 집수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은 물빠짐이 용이하도록 중앙부가 높고 가장자리가 낮도록 설계 및 시공한다. 또한 도로의 양측에는 인도가 형성되어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은 도로의 가장자리로 흐르게 됨으로 도로와 인도의 사이에는 빗물이 흐르는 배수로가 자연히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흐르는 우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우수를 집수하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이 배수구에는 집수된 우수를 주배수로로 배수시키기 위해 집수통이 설치된다.
집수통은 배수로의 시공전에 미리 시공되는 것이 순서이므로 시공할 때에는 집수구가 설치될 차도와 인도사이에 먼저 집수통을 매설함과 동시에 하부에 매설된 주배수관으로의 연결관과 유입연결관이 연결시킨 후 배수로를 시공하면서 집수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집수구상에 하수도뚜껑 또는 맨홀뚜껑이 덮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집수구가 거푸집을 잘못 설치하거나 그 밖에 다른 이유로 집수통과 상하정렬되지 않게 되는 시공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집수통의 주위로 물이 스며들어 지반침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시공된 집수통의 상부가 배수로의 표면과 높이가 맞지 않아 심하게 돌출되어 우수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배수구의 주위로 물이 고이게 되거나, 또는 너무 깊게 홈이 파이게 되어 외관이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통을 시공할 때 집수통을 좀더 깊이 매설하고 그 상부에 편심구멍을 갖는 편심판을 씌운 후, 그 상부에 집수호퍼를 연결하여 집수구와 일치시킨다. 이때 시공오차에 의해 집수구와 정렬이 잘못되었거나 또는 높이가 잘 맞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에 형성된 연결관을 편심판의 편심구멍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관의 삽입길이내에서 상하 출몰시켜 높이조절을 하거나 편심판을 회전시키거나 위치 이동시켜 상부의 뚜껑받침부를 집수구에 정확히 배치시킨 다음 주위로 흙 또는 시멘트 몰타르를 채워 시공완료함으로써 집수통과 집수구의 정렬상태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오차에 의해 잘못 정렬된 집수구와 집수통의 높이조절 및 정렬상태를 편심구멍이 형성된 편심판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은 본 고안자에 고안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96-71호에 이미 소개한 바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시공된 도로집수정조립체는 시공시 시공오차에 의해 발생되는 오정렬상태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오수나 우수의 유입시 함께 유입되는 흙이나 모래 및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내는 장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96-71호의 고안에 흙, 모래, 돌맹이와 같이 작은 입자의 오물들이라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침사조가 구비된 도로집수정조립체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침사조가 집수호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도로집수정조립체의 다양한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집수통 구조를 나타낸 부분절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통과 편심판체가 결합되는 구조도,
도 7은 도 6의 집수통에 편심판체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도 12 - 인도 13 - 배수로
14 - 집수구 15 - 뚜껑 20 - 집수통
21 - 연결단관 22 - 고무패킹 23 - 생활오수유입구
24 - 마개 25 - 배수연결관 26 - 생활오수유입관
30 - 편심판체 32 - 편심구멍 40 - 집수호퍼
42 - 연결관 43a,43b - 걸림홈 44 - 뚜껑받침부
46 - 턱 50 - 침사조 52 - 플랜지
54 - 배수구멍 55a,55b - 지지대 56 - 지지편
65a,65b,65c - 뚜껑 70a,70b - 집수통 72a,72b - 외향플랜지
74 - 금속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는, 주배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연결관과 생활오수유입관이 연결되어 차도와 인도 사이의 우수로의 집수구 하측에 배설되는 집수통의 상부에 상기 집수구에 배치되는 뚜껑받침부와 하부의 연결관을 갖는 집수호퍼가 연결관이 삽입되는 편심구멍이 구비된 편심판체에 의해 조립 시공되어 시공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집수정조립체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밀착 삽입되는 플랜지 및 측면 상부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 침사조를 구비하고, 상기 침사조의 상부에 두 개의 지지대를 십자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중 일측지지대의 양단을 연장하여 지지편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 양측에 상기 지지편이 삽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및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침사조가 구비된 도로집수정조립체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는, 차도(10)와 인도 사이의 배수로(13)의 집수구 하측에 배설되는 집수통(20)과, 이 집수통(20)의 상부에 집수구(14)에 배치되는 집수호퍼(40)와 집수통(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집수호퍼(40)의 위치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편심판체(30)와, 집수호퍼(40)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오수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내는 침사조(50)로 구성되어 있다.
집수통(20)은 대부분 시멘트몰타르 또는 주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집수통(20)은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하부 측면에 테이퍼형 연결단관(21)이 형성되어 배수연결관(25)에 의해 차도(10) 내에 매설되는 주배수관으로 연결된다. 연결단관(21)과 배수연결관(25)의 사이에는 누수방지용 고무패킹(22)의 개재되어 배수연결관(25)이 기밀 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집수통(20)은 연결단관(21)의 대향측 측면에 생활오수유입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마개(24)가 끼워져 있다. 이는 예비용으로서 만약의 경우 생활오수를 유입시켜야 할 때 마개(24)를 열고 생활오수 유입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집수통(20)은 차도(10)와 인도(12)사이에 배수로(13)가 시공되기 전 시공순서에 따라 설계된 위치에 미리 매설된다. 그리고 집수통(20)의 주위에는 흙이 채워져 고정된다.
편심판체(30)는 내부에 편심구멍(32)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집수통(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고 있다. 즉, 내부에 형성된 편심구멍(32)이 집수통(20)의 일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 그 반대측부의 집수통(20) 상부가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집수호퍼(40)는 상부에 장방형의 집수구(14)와 일치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내측으로 뚜껑(15)이 안착되는 턱(46)을 구비한 뚜껑받침부(44)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편심판체(30)의 편심구멍(32)의 지름크기를 갖는 연결관(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집수호퍼(40)의 하단과 연결관(42)이 연접되는 부위의 양측에는 걸림홈(43a)(43b)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침사조(50)는 연결관(42)의 내경보다 작은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 둘레에는 연결관(42)의 내경과 같은 지름의 플랜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상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침사조(50)의 상부에 단면이 "I"형구조[도 3 참조]를 갖는 두 개의 지지대(54)(55)를 십자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중 일측지지대(55)의 양단을 연장하여 지지편(56)을 형성하며, 연결관(42)의 상단 양측에 지지편(56)이 삽입되는 걸림홈(43a)(43b)을 형성하여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및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지지대(54)(55)의 형상은 단면이 세로형 직사각구조 또는 원형봉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먼저 도로와 인도(12)사이에 배수로(13)를 시공하기 전 설계된 위치에 따라 집수통(20)을 매설한다. 매설할 때에는 하부의 테이퍼형 연결단관(21)을 누수방지용 고무패킹(22)을 개재하여 배수연결관(25)과 기밀하게 연결하여 차도(10) 내에 매설되는 주배수관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만약 생활오수를 유입시키는 생활오수유입관(26)을 연결해야 할 경우에는 생활오수유입구멍(23)에 끼워진 마개(24)를 열고 이에 생활오수유입관(26)을 연결한다.
이어서 집수통(20)의 상부에 편심판체(30)를 안착시키고, 편심판체(30)의 편심구멍(32)에 집수호퍼(40)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관(42)을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집수통(20)이 설치되면 집수통(20)의 주위에 흙을 채워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거푸집을 짜 배수로(13)를 형성하면서 집수구(14)를 형성한다. 이때 집수호퍼(40)를 하부의 편심판체(30)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수평이동 및 높이를 조절하여 뚜껑받침부(44)를 배수로(13)의 높이와 알맞게 일치시킨 후 공간부에 시멘트 몰타르를 채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기본적인 도로집수정조립체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침사조(50)를 집수호퍼(40)의 연결관(42)에 도 2, 도 3과 같이 삽입시킨다. 침사조(5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52)의 지름은 연결관(42)의 내경과 같기 때문에 기밀한 상태로 밀착되고, 플랜지(52)하부의 침사조(50) 측면은 연결관(42)의 내경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됨으로 우수 및 오수가 통과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침사조(50)를 삽입시키면서 양측의 지지편(56)을 걸림편에 각각 삽입시켜 침사조(5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침사조(50)가 설치되면 침사조(50)의 플랜지(52)가 연결관(42)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에 있게 되어 집수호퍼(40)내에 턱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우수 및 오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된다.
침사조(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집수호퍼(40)의 상부에 형성된 뚜껑받침부(44)에 뚜껑(15)을 안착시켜 도로집수정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뚜껑(15)은 도 4a, 4b, 4c에서와 같이 그 표면에 형성된 구멍이 사각형, 마름모 등의 형상이나, 뚜껑자체가 그레이팅으로된 것 등 여러 가지 형상 및 구조의 뚜껑(65a)(65b)(65c)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우수 또는 오수가 배수로(13)를 통해 집수구(14)로 유입되면 뚜껑(15)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집수호퍼(40)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침사조(50)를 거쳐 침사조(50) 측면 상부에 형성된 배수구멍(54)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연결관(42)과 침사조(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집수통(20)으로 유입된다. 침사조(50)의 배수구멍(54)으로 오버플로우될 때 침사조(50)의 바닥에 작은 입자의 모래, 흙 및 돌과 같은 오물들은 가라앉게 되어 우수나 오수만 집수통(2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어서 침사조(50)를 거친 우수 및 오수는 배수연결관(25)을 통해 주배수관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또한 도 5a에서와 같이 집수통(70a)을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그 상부둘레에 금속제 외향플랜지(72a)를 고정시켜 집수통(70a)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내부에 급속막(74)을 매입시켜 보강한 집수통(70a)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집수통(70b)을 주철재로 형성하고 외향플랜지(72b)가 일체로 형성시킨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통과 편심판체가 결합되는 구조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집수통에 편심판체가 결합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20)의 상면둘레에 돌기(27)가 형성되어 있고, 편심판체(30)의 저면에는 돌기(27)가 삽입되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판체(30)는 집수통(20)의 상부에 안착될 때 집수통(20)의 돌기(27)에 저면의 홈(33)이 대응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시공시 집수호퍼(40)의 연결관(42)을 편심판체(30)의 편심구멍(32)에 삽입시킬 때 편심판체(30)을 슬라이딩회전시켜 편심구멍(32)과 연결관(42)를 일치시킨 후 연결관(42)를 삽입시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시공이 완료되면 편심판체(30)와 집수통(20)의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집수통(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집수정조립체에 의하면 집수통(20)의 상부에 편심판을 설치하여 집수호퍼(4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위치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공오차에 의해 정렬되지 않은 집수구(14)와의 연결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기능과 더불어 침사조(50)에 의해 오수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 모래 및 돌과 같은 작은 입자의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완벽한 기능을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가 제공되게 된다.
Claims (2)
- 주배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연결관(25)과 생활오수유입관(26)이 연결되어 차도(10)와 인도(12) 사이의 배수로(13)의 집수구(14) 하측에 배설되는 집수통(20)의 상부에 상기 집수구(14)에 배치되는 뚜껑받침부(44)와 하부의 연결관(42)을 갖는 집수호퍼(40)가 연결관(42)이 삽입되는 편심구멍(32)을 가진 편심판체(30)에 의해 조립시공되어 시공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집수정조립체에 있어서,상단에 상기 연결관(42)의 상부에 밀착 삽입되는 플랜지(52)를 갖고, 측면 상부에 다수의 구멍을 갖는 하부가 막힌 원통형상 침사조(50)를 구비하고, 상기 침사조(50)의 상부에 두 개의 지지대(54)(55)를 십자로 가로질러 설치하고, 그 중 일측지지대(55)의 양단을 연장하여 지지편(56)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관(42)의 상단 양측에 상기 지지편(56)이 삽입되는 걸림홈(43a)(4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20)의 상면 둘레에 돌기(27)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편심판체(30)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27)가 삽입되는 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집수정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205U KR200202958Y1 (ko) | 1998-05-18 | 1998-05-18 |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205U KR200202958Y1 (ko) | 1998-05-18 | 1998-05-18 |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381U true KR19990041381U (ko) | 1999-12-15 |
KR200202958Y1 KR200202958Y1 (ko) | 2000-12-01 |
Family
ID=1953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8205U KR200202958Y1 (ko) | 1998-05-18 | 1998-05-18 |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295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650B1 (ko) * | 2001-12-06 | 2004-07-01 | 김해영 | 교량용 집수구 |
KR100558709B1 (ko) * | 2005-03-14 | 2006-03-13 | 김원주 | 오염방지 청소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
KR101275723B1 (ko) * | 2012-08-01 | 2013-06-17 | (주)워터 아이엠에스 | 와류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9128B1 (ko) * | 2006-12-28 | 2007-08-13 | (주)한신엔지니어링 |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라인구조 |
KR100891940B1 (ko) | 2008-12-04 | 2009-04-08 | (주)한솔환경건설 |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1998
- 1998-05-18 KR KR2019980008205U patent/KR20020295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7650B1 (ko) * | 2001-12-06 | 2004-07-01 | 김해영 | 교량용 집수구 |
KR100558709B1 (ko) * | 2005-03-14 | 2006-03-13 | 김원주 | 오염방지 청소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
KR101275723B1 (ko) * | 2012-08-01 | 2013-06-17 | (주)워터 아이엠에스 | 와류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2958Y1 (ko) | 200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6420B1 (ko) |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 |
US3626823A (en) | Combination storm water retention assembly and sidewalk | |
KR100918431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202958Y1 (ko) | 침사조를 갖는 도로집수정조립체 | |
KR100697857B1 (ko) | 도로의 배수 측구 집수 박스 | |
JPH10102573A (ja) |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 |
KR100529500B1 (ko) |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 |
KR100658971B1 (ko) |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 |
KR100739365B1 (ko) | 배수트랩 | |
KR200414038Y1 (ko) | 옹벽식측구용 배수필터 | |
JP2011038241A (ja) | 雨水分流枡 | |
KR20090106716A (ko) |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 |
KR200314875Y1 (ko) |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 |
JPH0613870Y2 (ja) | 雨水浸透桝 | |
CN221142972U (zh) | 一种基于市政排水的防堵分流式排水结构 | |
KR102074736B1 (ko) | 분산식 빗물 관리구조 | |
JPS636293Y2 (ko) | ||
KR200224158Y1 (ko) | 공동구조물 | |
CN218492655U (zh) | 一种排水管交叉处理结构 | |
KR200265885Y1 (ko) | 도로의 빗물 집수구용 집수박스 | |
KR20170001402U (ko) | 구조물 수압측정 및 수압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출장치 | |
KR200201983Y1 (ko) | 도로용 집수받이 | |
KR20080015284A (ko) | 하수용 배수장치 | |
KR20240095765A (ko) | 횡단보도 환경개선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 |
KR930003788Y1 (ko) | 침사조가 형성된 맨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