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681A - 직병렬선택 변환기 - Google Patents

직병렬선택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681A
KR19990038681A KR1019970058508A KR19970058508A KR19990038681A KR 19990038681 A KR19990038681 A KR 19990038681A KR 1019970058508 A KR1019970058508 A KR 1019970058508A KR 19970058508 A KR19970058508 A KR 19970058508A KR 19990038681 A KR19990038681 A KR 19990038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al
output
terminal
paralle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343B1 (ko
Inventor
김시현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7005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343B1/ko
Priority to TW087103467A priority patent/TW390016B/zh
Priority to US09/145,301 priority patent/US6121906A/en
Publication of KR1999003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9/00Parallel/series conversion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병렬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직렬 데이터 입력을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병렬 데이터 입력을 직렬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직렬입출력전환래치와 병렬입출력전환래치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직병렬선택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병렬선택 변환기
본 발명은 직병렬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 신호에 따라서, 직렬 데이터 입력을 병렬 데이터로 출력하거나, 병렬 데이터 입력을 직렬 데이터로 출력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직병렬선택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직병렬 변환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클럭신호(SCLK)가 입력되어 동기 되는 직렬전송래치들(STL1-STL4)과, 초기화신호(SB)가 입력되어 초기화되고, 병렬클럭신호(PCLK)가 입력되어 동기 되는 병렬전송래치들(PTL1-PTL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직병렬 변환기에서 4 비트의 입력데이터(ID)가 입력될 경우를 가정하여 종래 기술의 직병렬 변환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렬로 입력되는 입력데이터(ID)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렬클럭신호(SCLK)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마다 첫 번째 직렬전송래치(STL1)에 입력되는데, 그 직렬전송래치(STL1)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직렬클럭신호(SCLK)의 다음 라이징 에지에서 두 번째 직렬전송래치(STL2)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입력데이터(ID)가 각 직렬전송래치(STL1-STL4)에 불확정한 상태 없이 입력된다. 즉, 4 비트(bit)의 입력데이터(ID)가 입력될 경우, 네 번의 직렬클럭신호(SCLK)의 라이징 에지가 지난 후에 4 비트의 직렬 입력데이터(ID)가 각 직렬전송래치(STL1-STL4)에 불확정한 상태 없이 입력된다.
각 병렬전송래치(PTL1-PTL4)는 상기 각 직렬전송래치(STL1-STL4)에 입력된 직렬 입력데이터(ID)를 입력받아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병렬클럭신호(PCLK)의 라이징 에지에서 도 2D 내지 도 2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출력데이터(OD0-OD3)를 출력한다.
여기서, 각각의 병렬전송래치 셀(Cell)들은 초기에 도 2H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화신호(SB)에 의해서 출력 값이 하이레벨로 고정되어 있다가, 병렬클럭신호(PCLK)의 라이징 에지 후, 정상적인 직렬 입력데이터(ID)를 병렬 출력데이터(OD0-OD3)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직병렬 변환기는 직렬 데이터 입력을 병렬로 출력할 수 있을 뿐, 병렬 데이터 입력을 직렬로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렬 데이터가 입력되면 병렬 데이터로, 병렬 데이터가 입력되면, 직렬 데이터로 선택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직병렬선택 변환기는 직렬데이터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복수 개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와, 초기화신호에 의해 초기화된 후, 병렬데이터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복수 개의 병렬입출력전환래치와, 제어신호 및 직병렬선택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낸드게이트와, 그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병렬입출력전환래치의 D단자와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의 출력 또는 입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D단자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D단자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직병렬 변환기의 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 동작 타이밍도.
도 3 은 본 발명의 직병렬선택 변환기의 블록도.
도 4 는 도 3 에 있어서, 직렬데이터 입력을 병렬데이터로 출력할 때, 동작 타이밍도.
도 5 는 도 3 에 있어서, 병렬데이터 입력을 직렬데이터로 출력할 때, 동작 타이밍도.
도 6 은 도 3 에 있어서, 병렬입출력전환래치 셀의 회로도.
도 7 은 도 3 에 있어서, 직렬입출력전환래치 셀의 회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IN31-IN34, IN61-IN64, IN71-IN73: 인버터
ND31, ND71: 낸드게이트
TG31-TG34, TGS31-TGS36, TG61-TG64, TG71TG74: 전송게이트
PM61-PM68, PM71-PM74: 피모스트랜지스터
NM61-NM68, NM71-NM74: 엔모스트랜지스터
본 발명의 직병렬선택변환기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외부클럭신호(CK1)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31)와, 상기 제 1 외부클럭신호(CK1) 및 그의 반전된 신호(CB1)에 의해 동기 되어 직렬데이터가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에 의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직렬입출력전환래치들(SSL1-SSL4)과, 제 2 외부클럭신호(CK2)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32)와, 리셋신호(SB)에 의해 초기화되고, 상기 제 2 외부클럭신호(CK2) 및 그의 반전된 신호(CB2)에 의해 동기 되어 병렬데이터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에 의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병렬입출력래치들(PSL1-PSL4)과, 제어신호(Ctrl) 및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가 입력되는 낸드게이트(ND31)와, 그 낸드게이트(ND3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IN33)와, 상기 낸드게이트(ND31)의 출력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병렬입출력전환래치들(PSL1-PSL4)의 D단자와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들(SSL1-SSL4)의 Q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게이트들(TG31-TG34)과,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34)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D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게이트들(TGS31-TGS33)과, 상기 낸드게이트(ND31)의 출력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D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게이트들(TGS34-TGS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와 병렬입출력전환래치(PSL1-PSL4)는 래치제어신호(PSCtrl)에 의해 입출력의 기능이 전환되는 양방향성 래치 셀(latch cell) 들이다.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1) 및 제 1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1)와, 입력이 상기 제 1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1) 및 제 1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1)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 1 스위칭신호(CO1)를 출력하는 인버터(IN61)와, 공급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2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2) 및 제 2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2)와, 입력이 상기 제 2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2) 및 제 2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2)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 2 스위칭신호(CO2)를 출력하는 인버터(IN62)와,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63)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제어되어 D단자와 Q단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게이트들(TG61-TG64)과, 입력이 상기 제 1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1) 및 제 1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1)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전송게이트(TG64)에 연결된 인버터(IN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1)는 공급전압(VDD)과 제 1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1) 사이에 각각 직렬 연결된 게이트에 상기 제 1 스위칭신호(CO1) 및 제 1 외부클럭신호(CK1)가 각각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1,PM62)과, 게이트에 상기 제 2 스위칭신호(CO2) 및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반전된 신호(CB1)가 각각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3,PM64)을 포함하며,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1,PM63)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고,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2,PM64)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2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2)는 공급전압(VDD)과 제 2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2) 사이에 각각 직렬 연결된 게이트에 전송게이트(TG62)를 통해 D단자가 연결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M65), 그리고 게이트에 제 1 외부클럭신호(CK1)가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M66)와 및 게이트에 상기 제 2 스위칭신호(CO2)가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PM63)와, 게이트에 제 2 스위칭신호(CO2) 및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반전된 신호(CB1)가 각각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7,PM68)을 포함하며,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5,PM67)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고,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66,PM68)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1)는 상기 제 1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1)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각각 직렬 연결된 게이트에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반전된 신호(CB1) 및 제 1 스위칭신호(CO1)가 각각 입력되는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1)과, 게이트에 제 1 외부클럭신호(CK1) 및 제 2 스위칭신호(CO2)가 각각 입력되는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3,NM64)을 포함하며,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1,NM63)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고,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2,NM64)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2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2)는 상기 제 2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2)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각각 직렬 연결된 게이트에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반전된 신호(CB1)가 입력되는 엔모스트랜지스터(NM65), 그리고 게이트에 상기 전송게이트(TG62)를 통해 D단자에 연결되는 엔모스트랜지스터(NM66)와, 게이트에 제 1 외부클럭신호(CK1) 및 제 2 스위칭신호(CO2)가 각각 입력되는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7,NM68)을 포함하며,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5,NM67)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고,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66,NM68)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병렬입출력전환래치(PSL1-PSL4)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3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3) 및 제 3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3)와,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가 반전되는 인버터(IN71)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D단자와 Q단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게이트들(TG71-TG74)과, 상기 제 3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3)와 상기 제 3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3)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 1 입력 단으로 입력되고, 리셋신호(SB)가 제 2 입력 단으로 입력되는 낸드게이트(ND71)와, 그 낸드게이트(ND71)의 출력이 순차 반전되는 인버터들(IN72,IN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3)는 공급전압(VDD)과 제 3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3) 사이에 직렬 연결된 게이트가 상기 전송게이트(TG72)를 통해 D단자에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PM71), 그리고 게이트에 제 2 외부클럭신호(CK2)의 반전된 신호(CB2)가 입력된 피모스트랜지스터(PM72)와, 게이트에 상기 낸드게이트(ND71)의 출력 및 제 2 외부클럭신호(CK2)가 각각 입력되는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73,PM74)을 포함하며,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71,PM73)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고, 상기 피모스트랜지스터들(PM72,PM74)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3 엔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NL3)는 상기 제 3 피모스트랜지스터래치부(PL3)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 게이트에 제 2 외부클럭신호(CK2)가 입력된 엔모스트랜지스터(NM71), 그리고 게이트가 상기 전송게이트(TG72)를 통해 D단자에 연결된 엔모스트랜지스터(NM72)와, 게이트에 제 2 외부클럭신호(CK2)의 반전된 신호(CB2) 및 상기 낸드게이트(ND71)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73,NM74)을 포함하여,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71,NM73)의 드레인이 공통 연결되고, 상기 엔모스트랜지스터들(NM72,NM74)의 소오스가 공통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병렬선택 변환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 및 병렬입출력전환래치(PSL1-PSL4)는,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가 로우레벨, 즉 "0" 일 때는 D단자가 입력단자, Q단자가 출력단자가 되고,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가 하이레벨, 즉 "1" 일 때는 D단자가 출력단자, Q단자가 입력단자가 된다.
따라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 및 제어신호(Ctrl)가 로우레벨일 때,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 및 상기 병렬입출력전환래치(PSL1-PSL4)는 D단자가 입력단자, Q단자가 출력단자가 된다.
이때,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서 제 1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 2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2)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계속되어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렬데이터(SIO)의 입력이 제 1 외부클럭신호(CK1)에 의해 각각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에 전부 세팅되면, 초기에 도 4H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화신호(SB)에 의해 모두 "1"로 세팅되어 있던 병렬입출력전환래치(PSL1-PSL4)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외부클럭신호(CK2)의 라이징 에지에서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1-SSL4)에 세팅된 데이터를 도 4D 내지 도 4G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병렬데이터(PIO0-PIO3)로 출력한다.
반대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병렬선택제어신호(PSCtrl)가 하이레벨이고, 제어신호(Ctrl)가 로우레벨일 때,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입력단자, 즉 Q단자는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출력단자, 즉 D단자의 출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때, 도 5D 내지 도 5G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병렬데이터(PIO0-PIO3)가 입력되면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외부클럭신호(CK2)의 라이징 에지에서 병렬입출력전환래치들(PSL1-PSL4)은 각각 대응하는 직렬입출력전환래치들(SSL1-SSL4)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어서, 상기 제어신호(Ctrl)가 하이레벨이 되면,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입력단자, 즉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SSL)의 출력단자, 즉 D단자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외부클럭신호(CK1)의 라이징 에지마다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들(SSL1-SSL4)에 입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직렬데이터(SIO)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직병렬선택 변환기는 직병렬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할 수 있고, 또한 병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직렬로 선택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직렬데이터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복수 개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와, 초기화신호에 의해 초기화된 후, 병렬데이터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복수 개의 병렬입출력선택전환래치와, 제어신호 및 직병렬선택제어신호가 입력되는 낸드게이트와, 그 낸드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병렬입출력선택전환래치의 D단자와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의 출력 또는 입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직병렬선택제어신호 및 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D단자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Q단자와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D단자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송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병렬선택 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 및 상기 병렬입출력전환래치는 래치제어신호에 의해 입출력의 기능이 전환되는 양방향성 래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병렬선택 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직렬입출력전환래치 및 병렬입출력전환래치는 직병렬선택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일 때는 D단자가 입력단자, Q단자가 출력단자가 되고, 직병렬선택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일 때는 D단자가 출력단자, Q단자가 입력단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병렬선택 변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직병렬선택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이고, 제어신호가 로우레벨일 때, 상기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입력단자, 즉 D단자는 다음 단의 직렬입출력전환래치의 출력단자, 즉 Q단자의 출력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병렬선택 변환기.
KR1019970058508A 1997-11-06 1997-11-06 직병렬선택 변환기 KR100253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508A KR100253343B1 (ko) 1997-11-06 1997-11-06 직병렬선택 변환기
TW087103467A TW390016B (en) 1997-11-06 1998-03-10 Serial/parallel selective converter
US09/145,301 US6121906A (en) 1997-11-06 1998-09-02 Serial/parallel selective co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508A KR100253343B1 (ko) 1997-11-06 1997-11-06 직병렬선택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681A true KR19990038681A (ko) 1999-06-05
KR100253343B1 KR100253343B1 (ko) 2000-04-15

Family

ID=1952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508A KR100253343B1 (ko) 1997-11-06 1997-11-06 직병렬선택 변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21906A (ko)
KR (1) KR100253343B1 (ko)
TW (1) TW3900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189B1 (ko) * 1998-12-31 2006-05-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타 입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8415B1 (en) * 1998-08-04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rial-to-parallel converter
US6388590B1 (en) * 1999-09-24 2002-05-14 Oak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erially for use with an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 (atapi)
US6388591B1 (en) * 1999-09-24 2002-05-14 Oak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serially for use with an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cket interface (atapi)
US6271777B1 (en) * 1999-11-12 2001-08-07 Lucent Technologies Inc. Data transmission system employing clock-enriched data coding and sub-harmonic de-multiplexing
GB2401265B (en) * 2003-04-28 2006-04-12 Phyworks Ltd Integrated circuit
KR100499157B1 (ko) * 2003-07-2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직렬화기
US7576580B2 (en) * 2005-04-27 2009-08-18 University Of Connecticut Energy efficient clock deskew systems and methods
DE102006041785B3 (de) * 2006-09-06 2008-04-17 Qimonda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arallelisieren von seriellen digitalen Eingangssignalen
EP2328999A1 (en) * 2008-09-30 2011-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2013178500A (ja) * 2012-02-02 2013-09-0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表示装置、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の駆動方法
US11354265B2 (en) 2017-05-23 202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ing aggregation apparatus, wiring aggregation system, and contact information transfer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990A (en) * 1984-01-18 1988-10-04 Sharp Kabushiki Kaisha Serial-to-parallel converter
EP0424554A1 (de) * 1989-10-23 1991-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hrstufiger Seriell-zu-Parallel- und/oder Parallel-zu-Seriell-Umsetzer
US5982309A (en) * 1998-01-09 1999-11-09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Parallel-to-serial CMOS data converter with a selectable bit width mode D flip-flop M matri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189B1 (ko) * 1998-12-31 2006-05-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타 입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0016B (en) 2000-05-11
US6121906A (en) 2000-09-19
KR100253343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54801C1 (ru) Лог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253343B1 (ko) 직병렬선택 변환기
US5689258A (en) Multiple current digital-analog converter capable of reducing output glitch
TW359027B (en) CMOS digital level shift circuit
EP1286470B1 (en) Input/output interfac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input/output interface
KR100329320B1 (ko) 디지털신호전송회로
JP3120492B2 (ja) 半導体集積回路
US5341048A (en) Clock invert and select circuit
US6310493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20050237097A1 (en) Low-power high-speed latch and data storage device having the latch
US6300801B1 (en) Or gate circuit and state machine using the same
US6646465B2 (en) Programmable logic device including bi-directional shift register
WO2022237886A1 (zh) 延时电路、脉冲产生电路、芯片及服务器
KR100272457B1 (ko) 래치회로
US20040051575A1 (en) Flip flop, shift regis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218256B1 (ko) 데이타 멀티플렉싱회로
KR950003849Y1 (ko) 디플립플롭
KR014653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200501B1 (ko) 멀티플렉서
KR100244415B1 (ko) 고속으로 동작하는 단일 또는 이중 에지 트리거 플립플롭 회로
KR100278992B1 (ko) 전가산기
SU1100620A1 (ru) Сумматор
KR016439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에지 검출회로
KR19990005447A (ko) 링 오실레이터
JPH0691432B2 (ja) フリツプフロツ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