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294U -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294U
KR19990038294U KR2019980004296U KR19980004296U KR19990038294U KR 19990038294 U KR19990038294 U KR 19990038294U KR 2019980004296 U KR2019980004296 U KR 2019980004296U KR 19980004296 U KR19980004296 U KR 19980004296U KR 19990038294 U KR19990038294 U KR 19990038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ngine
exhaust passage
control dev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9650Y1 (ko
Inventor
정원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80004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50Y1/ko

Links

Landscapes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배기 통로 상에 디스크형 밸브를 설치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개구 면적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흡배기 통로 제어로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둘레에 웜 기어치가 형성된 드라이브 샤프트(50)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0)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흡배기 통로(40)와 일치되는 관통공(62)이 형성된 디스크형 밸브(60)와, 상기 디스크형 밸브(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관통공(62)의 개구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 조리개(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본 고안은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배기 통로 상에 디스크형 밸브를 설치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개구 면적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흡배기 통로 제어로 엔진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의 흡배기 통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배기 매니폴드에서 연소실(10)로 연통되도록 실린더 헤드(1)내에 형성되어 있고, 흡기 포트(12)와 배기 포트(14)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흡기 포트(12)는 공기 또는 혼합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에서 연소실(10)내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통로이며, 상기 배기 포트(14)는 상기 연소실(10)에서 연소된 배기 가스가 배기 매니폴드 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형성된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흡배기 통로는 흡배기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흡배기 통로를 통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 및 배기 가스는 밸브(5)의 개폐 시기와 연동되어 유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엔진의 흡배기 통로에서, 직선적이거나 직경이 큰 흡기 포트(12)는 한번에 대량의 공기 또는 혼합 가스를 유입시키는데 유효하다. 그러나 다량의 혼합 가스나 미연소 가스가 연소실(10)에 유입되면 혼합 가스 중의 일부를 연소시키지 않고 배기 포트(14)를 통해 배기 가스와 함께 그대로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현재 배출 가스의 규제를 받게되는 자동차 엔진은 일시적으로 점화시기의 조정과 밸브 타이밍을 재검토하는 등의 방법으로 규제에 대처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은 연소실(10) 내에서의 혼합 가스 연소 효율 자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흡기 포트(12)가 최적의 공기 또는 혼합 가스를 제공하여 연소실(10) 내에서의 혼합 가스 충전 효율을 높여 배출 가스의 소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 엔진의 흡배기 통로는 엔진의 회전 속도에 상관없이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과 밸브 타이밍에 의해 흡배기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른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엔진의 성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배기 포트의 개구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흡배기 통로 제어로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하여 엔진의 성능도 향상되도록 한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엔진의 흡배기 통로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흡배기 통로 50 : 드라이브 샤프트
60 : 디스크형 밸브 62 : 관통공
64 : 중심축 70 : 가변 조리개
72 : 판형 슬라이더 74 : 관성추
76 : 리턴 스프링 78 : 인장 스프링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는,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둘레에 웜 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브 샤프트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흡배기 통로와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형 밸브와, 상기 디스크형 밸브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관통공의 개구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 조리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둘레에 웜 기어치가 형성된 드라이브 샤프트(50)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0)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흡배기 통로(40)와 일치되는 관통공(62)이 형성된 디스크형 밸브(60)와, 상기 디스크형 밸브(6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관통공(62)의 개구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 조리개(7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0)는 실린더 헤드 내에 위치되어 캠 축과 함께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형 밸브(60)는 실린더 헤드에 그 중심축(64)이 회전 가능토록 고정되어 있고, 흡배기 통로(40)와 직교되게 위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가변 조리개(70)는 상기 디스크형 밸브(60)의 일면에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관통공(62)을 막고 있는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72)와, 상기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72) 사이에 위치되어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판형 슬라이더(72)의 벌림량을 조절하는 관성추(74)와, 상기 관성추(74)를 디스크형 밸브(70)의 중심축(64) 방향으로 밀어주는 리턴 스프링(76)과, 상기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72) 사이에 연결되어 관통공(62)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인장 스프링(7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드라이브 샤프트(50)가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드라이브 샤프트(50)의 회전 속도도 빨라지고 엔진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면 드라이브 샤프트(50)의 회전 속도도 느려진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50)에 외주치가 치합된 디스크형 밸브(60)도 엔진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그 속도가 결정된다.
여기서, 디스크형 밸브(6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관성추(74)가 원심력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관통공(62)을 막고 있던 판형 슬라이더(72)가 원심력 및 관성추(74)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형 밸브(60)의 관통공(62) 개구 면적이 커지게 되어 엔진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면 보다 많은 양을 흡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엔진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면 디스크형 밸브(60)의 회전 속도도 느려져서 관성추(74)가 리턴 스프링(76)에 의해 중심축(64)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판형 슬라이더(72)도 인장 스프링(78)에 의해 당겨져서 관통공(62)을 막아 흡배기 통로(40)와 연통되는 개구 면적을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의한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는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흡배기 통로의 개구 면적이 가변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최적의 흡배기량 자동 제어로 연소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엔진의 성능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크랭크 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둘레에 웜 기어가 형성된 드라이브 샤프트와,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흡배기 통로와 일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디스크형 밸브와, 상기 디스크형 밸브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관통공의 개구 면적을 가변시키는 가변 조리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조리개는 상기 디스크형 밸브의 일면에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관통공의 일부를 막고 있는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와, 상기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어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판형 슬라이더의 벌림량을 조절하는 관성추와, 상기 관성추를 디스크형 밸브의 중심축 방향으로 밀어주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판형 슬라이더 사이에 연결되어 관통공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KR2019980004296U 1998-03-23 1998-03-23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KR200219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96U KR200219650Y1 (ko) 1998-03-23 1998-03-23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96U KR200219650Y1 (ko) 1998-03-23 1998-03-23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94U true KR19990038294U (ko) 1999-10-25
KR200219650Y1 KR200219650Y1 (ko) 2001-04-02

Family

ID=6971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296U KR200219650Y1 (ko) 1998-03-23 1998-03-23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5B1 (ko) * 2002-07-1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5B1 (ko) * 2002-07-1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650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059B1 (ko) 차량 엔진의 흡기 유량 가변 차지 모션 장치
JPH0192504A (ja) 弁開閉時期制御装置
JP2012092842A (ja) ピストン往復内燃機関のための給気制御装置
EP0145479B1 (en) Exhaust control system for 2-cycle engines
KR200219650Y1 (ko) 엔진의 흡배기 통로 가변 제어 장치
JP2003515026A (ja) ピストン内燃機関のシリンダに可変吸気運動を実行する設定ユニット
JP2008031942A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
JP3956507B2 (ja) 可変容量ターボチャージャ
KR20010038902A (ko) 차량용 가변형 공명소음기
JPH0688514A (ja) 内燃機関の消音器
JP4120720B2 (ja) カム位相可変装置
JPH0364606A (ja) 多弁式4サイクルエンジン
JP3012040B2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5333761B2 (ja) 内燃機関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内燃機関システム
JPH10115234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KR200152494Y1 (ko) 가변흡기조절서보구조
KR100236582B1 (ko) 엔진의 가변흡기 다기관
JPS6332123A (ja) 直噴デイ−ゼル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S6111410A (ja) 原動機の弁開閉機構装置
JPH057460Y2 (ko)
KR100535138B1 (ko) 엔진의 가변 스월 장치
JPH01247715A (ja) 排気タービン過給機
KR101000196B1 (ko) 엔진의 밸브 트레인 시스템
JP4374711B2 (ja) 可変容量ターボチャージャ
KR19990040841A (ko)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