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234A - 철-니켈 합금 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 Google Patents

철-니켈 합금 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234A
KR19990038234A KR1019970057888A KR19970057888A KR19990038234A KR 19990038234 A KR19990038234 A KR 19990038234A KR 1019970057888 A KR1019970057888 A KR 1019970057888A KR 19970057888 A KR19970057888 A KR 19970057888A KR 19990038234 A KR19990038234 A KR 19990038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tin
plating layer
plated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441B1 (ko
Inventor
문성수
Original Assignee
문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수 filed Critical 문성수
Priority to KR101997005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4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3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platinum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6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tin

Abstract

본 발명은 철-니켈 합금 기재 상에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하여 4 층 도금층을 도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철-니켈 합금 소재의 피도금체에 주석 도금층, 주석-납 합금 도금층 또는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일차 하지 도금하고, 그 위에 동 도금층 또는 동-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이차 하지 도금하고, 또 그 위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삼차 하지 도금을 한 다음, 상부 도금층으로 팔라듐 도금층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4 단계의 도금층은 기존의 은 도금 후 주석-납 합금 도금을 하는 2 단계의 도금층보다 훨씬 얇은 박막으로서도 특히 철-니켈 합금 소재로 된 반도체 리드 프레임에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한다. 또한 미세 균열과 수소 취성이 거의 없는 유연한 도금층을 형성시켜 그 어떤 도금층보다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철-니켈 합금 소재로 된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철-니켈 합금 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본 발명은 철-니켈 합금 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니켈 합금 소재로 된 반도체 리드프레임(Lead Frame)에 사용할 수 있는 4 층 도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리드프레임에는 동합금으로 된 소재를 많이 사용해 왔으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해서 보다 효율성이 큰 철-니켈 합금 소재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동 합금 소재의 반도체 리드프레임 제작 시에는 주로 스탬핑(stamping) 공정을 사용하였으나, 철-니켈 합금 소재는 소재 자체가 동 합금 소재보다는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스탬핑 제작 공정으로는 다리(Lead) 등이 휘어지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따라서 조밀하고 미세한 리드프레임을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칭(etching) 공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반도체 리드프레임에 주로 은 도금 후 주석-납 합금 도금을 해 왔는데, 어느 일정 수준의 특성, 예를 들면 내식성, 납땜성 등을 얻기 위하여 다른 도금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도금을 해왔다. 그러나 반도체가 하이 리드(high Lead), 즉 고용량화될수록 다리 사이가 매우 미세해져 두꺼운 도금을 할 경우 서로 맞붙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매우 얇은 도금층, 즉 박막으로서도 우수한 내식성 및 납땜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도금층을 얻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이 팔라듐 도금, 팔라듐 합금 도금 또는 금 도금을 하는 것이다.
철-니켈 합금 소재, 예를 들어 합금 #42(Ni 42 %, Fe 56 %, Mn 0.8 %, Si 0.3 %, Ca 0.035 %, P 0.025 %)의 경우 이 소재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Si 및 Ca 성분으로 인하여 화학적 활성화 처리가 어렵고 또한 이 소재 위에 팔라듐 도금, 팔라듐 합금 도금 또는 금 도금을 하기 전에 하지 도금층으로서 일반적인 니켈 도금을 하면 Fe 성분으로 인하여 내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식 발생 및 미세균열에 의한 납땜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많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철-니켈 합금 소재로 된 피도금체에 팔라듐 도금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을 적용함에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도록 많은 연구 실험을 한 결과, 팔라듐 도금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 조성물로 도금하기 전에 3 층의 하지 도금을 함으로써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철-니켈 합금 소재 위에 수소 취성 및 미세 균열이 거의 없고 유연하며 특히 내식성이 우수한 도금층을 얻을 수 있는 4 층 도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철-니켈 합금 소재의 피도금체에 주석 도금층, 주석-납 합금 도금층 또는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일차 하지 도금하고, 그 위에 동 도금층 또는 동-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이차 하지 도금하고, 또 그 위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삼차 하지 도금을 한 다음, 상부 도금층으로 팔라듐 도금층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소재의 4 층 도금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철-니켈 합금 소재에 순차적으로 일차 하지 도금, 이차 하지 도금, 삼차 하지 도금을 한 다음, 그 위에 팔라듐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을 하여 4 층의 도금층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4 층의 도금층이 도금된 도금체의 구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상부 도금층 팔라듐 도금층팔라듐 합금 도금층
삼차 하지 도금층 니켈 도금층
이차 하지 도금층 동 도금층동-비스머스 합금 도금층
일차 하지 도금층 주석 도금층주석-납 합금 도금층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
철-니켈 합금 기재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피도금체는 철-니켈 합금으로 제조된, 리드 프레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커넥터(connector)와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합금 #42로 제조된 리드 프레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일차 하지 도금층으로는 주석 도금층, 주석-납 합금 도금층 또는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이 사용된다.
주석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주석 도금 조성물은 주석 화합물을 주석 금속 기준으로 20∼100 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석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메탄설폰산 주석, 황산 제 1 주석, 염화 제 1 주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메탄설폰산, 황산, 인산칼륨 및 염화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석-납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조성물로는 주석 화합물을 주석 금속 기준으로 10∼30g/ℓ, 납 화합물을 납 금속 기준으로 0.5∼5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납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메탄설폰산납, 질산납, 황산납, 초산납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주석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전도성 화합물로 메탄설폰산, 황산, 인산칼륨, 염화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300g/ℓ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조성물로는 주석 화합물은 주석 금속 기준으로 10∼30g/ℓ, 비스머스 화합물은 비스머스 금속 기준으로 0.5∼5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스머스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황산 비스머스, 비스머스나트륨 수화물, 질산비스머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주석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전도성 화합물로 메탄설폰산,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황산, 황산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300g/ℓ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차 하지 도금층으로는 동 도금층 또는 동-비스머스 도금층이 사용된다.
동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조성물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1402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시안계 동 화합물을 동 금속 기준으로 20-50 g/ℓ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비시안계 동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황산동 5 수화물, 피로린산 제 2 구리, 탄산 제 2 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도성 화합물로서 메탄설폰산, 피로린산칼륨, 탄산나트륨, 황산암모늄, 탄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300g/ℓ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동-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조성물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34830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시안계 동 화합물을 동 금속 기준으로 10∼50 g/ℓ, 비스머스 화합물을 비스머스 금속 기준으로 0.5∼2 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비시안계 동 화합물 및 비스머스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전도성 화합물로서 메탄설폰산, 피로린산칼륨, 탄산나트륨, 황산암모늄, 탄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300g/ℓ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삼차 하지 도금층으로는 니켈 도금층이 사용된다.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조성물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6-2912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켈 화합물을 니켈 금속을 기준으로 30∼100 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니켈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설파민산니켈, 황산니켈 6수화물, 탄산니켈 4수화물, 황산아민니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금 조성물내에서 침전 또는 중화되지 않도록 미리 전도성염과 반응시킨 후 조성물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화합물은 금속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메탄설폰산, 구연산칼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50∼300g/ℓ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팔라듐 도금층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 조성물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96-21467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팔라듐 100 % 도금, 팔라듐-금 합금 도금, 팔라듐-은 합금 도금 또는 팔라듐-비스머스 합금 도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팔라듐 도금을 위한 도금 조성물은 팔라듐 화합물을 팔라듐 금속 기준으로 2∼10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라듐 도금을 위한 팔라듐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테트라클로로디암모늄 팔라듐, 이염화테트라암모늄 팔라듐, 이염화디아민 팔라듐, 염화팔라듐, 이염화테트라아민 팔라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산칼륨, 인산암모늄, 피로인산칼륨,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전도성 화합물로서 20∼200g/ℓ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팔라듐-금 합금 도금을 위한 도금 조성물은 팔라듐 화합물을 팔라듐 금속 기준으로 5∼10 g/ℓ, 금 화합물을 금 금속 기준으로 0.3∼2.5 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금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테트라클로로금(III) 칼륨, 산화금(III) 칼륨, 시안화금(I) 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팔라듐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인산암모늄, 인산칼륨,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피로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전도성 화합물로서 20∼200g/ℓ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팔라듐-은 합금 도금을 위한 도금 조성물은 팔라듐 화합물을 팔라듐 금속 기준으로 5∼25 g/ℓ, 은 화합물을 은 금속 기준으로 0.5∼2.5 g/ℓ의 농도로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은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시안화은(I) 칼륨, 질산은, 오르소인산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팔라듐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인산칼륨, 인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피로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전도성 화합물로서 20∼200g/ℓ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팔라듐-비스머스 합금 도금을 위한 도금 조성물은 팔라듐 화합물을 팔라듐 금속 기준으로 5∼25 g/ℓ, 비스머스 화합물을 비스머스 금속 기준으로 0.5∼2.5 g/ℓ의 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비스머스 화합물은 적절한 염 형태로 공급되며, 염의 예로는 비스머스나트륨 수화물, 질산비스머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팔라듐 화합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인산칼륨, 인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피로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전도성 염으로서 20∼200g/ℓ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차, 이차 및 삼차 하지 도금 조성물은, 전도성 염 이외에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착화제, 표면개선제 및 응력 감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지 도금 조성물들은 도금 금속 화합물, 전도성염, 착화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직접 물에 용해시키거나, 금속염을 미리 전도성염 또는 착화제와 반응시킨 후 물에 용해시켜 충분히 반응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착화제로는 아세트산 계열, 아민 계열, 이민 계열, 아미드 계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 일수화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트리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폴리이민, 티오아세트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화제는 0.01 내지 50g/ℓ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표면개선제로는 암모늄 계열, 알데히드 계열, 이민 계열, 벤젠 계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암모니아수, 구연산암모늄, 티오디글리콜산, 소디움테트라페닐보레이트, 1-페닐세미카바지드, 에틸렌디아민, 2-메톡시-나프토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선제는 0.01 내지 50g/ℓ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응력감소제로는 피리딘 계열, 알콜 계열, 설폰 계열, 에테르 계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N-아릴피리디운 글로라이드, 트리데실옥실폴리(에틸렌옥시)에탄올(III), 나프탈렌-1-설폰산(알파)나트륨폴리에틸렌모노세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개선제는 0.01 내지 50g/ℓ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차 하지 도금용 조성물을 25∼60 ℃로 유지하면서, 음극인 피도금체와 각각 해당하는 금속의 양극을 담그고 전류를 2∼10 ASD(Ampere per Square Decimeter)로 흘려주어, 피도금체에 두께 0.5-2 ㎛의 일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이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차 하지 도금용 조성물을 40∼60 ℃로 유지하면서, 음극인 일차 하지 도금된 피도금체와 각각 해당하는 금속의 양극을 담그고 전류를 2∼5 ASD로 흘려주어, 피도금체에 두께 0.7-1.0 ㎛의 이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삼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삼차 하지 도금용 조성물을 40-50 ℃로 유지하면서, 음극인 이차 하지 도금된 피도금체와 각각 해당하는 금속의 양극을 담그고 전류를 4∼8 ASD로 흘려주어, 피도금체에 두께 0.5∼1.0 ㎛의 삼차 하지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상부 도금층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상부 도금 조성물을 30∼45 ℃로 유지하면서, 음극인 삼차 하지 도금된 피도금체와 각각 해당하는 금속의 양극 또는 불용성 백금망을 양극으로 담그고, 전류를 0.7∼1.5 ASD로 흘려주어 피도금체에 두께 0.1∼0.2 ㎛의 도금층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금 조성물의 비중은 4 내지 25 Be(Baume), pH는 4 내지 13.5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도금층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남땜성은 하기 참조예에 따라 평가된다.
참조예 1 : 밀착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를 400 ℃ ± 5 ℃에서 2분 동안 베이킹(baking)시키고, 시료의 도금된 표면을 확대경(20 X) 또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i) 베이킹 시험 후 도금된 소재의 부풀음(blister), 벗겨짐(peeling), 들고 일어남(lifted) 및 녹아내림(bleeding) 현상이 없어야 한다(○: 우수, ×: 불량).
ii) 베이킹 시험 후 집게나 뾰족한 물체로 긁힘 시험(scratch test)을 플래그와 리드 끝을 가로지르는 부분에 하여 들고 일어남, 벗겨짐 및 도금층 분리 같은 현상이 없어야 한다(○: 우수, ×: 불량).
iii) 베이킹 시험 후 스카치 부착 테이프 #540, #610, #810 또는 이와 동일한 제품으로 스트립을 가로질러 부착시킨 뒤 손톱 끝으로 꼭꼭 누른 다음 빨리 벗겨 내어 도금된 부분이 테이프에 붙어서 벗겨지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우수, ×: 불량).
참조예 2: 내균열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를 400 ℃ ± 5 ℃에서 2분 동안 베이킹(baking)시켰다. 이어서, 외곽 다리부분(external lead)을 90°이상 한쪽 방향으로 굽히는 시험을 한 후, 확대경(20 X) 또는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벗겨짐(peeling)이나 들고 일어남(lifting) 현상이 없어야 한다(○: 우수, ×: 불량).
참조예 3 : 내식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에 5 % NaCl 용액을 40 ℃ ± 5 ℃에서 24 시간 동안 분무시킨 후, 확대경(20 X) 또는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도금된 리드 프레임의 전 부분에서 부식 발생, 부풀음(blister) 및 벗겨짐(peeling)과 같은 현상이 없어야 한다(○: 우수, ×: 불량).
참조예 4 : 납땜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를 175 ℃에서 3 분 동안 몰드 경화시킨 후, 175 ℃에서 3 시간 동안 후 몰드 경화시켰다. 145 ℃에서 96 시간 동안 연소 시험한 후, 95 ℃의 증기에서 32 시간 동안 증기 노화시키고, 케스터(Kester) 솔더(solder) 또는 α-100에 플럭스(flux) 처리하였다. 확대경(20 X) 또는 육안으로 관찰했을 때 핀홀이 전혀 없는 균일한 납의 도포가 시료의 전체 표면의 95 % 이상이어야 한다(○: 우수, ×: 불량).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조성, pH 및 비중, 이들의 도금시의 온도 및 전류밀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조성물 1 : 주석 도금 조성물(pH 1, Be 14, 25 ℃, 5ASD)
메탄설폰산 주석 45 g/ℓ
메탄설폰산 210 g/ℓ
N-부틸리덴 설파닐산 5 g/ℓ
카테콜 1 g/ℓ
벤즈알데히드 0.05 g/ℓ
레조시놀 0.02 g/ℓ
조성물 2 : 주석 도금 조성물(pH 1, Be 5, 25 ℃, 2ASD)
황산 제 1 주석 20 g/ℓ
황산 100 g/ℓ
N-신나몰리덴설파닐산 2 g/ℓ
히드로퀴논 3 g/ℓ
알데히드 1 g/ℓ
벤질리덴아세톤 0.01 g/ℓ
조성물 3 : 주석 도금 조성물(pH 7, Be 6, 25 ℃, 2ASD)
염화 제 1 주석 30 g/ℓ
인산칼륨 50 g/ℓ
염화암모늄 20 g/ℓ
o-클로로벤즈알데히드 2 g/ℓ
피리딘카르복스알데히드 0.1 g/ℓ
프로피오알데히드 0.01 g/ℓ
조성물 4 : 주석-납 합금 도금 조성물(pH 1, Be 1, 25 ℃, 2 ASD)
메탄설폰산 주석 25 g/ℓ
메탄설폰산 납 3 g/ℓ
메탄설폰산 200 g/ℓ
N-부틸리덴 설파닐산 5 g/ℓ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아세틸 에테르 15 g/ℓ
조성물 5 :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 조성물(pH 1, Be 14, 25 ℃, 3 ASD)
메탄설폰산 주석 30 g/ℓ
황산 비스머스 5 g/ℓ
메탄설폰산 200 g/ℓ
N-부틸리덴 설파닐산 5 g/ℓ
β-나프톨 3 g/ℓ
피로카테콜 1 g/ℓ
벤즈알데히드 0.4 g/ℓ
조성물 6 :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 조성물(pH 1, Be 14, 25 ℃, 3 ASD)
주석산 칼륨 35 g/ℓ
비스머스 나트륨 수화물 2 g/ℓ
탄산칼륨 50 g/ℓ
티오디글리콜산 13 g/ℓ
프로피온산 나트륨 5 g/ℓ
조성물 7 : 동 도금 조성물(pH 8, Be 8, 50 ℃, 3 ASD)
황산동 5 수화물 50 g/ℓ
황산암모늄 45 g/ℓ
황산칼륨 20 g/ℓ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 2 수화물 5 g/ℓ
소디움 테트라페닐 보레이트 0.5 g/ℓ(???)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데실에테르 0.1 g/ℓ(???)
조성물 8 : 동-비스머스 합금 도금 조성물(pH 1, Be 14, 25 ℃, 2 ASD)
피로린산 제 2 구리 50 g/ℓ
비스머스 나트륨 수화물 2 g/ℓ
피로린산 칼륨 120 g/ℓ
1-페닐 세미 카바지드 0.5 g/ℓ
N-아릴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3 g/ℓ
폴리에틸렌 이민 0.03 g/ℓ
조성물 9 : 니켈 도금 조성물(pH 5, Be 25, 45 ℃, 5 ASD)
설파민산니켈 450 g/ℓ
황산암모늄 90 g/ℓ
붕사 50 g/ℓ
아미노아세트산 5 g/ℓ
2-메톡시-1-나프토알데히드 0.3 g/ℓ
트리데실옥시폴리(에틸렌옥시)에탄올(III) 1 g/ℓ
조성물 10 : 순수 100 % 팔라듐 도금 조성물(pH 5, Be 7, 30 ℃, 1 ASD)
테트라클로로디암모늄팔라듐 12 g/ℓ
황산칼륨 50 g/ℓ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5 g/ℓ
나프탈렌-1-설폰산(α)나트륨염 0.1 g/ℓ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0.07 g/ℓ
조성물 11 : 팔라듐-금 합금 도금 조성물(pH 5, Be 8, 35 ℃, 1 ASD)
이염화테트라암모늄팔라듐 10 g/ℓ
시안화금(I)칼륨 0.74 g/ℓ
인산암모늄 50 g/ℓ
4-옥소-펜탄산 2 g/ℓ
벤젠설포네이트 0.01 g/ℓ
조성물 12 : 팔라듐-은 합금 도금 조성물(pH 9.5, Be 8, 45 ℃, 1 ASD)
이염화디아민팔라듐 11 g/ℓ
오르소인산은 2 g/ℓ
피로린산칼륨 60 g/ℓ
피로린산나트륨 20 g/ℓ
아미노아세트산 3 g/ℓ
2-프로펜-1-설폰산 나트륨염 0.15 g/ℓ
폴리에틸렌이민 0.07 g/ℓ
조성물 13 : 팔라듐-비스머스 합금 도금 조성물(pH 6.5, Be 7, 40 ℃, 1 ASD)
이염화디아민팔라듐 10 g/ℓ
비스머스나트륨 수화물 2 g/ℓ
염화암모늄 50 g/ℓ
황산암모늄 35 g/ℓ
1-페닐세미카바지드 0.5 g/ℓ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0.2 g/ℓ
실시예 1
철-니켈 합금(합금 #42) 리드 프레임 위에 주석 일차 하지 도금 조성물인 조성물 1을 5 ASD의 전류밀도하에서 도금하고, 상기 주석 일차 하지 도금층 위에 이차 하지 도금 조성물인 조성물 7을 3 ASD의 전류밀도하에서 도금하고, 상기 동 이차 하지 도금층 위에 삼차 하지 도금 조성물인 조성물 9를 5 ASD의 전류밀도하에서 도금하고, 상기 삼차 하지 도금층 위에 조성물 10 내지 13을 각각 도금하여 표면이 고른 팔라듐, Pd-Au, Pd-Ag 및 Pd-Bi 상부 도금층 및 3층의 하지도금층을 지닌 도금체를 얻었다.
도금된 최종 리드프레임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납땜성을 참조예 1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납땜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일차 하지 도금 조성물, 이차 하지 도금 조성물, 삼차 하지 도금 조성물 및 상부 도금 조성물의 종류를 각각 하기 표 3에서와 같이 변화시킴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여 표면이 고른 도금된 반도체 리드 프레임을 얻었다.
도금된 최종 리드프레임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납땜성을 참조예 1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7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납땜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
일차 하지 도금 조성물, 이차 하지 도금 조성물, 삼차 하지 도금 조성물 및 상부 도금 조성물의 종류를 각각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변화시킴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도금된 최종 리드프레임의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및 납땜성을 참조예 1 내지 4의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6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의 내식성은 우수하였으나 밀착성, 내균열성 및 납땜성은 대체로 불량하였다.
하지 도금층 조성물 번호(두께/㎛) 하지 도금층 구조
1차 2차 3차
실시예 1 1(1) 7(2) 9(3) Sn/Cu/Ni
실시예 2 2(1) 7(1) 9(2) Sn/Cu/Ni
실시예 3 1(1) 8(1) 9(2) Sn/Cu-Bi/Ni
실시예 4 4(2) 7(3) 9(2) Sn-Pb/Cu/Ni
실시예 5 4(2) 8(2) 9(2) Sn-Pb/Cu-Bi/Ni
실시예 6 5(1) 7(1) 9(2) Sn-Bi/Cu/Ni
실시예 7 6(1) 8(2) 9(2) Sn-Bi/Cu-Bi/Ni
비교예 1 1(1) - - Sn
비교예 2 1(1) 7(1) - Sn/Cu
비교예 3 5(1) 7(2) - Sn-Bi/Cu
비교예 4 9(2) 1(1) 7(1) Ni/Sn/Cu
비교예 5 9(1) 7(2) 1(1) Ni/Cu/Sn
비교예 6 7(1) 9(1) 1(1) Cu/Ni/Sn
밀착성 내균열성 내식성 납땜성
i ii iii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 ×
비교예 4 × × × ×
비교예 5 × × × × ×
비교예 6 × × × × ×
본 발명에서와 같이 철-니켈 합금 소재로 된 반도체 리드 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일차 하지 도금, 이차 하지 도금, 삼차 하지 도금 후 상부 도금을 하는 4 층 도금을 함으로써, 소재 자체가 가진 특성으로 인한 내부식성 저하 현상을 최대로 억제시켜 박막으로서도 우수한 특성, 특히 우수한 내식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0)

  1. 철-니켈 합금 소재의 피도금체에 주석 도금층, 주석-납 합금 도금층 또는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일차 하지 도금하고, 그 위에 동 도금층, 동-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이차 하지 도금하고, 또 그 위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삼차 하지 도금을 한 다음, 상부 도금층으로 팔라듐 도금층 또는 팔라듐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도록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니켈 합금 소재의 4 층 도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니켈 합금 소재의 피도금체가 반도체 리드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 합금 도금층이 팔라듐-금, 팔라듐-은 및 팔라듐-비스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니켈 합금 소재의 피도금체가 합금(Alloy) #42의 반도체 리드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층이 주석 20∼100g/ℓ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석도금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은 메탄설폰산 주석, 황산 제 1 주석, 염화 제 1 주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도금 조성물이 메탄설폰산, 황산, 인산칼륨 및 염화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납 합금 도금층이 주석 10∼50g/ℓ 및 납 0.5∼15g/ℓ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석-납 합금 도금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비스머스 합금 도금층이 주석 10∼30g/ℓ 및 비스머스 0.5∼20g/ℓ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석-납 합금 도금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도금된 도금체.
KR1019970057888A 1997-11-04 1997-11-04 철-니켈 합금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KR10026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88A KR100261441B1 (ko) 1997-11-04 1997-11-04 철-니켈 합금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888A KR100261441B1 (ko) 1997-11-04 1997-11-04 철-니켈 합금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34A true KR19990038234A (ko) 1999-06-05
KR100261441B1 KR100261441B1 (ko) 2000-07-01

Family

ID=1952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888A KR100261441B1 (ko) 1997-11-04 1997-11-04 철-니켈 합금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420B1 (ko) * 2001-11-26 2007-09-20 마츠다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팔라듐 도금액
KR101008125B1 (ko) * 2008-12-12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 후처리용 니켈도금액의 용액화 제조방법
CN112609173A (zh) * 2020-12-10 2021-04-06 安徽环瑞电热器材有限公司 一种抗腐蚀材料及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420B1 (ko) * 2001-11-26 2007-09-20 마츠다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팔라듐 도금액
KR101008125B1 (ko) * 2008-12-12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 후처리용 니켈도금액의 용액화 제조방법
CN112609173A (zh) * 2020-12-10 2021-04-06 安徽环瑞电热器材有限公司 一种抗腐蚀材料及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441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930B1 (ko) 주석합금도금조성물
US4465742A (en) Gold-plated electronic components
JP2645701B2 (ja) パラジウム合金めっき組成物、及びめっき方法
US5750016A (en) Process for plating palladium or palladium alloy onto iron-nickel alloy substrate
EP1716732A2 (en) Tin-based coating of electronic component
KR101270770B1 (ko)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방법
US20080138528A1 (en) Method for Depositing Palladium Layers and Palladium Bath Therefor
US6767392B2 (en) Displacement gold plating solution
KR100231838B1 (ko) 집적회로용 리드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0261441B1 (ko) 철-니켈 합금소재의 내식성 및 내균열성 향상을 위한 도금 방법
EP0132596A2 (en) Solderable nickel-iron alloy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10016232A1 (en) Method for enhancing the solderability of a surface
JPH10284667A (ja) 耐食性、耐酸化性に優れる電気電子機器用部品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917211B2 (ja) 鉄−ニッケル合金素材にパラジウムまたはパラジウム合金をめっきする方法
JPH048883B2 (ko)
USRE34484E (en) Gold-plated electronic components
US20030209446A1 (en) Method for enhancing the solderability of a surface
JPH043041B2 (ko)
KR20010107073A (ko) 니켈-금 합금 도금 조성물 및 이의 도금 방법
JP2000012762A (ja) 耐食性に優れる電気電子機器用部品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11927B1 (ko) 동 합금 및 철-니켈 합금 소재의 동-니켈 합금 하지 도금 조성물 및 하지 도금 방법
USRE45842E1 (en) Method for enhancing the solderability of a surface
KR100186952B1 (ko) 동합금 및 철-니켈 합금 소재에 팔라듐 또는 팔라듐 합금을 무전해 도금하는 방법
WO2021166641A1 (ja) めっき積層体
JPS62199796A (ja) 電子・電気機器用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