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437A - 교반분쇄기 - Google Patents

교반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437A
KR19990037437A KR1019980045258A KR19980045258A KR19990037437A KR 19990037437 A KR19990037437 A KR 19990037437A KR 1019980045258 A KR1019980045258 A KR 1019980045258A KR 19980045258 A KR19980045258 A KR 19980045258A KR 19990037437 A KR19990037437 A KR 1999003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hamber
grinding chamber
wall
pulv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305B1 (ko
Inventor
노베르트 스테르
Original Assignee
노베르트 스테르
드라이스벨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베르트 스테르, 드라이스벨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베르트 스테르
Publication of KR1999003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of the annular gap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2Lining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교반분쇄기(攪拌粉碎機)는 분쇄통(粉碎容器)(3)의 내벽(內壁)(10)과 회전자(回轉子)(42)의 외벽(外壁)(43)으로 경계(境界)를 이루는 환상(環形)의 원통외분쇄실(圓筒外粉碎室)(9') 및 회전자(42)의 내벽(44)과 내부 고정자(固定子)(24)의 외부원료재킷(jacket)(26)으로 경계를 이루는 내분쇄실(內粉碎室)을 포함하고 있다. 분쇄실들(9',9")은 편향실(偏向室)(49)과 연결되어 있다. 외분쇄실(9')은 교반분쇄기소(攪拌機素)(50,51)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분새실(9")의 벽은 매끈하고 교반분쇄기 요소들과 유리되어 있다. 외분쇄실(9')의 횡단면은 내분새실(9")의 횡단면보다 훨씬 크다.

Description

교반분쇄기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일반형의 교반분쇄기에서 처럼 분쇄원료입자들의 철저한 분쇄와 분산이 충격 즉 외분쇄실내에서 충격분쇄에 의하여 압도적으로 일어난다. 외분쇄실내에서 분쇄원료의 체류시간은 내분쇄실에서의 쳬류시간보다도 휠씬 길다. 내분쇄실에서는 다듬질과정이 일어나는 데 이것은 외분새실에서 분쇄에 의하여 새로이 생성된 분쇄원료입자표면을 포리싱(광택을 내는 과정)하는 한가지 방법을 의미한다. 외분쇄실로부터 내분쇄실에 이르는 통로에서는 분쇄원료의 충분한 가속(加速)이 이루어진다. 청구항 2는 이러한 가속의 최적화가 여하히 되는가를 규정하고 있다.
청구항 3과 4는 내외분쇄실의 단면들이 상호 관계 비율의 바람직한 보다 낮은 범위를 지정하고 있다. 청구항 5와 6은 내외분쇄실의 단면이 상호 관계되는 비율의 바람직한 최대 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청구항 7내지 10은 내외분쇄실의 반경방향 폭의 바람직한 한도를 규정하고 있다.
청구항 11은 외분쇄실내에서 충격분쇄를 최적화하기 위한 제반조치를 반영하고 있다.
청구항 12내지 16은 다른 실시예를 규정하고 있는데 분쇄원료는 외분새실로 유입되기 전에 협소한 환상 원통와류(渦流)공간내에서 미리 분산되게 마련이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중심의 종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에 따라 아래로 연장부(延長部)를 가지는 환상원통와류공간에 의하여 발생하며 바이패스(우회)가 이러한 와류공간과 통해 있음으로 와류공간과 바이패스의 출구를 번갈아 경계를 이루고 있는 회전자의 벽부는 분쇄실의 내벽을 통과한다.
본 발명에 대한 기타의 제반 특징, 장점 및 상세는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의 후속 설명에서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유형의 교반분쇄기를 구현하여 분쇄원료입자를 격렬하게 분쇄와 동시에 분산되는 동안에 분쇄된 원료입자의 정도가 높은 광택표면을 얻는 데 있다.
일반적인 유형의 한가지 교반분쇄기가 EP 0 370 022B(미국특허 5 062 577에 해당)에 공지되어 있다. 이에 공지된 교반분쇄기에서는 핀형의 제교반분쇄기기소가 외분쇄실의 경계벽과 적어도 내분쇄실의 내경계벽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에 의하여 보조분쇄체들의 가속과 감속이 교대로 일어나서 충격에 의하여 철저한 분쇄와 분산효과를 가지는 난류(亂流)상태에 이르게 된다. 분쇄원료는 바이패스를 지나서 전환부를 통과 분쇄원료공급실을 통하여 외분쇄실 및 편향실을 거쳐서 내분쇄실로 유입된다. 보조분쇄재들은 외분쇄실, 편향실, 내분쇄실과 바이패스를 거쳐서 각각 외분쇄실이나 후자로 통하는 전환부분으로 순환된다. 분쇄원료는 내분쇄실의 단부(端部)로부터 분리장치로 유입된다. 분리장치는 보조분쇄재들과 분쇄원료를 서로 분리시키는 데 그다지 큰 역할은 못하고 있지만 분리장치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술용어로 허용되기 때문에 본 적용에서도 사용한다. 상기 설명의 결과로서 분쇄원료에서 보조분쇄재를 분리하는 과정이 이미 분리장치의 상방에서 일어난다. 공지된 교반분쇄기는 실용적인 면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고 있다.
한가지 교반분쇄기가 DE 28 11 899C에 공지되어 있는데 한편으로는 외분쇄실과 또 한편으로는 내분쇄실이 원추대로 되어서 서로가 경사져 있다. 즉 분쇄실의 단면은 회전자와 고정자의 중심종축의 각측에서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분쇄원료는 교반분쇄기를 거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동한다.
즉 분쇄원료는 가장 협소한 직경을 가진 내분쇄실로 유입되어서 반경방향에 따라서 확장되어 있는 내분쇄실, 편향실 및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분쇄실을 통과한다. 거기서부터 분쇄원료는 반경방향에 따라서 내부로 교반분쇄기소에 의하여 한 쪽으로 경계가 이루어진 쳄버를 거쳐서 분리장치쪽으로 유동하며 이에 의하여 분쇄원료가 배출된다. 바이패스의 유입구는 이러한 분리장치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바이패스의 입구는 분리장치내에서 반경방향에 따라서 즉 분리장치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있다. 거기서부터 보조분쇄재들이 회전자내 바이패스를 거쳐서 내분쇄실의 시작부분으로 유입된다. 분쇄실의 경계벽들은 매끈하다. 분쇄공간의 폭 즉 분쇄실의 반경방향폭은 일정하다. 그러나 회전축에 대한 거리는 계속해서 증가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전단구배(剪斷句配)가 분쇄원료의 통로를 따라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증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것은 둘 다 내분쇄실내에서 과소하거나 또는 외분쇄실내에서 과대하여 분쇄원료에 불규칙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결과가 된다.(전단구배는 회전면의 속도와 공간폭의 비율로 정의한다.)
DE 196 32 757.1 A1(미국특허 연번 08/906 043에 해당)은 사전에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서 선행공개사용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그의 내외분쇄실이 분쇄공간으로서 설계된 한가지 교반분쇄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분쇄공간들은 벽이 매끄러우며 교반분쇄기소로부터 유리되어 있다.내외분쇄실의 경계를 이루는 원통벽의 매끄러운 설계는 보조분쇄체들이 층상으로 서로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한가지 유동을 형성시켜준다. 전단구배와 이에 따르는 국부응력(局部應力)은 한편으로는 외분쇄실과 또 한편으로는 내분쇄실의 각 높이에 따라서 일정하다.
DE 38 44 380 C1은 교반분쇄기축의 부분인 케이지를 구비한 교반분쇄기축을 가지는 한가지 교반분쇄기를 시사하고 있다. 당해 케이지는 지지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찰공간이 이러한 지지부, 분쇄통덮개와 분쇄통내벽의 인접부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서 분쇄원료가 분쇄통의 벽과 이러한 마찰공간을 정하여 주는 교반기축의 마찰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분쇄원료입자를 격렬하게 분쇄, 분산시켜서 당해 분쇄원료입자들이 미세하게 다듬어진 매끈한 표면을 가지도록 특수 유형의 교반분쇄기를 구상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인 과제이다.
도 1은 교반분쇄기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2는 교반분쇄기의 분쇄통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교반분쇄기의 수정된 실시예의 분쇄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교반분쇄기는 일반적으로 스탠드(1)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위에 원통분쇄통(3)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電動機)(4)가 스탠드(1)에 수용되어 있으며 브이벨트를 가추고 이에 의하여 브이벨트풀리(8)가 브이벨트(6)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되며 브이벨트풀리(8)는 구동축(7)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서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통(3)은 분쇄실(9)을 둘러싸고 대체로로 원통형외부원료재킷(11)으로 둘러싸인 원통내벽(10)으로 되어 있다. 이들 사이에는 내부원통(10)과 외부원료재킷(11)이 냉각실(12)을 이루고 있다.
분쇄실(9)의 저단부는 나사(14)로 분쇄통에 고정되어 있는 환상의 형태로 된 저판(底板)(13)으로 되어 있다.
분쇄통(3)은 상부 환상프렌지(15)를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나사(17)로 공급하우징(16)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당해 공급하우징(16)은 교반분쇄기의 스탠드(1)에 부착되어 있다. 분쇄실(9)은 덮개(18)로 닫혀 있다. 공급하우징(16)은 분쇄통(3)의 중심종축(20)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는 중심베아링과 밀폐하우징(19)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7)은 이러한 밀폐하우징(19)을 통과하며 축(7)은 축(20)에 대하여 같이 동심으로 위치하여 그에 부착된 교반분쇄기유니트(21)를 가지고 있다. 분쇄원료공급관(22)은 분쇄실(9)과 인접하는 밀폐하우징(19)부분과 통해 있다.
대략 컵모양의 원통형 내부고정자(24)는 환상의 저판(13)에 고정되어 있어서 분쇄실(9)내로 돌출되고 축(20)에 동심인 원통형 외부원료재킷(26)을 포함하여 분쇄실(9)과 축(20)에 또한 동심인 원통형내부원료재킷(27)을 이룬다. 외부원료재킷(26) 및 내부원료재킷(27)은 그들 사이에서 냉각실(28)을 형성한다. 당해 냉각실(28)은 저판(13)의 냉각실(29)과 연결되어 있으며 냉각수가 냉각수공급조인트(30)로 냉각실(29)에 공급되어서 냉각수배출조인트(32)로 배출된다.
분쇄원료/보조분쇄재분리장치(34)가 상부 전면측(33)에 설치되어 있는데 내부고정자(24)의 분쇄실(9)상부에 위치하며 분쇄원료배출관(35)과 연결되어 있다.
분새원료수집호퍼(36)는 분리장치(34)와 배출관(35)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저판(13)부근에는 배출관(35)이 나사(39)에 의하여 분리가 되도록 저판(13)과 결합이 되어 있는 지지테(13)와 당해 지지테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내부고정자(24)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장치(34)는 실(40)에 의하여 내부고정자(24)의 환상앞측(33)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배출관(35)과 수집호퍼(36)와 함께 나사(39)가 풀어지면 내부고정자(24)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빠진다. 분리장치(34)는 교반분쇄기유니트(21)가 구동되지 않을 때 분쇄실(9)을 채우는 보조분쇄재(41)레벨이 전측(33)에 까지 도달하지 못함으로 분쇄실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보조분쇄재(41)없이 분쇄실(9)로부터 빼낼 수 있다.
교반분쇄기유니트(21)의 기본구조는 컵-형 즉 컵형은 원통외벽(43)과 이에 대하여 동심이고 축(20)에 동심인 원통내벽(4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환상원통회전자(42)를 포함한다. 냉각실(45)은 회전자(42)의 외벽(43)과 내벽(44)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2)는 축(7)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자수용부재(46)상에 설치되어 있다.
냉각실(45)에서의 냉각수 공급 및 배출은 축내에 형성되어 있는 냉각수채널(47,48)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으로는 분쇄통(3)의 매끈한 벽체로 된 내부원통(10) 및 회전자의 매끈한 원통외벽(43)에 의하여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회전자(42)의 원통형의 매끈한 내벽(44)과 내부고정자(42)의 원통형의 매끈한 벽체로 된 외부원료재킷(26)에 의하여 분쇄실(9)은 한편으로 원통형의 외분쇄실(9')과 또 한편으로는 원통형내분쇄실(9")로 분활 되어 있다. 두 부분은 저판(13)근처에서 편형실로 서로 통해 있다.
내부원통(10)과 외벽(43)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쇄실을 구성하는 벽에는 고정교반분쇄기소들(50)이 설치되어 있어서 외분쇄실(9')로 돌출되어 있으며 교반분쇄기소들(51)은 회전자(42)와 함께 회전이 된다. 대조적으로 내분쇄실(9")로 돌출한 교반분쇄기소들은 내벽(44)과 외부원료재킷(26)으로 형성되어 있는 분쇄실을 형성하는 벽위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분쇄원료는 분쇄원료공급관(22)으부터 나와서 한편으로는 회전자수용부재(46)와 덮개(18) 또 한편으로는 내벽(10)의 인접부사이의 분쇄원료공급실(53)과 외분쇄실(9')을 거쳐서 아래로 편향실(49)을 통하여 반경방향에 따라 내부로 유동하고 거기에서부터 내분쇄실(9")을 거쳐서 위로 향하여 분리장치(34)에 이른다. 교반분쇄기유니트(21)가 보조분쇄재(41)와 더불어 회전구동되는 동안에 분쇄원료는 외부분쇄실(9'), 편향실(49)과 내분쇄실(9")을 거쳐 가는 중에 분쇄된다. 분쇄원료는 분리장치(34)를 통하여 분쇄실(9)을 떠나며 여기에서 분쇄원료배출관(35)을 거쳐서 배출된다.
보조분쇄재(41)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분리장치(34)는 회전자수용부재(46)의 원통형홈(54)내에 배치되어 있다. 홈(54)의 원통벽(55)과 분리장치(34)사이에는 연장 원동절(原動節)들(56)이 벽(55)에 설치되어 있는데 단면이 대략 삼각형이며 이들 사이에 바이패스(57)의 대략 호퍼형 단면형상을 한 유입부를 형성한다. 이들 원동절을 가진 이러한 유형의 한가지 의장(意匠)이 EP 0 439 826B(미국특허 5 133 508에 해당)에 공지되어 있다.
바이패스(57)는 회전수용부재(46) 즉 회전자수용부재(46)의 원통형 회전자(42)로의 전이부분에 위치하며 분리장치(34)전에 유동방향(52)의 화살표방향으로 보인다. 유동방향(52)의 화살표에 대응하는 유동방향과 관련하여 이들은 내분쇄실(9")의 단부를 외분쇄실(9')의 시작부분 즉 외분쇄실(9')을 통과하는 분쇄원료공급실(53)의 전이부(58)와 연결된다. 교반분쇄기유니트(21)의 회전방향(59)에 관하여 바이패스(57)는 회전방향(59)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반경방향에 따라 뻗어 있음으로 내분쇄실(9")내에서 원심가속이 된 보조분쇄재(41)는 바이패스(61)를 거쳐서 사출(射出)됨으로 다시 분쇄원료공급실(53)로 돌아온다.
회전자(42)에 설치된 교반분쇄기소(51)와 분쇄통(3)에 설치된 정지대응교반분쇄기소들(50)과 더불어 외분쇄실(9')은 진성 분쇄실이며 그안에서 보조분쇄재(41)는 회전하는 교반분쇄기소들(51) 및 정지교반요소들(50)과 격렬한 운동량교환에 노출되는데 즉 그 내부에서 분쇄원료는 충격효과로 강력한 전단(剪斷)과 분산(分散)과정을 거치게 된다. 분산이나 부유형태로 공급되는 분쇄원료의 개벌 입자들은 외부분쇄실(9')내에서 완전한 분말로 된다. 이와 반대로 내분쇄실(9")은 분쇄공간으로 형성되며 그의 단면은 외분쇄실(9')의 단면보다 상당히 작다. 외분쇄실(9')은 외경 Da와 내경 Di를 가진다. 분쇄공간의 형태로 된 내분쇄실(9")은 외경 da와 내경 di를 가진다. 외분쇄실(9')과 내분쇄실(9")의 단면비에 대하여서는 4 ≤(Da^2 -Di^2)/(da^2- di^ 2)를 적용하며 5≤(Da^2 - Di^2)가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이것은 외분쇄실(9')의 단면이 내분쇄실(9")단면크기의 4 내지 5배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장의 결과로 내분쇄실(9")내의 분쇄원료유속은 최소한 외분쇄실내에서 보다도 4 또는 5배 빠르다. 이에 따라서 외분쇄실(9')내에서의 분쇄원료 지체시간은 내분쇄실(9")에서의 지체시간보다 대략 분쇄공간의 형태로 4 또는 5배정도로 상회한다.
외분쇄실(9')과 내분쇄실(9")의 단면비에 대한 상한으로서 다음의 결과가 된다: (Da^2 - Da^2)/(da^2 - di^2) ≤30 이며 그중에서도 (Da^2 - Di^2)/(da^2 - di^2 )≤25.
15mm ≤a 은 축(2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외분쇄실(9')의 폭 a 에 적용한다. a ≤300mm가 상한이다. 축(20)에 반경방향으로 마찬가지로 내분쇄실의 공간폭 b에 대해서는 3mm ≤b를 적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사실상 공간폭 b는 각 경우에 보조분쇄재(41)의 경 c 보다 최소한 4배가 되어야 한다. 상한으로서는 c ≤ 1.5mm를 보조분쇄재(41)의 직경 c에 적용한다
분쇄원료의 비상한 가속이 분쇄공간의 형태로 외분쇄실(9')에서 내분쇄실(9")로 전달 될 수 있도록 편향실(49)이 가속부분(60)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내분쇄실쪽을 향하여 계속 협소해져서 노즐역활을 하게 된다.
외분쇄실(9')에서 고도의 난류혼합과정이 발생하는 동안에 후자의 원통형경계벽의 원할한 벽체 의장으로 인하여 내분쇄실(9")로 흐름이 발생하며 보조분쇄재(41)는 이러한 흐름속에서 서로간에 층을 형성하여 이동한다. 전단구배와 이에 따르는 국부적인 응력강도는 후자의 높이에 걸쳐서 내분쇄실(9")내에서 일정하다.
내분쇄실내에서 분쇄원료의 지체시간이 짧고 서로간의 보조분쇄재(41)의 층간 운동으로 인하여 그 이상의 고도 분산과 분쇄가 일어나지 않고 다만 틈새에 끼어들을 수 있는 조대(粗大)한 입자들에 다소의 응력만이 발생하는데 이는 대체로 외분쇄실(9')내에서 입자표면에 모가 없어져 둥글게되고 표면처리가 새로히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명시된 교반분쇄기는 수직이나 또는 수평으로 배설이 가능한바 즉 기술한 바와 같이 수직중심종축이나 또는 이에 대하여 수평중심종축을 가질 수도 있다. 특히 교반분쇄기가 수평으로 설치될 경우 원동절(56)은 필요치가 않다.
물론 기타 구조상 개조를 요할 수 있다.
도 3에 의한 구상은 회전자(42')의 회전수용부재(46')의 원통형원주벽(61)에 대한 의장에서만이 도2와 다르다. 이러한 원주벽(61)과 분쇄통(3)의 관련 내벽(10)사이에는 와류공간(62)이 있어서 그 안으로 원추대의 형상으로 된 분쇄원료공급실(53)의 부분과 통해 있다. 바이패스(57')는 와류공간(62)과 통해 있다. 회전자수용부재(46')의 전이부(58)에서 바이패스(57')는 경계(63)에 의하여 닫힘으로 전이부(58)에서 보조분쇄재(41)는 외분쇄실(9')로 직접 들어 갈 수가 없고 와류공간(62)으로만 들어 갈 수 있다.
중심종축(20)에 대하여 반경방향에 따른 와류공간(62)의 공간폭 e
는 매우 작다,
3mm ≤e ≤8mm,
이며 특히
4mm ≤ e ≤5mm를 적용한다.
또한 틈새폭 e가 보조분쇄재(41)의 직경c에 대한 비율에 대해서는
3c ≤e ≤4c
가 좋다.
와류공간(62)은 외분쇄실(9')에 비하여 아주 협소한 단면을 가지고 있음으로 와류공간(62)내에서의 분쇄원료의 유속은 분쇄원료공급실(53)의 원추대형상의 부분으로 보조분쇄재(41)의 일부 누설을 제외하고는 외분쇄실(9')방향으로 대단히 빠르게 유동한다. 특히 일종의 역류를 형성하는 바이패스(57')와 교대로 바이패스(57')의 각 출구(64)에 의하여 막힌 원주벽(61)의 벽부분(65)이 보조분쇄재(41)의 극도로 격렬한 혼합을 얻도록 하여 와류공간(62)내에서 분쇄원료의 극도로 격렬한 사전 분산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의장은 일련의 분쇄원료의 사전 -분산, 충격분쇄 포리싱분쇄와 관련하여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종래의 교반분쇄기에 비하여 분쇄원료입자의 보다 효과적인 분쇄와 분산결과를 가져와서 당해 원료입자가 대단히 미세하게 잘 이겨진 원활한 면을 얻게 된다.

Claims (16)

  1. 분쇄통(3)과, 일반적으로 폐쇄된 분쇄실(9)을 이루는 내벽(10)과 분쇄통내에서 회전구동이 되고 공동의 중심종축(20)에 대하여 컵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환상(環狀)원통형 회전자(42,42')를 포함하고 그의 내부에는 내부고정자(24)가 배치되어 있어서 분쇄통(3)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환상원통형외분쇄실(9')이 분쇄통(3)의 내벽(10)과 회전자(42,42')외벽사이에서 형성되며 환상원통형내분쇄실(9")은 외분쇄실(9')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편향실(49)에 의하여 후자와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자(42, 42')의 내벽(44)과 내부고정자(24)의 외부재킷(26)사이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교반기소들(51)이 회전자(42,42')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어서 외분쇄실(9')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외분쇄실(9'), 편향실(49) 및 내분쇄실(9")은 보조분쇄재(41)로 일부 충진되어 있는 분쇄실(9)을 형성하며 분쇄원료공급실(53)은 외분쇄실(9')의 상방에 위치하여 분쇄원료의 유동방향(52)에 따라서 후자로 통하며 분리장치(34)는 분쇄원료의 유동방향(52)으로 내분쇄실(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서 분쇄원료가 통과되도록 대략 분쇄통(3)과 같은 측에 위치하며 바이패스(57,57')는 분리장치(34)의 인근으로부터 분쇄공급실(53)인근으로 보조연마재(41)를 되돌리기 위하여 교반기유니트에 마련되어 있으며 동 바이패스(57, 57')는 내분쇄실(9")단부를 외분쇄실(9')의 시작부분과 연결시키며 자유로 유동하는 분쇄원료를 처리하기 위한 한가지 교반분쇄기에 있어서,
    내측분쇄실(9")은 분쇄공간을 형성하는 환상유격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외분쇄실(9')의 단면은 내분쇄실(9")의 단면을 상당히 초과하며 회전자의 내벽(44)과 내부고정자(24)의 외벽(26)은 교반기소들로부터 유리되어 원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분쇄원료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분쇄원료의 가속부(60)는 내분쇄실(9")을 향하여 계속 좁아져서 외분쇄실(9')과 내분쇄실(9")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4≤(Da^2 - Di^2)/(da^2 - di^2)는 외분쇄실(9')의 단면이 내분쇄실(9")의 단면에 대하여 취하는 비율로 적용하는 바
    Da 는 외분쇄실(9')의 외경
    Di는 외분쇄실(9")의 내경
    da는 내분쇄실(9")의 외경이며
    di는 내분쇄실(9")의 내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4. 제 3항에 있어서,
    5≤(Da^2 - Di^2)/(da^2 - di^2)는 외분쇄실(9')의 단면이 내분쇄실(9")의 단면에 대하여 취하는 비율로 적용하는 바
    Da 는 외분쇄실(9')의 외경
    Di는 외분쇄실(9')의 내경
    da는 내분쇄실(9")의 외경이며
    di는 내분쇄실(9")의 내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Da^2 - Di^2)/(da^2 - di ^2)는 외분쇄실(9')의 단면이 내분쇄실(9")의 단면에 대하여 취하는 비율로 적용하는 바
    Da는 외분쇄실(9')의 외경
    Di는 외분쇄실(9')의 내경
    da는 내분쇄실(9")의 외경이며
    di는 내분쇄실(9")의 내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6. 제 5항에 있어서,
    (Da^2 - Di ^2)/(da^2 - di^2)는 외분쇄실(9')의 단면이 내분쇄실(9")의 단면에 대하여 취하는 비율로 적용하는 바
    Da 는 외분쇄실(9')의 외경
    Di는 외분쇄실(9')의 내경
    da는 내분쇄실(9")의 외경이며
    di는 내분쇄실(9")의 내경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5mm≤a는 외분쇄실(9')의 폭 a 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a≤300mm는 외분쇄실(9')의 폭 a 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3mm≤b는 내분쇄실(9")의 공간폭 b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b≤15mm는 내분쇄실(9")의 공간폭 b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분새실(9')안으로 돌출한 고정교반기소들(50)은 분쇄통(3)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환상원통형의 와류공간(62)은 분쇄원료공급실(53)과 회전자(42')와 분쇄통(3)의 내벽(10)에 의하여 이루어진 외분쇄실(9')사이에 형성되어서 그 안으로 바이패스(57')가 출구(64)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회전자(42')는 원통형원주벽(61)에 의하여 와류공간(62)을 형성하고 그안에 바이패스(57')의 출구(64)가 위치하며 출구(64)와 원주벽(61)의 벽부(65)는 회전자(4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번갈아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3mm≤e ≤8mm
    는 원주벽(61)과 중심종축(20)에 반경방향에 따르는 분쇄통93)의 내벽사이에 와류공간(62)의 공간폭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4mm≤e≤5mm
    는 공간폭 e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3c≤e≤4c
    는 보조분쇄재(41)의 직경c와 관련하여 공간 폭 e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분쇄기.
KR1019980045258A 1997-10-28 1998-10-28 교반분쇄기 KR100525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7474 1997-10-28
DE19747474.8 1997-10-28
DE19834397A DE19834397B4 (de) 1997-10-28 1998-07-30 Rührwerksmühle
DE19834397.3 1998-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437A true KR19990037437A (ko) 1999-05-25
KR100525305B1 KR100525305B1 (ko) 2006-01-12

Family

ID=784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258A KR100525305B1 (ko) 1997-10-28 1998-10-28 교반분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25305B1 (ko)
DE (2) DE19834397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496A (ko) * 2002-04-10 2002-05-03 정상옥 원통형 분쇄장치
KR100934435B1 (ko) * 2008-02-22 2009-12-29 주식회사 정현프랜트 약품용 분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9967B4 (de) * 1998-05-05 2007-04-26 BüHLER GMBH Rührwerksmühle
ES2285603T3 (es) 2005-05-19 2007-11-16 Buhler Ag Molino agitador.
DE102008016344A1 (de) 2008-03-30 2009-10-01 Peter Kotlarov Klimmzugstange mit Vibrationseffekt
DE102011117418B4 (de) * 2011-11-02 2014-10-30 BEAR Mühlen & Behälter GmbH Labyrinthmüh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1899C2 (de) * 1978-03-18 1984-12-06 Fryma-Maschinen Ag, Rheinfelden Spalt-Kugelmühle
DE3716587C1 (de) * 1987-05-18 1988-04-28 Draiswerke Gmbh Ruehrwerksmuehle
DE3844380C1 (en) * 1988-12-30 1990-01-18 Erich Netzsch Gmbh & Co Holding Kg, 8672 Selb, De Agitator mill with separating device in a rotating cage
DE4002613A1 (de) * 1990-01-30 1991-08-01 Draiswerke Gmbh Ruehrwerksmuehle
JPH07328405A (ja) * 1994-06-06 1995-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式媒体分散装置
DE19632757A1 (de) * 1996-08-14 1998-02-19 Draiswerke Gmbh Rührwerksmüh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496A (ko) * 2002-04-10 2002-05-03 정상옥 원통형 분쇄장치
KR100934435B1 (ko) * 2008-02-22 2009-12-29 주식회사 정현프랜트 약품용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305B1 (ko) 2006-01-12
DE59808032D1 (de) 2003-05-28
DE19834397B4 (de) 2007-04-05
DE19834397A1 (de) 199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807B2 (ja) 撹拌ボールミル
JP2929078B2 (ja) 細砕ビーズ用セパレータを備えた攪拌ミル
JP2576930B2 (ja) 攪拌式ボールミル及びその運転方法
JPS6243731B2 (ko)
JPH06114254A (ja) 分散攪拌機
JPH0260380B2 (ko)
KR100494851B1 (ko) 교반분쇄기
US5897068A (en) Agitator mill
JP4451965B2 (ja) パイプラインビ−ズミル
KR101743381B1 (ko) 매체교반형 분쇄기
US5544821A (en) Energy efficient centrifugal grinder
JPH04215859A (ja) 撹拌式粉砕機
KR19990037437A (ko) 교반분쇄기
US6021969A (en) Agitator mill
JPH0669538B2 (ja) 予め液体内に分散させた固体を粉砕および細砕するためのミル
US55708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autogenous grinding of free-flowing stock
JP2967803B2 (ja) 撹拌装置式ボールミル
EP1072305B1 (en) Medium dispersing apparatus
US5996914A (en) Agitator mill
EP0925114B1 (en) Energy efficient centrifugal grinder
JP2810951B2 (ja) 撹拌ミル
JPH0360747A (ja) 極微細粉砕用攪拌ミル
CN218250681U (zh) 一种无研磨介质的高速搅拌磨和研磨机
JPS6136460B2 (ko)
AU6846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autogenous grinding of free-flowing st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