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186A - 파일럿식 절환밸브 - Google Patents
파일럿식 절환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7186A KR19990037186A KR1019980043630A KR19980043630A KR19990037186A KR 19990037186 A KR19990037186 A KR 19990037186A KR 1019980043630 A KR1019980043630 A KR 1019980043630A KR 19980043630 A KR19980043630 A KR 19980043630A KR 19990037186 A KR19990037186 A KR 19990037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ot
- valve
- switching
- body portion
- plu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15B13/0431—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the electrical control resulting in an on-off fun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2013/0428—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switchable internal or external pilot pressure sour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109—Convertible
- Y10T137/5196—Unit orientable in a single location between plural pos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 Y10T137/86614—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주밸브의 밸브보디를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양 부분에 홈이나 얕게 오목한 곳 등을 형성함으로써 파일럿유체용의 유로와 절환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실을 형성하며, 이 플러그실 내에, 절환밸브를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절환하는 상기한 절환플러그를, 축 방향의 방향을 180도 변경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일럿유체의 도입방식을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변경할 수 있는 파일럿식 절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압축공기 등의 압력유체의 흐름을 절환하는 절환밸브의 하나로, 파일럿식 절환밸브가 있다. 그것은, 주밸브와 파일럿밸브로 구성되어 있어, 파일럿밸브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유체를 주밸브의 유체로 작용시킴으로써 그 밸브체를 절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일럿식 절환밸브에는, 파일럿유체의 공급방법에 따라서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나누어진다. 내부 파일럿식 절환밸브는, 주밸브의 공급포트로부터 메인유체의 일부를 파일럿유체로서 파일럿밸브로 인도하는 형태의 것이다. 한편, 외부 파일럿식 절환밸브는, 외부 파일럿포트에 접속된 외부 배관 등을 통해 메인유체와는 별도로 전용의 파일럿유체를 그 파일럿밸브에 인도하는 형태의 것이다. 이들 절환밸브는, 작업조건에 따라 적절히 나뉘어 사용되지만, 작업조건의 변경에 의해 내부 파일럿식을 외부 파일럿식으로 변경하거나, 반대로 외부 파일럿식을 내부 파일럿식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예를 들어, 실개소64-17078호 공보나, 실개평1-16327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듯이,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한 절환밸브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절환밸브는, 상기한 절환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나, 이 구멍에 통하는 복수의 파일럿유로(流路) 등을, 밸브보디의 내부에 구멍을 만드는 가공을 하여 형성하므로, 그 가공이 매우 번거롭다. 특히 구멍직경이 균일하지 않은 구멍을 형성하는 작업이나, 구부러진 복수의 파일럿유로를 서로 위치가 경합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작업은, 작업이 번잡하여 매우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를 구비한 파일럿식 절환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절환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나, 이 구멍에 통하는 파일럿유로 등을, 밸브보디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절환밸브는, 주밸브의 밸브보디를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의 사이에, 파일럿유체용의 복수의 유로 중 일부 유로와, 이들 유로의 접속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보디부분 또는 제2보디부분에 홈(溝)이나 얕게 오목한 곳 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유로 및 플러그실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1개 보디의 내부에 구멍직경이 균일하지 않은 깊은 구멍이나, 구부러진 통과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종래품에 비해,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조립도 간단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플러그실이, 상기한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의 양측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1보디부분에 외부 파일럿밸브시트가 설치되고, 제2보디부분에 내부 파일럿밸브시트가 설치되며, 또한 이들 양 밸브시트 사이에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가 개구(開口)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플러그실 내에는 상기한 절환플러그가 축선방향의 방향을 180도 변경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어, 그 절환플러그가, 방향의 변경에 의해 상기한 2개 밸브시트 중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밸브체와, 개방상태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주밸브와 파일럿밸브 사이에, 그 파일럿밸브에 의해 절환되어 파일럿유체를 주밸브에 대해 공급 및 배출하는 증폭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절환밸브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절환플러그의 방향을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증폭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절환밸브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관한 파일럿식 절환밸브의 실시예 1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절환밸브(1A)는 싱글파일럿식으로, 메인유체의 유로를 절환하는 주밸브(2)와, 솔레노이드(3a)로 구동되는 파일럿밸브(3)와, 이들 주밸브(2)와 파일럿밸브(3) 사이의 어댑터플레이트(4)에 부착된 증폭밸브(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주밸브(2)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 형상을 한 밸브보디(7)와, 그 밸브보디(7)의 축 방향 양측에 각각 부착된 제1피스톤상자(11) 및 제2피스톤상자(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보디(7)는, 그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제1보디부분(7a)과, 그 제1보디부분(7a)의 상면에 나사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2보디부분(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밸브보디(7)는, 제1보디부분(7a)의 하면 중앙에 설치된 압력유체용 공급포트(P)와, 그 양측에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출력포트(A),(B)와, 또한 그 양측에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배출포트(EA),(EB)와, 이들 포트가 개구하는 밸브구멍(13)을 구비하고 있다. 그 밸브구멍(13)에는, 상기한 출력포트(A),(B)와 공급포트(P) 및 배출포트(EA),(EB) 사이의 유로를 절환하는 밸브체(14)가 미끄럼 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밸브보디(7)의 제1피스톤상자(11) 측의 단부에는, 외부 파일럿포트(X)와, 파일럿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파일럿 배출포트(P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피스톤상자(11)에는, 밸브구멍(13)보다 큰 직경의 제1압력실(11a)이 형성되어, 그 제1압력실(11a) 내에 제1피스톤(15)이 기밀하게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피스톤상자(12)에는 상기한 제1압력실(11a)보다 작은 직경의 제2압력실(12a)이 형성되고, 이 제2압력실(12a) 내에 제2피스톤(16)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피스톤(16)과 밸브체(13) 사이에는, 그 밸브체(13)를 제1피스톤(15) 측을 향해 힘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밸브보디(7)에 있어서의 제1보디부분(7a)과 제2보디부분(7b) 사이에는, 절환밸브를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변경하기 위한 절환플러그(20)를 수용하는 플러그실(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플러그실(21)은, 상기한 제1보디부분(7a)과 제2보디부분(7b)의 양쪽에 오목한 곳을 설치함으로써, 이들 양 부분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디부분(7a)측에 형성된 챔버부분(21a)에는, 외부 파일럿포트(X)에 연통하는 외부 파일럿유로(26)가 개구하는 동시에, 그 유로(26)에 연통하는 외부 파일럿밸브시트(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보디부분(7b)측에 형성된 챔버부분(21b)에는, 공급포트(P)로부터 분기된 내부 파일럿유로(19)가 개구하는 동시에, 그 유로(19)에 연통하는 내부 파일럿밸브시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양 밸브시트(22),(23) 사이에 위치하는 챔버부분(21c)에는, 파일럿밸브(3)의 파일럿 입구포트(p)에 연통하는 파일럿 입력유로(28)와, 파일럿유체를 항시 제2압력실(12a)에 인도하기 위한 파일럿 복귀유로(29)가 개구하고 있다.
상기한 내부 파일럿유로(19)는, 제2보디부분(7b)의 내면에 잘려진 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28)와 복귀유로(29)는, 제2보디부분(7b)에 잘려진 홈과 제1보디부분(7a)에 설치된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보디부분(7a) 또는 제2보디부분(7b)에 홈이나 얕게 오목한 곳 등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유로 및 플러그실을 형성함으로써, 1개 보디의 내부에 구멍직경이 균일하지 않은 깊은 구멍이나, 구부러진 통과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종래품에 비해,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조립도 간단하다.
상기한 절환플러그(20)는, 상기한 플러그실(21) 양단의 서로 동일한 직경의 챔버부분(21a),(21b)에 각각 실링(sealing)(35)으로 기밀하게 끼워맞춤하는 동일한 직경의 양 단부(20a),(20b)와, 큰 직경의 챔버부분(21c)에 끼워맞춤하는 큰 직경의 중간부(20c)로 이루어져 있어, 그 축선방향의 방향을 180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한 플러그실(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중간부(20c)의 축 방향 일단에는 포핏(poppet)식의 밸브체(31)가 설치되어 있어, 절환플러그(20)의 방향을 180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이 밸브체(31)로, 상기한 2개 밸브시트(22),(23) 중의 한쪽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중간부(20c)에 있어서의 밸브체(31) 이외의 부분은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오목한 부분이, 상기한 2개 밸브시트(22),(23) 중 개방상태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28)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파일럿밸브(3)는, 3포트 전자밸브로서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일럿 입구포트(p), 파일럿 출력포트(a) 및 파일럿 배출포트(r)를 구비하고(포트 p, a, r은 도 3 참조), 솔레노이드(3a)의 여자와 그 해제에 의해, 파일럿 출력포트(a)를 파일럿 입구포트(p)와 파일럿 배출포트(r)로 교체하여 연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파일럿 입구포트(p)는, 증폭밸브(5)를 통해 상술하듯이 파일럿 입력유로(28)에 연통하고, 파일럿 출력포트(a)는 증폭밸브(5)의 압력실(50)에 연통하며, 파일럿 배출포트(r)는 파일럿 배출유로(49)에 의해 파일럿 배출포트(PE)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솔레노이드(3a)는, 어댑터플레이트(4)에 설치된 급전(給電)플러그(37)로부터, 파일럿밸브(3) 아래쪽과 한쪽면에 설치된 전기커넥터(38) 및 프린트기판(39) 등을 통해 전기가 공급된다.
도 3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상기한 증폭밸브(5)는, 어댑터 플레이트(4)에 형성된 부착실(4a)에 부착된 증폭밸브보디(41)와, 그 축 방향의 미끄럼작동구멍(41a)에 기밀하게 부착된 밸브시트부재(42)와, 미끄럼작동구멍(41a)을 기밀하게 미끄럼 작동하는 증폭밸브체(43)와, 그 증폭밸브체(43)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시트부재(42)에는, 출력밸브시트(46)와 배출밸브시트(47)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 밸브시트 사이의 공간은 파일럿 출력유로(48)에 의해 제1압력실(11a)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미끄럼작동구멍(41a)에 있어서의 출력밸브시트(46)보다 위쪽의 공간에는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28)가 개구하고, 배출밸브시트(47)보다 아래쪽 공간은 파일럿 배출유로(49)에 의해 파일럿 배출유로(PE)에 연통하며, 증폭밸브보디(41)와 증폭밸브체(43) 사이의 압력실(50)은 파일럿 출력포트(a)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증폭밸브체(43)는, 미끄럼작동에 의해 출력밸브시트(46)와 배출밸브시트(47)를 개폐하는 밸브부재(4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제1피스톤상자(11)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파일럿 입력유로(28)를, 증폭밸브(5) 및 파일럿밸브(3)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1압력실(11a)로 연통시킬 수 있는 수동조작장치(52)가,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해 누름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조작장치(52)는, 통상은 복귀스프링(53)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위로 동작하여, 파일럿 입력유로(28)를 파일럿 입구포트(p)에 연통시켜 두고, 누름에 의해 파일럿 입력유로(28)를 직접 제1압력실(11a)에 연통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정전 등의 사고나 시운전시 등의, 솔레노이드(3a)에 의한 파일럿밸브(3)의 조작이 불가능한 때는, 수동조작장치(52)의 누름과 그 해제에 의해, 밸브체(14)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밸브체(14)에는, 제1 및 제2피스톤(15),(16)의 배후의 호흡실끼리를 상호 연통하기 위한 통로(54)가 형성되어 있고, 제1피스톤(15)의 배후의 호흡실은, 파일럿 배출유로(49)에 의해 파일럿 배출포트(PE)에 연통하고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56은, 프린트기판(39)에 부착된 솔레노이드(3a)로의 통전을 표시하는 표시등으로, 파일럿밸브(3)나 프린트기판(39) 등을 덮는 커버(57)에, 그 표시등(56)의 점등을 외부에서 보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표시창(5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A는, 절환플러그(20)를, 밸브체(31)가 외부 파일럿밸브시트(23)를 폐쇄하는 동시에, 개방하는 내부 파일럿밸브시트(22)를 통해 내부 파일럿유로(19)와 파일럿 입력유로(28)가 연통하는 방향에 부착함으로써, 절환밸브(1A)를 내부 파일럿식으로 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파일럿유체는, 공급포트(P)로부터 내부 파일럿유로(19) 및 파일럿 입력유로(28)를 통해 파일럿밸브(3)와 증폭밸브(5)에 공급된다.
도 1은 솔레노이드(3a)의 여자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파일럿밸브(3)의 파일럿 출력포트(a)가 파일럿 배출포트(r)에 연통하여, 증폭밸브체(43)가 복귀스프링(44)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위로 작동하고 있으므로, 증폭밸브부재(43a)가 출력밸브시트(46)를 폐쇄하는 동시에 배출밸브시트(47)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1압력실의 파일럿유체가, 파일럿 출력유로(48)와 배출밸브시트(47) 및 파일럿 배출유로(49)를 통해 파일럿 배출포트(PE)로부터 외부에 배출되고, 밸브체(14)는 복귀유로(29)로부터 제2압력실(12a)에 공급되어 있는 압축공기의 작용력과 복귀스프링(17)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도면에서 좌측으로 동작하며, 공급포트(P)와 제2출력포트(B), 및 제1출력포트(A)와 제1배출포트(EA)가 연통하고 있다.
솔레노이드(3a)를 여자하면, 파일럿밸브(3)의 파일럿 입구포트(p)와 파일럿 출력포트(a)가 연통하여 증폭밸브(5)의 압력실(50)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되고, 그것에 의해 증폭밸브체(43)가 아래로 동작하므로, 증폭밸브부재(43a)가, 출력밸브시트(46)를 개방하는 동시에 배출밸브시트(47)를 폐쇄하여, 제1압력실(11a)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된다.
그것에 의해, 양 피스톤(15),(16)의 직경 차이에 의해 밸브체(14)가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동작하므로, 공급포트(P)와 제1출력포트(A), 및 제2출력포트(B)와 제2배출포트(EB)가 연통한다.
솔레노이드(3a)의 여자를 해제하면, 파일럿 출력포트(a)가, 파일럿 배출포트(r)에 연통하여, 증폭밸브(5)의 압력실(50)에 공급된 파일럿유체가 파일럿 배출유로(49)를 통해 파일럿 배출포트(PE)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복귀스프링(44)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증폭밸브체(43)가 도면에 있어서 위로 동작하여, 증폭밸브부재(43a)가 출력밸브시트(46)를 폐쇄하는 동시에 배출밸브시트(47)를 개방한다.
따라서, 제1압력실(11a)에 공급된 파일럿유체가, 파일럿 출력유로(48), 배출밸브시트(47) 및 파일럿 배출유로(49)를 통해 파일럿 배출포트(PE)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2압력실(12a)에 공급되어 있는 압축공기의 작용력과 복귀스프링(17)의 가해지는 힘의 합에 의해 밸브체(14)가 복귀하고, 공급포트(P)와 제2출력포트(B), 및 제1출력포트(A)와 제1배출포트(EA)가 연통한다.
제2보디부분(7b)을 일단 분리하여 절환플러그(20)의 방향을 180도 반전시키고, 도 2B에 나타내는 방향에 부착하면, 밸브체(31)에 의해 내부 파일럿밸브시트(22)가 폐쇄되는 동시에, 외부 파일럿밸브시트(23)를 통해 외부 파일럿유로(26)와 파일럿 입력유로(28)가 연통하므로, 절환밸브는 외부 파일럿식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파일럿유체는, 외부 파일럿포트(X)로부터 파일럿 입력유로(28)를 통해 파일럿밸브(3)와 증폭밸브(5)에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한 실시예 1의 절환밸브(1A)에 있어서는, 밸브보디(7)를 제1보디부분(7a)과 제2보디부분(7b)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양 부분에 홈이나 얕게 오목한 곳 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유로 및 플러그실(2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1개의 밸브보디 내부에 구멍직경이 균일하지 않은 깊은 구멍이나, 구부러진 통과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종래품에 비해,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조립도 간단하다.
더욱이, 증폭밸브(5)를 설치함으로써, 파일럿밸브(3)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유체를, 주밸브(2)의 밸브체(14)에 비해 극히 작은 직경의 증폭밸브체(43)를 구동할 만큼의 소량으로 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3a) 구동의 파일럿밸브(3)를 소형으로 낮은 비용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 2의 절환밸브(1B)는, 외관적으로는, 상기한 실시예 1의 절환밸브(1A)와 유사하지만,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절환밸브로서, 2개의 파일럿밸브로 주밸브를 절환하도록 되어 있는 점이 상기한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즉, 도 4에 있어서, 주밸브(2B) 양측의 제1피스톤상자(11B) 및 제2피스톤상자(12B)에 각각 설치한 피스톤에 대해, 각각에 대응하는 파일럿밸브와 증폭밸브로 파일럿유체를 공급함으로써 밸브체를 절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57B) 내부에 2개의 파일럿밸브가 조립되고, 어댑터플레이트(4B)의 내부에 2개의 증폭밸브가 조립되며, 제1피스톤상자(11B)의 내부에 2조의 수동조작장치(52)가 조립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내부 파일럿식과 외부 파일럿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기구는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의 절환밸브는 모두 5포트밸브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5포트밸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포트밸브이거나 3포트밸브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의 절환밸브(1A) 있어서는, 밸브보디(7)를 제1보디부분(7a)과 제2보디부분(7b)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양 부분에 홈이나 얕게 오목한 곳 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유로 및 플러그실(2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1개의 밸브보디 내부에 구멍직경이 균일하지 않은 깊은 구멍이나, 구부러진 통과구멍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종래품에 비해, 가공이 매우 용이하며 조립도 간단하다.
더욱이, 증폭밸브(5)를 설치함으로써, 파일럿밸브(3)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유체를, 주밸브(2)의 밸브체(14)에 비해 극히 작은 직경의 증폭밸브체(43)를 구동할 만큼의 소량으로 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3a) 구동의 파일럿밸브(3)를 소형으로 낮은 비용인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 복수의 포트와, 이들 각 포트가 연통하는 밸브구멍과, 그 밸브구멍 내에 미끄럼작동 자유롭게 설치된 유로절환용의 밸브체를 보유하는 주밸브; 그 주밸브에 파일럿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한 밸브체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럿밸브를 구비하고, 상기한 주밸브가, 1개의 포트로부터 분기한 내부 파일럿유로와, 외부 파일럿포트에 통하는 외부 파일럿유로와, 파일럿유체를 파일럿밸브에 인도하기 위한 파일럿 입력유로와, 그 파일럿 입력유로를 내부 파일럿유로와 외부 파일럿 유로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절환플러그를 구비하는 파일럿식 절환밸브에 있어서,상기한 주밸브의 밸브보디가, 상기한 각 포트와 밸브구멍과 밸브체를 보유하는 제1보디부분과, 그 제1보디부분의 포트형성면과는 반대측 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 제2보디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의 사이에, 상기한 파일럿유체용의 복수의 유로 중 일부 유로와, 상기한 절환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절환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러그실이, 상기한 제1보디부분과 제2보디부분의 양측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1보디부분에 형성된 챔버부분에는 외푸 파일럿유로에 통하는 외부 파일럿밸브시트가 설치되고, 제2보디부분에 형성된 챔버부분에는 내부 파일럿 유로에 통하는 내부 파일럿밸브시트가 설치되며, 또한 이들 양 밸브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챔버부분에는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가 개구하고,상기한 플러그실 내에는 상기한 절환플러그가 축선방향의 방향을 180도 변경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어, 그 절환플러그가, 방향 변경에 의해 상기한 2개 밸브시트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폐쇄 가능한 밸브체와, 개방상태에 있는 밸브시트와 상기한 파일럿 입력유로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절환밸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밸브와 파일럿밸브의 사이에, 그 파일럿밸브에 의해 절환되어 파일럿유체를 주밸브에 대해 공급 및 배출하는 증폭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절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304855 | 1997-10-20 | ||
JP30485597A JP3959563B2 (ja) | 1997-10-20 | 1997-10-20 | パイロット式切換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186A true KR19990037186A (ko) | 1999-05-25 |
KR100302412B1 KR100302412B1 (ko) | 2001-12-01 |
Family
ID=1793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3630A KR100302412B1 (ko) | 1997-10-20 | 1998-10-19 | 파일럿식절환밸브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964244A (ko) |
EP (1) | EP0911559B1 (ko) |
JP (1) | JP3959563B2 (ko) |
KR (1) | KR100302412B1 (ko) |
CN (1) | CN1083547C (ko) |
DE (1) | DE69811309T2 (ko) |
TW (1) | TW364563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912A (ko) | 2017-06-16 | 2020-02-11 | 아이캔 컴퍼니 엘티디. |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5296A (ja) * | 1998-05-14 | 1999-11-26 | Smc Corp | ベース搭載形電磁弁 |
US6164323A (en) * | 1999-07-12 | 2000-12-26 | Numatics, Incorporated | Solenoid valve control system |
FR2807793B1 (fr) * | 2000-04-17 | 2002-05-31 | Parker Hannifin Rak Sa | Module d'interface pour ilot de distributeurs electropneumatiques |
JP4003219B2 (ja) * | 2002-06-25 | 2007-11-07 | Smc株式会社 | 位置検出機構を備えたマニホールドバルブ |
DE202006000624U1 (de) * | 2006-01-17 | 2006-03-09 | Krauss-Maffei Kunststofftechnik Gmbh | Umschaltventil |
JP2008209009A (ja) * | 2008-06-06 | 2008-09-11 | Koganei Corp | 電磁弁 |
WO2010065804A2 (en) * | 2008-12-06 | 2010-06-10 | Microstaq, Inc. | Fluid flow control assembly |
CN103097788B (zh) * | 2010-08-10 | 2015-10-14 | 罗斯欧洲有限公司 | 两部分阀 |
CN108603610B (zh) * | 2014-09-24 | 2020-01-10 |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 滑阀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95111A (en) * | 1940-01-02 | 1942-09-08 | Smith & Sons Ltd S | Manufacture of tubular valve members |
DE1127675B (de) * | 1958-04-02 | 1962-04-12 | Concordia | Steuerschieber |
FR2257837A1 (en) * | 1973-08-28 | 1975-08-08 | Wabco Westinghouse | Spool type distributor for pressure fluid - has apertured selector plate controlling pilot fluid and line flow |
US4253481A (en) * | 1979-05-07 | 1981-03-03 | Gilmore Valve Company | Cushioned shuttle valve |
JPH0726619Y2 (ja) * | 1987-07-20 | 1995-06-14 | シーケーデイ株式会社 | パイロット式切換弁 |
JPH0712781Y2 (ja) * | 1988-05-06 | 1995-03-29 |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 パイロット形弁におけるパイロット通路切換機構 |
JPH0432538Y2 (ko) * | 1988-05-30 | 1992-08-05 | ||
JPH0668336B2 (ja) * | 1989-12-20 | 1994-08-31 | 太陽鉄工株式会社 | 電磁弁マニホールド |
US5222715A (en) * | 1992-06-01 | 1993-06-29 | Mead Fluid Dynamics, Inc. | Valve construction |
DE4324939C2 (de) * | 1993-07-24 | 1995-11-23 | Festo Kg | Kolbenschieberventil |
JP3456776B2 (ja) * | 1994-09-22 | 2003-10-14 | Smc株式会社 | パイロット形方向切換弁 |
-
1997
- 1997-10-20 JP JP30485597A patent/JP395956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9-29 TW TW087216145U patent/TW364563U/zh unknown
- 1998-09-30 US US09/162,997 patent/US596424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19 KR KR1019980043630A patent/KR1003024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0-19 EP EP19980308512 patent/EP091155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10-19 DE DE69811309T patent/DE69811309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0-20 CN CN98120989A patent/CN108354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4912A (ko) | 2017-06-16 | 2020-02-11 | 아이캔 컴퍼니 엘티디. |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1125362A (ja) | 1999-05-11 |
DE69811309T2 (de) | 2003-12-11 |
EP0911559B1 (en) | 2003-02-12 |
JP3959563B2 (ja) | 2007-08-15 |
CN1216809A (zh) | 1999-05-19 |
TW364563U (en) | 1999-07-11 |
CN1083547C (zh) | 2002-04-24 |
KR100302412B1 (ko) | 2001-12-01 |
US5964244A (en) | 1999-10-12 |
DE69811309D1 (de) | 2003-03-20 |
EP0911559A1 (en) | 1999-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19002B2 (ja) |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 |
KR100216970B1 (ko) | 파일로트형 방향 전환 밸브 | |
KR100255138B1 (ko) | 파일럿식 변환밸브 | |
EP0767330B1 (en) | Manifold-type solenoid valves | |
KR0130580Y1 (ko) | 전자밸브조립체의 전력공급장치 | |
KR100216971B1 (ko) | 변환밸브에 있어서 관연결수단의 부착기구 | |
US5860445A (en) | Transfer valve manifold | |
EP0840018A2 (en) | Pilot 5-port transfer valve | |
JPH06323456A (ja) | マニホールドバルブ | |
KR100196710B1 (ko) | 전환밸브집합체 | |
KR100302412B1 (ko) | 파일럿식절환밸브 | |
KR100286706B1 (ko) | 전환밸브 연결체_ | |
JP2001304436A (ja) | ダイヤフラム形電磁弁 | |
JP3850926B2 (ja) | パイロット式切換弁 | |
US5718263A (en) | Pilot operated change-over valve | |
JP4072738B2 (ja) | 5ポート電磁弁ボディを利用した3ポート電磁弁 | |
KR100302411B1 (ko) | 파일럿식절환밸브 | |
JPH09273651A (ja) | パイロット式電磁弁 | |
US6766828B2 (en) | Interlock valve | |
JPH05231558A (ja) | バルブユニット | |
JP2551946Y2 (ja) | ダブルパイロット形切換弁 | |
JPH05203075A (ja) | バルブ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