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154A -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154A
KR19990037154A KR1019980043314A KR19980043314A KR19990037154A KR 19990037154 A KR19990037154 A KR 19990037154A KR 1019980043314 A KR1019980043314 A KR 1019980043314A KR 19980043314 A KR19980043314 A KR 19980043314A KR 19990037154 A KR19990037154 A KR 19990037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de image
voice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737B1 (ko
Inventor
이와오 노자키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기시모토 마사토싱
오린파스고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기시모토 마사토싱, 오린파스고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3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03B31/02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in which sound track is on a moving-picture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04N1/321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on the same paper sheet, e.g. a facsimile page head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03B31/06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in which sound track is associated with successively-shown still pi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3/00Recording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by methods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among G11B3/00, G11B5/00, G11B7/00 and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producing therefrom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1B13/04Recording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by methods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among G11B3/00, G11B5/00, G11B7/00 and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producing therefrom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gnetically or by magnetisation and optically or by radiation, for changing or sensing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6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화상정보로부터 변환된 화상이미지와, 상기 화상정보에 관련되는 음성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부호화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이 장치에는 상기 화상이미지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합성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60)에 표시된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해, 포인팅 디바이스(81) 또는 키보드(86), 음성데이터 검색부(82), 음성재생부(83), 스피커(84), 그리고 제어부(100)로 구성되는 제1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기능,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81) 또는 키보드(86), 음성재생부(83), 스피커(84), 역변환부(逆變換部)(85), 그리고 제어부(100)로 구성되는 제2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본 발명은 화상정보로부터 변환된 화상이미지와, 상기 화상정보에 관련되는 음성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부호화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등의 촬영기기에 의해 촬상(撮像)된 화상은 은염(銀鹽)사진방식(silver salt photographic method)으로 인화지에 인화 노광되거나 잉크젯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종이나 필름에 인쇄함으로써 피사체의 정보를 사진으로 대표되는 정지화상(靜止畵像)이라는 시각에 의존한 형태로 넓은 지역에 시간을 초월하여 전달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의 전달을 시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청각도 이용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181606호 공보(대응 미국특허 5,644,557)에서는 음성을 광학(光學)적으로 판독 가능하게 변환한 도트코드(음성코드 이미지)를 정지화상과 함께 인쇄하고 이 인쇄된 도트코드 이미지를 전용의 스캐너에 의해 판독하여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시간뿐만 아니라 청각으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가 제안되어 있다. 이 새로운 미디어는 특히 발음을 반복하여 공부하기 위한 어학교재, 동물의 울음소리를 수록하는 도감, 소리나는 그림책 등에 적합하다.
상술한 새로운 미디어, 즉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작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풍경사진에 그 풍경 주위의 소리를 넣거나, 스냅사진에 피사 인물의 목소리를 촬영과 동시 또는 촬영 전후에 넣거나 하게 되는데, 오리지날의 음성과 화상은 필요에 따라 적당한 부호화처리를 거쳐 각각 음성데이터나 화상데이터로서 장치 내에 넣어지고, 각각 음성코드 이미지와 화상이미지의 형태로 변환된 후 합성되고, 최종적으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로서 출력된다. 그 때 동시에 많은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조작자의 실수 등에 의해 음성데이터(음성코드 이미지)와 화상데이터(화상이미지)가 틀리게 조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화상데이터는 모니터에 표시됨으로써 명확하게 다른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지만, 코드화된 음성데이터는 모니터에 표시되어도 그 내용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의 작성을 위해 모니터에 표시된 음성데이터(음성코드 이미지)와 화상데이터(화상이미지)의 조합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에 의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표시하는 모니터화면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표시하는 모니터화면의 모식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상정보로부터 변환된 화상이미지와, 상기 화상정보에 관련되는 음성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부호화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상이미지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합성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이 모니터에 표시된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로 송출하는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의 작성을 위해 모니터에 표시된 화상데이터(화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음성코드 이미지) 중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조합 착오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를 설명한다.
화상데이터란 본 발명의 장치에 입력되는 전반적인 화상정보를 이 장치에서 취급할 수 있도록 포맷 변환한 것이다. 음성데이터란 본 발명의 장치에 입력되는 전반적인 음성정보를 이 장치에서 취급할 수 있도록 포맷 변환한 것이다. 음성코드 이미지는 음성데이터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부호화·2차원 전개한 것이며, 프린트 아웃됨으로써 그 코드 이미지가 완전하게 구현되지만, 모니터에서 표시되는 코드 이미지는 모니터의 낮은 해상도에 제한을 받으므로 의사적인 형태이다. 화상이미지는 화상데이터를 2차원 전개한 것이며, 프린트 아웃 또는 모니터에서 표시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이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음성데이터 검색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음성코드 이미지의 오리지날이었던 음성데이터는 적당한 복호화처리를 거쳐 스피커로부터 가청음(可聽音)으로서 발생된다. 물론 이 목적을 위해서는 오리지날의 음성데이터가 음성코드 이미지와 연결된 형태로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오리지날의 음성데이터가 남겨져 있지 않은 경우나 오리지날의 음성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이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코드 이미지(음성데이터의 모니터 표시형태)를 역변환하여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역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음성코드 이미지의 오리지날이었던 음성데이터 없이도 음성코드 이미지를 음성데이터로 역변환함으로써 스피커로부터 가청음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모니터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음성코드 이미지가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에 의해 체크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며, 이 경우 조작자의 희망에 따라 음성코드 이미지를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니터에 복수의 음성코드 이미지 또는 이 음성코드 이미지를 대표하는 영역이 표시되어 있어도, 대응하는 정지화상을 보면서 원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동일한 이점을 얻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모니터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됨으로써 선택된 특정의 음성코드 이미지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에 의해 체크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모니터 상의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표시영역 내 또는 그 주변에 그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호나 문자를 표시하고, 이 기호나 문자를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체크할 음성코드 이미지를 선택해도 되며,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표시영역을 반전(反轉) 표시시키면서 방향키 등으로 순차 선택하고, 엔터키 등으로 확정함으로써 체크할 음성코드 이미지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에서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1개의 오브젝트(object)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는 생성된 오브젝트에서의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코드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구성정보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구성정보 관리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따라서 1개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음성데이터나 화상데이터가 다수가 되어도 그 관리가 총괄적으로 행해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레이아웃까지 관리되므로 기록되는 음성데이터나 화상데이터의 그후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의한 작업의 흐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주문하는 고객은, 화상정보원 및 음성정보원으로서 사진이나 네거티브필름 등의 화상기록미디어와 카세트테이프 등의 음성기록미디어, 또는 음성과 화상 양 쪽이 기록된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 등 음성·화상기록미디어를 제출하고, 조합하고 싶은 화상과 음성을 지시한다. 받은 음성이나 화상의 기록미디어로부터 필요에 따라 부호화하고 장치 내에서 처리 가능한 포맷의 형태를 가지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로서 일시적으로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매체에 저장된다. 이 기억매체에는 고객으로부터 받은 화상데이터나 음성데이터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의 풍경이나 일러스트, 환경음 등의 데이터도 저장되어 있어 고객이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에 조합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정보원으로서 사진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후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이라고 한다. 이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은 예전부터 알려진 사진에 음성정보를 기록해 넣은 완전히 새로운 사진미디어가 된다.
조작자는 기록매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나 음성데이터를 고객의 요망에 일치하도록 조합시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이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는 1매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에 대응하는 것이고, 1개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는 최소한 1개의 화상데이터와 최소한 1개의 음성데이터로 구성되지만, 실제는 각 데이터의 연결장소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가 결정되면 이 오브젝트가 갖는 오브젝트 구성정보에 따라 화상데이터가 2차원 전개되는 동시에 음성데이터가 2차원 코드로 전개되고 양자가 합성되어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다. 최종적으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으로서 프린트 아웃되는,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합성이미지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화면에 표시된다.
조작자는 모니터화면을 봄으로써 소정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위한 화상이미지의 체크나 화상이미지와 음성코드 이미지의 배치를 체크할 수 있지만, 음성코드 이미지의 내용은 비록 정확하게 표시되었다고 해도 눈으로 인식하기는 불가능하므로 화면으로부터는 확인할 수 없다. 음성코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코드 이미지 또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대표하는 프레임을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클릭하거나, 또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는 영역 내 또는 그 영역 부근에 표시된 숫자 등의 기호를 키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선택된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은, 이하의 2개의 방법으로 스피커로부터 발생된다.
음성을 듣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클릭된, 즉 선택된 음성코드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오브젝트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발견해내고, 그 음성데이터에 적당한 복호화처리를 실시하여 스피커로 보내어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액세스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어있는 것이 전제조건이 된다. 그와 같은 전제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용되는 다른 하나의 방법은 선택된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2차원 코드를 프레임메모리로부터 합성이미지데이터에서 분리하여 뽑아내고, 그 음성 2차원코드를 역변환함으로써 오리지날의 음성데이터로 복원하여 이 복원된 음성데이터에 적당한 복호화처리를 실시하여, 스피커로 보내어 소리를 내는 것이다.
모니터화면에서 확인된 합성화상은,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은염방식 프린터(silver salt type printer)나 서멀 프린터(thermal printer)로 보내져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무리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은 고객에게 전달되어 공지의 음성코드 이미지 리딩 스캐너에 의해 음성코드 이미지를 주사(走査)함으로써 그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상술한 흐름에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작성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의 일 예를 도 3의 기능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입력부(10)는 사진이나 포스터 등의 정지화상을 입력소스로 하는 플랫베드 스캐너(flat-bed scanner)나 네거티브필름 등의 정지화상을 입력소스로 하는 필름스캐너,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비디오를 입력소스로 하는 전용(專用) 리더, 또는 카세트테이프나 CD 등을 입력소스로 하는 각종 오디오플레이어 등의 총칭이다. 화상부호화부(11)는 입력된 화상정보를 이 장치 내에서 이용 가능한 디지털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이고, 음성부호화부(12)는 입력된 음성정보를 이 장치 내에서 이용 가능한 디지털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기억부(20)는 양 부호화부(11,12)에 의해 변환된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고객이 가지고 온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저장되지만, 미리 준비된 고객의 희망에 따라 이용 가능한 소재로서의 화상데이터나 음성데이터는 강제적으로 삭제되기까지는 저장된다.
오브젝트 생성부(30)는 기억부(20)로부터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파일명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1매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작성할, 1매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이 오브젝트는 도 1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소한 1개의 화상데이터와 최소한 1개의 음성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결정된 오브젝트가 갖는 오브젝트 구성 레이아웃은 오브젝트 구성정보 관리부(31)에 의해 오브젝트 구성정보의 형태로 유지된다.
결정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을 모니터(60)에서 표시하거나 프린터(70)에서 출력하기 위해서는 프레임메모리(50)에 전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결정된 오브젝트가 갖는 화상데이터는 화상데이터 2차원 전개부(41)에서 전개되고, 프레임메모리(50)에 보내어져 음성데이터는 음성데이터 2차원코드화부(42)에서 전개되고, 프레임메모리(50)에 보내진다.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는 프레임메모리(50) 내에서 원하는 대로 합성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모니터(60)에 의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면부호 100은 이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의 각 기능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다음에 모니터(60)에 표시된 음성데이터(음성코드 이미지)의 내용체크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81)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 체크할 음성코드 이미지를 위한 프레임을 클릭함으로써 제어부(100)는 오브젝트 구성정보로부터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특정(特定)하고, 음성데이터 검색부(82)를 통하여 기억부(20)로부터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읽어낸다. 읽어낸 음성데이터는 음성재생부(83)에서 필요한 복호화처리가 실시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서 스피커(84)에 보내진다. 이에 따라서 스피커(84)로부터 오리지날의 음성이 흐른다. 조작자는 음성을 들음으로써 모니터(60)에 표시된 음성코드 이미지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는 정지화상과 바르게 조합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선택된 음성코드 이미지가 기억부(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선택된 음성코드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음성코드 이미지 만을 프레임메모리(50)로부터 읽어내어 역변환부(85)로 보낸다. 역변환부(85)는 음성데이터 2차원 코드화부(42)와는 반대의 처리를 행하여 음성코드 이미지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역변환부(85)에 의해 얻어진 음성데이터는 음성재생부(82)에서 필요한 복호화처리가 실시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서 스피커(84)로 보내어져 선택된 음성코드 이미지의 오리지날의 음성이 흐르게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60) 상에서 체크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포인팅 디바이스(81)를 제안하였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60)에 표시되는 음성코드 이미지 자체 또는 그것을 대표하는 프레임 상에 겹쳐서 오브젝트 구성정보 관리부(31)에 의해 관리되는 숫자 등의 기호·문자를 표시하고, 이 기호·문자를 키보드(86)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체크할 음성코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그와 같은 기호·문자는 다른 음성코드 이미지와의 구분이 가능하다면, 음성코드 이미지 자체 또는 그것을 나타내는 프레임의 주변부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도면에는 생략하지만,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표시영역을 반전 표시시킴으로써 조작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식별시키면서 그 식별 음성코드 이미지 표시영역이 방향키 등으로 순차 선택 가능하게 하고, 엔터키 등으로 확정함으로써 체크할 음성코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방식에서의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이 포인팅 디바이스(81) 또는 키보드(86), 음성데이터 검색부(82), 음성재생부(83), 스피커(84), 그리고 제어부(100)로 구성되고, 제2 방식에서의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이 포인팅 디바이스(81) 또는 키보드(86), 음성재생부(83), 스피커(84), 역변환부(85), 그리고 제어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음성체크를 위한 상술한 2개의 방식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나, 어느 하나의 방식만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 중 선택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60)에는 1개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만이 표시되어 있었지만, 물론 복수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오브젝트를 동시에 표시하면서 체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사진작성장치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은 모니터(60)에 표시된 눈으로 보아서는 확인할 수 없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청음으로 출력함으로써 정지화상과 음성코드 이미지의 조합체크를 확실히 하는 하는 것이고, 이 요건을 만족하는 여러 가지의 장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음성코드 이미지로서는 상술한 일본국 특개평 7-181606호 공보에 도시된 도트코드만이 아니라 2차원 바코드 등과 같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고, 음성을 복원할 수 있는 이른 바 공지의 음성코드 이미지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내용 참조

Claims (6)

  1. 정보화상으로부터 변환된 화상이미지와, 상기 화상정보에 관련되는 음성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하도록 부호화한 음성코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를 작성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미지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의 합성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로 송출하는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
    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기억부로부터 읽어내는 음성데이터 검색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를 역변환하여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는 역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음성코드 이미지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에 의해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됨으로써 선택된 특정의 음성코드 이미지가 상기 음성코드 이미지 체크수단에 의해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될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 대응하는 1개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는 생성된 오브젝트에서의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미지와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코드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오브젝트 구성정보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구성정보 관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KR1019980043314A 1997-10-17 1998-10-16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KR100313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84829A JPH11122401A (ja) 1997-10-17 1997-10-17 音声コード付き写真作成装置
JP97-284829 1997-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54A true KR19990037154A (ko) 1999-05-25
KR100313737B1 KR100313737B1 (ko) 2002-02-19

Family

ID=1768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314A KR100313737B1 (ko) 1997-10-17 1998-10-16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88681B1 (ko)
EP (1) EP0909978B1 (ko)
JP (1) JPH11122401A (ko)
KR (1) KR100313737B1 (ko)
CN (1) CN1119698C (ko)
CA (1) CA2250590A1 (ko)
DE (1) DE698256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353B1 (en) * 1999-12-16 2008-12-30 Ricoh Co., Ltd. Remote console for network application servers
US7024109B2 (en) * 2000-09-12 2006-04-0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248934B1 (en) * 2000-10-31 2007-07-24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of transmitting a one-dimensional signal using a two-dimensional analog medium
US7050590B2 (en) * 2000-12-18 2006-05-23 Warner Music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udio signals
US7916124B1 (en) 2001-06-20 2011-03-29 Leapfrog Enterprises, Inc.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US20030024975A1 (en) * 2001-07-18 2003-02-06 Rajasekharan Ajit V.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evant to the physical world
US20030089777A1 (en) * 2001-11-15 2003-05-15 Rajasekharan Ajit V.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ng and playback of audio coincident with label detection
US7493559B1 (en) * 2002-01-09 2009-02-17 Rico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multi-modal annotation of objects
JP4005470B2 (ja) * 2002-10-09 2007-11-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4134985A (ja) * 2002-10-09 2004-04-30 Olympus Corp データ編集装置及び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US20040229195A1 (en) * 2003-03-18 2004-11-18 Leapfrog Enterprises, Inc. Scanning apparatus
JP2005117447A (ja) * 2003-10-09 2005-04-28 Nec Corp 動画記録装置、動画記録方法および動画記録プログラム
DE602004029717D1 (de) * 2003-12-19 2010-12-02 Creative Tech Ltd Digitale standbildkamera mit audio-decodierung und -codierung, einem druckbaren audioformat und verfahren
US8442262B2 (en) * 2003-12-19 2013-05-14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to process a digital image
US7453447B2 (en) * 2004-03-17 2008-11-18 Leapfrog Enterprises, Inc. Interactive apparatus with recording and playback capability usable with encoded writing medium
US20060078866A1 (en) * 2004-03-17 2006-04-13 James Marggraff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ermination of data entry
US7853193B2 (en) 2004-03-17 2010-12-14 Leapfrog Enterprises, Inc. Method and device for audibly instructing a user to interact with a function
US7831933B2 (en) 2004-03-17 2010-11-09 Leapfrog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a device employing written graphical elements
US20060066591A1 (en) * 2004-03-17 2006-03-30 James Marggraff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a device through recognized text and bounded areas
US20060033725A1 (en) * 2004-06-03 2006-02-16 Leapfrog Enterprises, Inc. User created interactive interface
US7922099B1 (en) 2005-07-29 2011-04-12 Leapfrog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content with an image bearing surface
US7697827B2 (en) 2005-10-17 2010-04-13 Konicek Jeffrey C 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US8261967B1 (en) 2006-07-19 2012-09-11 Leapfrog Enterprises,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ly coupling electronic content with printed media
US20140362290A1 (en) * 2013-06-06 2014-12-11 Hallmark Cards, Incorporated Facilitating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sound images
CN103646048A (zh) * 2013-11-25 2014-03-1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多媒体图片的方法和装置
JP2017083915A (ja) * 2014-02-19 2017-05-18 アイコンコード株式会社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システム、二次元コード撮像端末及び二次元コ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JP5798225B1 (ja) * 2014-08-25 2015-10-21 進 辻 コード画像を用いた情報伝達システムおよび情報伝達方法
CN105354219A (zh) * 2015-09-28 2016-02-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编码方法及装置
JP7363107B2 (ja) * 2019-06-04 2023-10-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発想支援装置、発想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769A (en) * 1979-06-25 1982-07-13 Toppan Printing Co., Ltd. Photography apparatus for television picture
US4346407A (en) * 1980-06-16 1982-08-24 Sanders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a source of computer controlled video to another video source
US4875096A (en) * 1989-08-20 1989-10-17 Smith Engineering Encoding of audio and digital signals in a video signal
GB2240896B (en) * 1990-02-06 1994-04-27 Sony Corp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coding television signals
EP1330129A3 (en) * 1991-04-10 2006-03-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ncoder and Decoder
KR940001805Y1 (ko) * 1991-07-25 1994-03-24 황성철 학습교재용 실로폰
JP2579091B2 (ja) * 1991-11-18 1997-02-05 松下電送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2833975B2 (ja) * 1992-09-28 1998-12-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ドットコード
DE69329120T2 (de) 1992-09-28 2001-03-22 Olympus Optical Co Aufzeichnungsmedium für punktcode und informations-aufzeichnungssystem
JP3244371B2 (ja) 1993-12-22 2002-01-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オーディオ情報処理方法
US5530501A (en) * 1994-06-29 1996-06-25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camera with data recording on film
US5546145A (en) * 1994-08-30 1996-08-13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on-board voice recognition
JPH08315065A (ja) * 1995-05-22 1996-11-29 Olympus Optical Co Ltd 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H0991188A (ja) * 1995-09-20 1997-04-04 Canon Inc 画像通信装置及び方法
US6172675B1 (en) * 1996-12-05 2001-01-09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Indirect manipulation of data using temporally related data,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manipulation of audio or audiovisual data
US6211921B1 (en) * 1996-12-20 2001-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DE69833434T2 (de) 1997-06-30 2006-08-31 Noritsu Koki Co., Ltd. Bildverarbeitungsanlage und aufzeichnungsmedium mit einem sprachkodierten bild
JP3636272B2 (ja) * 1998-02-09 2005-04-06 富士通株式会社 アイコン表示方法、その装置、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9978A3 (en) 2000-01-19
EP0909978B1 (en) 2004-08-18
CA2250590A1 (en) 1999-04-17
US6388681B1 (en) 2002-05-14
DE69825692T2 (de) 2005-08-25
JPH11122401A (ja) 1999-04-30
DE69825692D1 (de) 2004-09-23
US20020054102A1 (en) 2002-05-09
CN1119698C (zh) 2003-08-27
EP0909978A2 (en) 1999-04-21
CN1217525A (zh) 1999-05-26
KR100313737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737B1 (ko)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KR100805811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음성 코드화 기록 매체
JP3086151B2 (ja) 二次元バーコード処理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
JPH113353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0206631A (ja) 撮影装置
JP2000348127A (ja) 印刷情報処理システム
JPH11164128A (ja) 音声コードイメージ付静止画像形成装置
JP6996212B2 (ja) 履歴書作成システム
EP0743613A2 (en) Data reproduction system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multimedia information using a printer
JPH09218354A (ja) 顕微鏡情報システム
JPH0140543B2 (ko)
JP2599389B2 (ja) 情報編集装置
JP2643188B2 (ja) 情報編集装置
JPH0944511A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JP3268773B2 (ja) ハイビジヨン静止画ソフト製作方法
JPS5914133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H08315058A (ja) 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H07182435A (ja) 情報記録装置
JP2002024750A (ja) 印刷物の製造方法
JPH10269332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コード記録装置
JPH07199380A (ja) スチルカメラ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1060100A (ja) 音声コード記録装置
JP200217651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60134384A (ja) 音声記録方式
JPH06105121A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