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05Y1 - 학습교재용 실로폰 - Google Patents

학습교재용 실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05Y1
KR940001805Y1 KR2019910011760U KR910011760U KR940001805Y1 KR 940001805 Y1 KR940001805 Y1 KR 940001805Y1 KR 2019910011760 U KR2019910011760 U KR 2019910011760U KR 910011760 U KR910011760 U KR 910011760U KR 940001805 Y1 KR940001805 Y1 KR 940001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sonance
holes
present
xyl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337U (ko
Inventor
황성철
Original Assignee
황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철 filed Critical 황성철
Priority to KR2019910011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805Y1/ko
Publication of KR930003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학습교재용 실로폰
제1도는 종래 학습교재용 실리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교재용 실리폰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D-D선 단면도.
제7도의 a, b, c는 통공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공명부의 저면을 밀폐시킨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2' : 공명부
2a, 2'a : 통공 3 : 스폰지
4 : 음판 5 : 고무패킹
6 : 핀 7 : 실로폰채
본 고안은 학습교재용 실리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폰의 음판하단에 공명부를 형성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소리가 맑고 투명하며, 고음과 저음의 조화가 잘 이루어게 하므로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히고 품질향상에 기여하도록 한 학습교재용 실리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학습교재용 실리폰은 제1도내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저면을 외부와 밀폐되게 평면으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전후 4개의 지지턱(1a)(1b)(1c)(1d)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이들 각각의 지지턱(1a)(1b)(1c)(1d)상단에 스폰지(3)를 부착한 다음, 전면부의 지지턱(1a)(1b)과 후면부의 지지턱(1c)(1d) 상단에 각각 크기가 다른 다수의 음판(4)을 고무패킹(5)이 끼워진 핀(6)으로 고정시켜 이들 음판(4)이 일정간격을 두고 전후2줄로 배열되게 하므로서 사용자가 실리폰채(7)로 원하는 음판(4)을 두드리면 각각의 음판(4)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외부로 퍼져 나갔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리폰은 전후 2줄로 설치되는 음판(4)이 일정높이의 지지턱(1a)(1b)(1c)(1d) 상단에 설치되는 관계로 음판(4)을 두드릴때마다 이들 음판(4)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충분한 공명작용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발산되므로서 소리가 작고 탁할 뿐만 아니라 고음과 저음의 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이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함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각의 음판하단에 복수개의 통공을 갖는 공명부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음판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상기 공명부를 거치면서 충분히 공명작용을 일으킨뒤 외부로 발산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리폰의 평면도이고, 제5도 및 제6도는 정단면도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리폰본체(1)내부에 저면이 개방되는 두개의 공명부(2)(2')를 좌우길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공명부상단에 장공형으로 된 복수개의 통공(2a)(2a')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2a)(2a')상단에 크기가 다른 다수의 음판(4)을 고무패킹(5)이 끼워진 핀(6)으로 고정시켜 이들 각각의 음판(4)이 일정간격을 두고 전후 2줄로 배열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실리폰채(7)로 원하는 음판(4)을 두드리면, 이 음판(4)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통공(2a)(2a')에서 충분한 공명작용을 일으킨 다음 외부로 발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판(4)에서 발생된 원음이 공명부(2)(2')에서 충분한 공명작용을 일으킨다음 외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공명부(2)(2')를 통하여 여부로 발산되는 소리(음)는 크게 울리고, 맑고 투명하며, 고음과 저음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공명부(2)(2')의 통공(2a)(2a')을 전후길게 장공형태로 형성하지 않고, 제7도의 a와 같이 다수의 원형구멍을 한줄 또는 두줄로 형성하거나, b와 같이 한개의 구멍만으로 형성해도 되고, c와 같이 여러개의 타원형 구멍을 한줄로 형성해도 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8도와 같이 공명부(2)(2')의 저면을 개방시키지 않고 차단해도 본 고안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학습교재용 실리폰을 형성함에 있어, 본체(1)에 다수의 통공(2a)(2a')을 갖는 공명부(2)(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공명부상단에 음판(4)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음판(4)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공명부(2)(2')를 거치면서 충분한 공명작용을 일으킨뒤 외부로 발산되어 최종적으로 발산되는 소리(음)는 크게 울리고, 맑고 투명하며, 고음과 저음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 실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아울러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함께 품질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음판(4)이 설치되는 실리폰본체(1)에 있어서, 상기 실리폰본체(1) 내부에 저면이 개방되는 두개의 공명부(2)(2')를 좌우길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공명부상단에 장공형으로 된 복수개의 통공(2a)(2'a)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2a)(2'a)상단에 음판(4)을 설치하여 상기 음판(4)에서 발생된 고유음이 통공(2a)(2'a)을 통하여 공명부(2)(2')에서 충분한 공명작용을 거친뒤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교재용 실로폰.
KR2019910011760U 1991-07-25 1991-07-25 학습교재용 실로폰 KR940001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760U KR940001805Y1 (ko) 1991-07-25 1991-07-25 학습교재용 실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760U KR940001805Y1 (ko) 1991-07-25 1991-07-25 학습교재용 실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337U KR930003337U (ko) 1993-02-26
KR940001805Y1 true KR940001805Y1 (ko) 1994-03-24

Family

ID=1931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760U KR940001805Y1 (ko) 1991-07-25 1991-07-25 학습교재용 실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8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737B1 (ko) * 1997-10-17 2002-02-19 니시모토 칸이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737B1 (ko) * 1997-10-17 2002-02-19 니시모토 칸이치 음성코드 이미지를 가지는 기록매체 작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337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58672A (en) Shoestring tying apparatus
KR940001805Y1 (ko) 학습교재용 실로폰
USD279904S (en) Eyeglasses
USD288569S (en) X-Y input device
USD248204S (en) Spice shaker
USD324693S (en) Fine tuning tremolo bridge unit for a guitar
USD275101S (en) Telephone bell chime enclosure
USD319250S (en) Musical tuning meter
USD334051S (en) Closet flange
USD378683S (en) Guitar tuner with analog-simulative liquid crystal display
USD311018S (en) Bass drum and support therefor
US2704482A (en) Xylophone construction
USD278154S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eyboard
USD340469S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D248122S (en) Hand held musical string vibration initiator and sustainer
USD255803S (en) Combined guitar and synthesizer keyboard
USD244878S (en) Electronic sound producer for inducing sleep or the like
USD348502S (en) Bouncing swing
USD290370S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D248187S (en) Bagpipe practice chanter
USD316298S (en) Immunoassay test kit or the like
KR910003368Y1 (ko) 실리폰의 음판고정못
USD354507S (en) Pickup unit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D302701S (en) Music teaching device
JP3602257B2 (ja) キャビネット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