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157A -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157A
KR19990036157A KR1019980700825A KR19980700825A KR19990036157A KR 19990036157 A KR19990036157 A KR 19990036157A KR 1019980700825 A KR1019980700825 A KR 1019980700825A KR 19980700825 A KR19980700825 A KR 19980700825A KR 19990036157 A KR19990036157 A KR 19990036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flow channel
grooves
rotation
interru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네이트하트
미카엘 휴벨
빌리 스트롤
조헨 로제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3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04D5/002Regenerative pumps
    • F04D5/003Regenerative pumps of multistage type
    • F04D5/005Regenerative pumps of multistage type the stages being radially offs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48Arrangements for driving regenerative pumps, i.e. side-channe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5/00Pumps with circumferential or transverse flow
    • F04D5/002Regenerativ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연결장치는 펌프챔버(24)내에서 회전하며 자신의 양측 전방측에 각기 날개(32)로 이루어진 테를 구비하고 있는 임펠러(12)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챔버(24)를 제한하는 전방벽(26,28)에 형성된 부분원 형태의 홈(38,42)에 의해 각각 하나의 측부 공급채널(44)을 구성하는 흐름펌프(10)로서 구성된 공급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임펠러(12)의 날개(50)는 그 방사상 외측 말단에서 외부원(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은 마찬가지로 날개들(50)로 이루어진 테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는 상기 전방벽(26,28)에 형성된 부분원 형태의 홈들과 더불어 각기 하나의 외부 흐름채널(58)을 구성한다. 상기 외부 흐름채널들(58)은 그 외주의 일부분이 상기 공급채널들(44)과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급채널들내에서 임펠러(12) 회전방향(11)으로 상기 공급채널들(44)내에서 형성된 압력구조에 상응하는 소정 압력구조가 형성되므로 상기 채널들 간에는 사실상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먼지가 상기 임펠러(12) 외부원(36)과 전방벽(26,28) 사이의 영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이러한 유형의 연결장치는 DE 40 20 521 A1에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임펠러가 펌프 챔버내에서 회전하는 전류펌프로서 구성된 공급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펌프챔버는 임펠러 회전축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전방벽으로, 그리고 그와 관련하여 회전축의 방사상 방향으로는 원형벽으로 제한되어 있다. 상기 양측 전방벽에는 날개 높이에 외주에 구성된 일부재에 의해 각각 상기 임펠러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는 홈(groove)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은 임펠러 날개와 더불어 각 공급채널을 이룬다. 공급채널들은 일측 단부의 유입개구부에서 타측 단부의 배출개구부로 통한다. 상기 임펠러는 그 날개가 방사상으로 외측을 향하는 단부에 연결되는 외부원(external ring)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장치가 구현된 경우에는 돌출부로 인해 먼지입자가 상기 임펠러의 전방측과 그 전방벽들 사이에 생긴 축상틈 사이를 통해 임펠러 외부원과 원형벽(ring wall)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볼 때 공급채널들에는 소정의 압력구조(pressure build-up)가 생성되어, 이로 인해 채널들에는 상기 임펠러 외부원과 원형벽 사이의 공간에서 보다 높은 압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공급채널로부터 원형공간 안으로 소정량의 누설분이 흘러 들어온다. 공기입자가 이 공간 안에 들어오게 되면 상기 연결장치의 마모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항의 계열에 따른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aggregates)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류펌프를 사용하여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축방향으로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류펌프를 축방향으로 확대 절개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전류펌프를 도 2의 선 III-III를 따라 절개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상기 전류펌프의 변형실시예를 절개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상기 전류펌프의 다른 변형실시예를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류펌프를 절개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전류펌프를 선 VII-VII를 따라 절개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전류펌프의 변형예를 절개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류펌프를 절개도시한 종단면도. 도 10는 상기 전류펌프를 도 9의 선 X-X를 따라 절개도시한 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다르게 적어도 하나의 외측 흐름채널이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임펠러의 외부원과 원형벽 사이 공간에 있어서 언제나 소정 압력구조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과 공급채널들간에 발행하는 압력차를 방지되거나 최소한으로 감소된다. 또한 이로 인해 공급채널들과 원형공간 사이로 누출이 방지되거나 최소한으로 감소된다. 나아가 그로 인해 먼지입자의 상기 공간 내부로의 유입을 줄였다.
종속항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유용한 구성들과 다른 형태들이 제시되어 있다. 청구항 2 내지 4항의 각 항들에 따른 구성을 통하여 상기 공급채널들에 형성된 압력구조에 해당하는 소정 압력구조가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에 형성된다. 청구항 6 항에 따른 구성을 통하여 상기 압력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가지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의 설명에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자동차의 도시생략의 저장탱크로부터 마찬가지로 도시생략의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의 개략적 도면이다. 상기 연료공급 연결장치는 전류펌프(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류펌프의 임펠러(12)는 전기 구동모터(14)를 통해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상기 연료공급 연결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전류펌프(10)는 연료를 흡입 지지대(16)를 통해 흡입하고 이 연료를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할 공간(20) 벽에 형성된 펌프배출구(18)에 의해 밀어낸다. 상기 공간(20)에는 구동모터(14)가 설치되어 있다. 거기서부터 나온 연료는 압력지지대(22)과 비도시된 연료파이프를 거쳐 내연기관으로 안내된다.
도 2 내지 10에는 전류펌프(10)가 확대도시 되어있다. 상기 전류펌프(10)의 임펠러(12)는 펌프챔버(24) 안에서 회전한다. 상기 챔버는 임펠러(12)의 회전축(13) 방향으로 각 전방벽(26,28)에 의해 제한되어 있으며 방사상 방향으로는 상기 회전축(13)에 관련하여 원형벽(30)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전방벽(26)은 이 때 연료공급 연결장치의 덮개 역할을 하는데, 그 덮개에는 상기 흡입 지지대(16)가 설치되어 있다. 타측 전방벽(28)은 공간(20)용 분리벽을 구성하며 배출개구부형태의 상기 펌프 배출구(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임펠러(12)는 자신의 양측 전방측 외주에 각각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고 방사상으로 외측을 향하고 있는 날개(32)의 경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날개(32)들은 회전축(13) 주위의 일반 부분원에 설치된 통과 브리지(34)들 사이에 프레임이 남아 있어서 이 프레임은 통과브리지(34)들을 임펠러(12)의 외주방향에서 제한한다. 상기 날개(32)들은 그 방사상 외측 단부에 폐쇄된 외부원(36)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2)로 향한 전방벽(26)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2) 회전축(13) 둘레에 임펠러(12) 날개(32)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원형태의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 홈의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으로 보아 시작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지지대(16)와 연결된 유입개구부(40)가 통한다. 상기 홈(38)은 임펠러(12)의 회전방향으로 보았을 때 그 말단과 그 시작단 사이의 외부영역(41)이 중단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2)쪽으로 향한 전방벽(28)에는 거울로 보듯이 전방벽(26)에도 마찬가지로 임펠러(12)의 회전축(13)을 통해 임펠러(12) 날개(32) 높이로 연장된 부분원 형태의 홈(42)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홈의 임펠러(12) 회전방향(11)으로 볼 때 말단에는 펌프 배출구(18)가 통한다. 상기 홈(42)도 마찬가지로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으로 볼 때 그 말단과 시작단 사이 외주영역이 중단되어 있다. 상기 홈(39,42)들은 이 홈들에 대향한 임펠러(12) 전방벽 날개(32)들과 더불어서 하나의 공급채널(44)을 형성하는데, 상기 연료공급장치가 동작할 때에는 상기 공급채널 안에서 연료가 유입개구부(40)에서부터 배출구(18)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채널들(44)은 단지 측면만이 임펠러(12) 옆에 구성되어 있고 임펠러(12)의 외주위에는 채널이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류펌프(10)는 측부 채널펌프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전류펌프(1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2)는 자신의 외부원(36)에서 상기 전방벽들(26,28)을 마주보는 전방벽에 각각 외주방향으로 대향하여 이격된 날개(50)들로 이루어진 테(wheel rim)를 구비하고 있다. 이 날개(50)는 자신의 방사상 외측 말단에 또하나의 상기 임펠러(12)를 방사상으로 외측을 향하여 제한하는 링(5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날개(50)들은 전류기계적 에너지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임펠러(12) 회전방향(11)으로 그 방사상 외측 말단이 약 25°내지 50°정도 앞으로 더 나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독일 특허출원 제1 95 04 079호에 명시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상기한 출원의 내용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 전방벽(26,28)들은 이 때 각각 임펠러(12)의 회전축(13) 둘레에서 상기 날개(50) 높이로 연장된 부분원 형태의 홈(52,54)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홈(52 내지 54)들은 상기 공급채널(44)들을 함께 이루는 전방벽(26,28)들의 홈들(38 내지 42)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그 외주주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외부 홈(52,54)은 그 외주 일부분에 의해 전방벽(26,28)의 프레임(56)에 의해 내부홈(38,42)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외부 홈(52,54)은 이 홈에 대향한 상기 임펠러(12) 외부원(36)의 전방측 날개(50)와 더불어 각각 외부 흐름채널(58)을 구성한다. 상기 외부 흐름채널(58) 안에서는 연료공급 연결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소정압력구조가 형성되는데, 이 압력구조는 상기 공급채널(44)들에 형성된 압력구조와 거의 근사한 값이다.
상기 외부 흐름채널(58)은 그 외주의 일부분에 의해 각각 이 흐름채널들에 형성된 공급채널(44)의 내부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형성된 홈(52,54)이 달린 시작 영역내에 및/또는 회전방향(11)으로 볼 때 말단영역내에 형성된 상기 외부 흐름채널들(58)이 상기 공급채널(44)을 형성된 내부 홈(38,42)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결합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의 프레임(56)을 중단시키는 리세스부(60)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홈(52,54)의 시작부분 뿐만 아니라 말단에도 역시 내부 홈(38,42)의 결합부분이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 흐름채널(58)들의 시작부분 및 말단부분에는 내부 공급채널(44)의 시작부분 및 말단부분과 거의 같은 압력비가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외부 홈(52,54)과 내부 홈(38,42)들과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작부분과 말단부분사이 중간 외주영역내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프레임(56)을 중단시키는 리세스부(60)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기 리세스(60)의 폭, 깊이 및 위치는 상기 홈들간에 적절한 흐름비율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이 홈들간에 압력이 조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상기 외부 흐름채널(58)은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으로 볼 때 그 말단부와 시작부 사이의 외주 영역(62)이 중단되어 있거나 적어도 좁아진다. 상기 외주영역(62)은 실제적으로 상기 내부 홈(38,42)들이 중단되어 있는 상기 외주영역(41)에 해당하는데 그러나 이 홈보다 약간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홈(52,54)들은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본 말단과 시작단 사이부분의 외주영역(62)이 완전히 떨어져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정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52,54)들은 외주영역(62)이 좁아진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상 방향에서의 협착부분은 홈의 폭이라 불리고, 임펠러(12)의 회전축(13) 방향에서의 협착부분은 홈(52,54)의 깊이라 불린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수정된 실시예에서 상기 홈(52,54)은 외주영역(62)이 방사상으로 오프세트되어 일반적인 외주에 대향하도록, 예를 들자면 방사상으로 계속 진행한다. 이로써 여기서는 임펠러(12) 외부원(36)의 날개(50)와 아주 약간만 중첩되고 그에 따라 흐름채널(58)도 중단되거나 최소한으로 좁혀진다.
상기 임펠러(36)의 외부원(36)의 날개(50)는 상기 홈(52,54)들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전류펌프를 구성한다. 상기 전류펌프도 마찬가지로 측부채널펌프이다. 그 이유는 상기 전류채널(58)은 임펠러(12)의 옆 측부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링(51)에 의해 임펠러(12) 외주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른 하나의 전류펌프는 종래의 다단계 공급펌프에서와 같은 내부 공급펌프와 병렬배치된 제 1 펌프가 아니고 말하자면 연료를 공급펌프에 평행하게 그 유입개구부(40)에서 동일한 배출구(18)로 공급한다. 연료공급연결기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에 설치된 날개들(50)을 통해 흐름채널(58)안으로 연료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된 연료의 양은 임펠러(12) 회전수에 따라 공급된 연료의 양이 달라지며 압력구조의 상기 흐름채널들(58)의 외주 주위의 운행은 상기 날개(50) 및 홈(52,54)의 구성과 아울러 중단부의 구성 내지는 상기 흐름채널(58)의 협착부구성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다. 이로써 적절한 구성을 통하여 원하는 공급량과 원하는 압력구조를 이루어낼 수 있다.
도 6 내지 8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흐름펌프(1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임펠러(12)는 마찬가지로 그 외부원(36)에서 상기 전방벽들(26,28)에 대향한 전방측내에 각각 외주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된 날개들(70)로 이루어진 둥근 테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테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외주부분에서 약간 방사상으로 진행한다. 상기 전방벽들(26,28)은 이 때 각각 상기 임펠러(12)의 회전축(13)둘레를 돌아 날개(70)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원 형태의 홈(72,74)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홈(72,74)은 이 때 그 외주 위에 전방벽(26,28)에 형성된 홈(38,42)을 구비한 상기 공급채널(44)들과 같이 거의 인접하도록 연장되어 있긴 하지만, 상기 공급채널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은 외주 위로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의 외주와 원형벽(30) 사이에는 방사상 틈(76)이 있는데, 이 틈을 통해 상기 홈(72,74)들이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 외주를 지나 서로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날개(70)과 아울러 홈(72,74) 및 틈(76)으로써 외부 흐름채널(78)이 구성된다. 내부 공급채널(44)이 중단되어 있는 외주영역(41) 내에서 상기 외부 흐름채널(78)은 마찬가지로 중단되어 있거나 최소한으로 좁혀진다. 도 7 및 도 8에는 홈(42,74)을 포함한 전방벽(28)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전방벽(26)은 거울로 보는 방식에 따르자면 홈(38,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홈(72,74)들은 전방벽들(26,28)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주영역(41)내에서 중단될 수 있거나 그 폭 및/또는 깊이가 최소한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방사상 틈(76) 역시 도 7에 도시된 수정된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그 외주영역(41)부분이 협착화될 수 있다. 상기 틈(76)의 협착화는 원형벽(30)에 의해 내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튀어나온 돌출부(77)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외부 흐름채널(78)은 내부 공급채널들(44)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이 채널들간의 압력조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흐름채널(78)의 시작단 및/또는 말단에서 혹은 그 사이에 놓인 외주영역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흐름채널(76)을 공급채널(44)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리세스(79)가 그 사이벽(26,28)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2) 외부원(36)의 날개들(70) 및 흐름채널(78)로써 구성된 제 2 공급펌프는 상기 흐름채널(78)은 임펠러(12)의 외부원(36) 측면에 뿐만 아니라 그 외주위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조합된 측부채널펌프 및 주변펌프이다. 상기 임펠러(12)의 날개(70), 상기 흐름채널(78)의 크기와 아울러 그 중단 내지 협착화는 임펠러(12) 회전방향으로 상기 흐름채널(78)내에서 상기 공급채널(44)에 형성된 압력구조에 해당하는 소정의 압력구조와 미리 주어진 연료공급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흐름펌프(1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12)는 마찬가지로 그 외부원(36)에 외주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이격된 날개(90)로 이루어진 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날개(90)들은 전체적으로 임펠러(12) 전체 폭 전반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양측 전방측에 각각 날개(90)들로 이루어진 테가 하나씩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90)의 방사상 외부 말단과 원형벽(30) 사이에는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날개(90)와 더불어 흐름채널(94)을 구성하는 방사상 틈(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흐름채널(94)는 마찬가지로 내부공급채널(44)과 마찬가지로 그 외주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데 상기 내부 공급채널(44)들보다 약간 작거나 또는 약간 큰 외주위에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으로 볼 때 말단과 그 시작단 사이에는 흐름채널(94)이 내부 홈들(39,42)이 중단되어 있거나 최소한도로 협착화되어 있는 것과 같은 외주영역(41)내에 있다. 상기 흐름채널(94)의 중단이나 협착화는 상기 방사상 틈(92)이 다소간 급격히 감소되는 동안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원형벽(3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멀어지는 돌출부(9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는 홈(42)이 형성된 전방벽(28)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전방벽(26)에는 홈(38)이 거울로 보듯이 구성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흐름펌프에 있어서 흐름채널(94)도 역시 내부 공급채널들(4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은 임펠러(12) 회전방향에서 볼 때 상기 흐름채널(94)의 시작단 및/또는 말단 영역내에서 혹은 그 사이에 놓인 외주영역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흐름채널(94)의 공급채널들(44)과의 연결은 상기 두 개의 제 1 실시예에서처럼 전방벽(26,28)들에 형성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리세스(9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임펠러(12)의 날개(90), 상기 흐름채널(94)의 크기와 아울러 그 중단 내지 협착화는 임펠러(12) 회전방향으로 흐름채널(94)내에서 상기 공급채널(44)에 형성된 압력구조에 해당하는 소정의 압력구조와 소정의 연료공급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Claims (14)

  1. 구동부(14)에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임펠러(12)가 펌프챔버(24)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12)의 회전축(13) 방향으로 두 개의 서로 대향하도록 놓인 전방벽(26,28)들에 의해서 제한되며, 또한 상기 임펠러(12)의 회전축(13)에 관련된 방사상 방향으로는 원형벽(30)에 의해서 제한되는 흐름펌프로서 구성된 공급펌프(1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임펠러(12)는 자신의 양측 전방측의 외주부분에 각각 외주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방사상 외측을 향하는 날개(32)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양측 전방벽(26,28)들에는 날개(32) 높이에서 각각 임펠러(12)의 회전축(13)을 돌아 연장된 부분원 형태의 홈(38,42)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들은 상기 임펠러(12)의 날개들(32)과 더불어 각각 하나의 공급채널(44)을 형성하며, 상기 홈들은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그 시작단에 있는 유입개구부(40)로부터 말단에 있는 배출개구부(18)로 안내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에는 외주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며 방사상으로 외측을 향하는 날개(50,70,90)들로 이루어진 다른 하나의 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들은 전방벽들(26,28) 및/또는 원형벽(30)과 더불어 상기 임펠러(12)의 회전축(13) 주위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최소한 부분원 형태의 흐름채널(58;78;94)를 형성하고 있는데, 그 안에서는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투시할 때 소정의 압력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58;78;94)은 그 외주의 일부분에 걸쳐서 상기 공급채널(44)과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상기 흐름채널내에서 상기 공급채널(44)내의 압력구조에 해당하는 소정의 압력구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58,78,94)는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자신의 시작단 및/또는 말단 영역내에서 상기 공급채널(4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58;78;94)은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자신의 시작단과 말단 사이에 형성된 외주영역내에서 상기 공급채널(4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58;78;94)은 상기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자신의 시작단과 말단 사이에 형성된 외주영역(62)내에서 중단되거나 최소한도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채널(44)들은 최소한도로 부분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채널(58;78;94)이 중단되거나 최소한으로 좁아지는 상기 외주영역(62)으로 덮는 외주영역(41,43)내에서 임펠러(12)의 회전방향(11)에서 볼 때 마찬가지로 자신의 말단과 시작단들 사이부분이 중단되거나 또는 최소한도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흐름채널(94)은 상기 임펠러(12)의 외주에 걸쳐서 상기 전방벽(26,28)들과 상기 원형벽(30) 사이에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2) 외부원(36)의 날개(50)는 그 방사상 외측 말단부분이 또하나의 폐쇄된 링(5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전방벽(26,28)내에는 상기 날개(50)의 높이에 상기 임펠러(12)의 회전축(13) 둘레에 연장된 최소한 부분원 형태의 홈(52,5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들은 상기 날개(50)들과 더불어 각기 하나의 측부 흐름채널(58)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제 5 항 또는 6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58)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는 상기 홈(52,54)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에 따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제 5 항 또는 6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58)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는 상기 홈(52,54)의 상기 날개(50)로의 오프세트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홈들은 날개(50)로 인해 중첩되지 않거나 또는 그 외주부분에 반해 중첩되는 부분이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78)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는 상기 원형벽(3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내측을 향해 멀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96)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2.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78)은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 역의 측부 뿐만이 아니라 그 외주부분 위에도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78)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는 자신의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외주에 걸쳐 연장된 부분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에 의해 상기 원형벽(30)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멀어지는 돌출부(77)로 인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4. 제 12 항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채널(78)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는 자신의 상기 임펠러(12)의 외부원(36)의 측면에 연장된 부분의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에 의해 그 중단 또는 최소한도로의 협착화를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19980700825A 1996-06-05 1997-02-13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9990036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2560A DE19622560A1 (de) 1996-06-05 1996-06-05 Aggregat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9622560.4 1996-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157A true KR19990036157A (ko) 1999-05-25

Family

ID=779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825A KR19990036157A (ko) 1996-06-05 1997-02-13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2686A (ko)
EP (1) EP0842366B1 (ko)
JP (1) JPH11510875A (ko)
KR (1) KR19990036157A (ko)
CN (1) CN1118635C (ko)
BR (1) BR9702277A (ko)
DE (2) DE19622560A1 (ko)
WO (1) WO199704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9609A1 (de) * 1997-05-09 1998-11-12 Bosch Gmbh Robert Aggregat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FR2768192B1 (fr) * 1997-09-08 2004-01-23 Marwal Systems Pompe turbine a rendement ameliore notamment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768193B1 (fr) * 1997-09-08 2004-11-26 Marwal Systems Pompe turbine notamment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perfectionnee pour presenter un rendement ameliore
FR2768191B1 (fr) * 1997-09-08 2004-11-26 Marwal Systems Pompe turbine notamment pour reservoir de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9949615C2 (de) * 1998-10-14 2002-08-08 Ford Motor Co Schaufelradpumpe vom Seitenkanaltyp zum Fördern von Kraftstoff
EP1103723B1 (de) * 1999-11-23 2003-03-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pumpe
US6527505B2 (en) * 2000-12-11 2003-03-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egenerative fuel pump flow chamber
JP3800128B2 (ja) * 2001-07-31 2006-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ペラ及びタービン式燃料ポンプ
US6932562B2 (en) * 2002-06-18 2005-08-2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ingle stage, dual channel turbine fuel pump
US6890144B2 (en) 2002-09-27 2005-05-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ow noise fuel pump design
DE102004052439A1 (de) 2004-10-28 2006-05-04 Siemens Ag Kraftstoffpumpe und Kraftstoffversorgung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mit einer Kraftstoffpumpe
US20080056886A1 (en) * 2006-08-31 2008-03-06 Varian, S.P.A. Vacuum pumps with improved pumping channel cross sections
DE102007026533A1 (de) * 2007-06-08 2008-12-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pumpe
DE102007038144A1 (de) * 2007-08-13 2009-02-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itenkanalpumpe zur Förderung von Kraftstoff in einem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0104A (en) * 1969-02-28 1971-02-02 Abas Beaucan Neale Two-stage,vortex-type centrifugal compressor or pump
JPS58222997A (ja) * 1982-06-21 1983-12-24 Nippon Denso Co Ltd ポンプ装置
DE3303352A1 (de) * 1983-02-02 1984-08-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ggregat zum foerdern von kraftstoff, vorzugsweise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es
ES2055894T3 (es) * 1989-04-07 1994-09-01 Ciba Geigy Ag Concentrados de sustancias activas pesticidas y su preparacion.
US4948344A (en) * 1989-10-17 1990-08-14 Sundstrand Corporation Controlled vortex regenerative pump
DE4020521A1 (de) * 1990-06-28 1992-01-02 Bosch Gmbh Robert Peripheralpumpe, insbesondere zum foe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9218042U1 (ko) * 1992-12-19 1993-06-09 Pierburg Gmbh, 4040 Neuss, De
DE4336090C2 (de) * 1993-10-22 2001-10-04 Bosch Gmbh Robert Aggregat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4411627A1 (de) * 1994-04-02 1995-10-05 Bosch Gmbh Robert Aggregat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US5413457A (en) * 1994-07-14 1995-05-09 Walbro Corporation Two stage lateral channel-regenerative turbine pump with vapor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35C (zh) 2003-08-20
BR9702277A (pt) 1999-07-20
EP0842366A1 (de) 1998-05-20
US6152686A (en) 2000-11-28
DE19622560A1 (de) 1997-12-11
WO1997046809A1 (de) 1997-12-11
CN1189879A (zh) 1998-08-05
EP0842366B1 (de) 2003-05-07
JPH11510875A (ja) 1999-09-21
DE59710028D1 (de)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157A (ko) 자동차의 저장탱크로부터 내연기관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장치
KR100382681B1 (ko) 자동차의연료저장용기로부터내연기관으로연료를압송하기위한공급펌프
US5328325A (en) Peripheral pump, particularly for delivering fuel from a storage tank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EP0526965B1 (en) Compressor casings for turbochargers
JP4797788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
US10605270B2 (en) Side-channel blow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wide interrupting gap
US5082430A (en) Rotating spiral compressor with reinforced spiral ribs
US5011367A (en) Fuel pump
CN105745415B (zh) 可变容量型增压器
US5449269A (en) Aggregate for feeding fuel from a supply tank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motor vehicle
US4383799A (en) Ring and groove contraction for assembling a turbocharger
JP2004028102A (ja) タービン燃料ポンプのインペラ
JPH1089292A (ja) 流動ポンプ
US5961276A (en) Aggregate for feeding a fuel from tank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JPH0553951B2 (ko)
JPH07167079A (ja) 貯蔵容器から自動車の内燃機関に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H07166996A (ja) 自動車用燃料ポンプ
JPH06299983A (ja) 渦流ポンプ
HU222960B1 (hu) Járókerék nyomás alatti folyadékot szállító szivattyúkhoz, főleg WESTCO-típusú szivattyúhoz, valamint szivattyú
US5516259A (en) Aggregate for feeding fuel from supply tank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motor vehicle
US6296439B1 (en) Regenerative turbine pump impeller
US5209630A (en) Pump impeller
US6942447B2 (en) Impeller pumps
JPH07167082A (ja) 自動車用燃料ポンプ
JPH06249154A (ja) 自動車の内燃機関に燃料を貯蔵タンクから搬送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