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48A -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048A
KR19990036048A KR1019980700713A KR19980700713A KR19990036048A KR 19990036048 A KR19990036048 A KR 19990036048A KR 1019980700713 A KR1019980700713 A KR 1019980700713A KR 19980700713 A KR19980700713 A KR 19980700713A KR 19990036048 A KR19990036048 A KR 1999003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ead
restraint
latch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946B1 (ko
Inventor
클라우스 페터 싱거
레네 라데
프란츠 푸겔
엔노 비트펠트
아르노 드루앵
Original Assignee
보 아케 린트스트룀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 아케 린트스트룀,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filed Critical 보 아케 린트스트룀
Publication of KR1999003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는 하우징과 안전벨트가 감겨질 수 있고 하우징내부에서 회전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스풀(20)과 스풀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은 토션바를 구성하는 하중제한장치와 연결되며, 토션바(22)의 한쪽 단부(23)가 스풀에 연결되고, 토션바의 다른 한쪽 단부(24) 구속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속헤드(25)에 연결되며, 구속시스템이 작동된 후에 제한된 크기로 벨트가 스풀로 부터 당겨져 나오는 것이 가능한 하중제한장치로 구성된다.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이 정해진 정도로 회전한 후에 스풀과 구속헤드 사이에 하중전달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구속장치기구는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한다. 한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43)은 스풀(20)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44)를 가지고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에 고정되는 다른 한 개의 단부(45)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정해진 정도를 회전한 후에 케이블이 돌출부(42)주위에 감겨지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는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에 하중전달 연결부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차량이 사고와 관련되고 급속히 감속될 때 차량승객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객이 종래기술을 따르는 수축장치(retractor)를 가진 안전벨트를 매고 있다면, 안전벨트 수축장치는 상기 사고상황에 존재하는 조건에 응답하여 구속되고, 안전벨트가 풀려나가는 것을 제지한다. 안전벨트가 다소 탄성을 가져서 점진적으로 차량승객의 운동을 감속시킨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매우 고속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 승객에 의해 안전벨트에 가해지는 하중, 결과적으로 안전벨트에 의해 승객에게 가해지는 하중은 차량승객이 안전벨트에 의해 상처를 입을 위험이 존재할 정도로 크다. 그 결과 실제 하중을 받을 때 사고시 기구의 구속작용을 따르면서, 안전벨트를 통해 안전벨트가 추가로 풀려지고, 선호적으로 구속하중에 대하여 차량승객에게 손상을 주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구속장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을 구비하는 안전벨트 구속기구를 보면, 수축장치기구는 토션바(torsion bar)로 구성되는 하중제한장치가 구성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토션바의 한쪽 단부는 수축장치기구의 상승스풀(take-up spool)에 연결되고, 여기에 안전벨트가 감겨지며, 토션바의 다른 한쪽 단부는 하우징에 대해 수축장치 기구를 구속하는 수단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축장치의 구속장치에 이어서 제한된 회전각을 통해 상승스풀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구속장치에 대해 상승스풀이 이동할 때 과도한 각운동의 결과 토션바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방지하고, 벨트를 맨 승객의 과도한 전방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독일특허 제 DE A 43 31 027 호에 기재된 안전벨트 수축장치에는 상승스풀과 구속요소사이의 하중전달경로내에 삽입된 클러치가 구성된다. 상기 구속요소는 상승스풀 또는 토크로드(torque rod)가 안전벨트의 수축회전방향으로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한 후 결합된다. 그 결과 토션바(torsion bar)는 작동이 정지된다. 그 결과 상기 구성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
상기 방법으로 토션바를 구성하는 안전벨트 수축장치의 추가예가 독일특허 제 DE A 41 27 781 호에 기술되어 있다. 명세서에 기술된 수축장치에 있어서,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에 의해 작동되고 결과적으로 토크로드(torque rod)에 의해 하중제한 효과(load-limiting effect)가 제공되는 작동상태에서 상승스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작동이 더뎌지는 록킹폴(locking pawl)의 형태로 자동구속수단(automatic locking means)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스풀은 다시 제 2 구속수단에 의해 정지된다. 상기 구속시스템은 추가의 응력이 시스템에 가해질 때 스풀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종래기술을 따르는 구성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비싸다.
본 발명은 개선된 안전벨트 수축장치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선호적으로 클램핑수단은 링에 바로 인접한 구속헤드의 외측주변부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홈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요홈은 롤러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요홈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구조 벽을 가지며, 상기 구성은 링과 구속헤드사이의 상대운동시 적어도 하나의 롤러요소가 경사구조 벽 및 링요소에 의해 형성된 압축부로 이동된다.
편리하게 상기 링요소는 제 1 링요소를 둘러싸기 위해 위치하는 추가 링요소와 결합되고, 추가의 링요소는 제 1 링요소위에 제공된 지지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지지수단을 가지며, 스풀내에 형성된 상기 요홈의 벽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수단과 작동되는 지지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는 수단은 스풀상에 형성된 요홈내에 수용되는 구속헤드의 일부분위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며, 요홈의 벽위에 위치하고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정해진 운동을 추종하는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에서 상대운동에 저항하도록 함께 작동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는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한 중간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으로 구성되며, 중간판은 추가로 스풀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추가의 돌출수단을 이동시키며, 상기 구성은 구속헤드 및 중간원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은, 스풀이 회전함에 따라 스풀위의 돌출수단이 중간 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결합하기 전에 정해진 아크형 경로를 이동하도록 구속헤드 및 중간원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이 위치를 형성하여, 중간판이 그것을 포함하며 그 결과, 중간판위의 돌출수단은, 하중전달연결부를 완성하기 위해 구속헤드위의 돌출수단과 결합하기 전에, 정해진 아크모양경로를 이동한다.
편리하게 중간판은 프렌지에 의해 스풀에 대해 정해진 위치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내에 위치한 요홈내에 제공된 링요소로 구성되고, 링요소는 링의 정해진 회전운동에 이어서 요홈내에 위치한 해당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지지수단을 가지며,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운동의 결과로써 링을 구속헤드에 구속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선호적으로, 토글은 스풀위에서 제위치로 피봇회전이 이루어지며 장착되고 두 개의 아암들로 구성되며, 토글의 한 개의 아암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시 구속헤드위에 제공된 돌출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작용에 의해 래칭부를 구성하는 토글의 다른 한 개의 아암이 연속적으로 정지부와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토글이 이동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구속헤드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스풀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부와 함께 작동하는 셔틀로 구성되며, 셔틀은 캠면을 형성하는 셔틀의 일부가 스풀회전시 지지부에 의해 추종되는 경로내부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를 가지며, 캠면과 지지부의 결합에 의해 셔틀이 셔틀의 다른 부분은 돌출부에 의해 추종되는 경로내부로 연장구성되는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구성은 스풀의 연속회전운동시, 상기 하중전달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셔틀의 다른 부분과 결합한다.
편리하게 셔틀은 구속헤드내에 형성된 횡방향 요홈내에 지지된다.
유리하게 중간지지원판은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에 위치하고, 스프링 편향 래치요소는 초기에 지지원판과 접촉을 이루도록 편향되며, 지지원판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운동에 응답하여 스풀에 대해 이동되며, 지지원판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지지원판의 정해진 운동후 개구부는 래치요소와 일직선상에 정렬되며, 개구부가 래치요소와 일직선상에 정렬될 때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래치요소는 개구부를 통과한다.
편리하게, 지지원판은 초기에 프랜지에 의해 스풀에 고정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최초 회전운동에 연속하여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고 함께 작동하는 지지수단이 결합되는 지지수단이 지지원판에 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구속헤드위에서 이동되는 구속돌출부와 함께 작동하는 스풀위에 장착되는 토글로 구성되고, 상기 토글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회전시 토글이 돌출부를 통과하는 초기 위치내에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토글의 일부와 결합하고 토글의 위치를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스풀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토글의 래치부는 래칭이 이루어지게 돌출부와 결합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주변 요홈을 형성하는 구속헤드위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요홈내에서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래치요소가 존재하고, 래치는 스풀이 회전함에 따라 요홈의 단부에 의해 결합되며, 래치는 결합에 의해 래치가 이루어지는 위치(latching position)로 이동된다.
편리하게 래치는 복수개의 치형을 형성하고, 래치의 상기 단부에 인접한 요홈의 기저부는 상호 작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요홈들을 형성하며 상기 배열은 요홈의 단부가 래치와 결합할 때 래치위의 치형은 요홈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요홈들과 결합한다.
유리하게 래치는 스풀내에 형성된 통로내에 수용되고, 통로에 구성된 벽의 일부가 래치위의 곡선면과 결합하며, 상기 배열은 통로에 구성된 벽의 일부가 래치위의 곡선부분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래치위의 치형이 요홈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요홈들과 결합하도록 래치의 상기 운동에 의해 래치가 내측반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내에 형성된 요홈내에서 이동하는 래치부재에 대해 편향을 이루고 구속헤드에 대해 편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편향 래치부재는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정해진 운동후 구속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편리하게, 케이블은 스풀을 향하는 구속헤드의 일부분위에 제공된 돌출부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로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풀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개구를 형성하고, 케이블은 초기에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상기 개구내에 보관된다.
선택적으로 실시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케이블은 초기에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의 공간내에서 느슨한 코일 형태로 보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스풀위에 형성되고 함께 작용이 이루어지며 나사구조를 가진 요홈내에 수용되는 구속헤드위에 형성된 축방향 나사돌출부로 구성되며, 요홈은 제한된 축방향 크기를 가지고 상기 배열은 돌출부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 회전시 요홈내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따르고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나사가 형성된 너트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속헤드 위에 형성된 나사구조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는 정해진 축방향 크기의 요홈내에 배치되고, 스풀내에 형성되고, 요홈은 너트의 단면적과 일치하는 단면적을 가져서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시 너트는 요홈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안전벨트가 감겨질 수 있고 하우징내부에서 회전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스풀과 스풀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은 토션바를 구성하는 하중제한장치와 연결되며, 토션바의 한쪽 단부가 스풀에 연결되고, 토션바의 다른 한쪽 단부 구속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속헤드에 연결되며, 구속시스템이 작동된 후에 제한된 크기로 벨트가 스풀로부터 당겨져 나오는 것이 가능한 하중제한장치로 구성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이 정해진 정도로 회전한 후에 스풀과 구속헤드 사이에 하중 전달연결부를 구성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가 구성된다.
선호적으로 구속헤드는 초기에 정해진 하중을 받을 때 파괴되는 프랜지 요소에 의해 스풀상에서 정해진 위치에 지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와 구속헤드에 고정되는 다른 한쪽 단부를 가지는 정해진 길이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스풀이 구속헤드에 대해 회전운동을 할 때 케이블은 구속헤드의 일부에 감긴다.
선호적으로 구속헤드의 상기 부분과 요홈의 상기 벽사이의 연결공간내에 중간요소가 제공되며, 구속헤드위의 돌출부는 요홈의 벽위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과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상대운동시 중간요소가 구속헤드위에서 이동되는 돌출부 또는 요홈의 벽위에서 이동되는 돌출부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중간요소가 구성된다.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이 이해되도록, 본 발명은 개략도들을 참고로 하여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벨트 수축장치(safety-belt retractor) 기구에 관련되고 좀더 특별히 구속장치가 구성되는 안전벨트 수축장치기구에 관련되며, 상기 기구에 있어서 차량속도에 응답하여 고속 또는 높은 가속도를 가지고 수축장치로 부터 벨트의 감속 및/또는 방출작용이 이루어지고, 수축장치기구에는 구속기구가 작동된 후에 제한된 크기로 벨트가 당겨지는 것이 가능한 하중제한 장치가 구성된다.
도 1 은 하중제한장치로 구성되는 안전벨트 수축장치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한 개의 실시예에 구성되는 수축장치 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개략측면도.
도 3a 는 수축장치 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4 는 수축장치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5a 는 수축장치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6a 는 수축장치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6b 는 도 6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7a 는 수축장치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7b 는 도 7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8 은 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평면도.
도 9a 는 수축장치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9b 는 도 9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10a 는 도 10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도 11 은 축, 구속헤드 및 회전제한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도 12b 는 도 12a 에 나타낸 구속헤드 및 축의 평면도.
* 부호 설명
13,14...아암 15,16...개구부
17...치형주변부 18...개구부
20...스풀 21...원통형 외부면
22...토션바 24...결합부
25...구속헤드 26...원판
27...돌출부 28...요홈
29...스터브축 30...구속요소
31...타원형개구부 32...치형
33...페그 34...개구부
35,36...전단핀
우선 도 1 에 있어서, 안전벨트(safety belt)는 전방으로 연장구성되고 이격된 아암(13,14)을 지지하는 기저판(11)이 구성된 U자 모양의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아암(13)은 개구부(15)를 형성하고, 아암(14)은 개구부(15)와 동일하게 정렬되지만 치형주변부(toothed periphery)(17)로 구성되는 개구부(16)로 구성된다.
아암(14)은 구속기구가 연결되는 추가의 개구부(18)를 형성한다.
스풀(spool)(20)은 실제로 속빈 구조로 제공되고, 스풀은 원통형 외부면(21)을 나타낸다.
토션바(torsion bar)(22)는 스풀(20)의 속빈내부에서 수용되도록 제공된다. 토션바(22)는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3,24)로 구성된다. 결합부(23)는 스풀(20)의 상호작용부분과 결합된다. 결합부(24)는 구속헤드(25)와 상호작용부와 결합된다. 요홈(28)을 형성하는 스풀(spool)의 주몸체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한 면위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27)로 이루어지는 원판(26)형태로 상기 구속헤드가 구성된다. 요홈(28)은 구속헤드와 일체로 구성되는 스터브축(stub shaft)(29)을 둘러싼다. 요홈(28)은 피봇회전이 이루어지게 이동가능한 구속요소(3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구속요소(30)는 타원형 개구부(31)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내에 스터브축(29)이 수용된다. 구속요소(30)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치형(tooth)(32) 및 구속기구와 함께 작동하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페그(peg)(33)가 제공된다.
구성부품들이 함께 연결될 때 스풀(20)의 한쪽 단부면위에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단 핀(shear pin)(35,36)을 수용하고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개구부(33,34)가 구속헤드(25)에 구성된다. 구속헤드(25) 및 구속부재(30)가 아암(14)내에 존재하는 개구부(16)에 의해 형성된 면내에 놓일 때, 전방으로 연장구성되는 아암(13,14)들 사이에 위치한 U자모양의 하우징(10)내에 상기 스풀(20)이 수용된다.
스풀(20)상에 감겨진 안전벨트가 스풀로부터 풀려지고 종래기술로 공지된 적합한 센서수단(sensor means)이 사고상황을 감지할 때 돌출구조의 페그(33)는 구속부재(30)에 의해 이동되는 치형(32)이 개구부(16)의 치형주변부(17)에 형성된 치형중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속부재(30)를 이동시키도록 돌출구조의 핀(33)이 작동하여, 스풀을 구속하고 추가로 안전벨트가 수축장치 기구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실제하중이 안전벨트에 가해지면, 전단핀(35,36)은 떨어질 수 있어서 토크(torque)가 토션바(22)에 가해지는 동안 스풀(20)의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벨트에 의해 스풀에 가해지는 하중이 충분히 크다면 스풀(20)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스풀이 회전하는 반면 토션바(22)는 스풀(20)의 운동에 저항한다. 따라서 스풀은 회전하고 하중제한효과를 제공한다.
다음 설명으로 잘 알 수 있듯이 다수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이 구성되어, 단지 구속헤드(25)에 대해 정해진 크기로만 스풀(20)의 회전이 가능하고 기구들이 구속헤드(25)에 대하여 스풀(20)의 추가운동을 방해하게 된다.
도 2 를 참고하면, 스풀(20), 토션바(22) 및 구속헤드(25)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구속헤드(25)는 수축장치 스풀(retractor spool)(20)의 단부면에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원통형구조의 요홈(20)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추가의 요홈(41)이 스풀(20)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추가의 축방향 요홈(41)은 제 1 요홈(40)의 기저부로 부터 연장구성된다.
원통형 보쓰(42)가 구속헤드(25)의 하부측면에 구성되고, 원통형보쓰는 원통형요홈(40)내에 수용된다.
케이블줄(cable string) 또는 코드(cord)(43)는 우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요홈(41)내에 더블 업(doubled-up)식으로 수용된다. 케이블(43)의 한쪽 단부(44)가 요홈(40) 및 요홈(41) 사이의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스풀(20)에 고정된다. 케이블(43)의 다른 한쪽 단부(45)가 원통형보쓰(42)에 연결된다.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하여 회전하기 시작할 때 토션바(22)에 토크를 가하면, 케이블(43)은 원통형 보쓰(42)위에 감긴다. 케이블(43)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요홈(41)으로 부터 풀린다.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하여 정해진 회전운동을 한 후에, 케이블은 팽팽해지고 스풀(20)의 추가운동을 방지하고 구속헤드(25)와 스풀(20) 사이에 위치한 하중전달연결부를 제공한다.
도 3 의 추가 실시예는 여러 가지 면에서 도 2 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3 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헤드(25)는 다시 스풀(20)의 단부면에 구성되는 요홈(40)내에 수용되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보쓰(42)로 구성된다. 케이블(43)은 보쓰(42)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블(43)은 보쓰(42)주위에서 느슨한 나선형으로 감기고, 케이블의 다른 한쪽 단부(46)는 요홈(40)의 기저부에 고정되며 따라서 스풀(20)에 직접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할 때, 케이블은 스풀(20)과 구속헤드사이에서 하중전달 연결부를 형성할 때까지 원통형보쓰(42) 주위에 더욱 팽팽하게 감겨서 스풀(20)의 추가회전운동이 방지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풀(20)의 한쪽 단부면에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요홈(40)으로 구성된다. 구속헤드(25)는 요홈(40)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그러나 구속헤드의 외측주변부에는 나사부(50)가 구성되고 요홈(40)의 외측주변부에도 나사부(51)가 구성되며, 나사부(50,51)는 상호체결된다. 구속헤드(25)는 토션바(22)에 대한 축방향운동을 위해 장착된다. 토션바에 제공된 결합부(24)는 구속헤드와 상호작용하는 미끄럼키(sliding key) 방식으로 구성된다.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해 회전운동을 시작할 때 나사부(50,51)의 상호체결에 의해, 구속헤드(25)는 스풀에 대해 요홈(40)내로 이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의 정해진 운동후, 구속헤드(25)는 요홈(40)의 기저부와 결합하고 다음에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요홈(40)의 기저부에 위치한 구속헤드(25)의 결합 및 상호체결된 나사부(50,51)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상호결합은 스풀(20)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하중전달 결합부를 제공한다.
도 5 는 나사부에 의해 상호결합이 실현되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헤드(25)는 돌출구조의 보쓰(42)로 구성된다. 보쓰(42)의 외측부는 나사부(50)로 형성된다. 나사부(50)는 육각너트(hexagonal nut)(52)의 중앙 개구내에 구성된 나사부(51)와 상호작용한다. 육각너트(52)는 수축장치기구의 스풀(20)의 단부면내에 형성된 육각요홈(53)내에 수용된다. 우선 너트(52)는 요홈(53)의 기저부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해 회전할 때, 도 5a 에 도시된 상태에서, 너트가 요홈(53)의 기저부와 연결될 때까지 상기 너트는 나사부(50) 및 요홈(51)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위치에서 수축장치 스풀(20) 및 구속헤드(25) 사이의 하중전달 연결부가 너트에 제공된다.
도 6 은 본 발명을 따라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헤드(25)에는 스풀(20)의 단부면내에 형성된 요홈(40)내부로 연장구성되는 보쓰(42)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요홈(55)은 보쓰(42)의 외측면에 구성된다. 다음의 설명과 같이, 요홈의 단부에 효과적으로 정지부(56)가 제공된다. 요홈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요홈의 기저부가 한 쌍의 오목부(57)를 형성하기 위해 좀더 깊숙히 들어가 형성된다.
요홈(40)의 일부는 복잡한 형상의 상호작용 통로(communicating passage)(58)를 형성하도록 외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상기 통로(58)내에 요홈(57)의 형상과 짝을 이루는 형상(complimentary shape)을 이루는 복수개의 치형(60)을 가지는 래치부재(latch member)(59)가 장착된다. 치형은 나선형 요홈(55)내에 결합되지만 요홈의 기저부에 연결되도록 깊숙히 결합되지는 않는다. 래치(59)는 프랜지 요소(61)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래치요소(50)의 외부면은 아크곡선부(62)로 형성되고 통로(58)를 형성하는 경계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출부(63)와 결합한다.
구속헤드(25)에 대하여 스풀(20)이 회전할 때 스풀은 도 6b 의 화살표(64)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때, 래치(59)는 효과적으로 나사형 요홈(55)을 따라 미끄럼운동 요홈의 한쪽 단부에서 시작하여 도 6b 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요홈의 떨어진 단부에 최종적으로 도달한다. 도 6b 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스풀(20)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나선형요홈(55)의 단부가 되는 정지부(56)는 래치(59)와 결합하고 프랜지요소(61)로 부터 래치(59)와 분리되며, 래치(59)의 연속운동 및 래치(59)의 돌출부(63)의 작용에 의해 래치는 내측반경방향으로 구동되어, 래치위에서 돌출하는 치형(60)은 나선형요홈(55)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요홈(57)과 확고히 결합한다. 다음에 래치는 통로(58)의 단부와 확고히 결합하고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하중전달연결부를 형성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 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축장치의 스풀(20)은 한쪽 단부에 형성된 요홈(40)이 구성되고, 요홈(40)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요홈(60)과 결합되고, 상기 요홈은 요홈(60)의 기저부 및 래치요소(61)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62)에 의해 요홈으로 부터 편향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래치요소(61)를 수용한다. 래치요소(62)는 초기위치에 지지되고, 이 위치에서 실제로 요홈(40)의 기저부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실제로 원형을 이루는 지지원판(63)에 의해 상기 스프링(62)이 압축된다. 지지원판(63)은 전단핀(64)에 의해 스풀(20)에 고정된다.
도 7b 에 있어서, 지지원판(63)에는 주변부에 인접한 아크형개구부(65)가 제공되고, 이것은 래치요소(61)와 공동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고 등가한 폭을 가진다. 래치요소(61)는 아크모양이고, 따라서 개구부(65)를 통해 연장구성된다.
지지판(63)의 측면으로 부터 연장구성되고, 래치(61)와 결합된 측면과 마주보는 돌출부(66)가 지지판(63)에 구성된다.
지지판(63)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66)와 공동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67)가 구속헤드(25)에 제공된다.
도 7 의 장치 작동시, 화살표(67) 방향으로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이 회전운동을 시작할 때, 지지판은 스풀과 회전하고, 따라서 돌출부(66)는 돌출부(67)로 부터 떨어져 운동한다. 그러나, 거의 완전히 회전한 후, 돌출부(66)는 돌출부(67)와 다시 만나고 두 개의 돌출부들이 결합한다. 전단핀(64)은 다음에 파괴되고, 래치(61)는 스풀(20)과 래치(61)가 구속헤드(25) 및 지금 정지상태의 지지판(63)에 대해 계속하여 회전함에 따라 래치(61)는 지지판에 대해 미끄럼운동한다. 래치(61)가 개구부(65)와 공동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스프링(62)은 개구부(65)를 통해 래치(61)에 하중을 가한다. 다음에 래치는 구속헤드(25)의 하부면과 결합한다. 래치(61)가 요홈(65)의 떨어진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스풀(20)은 계속 회전한다. 다음에 래치의 추가운동이 방지되고, 래치, 지지판 및 내부결합된 돌출부(66,67)의 조합은 스풀(20)과 구속헤드(25)사이에 하중 전달 연결부를 구성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스풀(20)의 단부면은 피봇축(71)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기 위해 장착되는 토글요소(toggle element)를 이동시킨다. 토글요소는 실제로 서로에 대해 직각이루며 위치하는 두 개의 아암(72, 73)으로 구성된다. 토글은 구속헤드(25)에 구성된 반경방향의 돌출부(74)와 함께 작동한다.
토글(70)은 우선 도 8 의 상태에 놓여져 있다. 돌출부(74)는 우선 토글과 인접해 위치하고, 스풀(20)이 구속헤드(25)에 대해 회전운동을 시작할 때 스풀(20)은 화살표(75)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8 의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실제로 회전한다. 도 8 을 고려할 때 스풀(20)이 화살표(25)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74)는 토글(70)의 아암(72)과 결합하고 토글을 도 8 의 점선위치로 이동시킨다.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이 완전히 일회전한 후에, 토글의 아암(73)은 고정되게 돌출부(74)와 결합하여, 스풀과 구속헤드사이에 하중전달연결부를 제공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헤드(25)는 스풀(20)의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40)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구속헤드(25)는 반경방향 외측변부에 인접하고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80)를 이동시킨다. 돌출부(80)는 요홈(40)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원형요홈(81)내에 수용된다. 요홈(40)의 중앙부는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셔틀(83)을 수용하고 횡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채널(channel)(82)을 형성한다.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셔틀(83)은 토션바(22)의 일부를 통과하고 확대된 타원형의 중앙개구부(84)로 구성된다. 셔틀(83)은 원형채널(81)내로 돌출하고 경사진 캠면(inclined cam face)(86)으로 구성되는 제 1 단부(85)로 구성된다. 셔틀의 다른 한쪽 단부는 초기에 횡방향요홈(82)내에 수용된다.
화살표(88) 방향으로 스풀(20)이 회전할 때 셔틀과 스풀은 도 9b 에 도시된 초기위치로 부터 회전운동하고 다음에, 셔틀의 돌출단부(85)는 정지상태의 구속헤드(25)위에 형성된 돌출부(80)로 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거의 일회전이 이루어진 후에, 캠면(86)은 돌출부(80)와 결합한다. 셔틀은 다음에 직경방향으로 이동되고, 단부(85)와 마주보는 셔틀의 단부(87)는 캠면(86)을 이동시키고, 다음에 횡방향요홈(82)으로 부터 연장구성되고 원형 채널(81)과 가로질러 연장구성되는 위치로 상기 단부(87)가 이동된다. 스풀의 계속적인 회전운동은 다음에 셔틀의 돌출단부(87)를 정지상태의 구속헤드(25)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80)와 결합시키고, 다음에 스풀과 구속헤드사이에 하중전달연결부를 형성하며, 스풀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헤드(25)가 스풀(20)의 한쪽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40)내부로 수용된다.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90)가 요홈을 향해 연장구성되는 구속헤드(25)상에 형성된다. 요홈 내부에 중간판(91)이 수용된다. 한쪽 측면에서 중간판(intermediate plate)(91)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구속헤드를 향해 연장구성되며 돌출부(90)와 인접한 돌출부(92)를 이동시킨다. 중간판(91)은 또한 다른 한쪽 측면에서 요홈(40)의 기저부를 향해 연장구성되는 추가의 돌출부(93)를 이동시켜서, 요홈의 기저부위에서 이동되는 추가의 돌출부(94)가 되고, 중간판(91)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돌출부(94)는 돌출부(93)에 인접한다. 도시된 위치내에서 초기에 중간판(91)을 지지하는 프렌지(95)가 제공된다.
화살표(96) 방향으로 구속헤드(25)에 대해 스풀(20)이 회전운동을 시작할 때, 우선 중간판(91)은 스풀(20)과 함께 회전하고, 돌출부(92)는 돌출부(90)로 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러나 거의 완전한 랩(lap)후에 중간판(91)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92)는 정지상태의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90)와 결합한다. 따라서 중간판(91)은 정지상태이고 프렌지결합가능한 웨브(frangible web)(95)는 파괴된다. 중간판(91)의 하부면에 위치한 돌출부(93)는 따라서 정지상태이고 스풀(20)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부(94)는 돌출부(93)로 부터 떨어져 이동되고, 추가로 스풀(20)의 실제로 완전한 일회전이 이루어진 후에, 돌출부(94)는 돌출부(93)와 결합한다. 다음에 네 개의 돌출부에 의한 상호결합은 스풀(20)과 구속헤드(25) 사이에 하중전달연결부를 구성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스풀(20)의 단부면내에 요홈(40)이 형성된다. 지지부(100)는 요홈(40)의 외측벽으로 부터 내측으로 돌출구조를 이룬다.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제 1 링(ring)(101)은 요홈내부에 위치하고 미끄럼회전운동을 수행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링(101)은 지지부(100)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외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02)를 가진다. 링(101)은 또한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03)를 가진다.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제 2 링(104)은 링(10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링(104)은 지지부(103)와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고, 외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05)를 가진다. 내부링(104) 내부에 구속헤드(25)가 포함된다. 원형의 구속헤드의 외측 주변부내에 일반적으로 V자 모양을 하는 복수개의 요홈(106)이 형성된다. 각각의 요홈은 실제로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한 개의 벽 및 접선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또다른 벽을 가진다. 각각의 요홈(106)내에는 롤러 클램핑요소(roller clamping element)(107)가 수용된다.
링(101,104)이 회전운동이 가능할지라도, 상기 링들은 마찰에 의해 스풀(20)에 대해 초기위치에 지지되고 따라서, 링(101,104)의 조합은 구속헤드(25)에 대해 함께 회전운동하고 이때 스풀(20)은 화살표(108)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면에 있어서, 각각의 롤러(107)는 각각의 요홈(106)의 기저부에 있을지라도, 롤러들중 한 개 또는 다른 한 개가 내부 링(104)과 접촉할 수 있다. 링(104)이 화살표(108)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은 한 개 또는 한 개이상의 롤러(107)들을 포함하여 롤러들을 반경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벽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의 좁은 단부로 이동시킨다. 롤러는 구속헤드(25)의 외측주변부내의 요홈 및 정지상태의 구속헤드(25)에 대해 링(104)의 추가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링(104) 사이의 고정결합(clamping engagement)을 형성한다.
내부링(104)은 따라서 내부링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 고정위치내에 지지된다. 그러나 외부링(101)은 스풀(20)과 계속하여 회전한다. 지지부(103)는 지지부(105)로 부터 분리되고 지지부(103)가 지지부(105)의 다른 하나의 측부와 결합하기 전에 완전한 일회전을 이룬다. 외부링(101)은 다음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지지부(100)는 다음에 스풀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102)로 부터 분리된다. 거의 완전한 일회전후에, 지지부(100)는 지지부(102)의 다른 한쪽 측부와 다시 만나고 다음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구속롤러(locking roller) 및 링들의 조합은 다음에 스풀과 구속헤드사이에 하중전달연결부를 형성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풀(20)의 한쪽 단부면은 요홈(40)을 형성하고 구속헤드(25)에 의해 이동되는 보쓰(42)는 상기 요홈 내부로 돌출구조를 이룬다. 보쓰(42)는 외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지지부(110)를 이동시킨다. 요홈(40)의 외측주변부는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11)가 제공되고, 중간요소(112)는 보쓰(42)와 요홈(40)의 외측벽 사이의 연결공간(interspace)(113)내에 제공된다.
주목할 사항으로 지지부(110, 111)는 구속헤드(25), 지지부(110,111)에 대하여 스풀(20)의 회전이 서로 통과가능할 정도의 반경방향 크기를 갖는다.
도 12b 에서 처럼 초기 위치에 장치가 놓여져 있다면, 중간요소(112)는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부(110) 및 스풀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부(111)와 결합한다. 안전벨트가 스풀로부터 풀려지면 스풀은 화살표(113)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부(111)는 다음에 중간요소(112)로 부터 분리되고, 정지상태인 지지부(110)를 통과하기 전에 그리고 서로로부터 중간요소(112)와 다시 만나기 전에, 실제로 일회전을 완성한다. 따라서 중간요소(112)는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11)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구속헤드(25) 및 요홈(40)의 내측벽 사이의 연결공간(113)내에서 회전운동하게 된다. 스풀(20)은 화살표(113)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내측을 향하는 지지부(111) 및 중간요소(112)는 중간요소(112)가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고 외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지지부(110)와 다시 만난다. 지지부(110, 111) 및 중간요소(112)의 조합이 스풀과 구속헤드사이에 하중전달연결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음에 스풀의 추가 회전운동은 방지된다.

Claims (25)

  1. 하우징과 안전벨트가 감겨질 수 있고 하우징내부에서 회전운동을 위해 장착되는 스풀과 스풀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은 토션바를 구성하는 하중 제한장치와 연결되며, 토션바의 한쪽 단부가 스풀에 연결되고, 토션바의 다른 한쪽 단부 구속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속헤드에 연결되며, 구속시스템이 작동된 후에 제한된 크기로 벨트가 스풀로 부터 당겨져 나오는 것이 가능한 하중제한장치로 구성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이 정해진 정도로 회전한 후에 스풀과 구속헤드 사이에 하중 전달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속헤드는 초기에 정해진 하중을 받을 때 파괴되는 프랜지 요소에 의해 스풀상에서 정해진 위치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와 구속헤드에 고정되는 다른 한쪽 단부를 가지는 정해진 길이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스풀이 구속헤드에 대해 회전운동을 할 때 케이블은 구속헤드의 일부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스풀을 향하는 구속헤드의 일부위에 제공된 돌출부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스풀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개구를 형성하고, 케이블은 초기에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상기 개구내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초기에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의 공간내에서 느슨한 코일 형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7.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스풀위에 형성되고 함께 작용이 이루어지며 나사구조를 가진 요홈내에 수용되는 구속헤드위에 형성된 축방향 나사돌출부로 구성되며, 요홈은 제한된 축방향크기를 가지고 상기 배열은 돌출부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 회전시 요홈내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나사가 형성된 너트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속헤드 위에 형성된 나사구조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는 정해진 축방향 크기의 요홈내에 배치되고, 스풀내에 형성되고, 요홈은 너트의 단면적과 일치하는 단면적을 가져서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시 너트는 요홈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주변요홈을 형성하는 구속헤드위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요홈내에서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래치요소가 존재하고, 래치는 스풀이 회전함에 따라 요홈의 단부에 의해 결합되며, 래치는 결합에 의해 래치가 이루어지는 위치(latching position)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래치는 복수개의 치형을 형성하고, 래치의 상기 단부에 인접한 요홈의 기저부는 상호 작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요홈들을 형성하며, 상기 배열은 요홈의 단부가 래치와 결합할 때 래치위의 치형은 요홈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요홈들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래치는 스풀내에 형성된 통로내에 수용되고, 통로에 구성된 벽의 일부가 래치위의 곡선면과 결합하며, 상기 배열은 통로에 구성된 벽의 일부가 래치위의 곡선 부분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래치위의 치형이 요홈의 기저부내에 형성된 요홈들과 결합하도록 래치의 상기 운동에 의해 래치가 내측반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2.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내에 형성된 요홈내에서 이동하는 래치부재에 대해 편향을 이루고 구속헤드에 대해 편향이 이루어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편향 래치부재는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정해진 운동후 구속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중간 지지원판은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에 위치하고, 스프링 편향 래치요소는 초기에 지지원판과 접촉을 이루도록 편향되며, 지지원판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운동에 응답하여 스풀에 대해 이동되며, 지지원판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지지원판의 정해진 운동후 개구부는 래치요소와 일직선상에 정렬되며, 개구부가 래치요소와 일직선상에 정렬될 때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구속이 이루어지도록 래치요소는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지지원판은 초기에 프랜지에 의해 스풀에 고정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최초회전운동에 연속하여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고 함께 작동하는 지지수단이 결합되는 지지수단이 지지원판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구속헤드위에서 이동되는 구속돌출부와 함께 작동하는 스풀위에 장착되는 토글로 구성되고, 상기 토글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회전시 토글이 돌출부를 통과하는 초기 위치내에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토글의 일부와 결합하고 토글의 위치를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스풀의 추가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토글의 래치부는 래칭이 이루어지게 돌출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토글은 스풀위에서 제위치로 피봇회전이 이루어지며 장착되고 두 개의 아암들로 구성되며, 토글의 한 개의 아암은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회전시 구속헤드위에 제공된 돌출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작용에 의해 래칭부를 구성하는 토글의 다른 한 개의 아암이 연속적으로 정지부와 결합되는 제 2 위치로 토글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구속헤드의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스풀에 의해 이동되는 지지부와 함께 작동하는 셔틀로 구성되며, 셔틀은 캠면을 형성하는 셔틀의 일부가 스풀회전시 지지부에 의해 추종되는 경로내부로 돌출하는 초기 위치를 가지며, 캠면과 지지부의 결합에 의해 셔틀이 셔틀의 다른 부분은 돌출부에 의해 추종되는 경로내부로 연장구성되는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구성은 스풀의 연속회전운동시, 상기 하중전달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셔틀의 다른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셔틀은 구속헤드내에 형성된 횡방향요홈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1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는 수단은 구속헤드와 스풀사이에 위치한 중간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구속헤드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으로 구성되며, 중간판은 추가로 스풀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추가의 돌출수단을 이동시키며, 상기 구성은 구속헤드 및 중간원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은, 스풀이 회전함에 따라 스풀위의 돌출수단이 중간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과 결합하기 전에 정해진 아크형 경로를 이동하도록 구속헤드 및 중간원판에 의해 이동되는 돌출수단이 위치를 형성하여, 중간판이 그것을 포함하며 그 결과, 중간판위의 돌출수단은, 하중전달연결부를 완성하기 위해 구속헤드위의 돌출수단과 결합하기 전에, 정해진 아크모양경로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중간판은 프렌지에 의해 스풀에 대해 정해진 위치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은 스풀내에 위치한 요홈내에 제공된 링요소로 구성되고, 링요소는 링의 정해진 회전운동에 이어서 요홈내에 위치한 해당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지지수단을 가지며,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운동의 결과로써 링을 구속헤드에 구속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은 링에 바로 인접한 구속헤드의 외측주변부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홈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요홈은 롤러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요홈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구조 벽을 가지며, 상기 구성은 링과 구속헤드사이의 상대운동시 적어도 하나의 롤러요소가 경사구조 벽 및 링요소에 의해 형성된 압축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3. 제 21 항 또는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링요소는 제 1 링요소를 둘러싸기 위해 위치하는 추가 링요소와 결합되고, 추가의 링요소는 제 1 링요소위에 제공된 지지수단과 함께 작동되는 지지수단을 가지며, 스풀내에 형성된 상기 요홈의 벽일부를 형성하는 지지수단과 작동되는 지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회전각을 제한하는 수단은 스풀상에 형성된 요홈내에 수용되는 구속헤드의 일부분위에 위치하고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며, 요홈의 벽위에 위치하고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정해진 운동을 추종하는 구속헤드 및 스풀사이에서 상대운동에 저항하도록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구속헤드의 상기 부분과 요홈의 상기 벽사이의 연결공간내에 중간요소가 제공되며, 구속헤드위의 돌출부는 요홈의 벽위에 위치한 돌출부를 통과하고, 구속헤드에 대해 스풀의 상대운동시 중간요소가 구속헤드위에서 이동되는 돌출부 또는 요홈의 벽위에서 이동되는 돌출부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중간요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구속장치기구.
KR1019980700713A 1995-08-01 1996-07-31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KR10028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8115A DE19528115A1 (de) 1995-08-01 1995-08-01 Gurtaufroller mit in einem Drehweg begrenzten Kraftbegrenzer
DE195281152 1995-08-01
PCT/SE1996/000978 WO1997004996A1 (en) 1995-08-01 1996-07-31 A safety-belt retractor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48A true KR19990036048A (ko) 1999-05-25
KR100280946B1 KR100280946B1 (ko) 2001-04-02

Family

ID=776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713A KR100280946B1 (ko) 1995-08-01 1996-07-31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31843A (ko)
EP (1) EP0842066B1 (ko)
JP (1) JP3752590B2 (ko)
KR (1) KR100280946B1 (ko)
CN (1) CN1080216C (ko)
AU (1) AU6673096A (ko)
BR (1) BR9609941A (ko)
DE (2) DE19528115A1 (ko)
ES (1) ES2147929T3 (ko)
WO (1) WO1997004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6108C2 (de) * 1996-02-16 2002-01-10 Nsk Ltd Sicherheitsgurtaufroller
JPH10310026A (ja) * 1997-05-09 1998-11-24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19727919C2 (de) * 1997-05-15 2000-03-09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zu- oder abschaltbar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JP4138136B2 (ja) 1998-12-28 2008-08-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DE19917362A1 (de) * 1999-04-16 2000-10-19 Breed Automotive Tech Sicherheitsgurtaufroller
KR100299273B1 (ko) * 1999-06-18 2001-09-22 이승복 안전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키드 장치
JP2001225719A (ja) 1999-12-08 2001-08-2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4514271B2 (ja) * 2000-02-23 2010-07-28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6360980B1 (en) * 2000-02-25 2002-03-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torsion bar
JP2001301569A (ja) * 2000-04-24 2001-10-31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及び車両
JP3754283B2 (ja) 2000-08-15 2006-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559666B2 (ja) * 2001-07-11 2010-10-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6692027B2 (en) 2001-10-11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Load limiting seat restraint retractor
JP3984024B2 (ja) * 2001-11-02 2007-09-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6773075B2 (en) * 2002-01-24 2004-08-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ur point seat belt restraint system
DE10213906B4 (de) * 2002-03-28 2006-11-23 Autoliv Development Ab Leistungsstraffer
GB2387575B (en) * 2002-04-16 2004-04-14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DE20214811U1 (de) * 2002-09-25 2003-02-13 Trw Repa Gmbh Kraftbegrenzer an einem Gurtaufroller
DE60204890T2 (de) * 2002-10-03 2006-04-27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Aufroller
DE10344435B4 (de) * 2003-09-25 2006-06-01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US6969022B2 (en) * 2003-10-14 2005-11-29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DE102004015825B4 (de) 2004-03-31 2020-01-02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JP2005289320A (ja) * 2004-04-05 2005-10-2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20060006725A1 (en) * 2004-06-23 2006-01-12 Trw Automotive Gmbh Belt retractor with force-limiting arrangement
ATE374711T1 (de) 2004-07-20 2007-10-15 Key Safety Systems Inc Gurtaufroller
US20060131456A1 (en) * 2004-12-21 2006-06-22 Takata Seat Belts, Inc. Retractor with multiple level load limiter
JP2006213102A (ja) * 2005-02-01 2006-08-1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956371B2 (ja) * 2007-10-25 2012-06-20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5160373B2 (ja) * 2008-10-22 2013-03-1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9012565A1 (de) * 2009-03-11 2010-09-16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DE102010050696A1 (de) * 2010-11-06 2012-05-10 Trw Automotive Gmbh Kraftbegrenzungsvorrichtung, Gurtaufroller mit Kraftbegrenz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schalten einer Kraftbegrenzungsvorrichtung
CN102924890A (zh) * 2012-10-09 2013-02-13 山东省意可曼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完全生物降解热收缩膜及其制备方法
CN107257831A (zh) 2014-12-30 2017-10-17 艾利丹尼森公司 水活化型无衬垫粘合剂制品和相关方法
DE102016121609A1 (de) * 2016-11-11 2018-05-17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DE102017111398A1 (de) * 2017-05-24 2018-11-29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urtaufrollers
CN113123151A (zh) * 2021-04-26 2021-07-16 朱淑粉 一种预应力钢绞线生产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6277C3 (de) * 1970-05-29 1974-07-11 Ernst Prof. Dipl.-Ing. Dr. Techn. 3300 Braunschweig Fiala Vorrichtung zum Aufnehmen von Energie für Rückhalteeinrichtungen für Fahrzeuginsassen, insbesondere für Sicherheitsgurte
DE2727470A1 (de) * 1977-06-18 1979-01-04 Volkswagenwerk Ag Sicherheitsgurteinricht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S6111085Y2 (ko) * 1979-10-16 1986-04-08
GB2113531A (en) * 1982-01-18 1983-08-10 American Safety Equip Safety belt retractor tensionless means override for automobile passenger restraint systems
DE3603670A1 (de) * 1986-02-06 1987-08-13 Autoflug Gmbh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komforteinrichtung
DE3805007A1 (de) * 1987-10-31 1989-05-18 Kern & Liebers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frollen eines sicherheitsgurtes
GB2248118B (en) 1990-09-01 1994-03-30 Palintest Ltd Colour test card
DE4209540A1 (de) * 1992-03-24 1993-09-30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an der Gurtspule angreifendem Gurtstraffer
DE4227781C2 (de) * 1992-08-21 2001-06-13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an der Gurtspule angreifendem Gurtstraffer
DE4331027C2 (de) * 1993-09-13 1998-07-23 Autoliv Dev Gurtaufroller-Gurtstrammer-Kombination mit Kraftbegrenzer
DE29613044U1 (de) * 1995-11-09 1996-11-0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9706108C2 (de) * 1996-02-16 2002-01-10 Nsk Ltd Sicherheitsgurtaufroller
US5618006A (en) * 1996-02-23 1997-04-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16C (zh) 2002-03-06
EP0842066B1 (en) 2000-05-17
KR100280946B1 (ko) 2001-04-02
WO1997004996A1 (en) 1997-02-13
DE69608445D1 (de) 2000-06-21
JPH11510450A (ja) 1999-09-14
JP3752590B2 (ja) 2006-03-08
BR9609941A (pt) 1999-05-18
AU6673096A (en) 1997-02-26
CN1198714A (zh) 1998-11-11
DE69608445T2 (de) 2001-02-08
US6131843A (en) 2000-10-17
EP0842066A1 (en) 1998-05-20
ES2147929T3 (es) 2000-10-01
DE19528115A1 (de)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946B1 (ko) 안전벨트 수축장치 기구
US5938135A (en) Webbing retractor
JP261039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US5788176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belt tensioner acting on the belt reel
US5522564A (en) Safety belt reeling device and safety belt tightening device combination with power limiter
JP3890608B2 (ja) 力制限器を有するベルト巻き付け器−ベルトテンショナ組合わせ
EP0962365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636467B1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US5628469A (en) Belt retractor with an integrated belt pretensioner and an energy converter
US5967441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torsion bar and rotation limit
US20150224960A1 (en) Belt retractor for a seat-belt
EP1283137B1 (en) Pretensioner
US7232089B2 (en) Seat belt retractor
JP4070383B2 (ja) 安全ベルト装置
US6578786B2 (en) Seat belt retractor with load absorbing mechanism
JPH03551A (ja) 安全ベルト巻取り装置
KR20230038536A (ko) 벨트 리트랙터
US6412875B1 (en) Seatbelt system
WO2005120911A1 (en) Safety apparatus
KR20040097361A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EP0680855B1 (en)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an energy absorbing device
US5299830A (en) Safety belt pre-tension assembly
WO1997020713A1 (en) Safety belt retractor
GB2323265A (en) Seat belt retractor
JP415392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