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988A -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 Google Patents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988A
KR19990035988A KR1019980700650A KR19980700650A KR19990035988A KR 19990035988 A KR19990035988 A KR 19990035988A KR 1019980700650 A KR1019980700650 A KR 1019980700650A KR 19980700650 A KR19980700650 A KR 19980700650A KR 19990035988 A KR19990035988 A KR 1999003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ect
outer member
inner member
opening
anch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크린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크린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크린너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크린너
Publication of KR1999003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08Radially acting cam or eccen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Revetment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Found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Earth Drill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폴 또는 포스트형의 물체(4)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앵커 장치는 지중으로 드릴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나사부, 관부(6)에 대하여 직립한 위치에 물체(4)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8)가 위치된 상기 물체(4)를 지지하도록 고안된 관부(6)를 가진다.
상기 목적물을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는 상기 장치(8)는 상기 관부(6)내에 위치하며 상기 물체(4) 둘레에 적합한 개구(24)를 가지는 지지 요소(14;66)를 가진다.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관부(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물체(4)의 세로축(LG) 방향을 상기 관부(6)의 세로축 방향에 대하여 조정되도록 하며 임의 선택된 위치에 로크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폴, 말뚝 또는 포스트를 세우거나, 예를 들어 울타리를 올리거나 도로표지 등을 세울 때 상기 말뚝이나 포스트 등을 가능한 한 정확히 수직인 위치로 유지하데 어려움이 항상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지중에 박거나 또는 콘크리트내에 묻어 폴,말뚝 또는 포스트형 물체가 지중에 부착 또는 고착될 때, 수준기(spirit line)나 버티컬라인(vertical line)에 의하여 수직 정렬을 검사하고 가능한 그것을 수정하여 수직 정렬을 달성할 수 있다. 말뚝이나 포스트를 지중에 박을 때, 박는 작업은 수직 정렬을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수정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중단되기 때문에 어렵고 시간이 소비된다. 폴 또는 포스트를 콘크리트내에 묻을 때, 콘크리트가 아직 경화되기 전에는 어려움 없이 수직 세움은 정정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 정렬이 저절로 더 이상 변화되지 못하도록 콘크리트가 경화될 때까지 이것을 수직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즉 상기 폴 또는 포스트는 예를 들어 측면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버팀대로 괴어져야 한다.
박거나 파거나 또는 폴 또는 포스트를 콘크리트에 묻는 것을 제외하더라도, 지중에 고착된 후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를 그것의 상부 자유 단에서 지지하는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주지이다. 지중에 고착되기 적합한 고정 장치는 콕스크류(corkscrew)와 같이 땅속으로 회전하여 들어가는 웜(worm) 또는 스크류(screw)로 구성되며 상기 폴 또는 포스트는 그후 상기 고정 장치에 스크류(screw)되거나 또는 동일하게 삽입된다. 이에 대한 예가 DE-GM 93 13 258에 기술되어 있다.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 및 고정 장치가 일 조각의 콕스크류처럼 지중에 고착되기 적합하게 디자인되어, 상기 물체는 상기 고정 장치를 그 자유 일단에 포함한 후 지중에 삽입되고 고착되는 것은 주지이다.
이러한 두 방법 또는 폴 또는 포스트를 세우는 이러한 가능성에는, 본질적으로 폴 또는 포스트의 수직 정렬에 관한 동일한 문제가 폴 또는 포스트를 박거나 또는 콘크리트내에 묻으려 할 때 발생한다. 박는 작업 대신에, 지중으로 고정 장치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중단되어 필요하다면 적당한 측정수단이나 보정 작업에 의하여 폴 또는 포스트의 후의 수직 정렬을 보장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미 조정 메커니즘이 상기 고정 장치에 배열되어 상기 고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물체의 위치를 조정 가능케 하였다. 예를 들어, 볼과소켓 결합에 의하여 지대(ground plate)에 대하여 포스트의 수직 조정 가능성이 DE-GM 88 09 142에서 보여진다. 지지 부재내 장방형 수축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폴 또는 포스트의 정렬이 가능함이 미국 4,199,908에 기술되어 있다.
DE-GM 88 09 142에는 필연적인 구조상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볼 헤드를 감싸는 상기 볼소켓을 조일 때 상기 소켓내에 돌기부는 상기 볼 헤드의 재료내로 파 들어가 부가적으로 포지티브 록킹(positive locking)에 의하여 상기 폴의 위치를 보장한다. 실제 상기 지지 요소의 탑재 위치를 변화하는 이 수단에는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하여 상기 볼의 다른 위치가 요구되며, 상기 볼 헤드는 상기 돌기에 의하여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폴은 더 이상 안전하게 새로운 위치에서 상기 볼 소켓에 의하여 유지되지 않으며 변화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US-PS 4,199,908에 따른 조정 기구는 하나의 평면내에 오직 하나의 조정만을 할 수 있다. 더욱더, 기저암(bottom arm)이 콘크리트 기초내에 일정 깊이에 고착되어 구멍이 지지 부재의 장방형 구멍과 정렬되는 올바른 기능을 보장하는데 있어서, 일 방향으로 상기 조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두 구멍을 상기 스크류가 더 이상 통과할 수 없는 이유로 구조상 치명적 단점을 가진다.
동일 출원인의 DE-GM 93 13 260으로부터, 지중으로 드릴 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나사부와 물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관부와 상기 물체를 상기 관부에 대하여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안출되고 상기 관부에 위치하여 상기 나사부가 지중으로 정확히 수직인 방법으로 드릴 되지 않더라도 상기 물체가 수직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로 구성된 폴 또는 포스트 등을 지중에 고정하는 앵커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알려져 있다.
비록 DE-GM 93 13 260에 기술된 앵커 장치는 실제 성공적으로 향상된 것이지만, 그것들은 아직도 한 번 선택된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의 위치는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주조작(major manipulation)에 의하여 앵커 장치에 관하여 변할 수만 있는 작은 결점을 가진다. 그래서 몇 드로우 스핀들(draw spindle)은 완화되어야 하며, 및/또는 다른 두껍거나 얇은 와셔 프로필(washer profile)들이 상기 앵커 장치에 대하여 상기 물체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데 이용되어져야 한다. 만약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하여 기울어진 위치로 힘을 받는 울타리의 경우에, 각각의 포스트를 수직 위치로 다시 가져오는 것은, DE-GM 93 13 260에 의한 앵커 장치로는 아마 다수의 개개 앵커 장치가 재조정되어야하며, 이것은 시간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실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된다.
이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의한 바와 같은 앵커 장치를 고안하여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직 위치에 세우고, 필요하다면 이 수직 위치 또는 정렬을 빠르게 재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전제부 1에 따라 폴 또는 포스트형(pole or post-like) 물체용 앵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상 내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단면선 B-B에 의한 내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상 외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선 B-B에 의한 외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 부재와 내부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로 내부 부재내 형성된 개구는 최대 편심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시로, 내부 부재의 수취 개구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열되어있다.
도 5a 및 5b는 외부 부재에 상대적으로 내부 부재를 회전시켜 내부 부재의 세로축이 수직 위치로부터 경사지게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의 요지와 같은 보조 도구에 의하여 목적물을 정확히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편심의 방향과 정도가 내부 및 외부 부재에서 어떻게 정해지고 조정되는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a 내지 도 4에 따른 내부 및 외부 부재를 이용한 발명에 따른 앵커 장치의 실시예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내의 평판같은 지지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정된 형태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를 지중에 고착하기 위한 장치는 지중으로 드릴 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나사부와 물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관부와 상기 물체를 상기 관부에 대하여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고안되고 상기 관부에 위치하는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물체를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관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물체 둘레에 적합한 개구를 가지는 지지 요소를 가지며,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관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물체의 세로축 방향을 상기 관부의 세로축 방향에 대하여 조정되도록 하며 임의 선택된 위치에 로크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치는 일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를 상기 관부내 직립한 위치에 유지를 가능케 하여 상기 물체가 수직적으로 정확하게 위치되며, 한편 상기 관부에 대한 상기 지지 요소의 이동성은, 필요하다면 상기 관부에 대하여 상기 물체의 재조정을 가능케 하여, 예를 들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앵커 장치가 지중에 위치하며, 그러한 위치가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의 경사를 수반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물체는 상기 앵커 장치에 대하여 원 수직 위치를 다시 복원하기 위하여 재조정될 수 있다.
상기 물체가 임의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관부에 대하여 로크된 장소에 남는다는 사실 때문에, 부가적인 고정 또는 부착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고정 또는 부착 수단은 재조정 작업을 위하여 완화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좀더 이로운 개선사항은 종속항들의 요지이다.
상기 지지 요소내 상기 개구는 상기 관부의 세로축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편심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이 선호된다. 만약,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 요소가 더욱이 상기 관부에 관하여 회전 가능하다면, 단순한 구조적 설계로 상기 관부의 세로축 방향에 대한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의 세로축 방향을 모든 면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상기 관부의 세로축을 중심선으로 가지는 원뿔의 외부 표면영역에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의 세로축이 위치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일치하여,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관부에 배열되고 지지 개구를 설정하는 환상 외부 부재 및 상기 환상 외부 부재의 상기 지지 개구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물체용의 수취 개구(receiving aperture)를 설정하는 환상 내부 부재를 가지는 두 부분으로 고안된다.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가 조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취 개구의 중심은 상기 환상 내부 부재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치우치며 상기 지지 개구의 중심은 상기 환상 외부 부재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치우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하며 동시에 강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부의 세로축 방향에 대한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의 세로축 방향을 모든 면에 대하여 조정함을 가능케 한다.
상기 외부 부재 및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를 상기 관부에 대하여 트위스트 시킬 수 있고, 상기 내부 부재를 상기 외부 부재에 대하여 트위스트 시킬 수 있는 도구를 위하여 부속점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외부 부재 및 내부 부재는 모두 그것들의 최소의 두께를 가지는 벽영역에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슬릿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이것은 상기 관부에 대하여 상기 외부 부재를 만들고, 상기 외부 부재의 상기 지지 개구에 대하여 상기 내부 부재가 약간 간섭되게 하여 상기 외부 부재가 관부내에 슬라이트 압착 끼워맞춤(slight press fit)을 가지며 또한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상기 지지 개구내에 슬라이트 압착 끼워맞춤을 가지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외부 부재 및 상기 내부 부재는 서로 및 상기 관부에 대하여 어떠한 부가적 수단 없이 전적으로 마찰에 의하여 로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중 공차 변화는 거의 완전하게 보상된다. 더욱더 상기 물체의 지름에 관하여 특정된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기 위하여 상기 물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취 개구를 만드는 것은 특히 선호된다. 이것 및 내부 부재내 상기 슬릿에 의하여, 상기 내부 부재가 물체에 눌려질 때 상기 내부 부재는 약간 넓어지거나 확장되어 압착 끼워맞춤에 의하여 상기 물체 위에 위치하고, 위치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손실될 수 없다. 더욱더, 상기 약간 확장된 내부 부재를 상기 외부 부재의 상기 지지 개구내로 힘을 가할 때, 상기 내부 부재는 죄어져서 그것은 상기 물체와 밀접한 접촉을 하게되며 안전하게 물체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 부재는 또한 안전하게 외부 부재의 지지 개구내에 유지된다.
상기 지지 개구 및 상기 수취 개구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부재도 각각의 세로축에 대하여 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벽을 가지는 게 선호된다. 상기 외부 부재의 지지 개구내 상기 내부 부재의 피트(fit) 뿐만 아니라 상기 관부내 외부 부재의 피트는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보장된다. 더욱이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가 원뿔형 표면을 따라 서로에 관하여 움직일 때, 상기 물체는 단순하지만 신뢰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부재의 수취 개구에 죄어지거나 고정된다.
만약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수취 개구의 내부 주위벽에 주위를 따라 레일형 돌기를 가지면,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는 상기 설정된 선 또는 에지에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잘 지지된다.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세로축은 상기 외부 부재의 세로축에 대하여 상기 내부 부재를 외부 부재에 관하여 회전시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큰 조정각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취 개구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내의 상기 관부의 상부 자유 단에 고정되거나 위치될 수 있는 평판같은 지지 요소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상기 관부의 세로축에 방향에 대하여 상기 물체의 세로축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앵커 장치에 대하여 상기 물체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평판같은 지지 요소는 상기 관부의 방사상 플랜지에 상기 플랜지 나사부분에 조여질 수 있는 관통 볼트 및 간섭성 구멍내 평판같은 지지 요소의 관통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간섭성 구멍 때문에 상기 평판같은 지지 요소는 상기 관부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관통 볼트에 의하여 상기 평판같은 지지 요소는 강한 유지 힘에 의하여 상기 관부에 부착되어,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별한 외부 영향에 의하여 또는 그들 자체 하중에 의하여 높은 부하에 노출된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가 유지된다.
상기 수취 개구는 상기 평판같은 지지 요소의 물질을 방사상으로 향하는 주위벽으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슬릿을 가지는 실질적인 원이다. 상기 수취 개구의 주위는 다수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텅(tongue)들에 의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는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부는 최소한 내부 단면내 상기 지지 요소에 대향하는 세로 단면에 원뿔형 하방향으로 테퍼(taper)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뿔형으로 테퍼된 세로 단면은 상기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를 위한 하부 지지점으로 구성되며, 이 세로 단면은 원뿔형으로 테퍼되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특별한 고정 수단의 필요 없이 다른 직경의 물체들에도 적합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해석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 하기의 실시예로부터 명확하다.
도 1a 내지 4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 4를 고착하기 위한 앵커 수단 2는 실질적으로 상기 물체 4를 지지하도록 안출된 관부 6 및 상기 관부 6에 대해 직립한 위치로 상기 물체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8을 포함한다. 도 7의 관부 6의 하측단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도시되지 않음), 상기 나사부에 의해 앵커 장치 2를 지면에 드릴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제거할 수 있다. 나사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동일 출원인의 DE-GM 93 13 258에 서술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은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사용한다.
도 7에서 관부 6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원통 단면을 가지는 상부 10과, 상기 상부와 아래 방향으로 접하여 위치하며 도시되지 않은 나사부를 향하여 원뿔 모양으로 테퍼되는 부분 12를 포함한다.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일부분 10의 상부 개방단에는 직립한 위치로 상기 물체 4를 유지하기 위해 안출된 장치 8이 배치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4에 의하면, 상기 장치 8은 상기 관부 6에 배치된 환상 외부 부재 16(도 2a 및 도 2b) 및 환상 내부 부재 18(도 1a 및 도 1b)로 구성되는 2개의 조각으로 안출되는 지지 요소 14에 의해 구성되며, 도 7에 의하면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부부터 상기 관부 6의 개방단으로 삽입되어 환상적으로 주변을 둘러싸는 플랜지 또는 숄더 20에 의해 상기 관부 6의 상단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기 내부 부재 18이 회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지 개구 22를 형성한다. 도 7에 의하면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물체 4를 수취하기 위한 수취 개구 24를 형성한다.
도 1a, 도 2a,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은 밀폐된 환상 원주 모양이 아니며, 이들의 각각은 축방향 및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슬릿 26 및 28을 가진다. 또한 도 1a 및 도 2a에 따라 상기 지지 개구 22 및 수취 개구 24의 중심은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의 외주 중심과 일치하여 정렬되지는 않지만, 이들에 대한 소정의 편심력 E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도 2a 및 1a의 평면도에 의하면,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은 낫 또는 달 모양이며, 상기 슬릿 26 및 28은 벽의 두께가 가장 얇은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부재 18의 외부 직경은 상기 지지 개구 22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지만, 또한 이보다 다소 클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상기 외부 부재 16의 외부 직경은 상기 관부 6의 상부 1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클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그리고 상기 슬릿 26 및 28의 디자인에 의해, 상기 영역 10의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지지 개구 22의 상기 내부 부재 18의 압력이 유지되며 이들이 가볍게 포지티브-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기 관부 6에 대하여 단단하게 회전하며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하여 단단하게 회전한다. 또한 도 1b에 의하면 상기 내부 부재 18은 그 외부면 30에서 약간 원뿔형이며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기 지지 개구 22의 내부면 32에서 약간 원뿔형이기 때문에 도 7에 의하면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지지 개구 22에서 안전하게 유지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관부 6의 내부로 아래를 향하여 떨어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개구 22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의 직경비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지지 개구 22의 그 외부면 30에서 그리고 외부 부재 16은 상기 지지 개구 22의 그 내부면 32에서 원뿔형으로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직경비는 강화된다. 상기 지지 개구 22내에 고정된 상기 내부 부재 18의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지지 개구 22안으로 다소 깊게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슬릿 26 및 28 덕택에, 특히 상기 내부 부재 18의 상기 슬릿 26 덕택에,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취한 상기 방법은 상기 물체 4를 고정하는 상기 수취 개구 24의 직경이 상기 물체 4와 비교하여 명시된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조된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물체 내에 상기 내부 부재 18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사실에 의해 그리고 상기 내부 부재 18에 제공된 슬릿 26에 의해, 상기 내부 부재가 다소 넓어지고 확장되기 때문에, 압착 끼워맞춤(press-fit)에 의해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물체 4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위치에서 빠져 나오거나 손실되지 않는다. 또한 다소 확장된 내부 부재 18이 상기 외부 부재 16의 상기 지지 개구 22안으로 충분히 깊게 압착되면, 상기 내부 부재 18을 조이고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는 상기 물체 4의 외주와 밀접하게 접촉하고/또는 이를 안전하게 고정하며 또한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외부 부재 16의 상기 지지 개구 22에서 안전하게 유지된다.
상기 수취 개구 24의 내부면 34의 원주를 따라 레일형의 돌기 36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은 그들의 상부면에 도구를 부속하는 지점으로 사용되는 관통 또는 앞이 막힌 구멍 형태의 부속점 38을 가진다. 상기 부속점에 의해, 상기 외부 부재 16을 상기 지지 요소 14에 대해 트위스트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해 트위스트할 수 있다. 상기 부속점 38을 디자인하는 하나의 가능성 및 적당한 도구에 대한 하나의 가능성은 분리 그라인더의 디스크를 탑재하고 분해하기 위한 기지의 도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체 4를 원주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의 상기 지지 개구 22 안으로 충분히 깊게 삽입하거나 힘을 가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물체 4의 직경과 비교하여 명시된 것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조된 상기 수취 개구 24에 의해 방사상 외부를 향하여 작용하며 상기 외부 부재 16을 상기 관부 6에 대해 조이고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하여 조이고 상기 물체를 상기 내부 부재 18에 대하여 조이는 분력이 발달되기 때문에, 상기는 내부 부재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치수로 인하여 상기 관부 6에 대한 상기 외부 부재 16의 회전 및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한 상기 내부 부재 18의 회전은 완만해진다. 소정의 환경 하에서 이러한 트위스트 가능성을 더 줄이거나 이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예를 들어 결합용 장치는 관부 벽을 통과하고 외부 부재의 외주에서 끝나는 구멍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암나사를 구비하기 때문에 6각형 소킷 나사(socket screw) 또는 그럽 나사(grub screw)는 상기 구멍내로 조여지게 된다. 상기 나사를 조임으로써 따라서 외부 부재는 상기 관부에 대하여 팽팽하게 트위스트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관부 사이의 적당한 회전 흐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로크 나사와 함께 연결되는 이러한 결합용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물체 4와 관련하여 명시된 것보다 작은 치수를 가지도록 바람직하게 제조된 원뿔형 표면 30, 32 및 수취 개구 24 때문에 충분히 방사상으로 작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기 관부 6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트위스트되며,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트위스트되며, 상기 물체 4는 상기 내부 부재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트위스트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추가 결합용 장치는 불요하거나 또는 단지 극단의 경우에만 필요하다.
도3 및 도4에서 잘 도시하고 있듯이, 도 7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소정의 양으로 상기 내부 부재 18이 상기 외부 부재 16을 향하여 트위스트되어 상기 물체 4의 세로축 LG가 상기 앵커 수단 2 및 상기 관부 6의 세로축 LB로부터 떨어져 위치할 경우 상기 지지 개구 22 및 상기 수취 개구 24의 편심력 E에 기인하여 상기 수취 개구 24는 상기 지지 요소 14의 외주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수취 개구 24의 위치는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한 상기 내부 부재 18의 상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공된다. 상기 내부 부재 18 및 상기 외부 부재 16의 편심력 E에 의해 결정되는 양만큼 각각의 희망 방향으로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해 적절히 트위스트함으로써 그리고 가능하다면 상기 외부 부재 16을 상기 관부 6에 대해 적절히 트위스트함으로써, 상기 물체 4를 상기 원뿔형 부분 12의 하단에 의해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부 6의 가능한 비스듬한 위치를 다시 보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물체 4를 정확하게 수직 또는 수직 위치로 유지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물체 4는 상기 수취 개구 24의 원주 방향의 돌기 36상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물체는 한편으로는 상기 수취 개구 24에서 안전하게 유지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원뿔 부분 12의 하단에서 안전하게 유지되어 기울거나 흔들리지 않는다.
편심의 방향 빛 그 양을 조절할 때, 상기 외부 부재 16은 편심의 방향을 다시 말해 상기 체결되는 물체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미리 결정하여 지중에 박히는 앵커 장치의 비스듬하거나 경사진 부분을 보상하고 상기 내부 부재 18은 편심 다시 말해 경사각의 양을 미리 결정한다.
상기 내부 부재 18이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하여 팽팽하게 트위스트하고 가능하다면 상기 외부 부재 16이 상기 관부 6에 대하여 팽팽하게 트위스트함에 따라, 상기 물체 4에 의해 다소 넓어지고 확장된 갭 28이 다시 압축되는 동안 바람직하게 합성 물질로 제조된 상기 외부 부재 16은 상기 관부로 압착되고 이와 유사하게 -가능하다면 갭 26을 압축하는 동안- 바람직하게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지지 개구 22로 압착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부재 18과 상기 외부 부재 16사이 및 상기 외부 부재 16과 상기 관부 6 사이의 부속점 38에 의해 조정되는 상관 위치를 항상 유지하며 따라서 상기 물체 4의 위치 또한 유지한다. 주요 하중이 예상되고 상기 물체 4에 대하여 작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통과하는 운송도구에 의한 영구 진동, 강한 풍력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전술한 로크 수단을 추가해서 제공하는데, 상기 수단에 의해 적어도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관부 6의 각각의 상호 상관 위치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지지 개구 안으로 더 깊게 압착하는데 필요한 만큼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한 상기 내부 부재 18의 지지력 및 상기 개구 24와 상기 물체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30, 32의 원뿔형 형태 때문에 그리고 상기 내부 부재 18에 제공된 상기 갭 26 때문에, 이 결과로 상기 내부 부재는 함께 방사상으로 압착되어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한 그 지지 및 상기 관부 6에 대한 그 지지 또는 체결 및 상기 물체 4에 대한 체결을 개선하고 강화한다. 상기 내부 부재 18은 도구, 예를 들어 망치 또는 이와 유사한 도구에 의해 더 깊게 압착될 수 있으며, 또는 아니면 도 10에 따라 추가 분할 테퍼 소킷 48을 사용한다.
도 10에서는 도 7에서 사용한 참조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또는 해당 요소를 표시하며 여기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기 않는다.
도 10에 따라 상기 분할 테퍼 48은 상기 관부 6의 상측 자유단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 또는 상기 실시예의 변경에서, 상기 외부 부재 16의 숄더 20은 상기 외부 부재 16의 상기 지지 개구 22의 원뿔형 형태와 일치하도록 다시 말해 상기 원형의 원주방향의 숄더 20은 상기 외부 부재 16의 상기 지지 개구 2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디자인되기 때문에, 도 10에 따른 도면에서 상기 숄더 20은 우측보다는 좌측상의 관부 6의 자유단으로부터 더 돌기된다. 도 10에서 예시하고 있듯이, 상기 소킷 48은 바닥으로부터 상기 외부 부재 16의 숄더 뒤로 확장되고 상기 관부 6의 외주 벽과 인접한 돌기부 50의 안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숄더 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부 50은 그 주변 확장에 있어서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이와 유사하게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상기 지지 개구 22의 편심력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도 10의 부 50은 좌측상에서 더 두꺼워지며 이에 따라 우측상에서는 더 얇아지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숄더 20의 하측에 의해 항상 지지된다. 상기 분할 테퍼 소킷 48은 중심 개방 52를 구비하는데, 상기 중심 개방을 통해 상기 물체 4가 통과한다. 개방 52 아래에 짧은 수직부 56 및 상기와 수직인 원주방향의 칼라(collar) 58을 포함하는 다른 소킷 54가 제공된다. 도 10에서 예시하고 있듯이, 상기 물체 4는 상기 부 56에 의해 구성되는 소킷 54의 개구를 통과한다. 하측 자유 수직부 56은 상기 내부 부재 18의 상측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물체 4를 상기 내부 부재 18 및 상기 외부 부재 16에 의해 관부 6과 직립한 위치로 유지한 후, 상기 물체 4를 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물체 4가 관부 6에 삽입되기 전에, 우선 분할 테퍼 소킷 48을, 그 다음으로는 소킷 54를 상기 물체 4의 하측 자유단으로부터 동일상으로 압착한다. 그 후, 내부 부재 18 및 외부 부재 16을 사용하여 상기 관부 6에 대해 상기 물체 4를 적당하게 배치하는데, 만약 필요하다면 적당한 도구 및 구멍 38을 사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그 후 상기 소킷 54를 상기 물체 4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하고 상기 내부 부재 18의 상측상에 놓이도록 하고 따라서 상기 분할 테퍼 소킷 48은 상기 숄더 20 뒤로 그리고/또는 아래로 스냅(snap)된다. 상기 분할 테퍼 소킷 48의 상측상으로 강하게 접근함으로써 상기는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칼라 58을 통해 상기 소킷 54에 힘을 가하며 따라서 상기 부 56을 통해 상기 내부 부재 10은 상기 외부 부재 16을 향하여 더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후자는 슬릿 26 뿐만이 아니라 원뿔형 표면 30, 32에 의해 방사상으로 압축되며, 다른 한편 상기 지지 개구 22 및 상기 외부 부재 16에서 상기 물체 4 및 그 자체를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분할 테퍼 소킷 48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 안으로 신속하고 교묘하게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앵커 장치 2의 세로 축 LB에 대해 미리 설정한 상기 물체의 경사 위치를 정정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동등하게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또한 상기 분할 테퍼 소킷 48은 상기 관부 6의 상측 에지에서 수나사와 함께 체결되는 단일 너트일 수 있으며, 상기 수나사로 조이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소킷 54에 해당하는 추가 수단을 중간에 위치시키지 않고- 상기 내부 부재 18을 상기 외부 부재 16으로 삽입한다. 그 후 상기 외부 부재 16, 상기 숄더 및 상기 돌기 50은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 너트는 상기 돌기 50에서 방사상 외부로 형성된 수나사와 함께 체결된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이점을 가진다. 꽉 조인 단일 너트 때문에 상기 내부 부재 18 내부로 영구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수취 개구 24에서 상기 물체 4를 특히 진동 또는 충격에 강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물체 4는 정확하게 조정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수직 배치가 변화하며, 부속점 38에서 도구를 사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관부 6에 대해 변화하는 상기 개구 24의 편심력에 의해 상기 물체 4가 다시 수직으로 유지될 때까지 서로에 대한 상기 내부 부재 18,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관부 6의 각각의 상관 위치를 변경하기에 충분하다. 필요한 주조작을 하지 않고 신속하고 쉽게 이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경을 도시하는데 도 1a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관부 6에 대한 물체 4의 경사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지중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드릴되는 바닥 은못(dowel)상이 아니라 지대 62를 향하여 원뿔형으로 가늘어지는 원주 벽 64를 포함하는 컵 모양의 지면 지지 60상에 드릴된다. 예를 들어, 지대 62를 지면과 나사로 고정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에 박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콘크리트에 고정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관부 6을 모든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하도록 한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직에 대해 비스듬하게 확장된 외부 부재 16에 지지 개구 22를 도입하며 내부 부재 18의 외부면 30은 도 5a에 따른 위치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여기에 해당하는 사선 모양이다. 내부 부재 18 및 외부 부재 16의 2개의 슬릿 26, 28은 서로 마주보며(도 4와 유사함), 상기 내부 부재 18의 세로축은 상기 관부의 세로축과 일렬로 정렬되며, 다시 말해, 이는 이상적인 경우 정확하게 수직이다. 상기 내부 부재 18이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해 트위스트되며, 상기지지 개구 22를 구성하는 상기 외부 부재 16의 내부면 32의 사선 확장 때문에, 도 5b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외부 부재 16에 대해 기울어지며 따라서 상기 관부 6에 대해 기울어진다.
도 1a 내지 도 4 및 도 7 또는 도 10 각각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이 실시예는 상기 수취 개구 24내에 유지되는 물체 4의 매우 큰 경사 또는 구배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히 도 1 내지 4에 따른 상기 수취 개구와 상기 지지 개구의 편심적 정렬은 도 5a 및 5b에 따른 개구들의 구배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뿔면 30 및 32의 정렬은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부재 16의 외부 원주면 및 상기 관부 6의 내부 원주면은 원뿔형일 수 있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부분 및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도 8 및 9에 따른 실시예는 원통형 부분 10 과 도 8에서는 보이지 않는 나사 부분이 연결된 하부 말단으로 원뿔형 테퍼된 부분 12를 포함하는 상기 관부 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체 4는 상기 관부 6내에 상기 지지 요소 14에 의하여 유지되며, 두 번째 실시예에서 이 지지 요소 14는 중앙부에 상기 개구 24를 가지며 예를 들어 도 9에 따라 원형인 판 66이다. 상기 판 66은 상기 관부 6에 방사상 플랜지 68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기 플랜지 68은 상기 관부 6의 상부 자유 에지에서 원주형이며 상기 판 66을 지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 66은 상기 개구 24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다수의 구멍 70으로 구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삽입된 와셔 74와 함께 상기 판 6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구멍 70을 관통하고 상기 플랜지 68을 조이는 볼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필요하다면 상기 볼트 72에 충분한 나사 길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삽입물이 상기 플랜지 68의 하면에 놓여질 수 있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구멍 70들은 상기 볼트 72들의 외부 지름에 대하여 간섭하여 상기 볼트 72가 단단히 조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판 66은 수평 평면내에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어서 상기 개구 24의 중앙은 상기 앵커 장치 2의 세로축 LB에 의하여 편심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수취 개구 24내에 유지되는 상기 물체 4는 상기 앵커 장치 2의 세로축 LB에 관한 것처럼 자체의 세로축 LG와 함께 편심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물체 4의 하부 자유 단은 상기 관부 6의 하부 원뿔 부분에 유동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볼트들이 적절히 조여지는 경우, 상기 판 66의 상기 관부에 대한 움직임은 어렵거나 완전히 봉쇄되어 상기 판 66의 위치는 장소에 로크되어 유지된다. 상기 판 66 과 상기 플랜지 68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재료로 만들어진 링을 필요하다면 삽입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원형 수취 개구 24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슬릿 76들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슬릿들은 상기 수취 개구 24로부터 떨어진 일단은 원형으로 되어 크랙(crack)의 생성을 피한다. 상기 지지 개구 24의 영역내에 있는 슬릿 76들에 의하여 상기 판 66의 재료는 탄성적이 되며 따라서 상기 각각의 슬릿 60간에 형성된 상기 텅의 변형에 상응하여 상기 물체 4는 상기 수취 개구 24내에 다소간 강하게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지지는 도 8에 따른, 상기 판 66이 약간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사실에 의하여 강화된다. 상기 물체 4가 상기 수취 개구 24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 72가 조여질 때 상기 판 66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개구 24의 직경의 감소 및 상기 슬릿 76들간의 상기 텅의 동시적 스프링-오프에 의하여 수반되어, 변형되며 따라서 상기 물체 4는 안전하게 상기 원주위에 고정되며 상기 원뿔형으로 테퍼된 부분 12의 방향으로 끌려진다.
상기 첫 실시예처럼, 상기 수직 위치에 상기 물체를 새롭게 정렬하기 위하여, 한 번 선택된 상기 앵커 장치 2의 축에 대하여 상기 물체 4의 세로축 LG의 편심은 임의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및/또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볼트 72를 풀고 상기 판 66을 상기 판 66의 설정 범위 내에서 이동시켜 움직일 수 있다. 오직 필요한 작업은 상기 볼트 72를 풀고 그후 다시 조이는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또는 상기 물체를 정확히 수직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편심의 방향 및 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부재 18 및 외부 부재 16에서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보조 기구 78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따르면, 상기 보조 기구 78은 짧은 수직 연결 부분 80 및 그것 위에 연결된 숄더 8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분 80의 외부 지름은 상기 관부 6의 상부 자유 단의 내부 지름에 대응하며 따라서 상기 보조 기구 78은 상기 외부 부재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관부 6의 상부 자유 에지에서 지지된다. 상기 숄더 82는 주지의 방법에 의하여 디자인된 기포 레벨(bubble level, 84)이 배열된 폐곡면의 일부분이다. 상기 레벨 84내에 기포 86이 주지의 방법으로 떠있다. 도 6b에 따른 상기 숄더 82에 위치한 상기 보조 기구 78의 평면도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원의 일부에는 0 부터 7까지 분할될 수 있는 제 1 스케일 88이 배설된다. 더욱더 상기 기포 레벨 84의 표시 유리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동심원이 제 2 스케일 90을 형성하며 배설되어있다. 상기 제 2 스케일 90은 상기 레벨 84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방사상으로 상기 숄더 82의 원주 에지까지 0 부터 7까지 분할될 수 있다.
도 6b에 따른 평면도에서 보면, 상기 기포 86은 상기 제2 스케일 90을 형성하는 동심원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며, 전체 배치는 정확한 수직 위치에서 유지된다. (수위의 법칙; principle of water level)
도 6b 내지 6c에, 어떻게 예를 들어 기포 레벨 84 또는 제 2 스케일 90에 의해 검출되는 관부 6의 경도가 물체를 직립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보정될 수 있는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편심의 방향 및 편심의 정도를 알아야 한다. 상기 외부 부재 16을 적당하게 트위스트함으로써 경도 방향을 보정하며, 상기 내부 부재 18을 적당하게 트위스트함으로써 경도의 정도를 보정한다.
도 6b에 의하면, 지중에 드릴되는 관부 6은 도 6b의 평면도에서처럼 좌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상기 레벨 84의 기포 86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을 벗어나 우측 상부로 편이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지정한 제2 스케일 90의 링상에 위치한다.
상기 기포 86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듯이- 0 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을 향해 제1 스케일 88의 숫자 7까지 확장되는 표시점 87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레벨 84는 회전한다. 상기 제2 스케일 90으로부터 판독되는 숫자 5는 상기 제1 스케일 88상에 관찰되며 상기 숫자 5의 위치는 예를 들어 석재 92와 같은 상기 관부 6과 인접한 물체에 의해 표시된다. 그 후 상기 외부 부재가 삽입되는 대신 상기 관부 6의 상부 자유 에지로부터 보조 도구 78이 빠져 나오기 때문에, 상기 외부 부재 16의 슬릿 28은 상기 석재 92의 방향으로 위치한다. 직경상 슬릿 28을 마주보는 상기 외부 부재 16의 반구 부분상에 0 내지 7사이의 범위를 갖는 -상기 제 및 제2 스케일과 유사한- 제3 스케일이 제공된다. 상기 내부 부재 18은 상기 외부 부재 18의 지지 개구 22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부재 18의 상측상의 표시 96은 상기 외부 부재 16의 제3 스케일 94의 숫자 5와 일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 부재 18의 슬릿 26은 상기 외부 부재 16의 슬릿 28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트위스트되어 또한 상기 내부 부재 18의 개구 24는 중심에 대해 소정의 방향과 양의 편심을 가지게 된다. 상기 편심은 방향 및 양에 있어 상기 관부 6의 원경도(original inclination)를 보상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물체 4는 정확하게 수직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도 6a 내지 도 6c에 따라 우선적으로 이전의 상기 보조 도구 78의 도움으로 상기 물체 4를 체결하는 동안 적은 수고로 상기 물체 4의 정확한 수직 배치를 조정하거나 아니면 이후에 상기 외부 부재 16 및 상기 내부 부재 18의 구멍 38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이전에 결정된 치수에 의해 상기 물체 4의 수직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내용 참조

Claims (11)

  1. 지중으로 드릴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는 나사부;
    관부(6)위에, 관부(6)에 대하여 직립한 위치에 물체(4)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8)가 배열된 상기 물체(4)를 지지하도록 고안된 관부(6);
    로 구성된 폴 또는 포스트형의 물체(4)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직립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상기 장치(8)는
    상기 관부(6)내에 위치하며 상기 물체(4) 둘레에 적합한 개구(24)를 가지는 지지 요소(14;66)를 가지며, 상기 지지 요소(14;66)는 상기 관부(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어 상기 물체(4)의 세로축(LG) 방향을 상기 관부(6)의 세로축 방향에 대하여 조정되도록 하며 임의 선택된 위치에 로크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 또는 포스트형의 물체(4)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24)는 상기 관부(6)의 세로축(LB)에 대하여 상기 지지요소(14)내에서 일 방향에 편심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4)는 상기 관부(6)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4)는 상기 관부(6)에 대하여 임의의 회전위치 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4)는 상기 관부(6)에 배열되고 지지 개구(22)를 설정하는 환상 외부 부재(16) 및 상기 환상 외부 부재(16)의 상기 지지 개구(2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물체(4)용의 수취 개구(24)를 설정하는 환상 내부 부재(18)를 가지는 두 부분으로 안출되며, 상기 개구(24)의 중심은 상기 환상 내부 부재(18)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치우치며 상기 개구(22)의 중심은 상기 환상 외부 부재(16)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치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16) 및 상기 내부 부재(18)는 상기 외부 부재(16)를 상기 관부(6)에 대하여 트위스트시킬 수 있고, 상기 내부 부재(18)를 상기 외부 부재(16)에 대하여 트위스트시킬 수 있는 도구를 위하여 부속점(3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16) 및 상기 내부 부재(18)는 각각 축방향 및 방사상으로 연속적인 슬릿(26,28)을 가장 얇은 두께의 벽영역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개구(22) 및 상기 수취 개구(24) 뿐만 아니라 내부 부재(18)도 각각 상기 각각의 세로축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연장된 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18)는 상기 수취 개구(24)의 내부 주위벽(34)에 주위를 따라 레일형 돌기(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16) 및 상기 내부 부재(18)는 합성 물질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11.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18)의 세로축은 상기 외부 부재(16)의 세로축에 대하여, 상기 내부 부재를 상기 외부 부재에 관하여 회전시켜 경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장치.
KR1019980700650A 1995-07-28 1996-07-18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KR19990035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12237.4 1995-07-28
DE29512237U DE29512237U1 (de) 1995-07-28 1995-07-28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stab-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988A true KR19990035988A (ko) 1999-05-25

Family

ID=801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650A KR19990035988A (ko) 1995-07-28 1996-07-18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050034A (ko)
EP (1) EP0842342B1 (ko)
JP (1) JP2996312B2 (ko)
KR (1) KR19990035988A (ko)
CN (1) CN1192258A (ko)
AT (1) ATE201080T1 (ko)
AU (1) AU6734696A (ko)
BG (1) BG102201A (ko)
BR (1) BR9609802A (ko)
CA (1) CA2224490A1 (ko)
CZ (1) CZ294319B6 (ko)
DE (3) DE29512237U1 (ko)
EA (1) EA000197B1 (ko)
EE (1) EE9800031A (ko)
HU (1) HUP9802767A3 (ko)
IL (1) IL123069A0 (ko)
LT (1) LT98019A (ko)
LV (1) LV12093B (ko)
MX (1) MX9800621A (ko)
NO (1) NO980323L (ko)
PL (1) PL189582B1 (ko)
SI (1) SI9620096A (ko)
SK (1) SK8298A3 (ko)
TR (1) TR199800120T1 (ko)
WO (1) WO1997005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0432U1 (de) * 1997-06-16 1997-08-07 Anger Bernd Dipl Ing Mast aus Stahlrohr in Mehrschußbauweise
CA2298532A1 (en) * 1997-07-28 1999-02-11 Klaus Krinner Device for vertical arrangement of a pole or post-like object
DE19836370C2 (de) 1998-08-11 2002-07-18 Klaus Krinn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festigungsvorrichtungen für Stäbe, Pfosten,Masten oder dergleichen im Erdreich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Befestigungsvorrichtungen
DE19900959B4 (de) * 1999-01-13 2004-05-27 Krinner Innovation Gmbh Mastjustierung für einen rohrförmigen Erdanker
DE19903387B4 (de) * 1999-01-29 2004-03-18 Krinner Innovation Gmbh Mastjustierung für einen rohrförmigen Erdanker
DE29924118U1 (de) 1999-05-21 2001-12-20 Krinner Klaus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DE19960854B4 (de) * 1999-05-21 2006-05-18 Krinner Innovation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US6260314B1 (en) * 1999-11-08 2001-07-17 Faroex Ltd. Extension piece for a utility pole
US7185461B2 (en) * 2001-03-30 2007-03-06 Kalitec Signalisation Inc. Anchoring member for a support post
US6419201B1 (en) 2001-08-24 2002-07-16 John M. Hughes, Jr. Self-supporting post leveling device
US20050247920A1 (en) * 2001-10-10 2005-11-10 Burkart Michael G Solar post attachment and method of use
DE10205721A1 (de) * 2002-02-12 2003-08-21 Biotronik Mess & Therapieg Führungsdraht und implantierbare Elektrodenleitung
US20030173474A1 (en) * 2002-03-15 2003-09-18 Taylor Scott A. Hanging apparatus, method and display rack
US6643974B2 (en) * 2002-03-20 2003-11-11 Windline, Inc. Pivoting rod holder
US6918213B2 (en) * 2002-04-29 2005-07-19 Stallion Fence Accessories Plastic pergola end caps of extended length
US6944994B2 (en) 2002-09-19 2005-09-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nchoring bracket
US7137608B2 (en) * 2002-10-18 2006-11-21 Willey Kevin E Multi-purpose upright support stand with leg assemblies having hinge-fitting
US7182301B1 (en) * 2003-07-21 2007-02-27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Mounting bracket for electronic device having dimensional inserts
US7437857B1 (en) * 2004-02-11 2008-10-21 Spectrum Products, Llc Compression anchor
DE102004012262B4 (de) * 2004-03-12 2010-01-07 Airbus Deutschland Gmbh Galley-Halterung
US7406777B2 (en) * 2004-04-15 2008-08-05 Fatigu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eccentric bushing
US20060175594A1 (en) * 2005-02-04 2006-08-10 Burkart Michael G Rail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US7779589B2 (en) * 2005-03-31 2010-08-24 Salman Mark T Post anchor/adapter system
DE102005023663B4 (de) * 2005-05-23 2009-05-14 Müller, Thomas Bodenhülse
JP4970463B2 (ja) * 2005-12-01 2012-07-04 ノク・ロク・ライセンシング・リミテッド ポスト用アンカー留めシステム
US7735273B2 (en) * 2006-01-17 2010-06-15 Morton Buildings Poured concrete column hole
US20080029749A1 (en) * 2006-02-01 2008-02-07 Macrae Carey Hollow Fence Post to Pipe Adapter
DE102006030735A1 (de) * 2006-06-30 2008-01-03 Leifheit Ag Justi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Bodenhülse
DE202006012355U1 (de) 2006-08-11 2006-11-09 Gross, Manfred Bodenbefestigungsvorrichtung für Rohre
US20080251666A1 (en) * 2006-10-11 2008-10-16 Thomas E. Long Balloon Holder Window Clip
CN101105840B (zh) * 2007-08-04 2010-09-22 杨友靠 一种新颖混合式点钞机
NZ561380A (en) 2007-09-10 2010-04-30 Puku Ltd An adjustable connector
US20090080968A1 (en) * 2007-09-25 2009-03-26 L.H. Thomson Company, Inc. Bicycle seat tube clamp and associated methods
DE102007061534A1 (de) 2007-12-20 2009-06-25 Leifheit Ag Bodendübel
US7677604B2 (en) * 2008-01-16 2010-03-16 Daffin Charles E Adjustable offset bushing type coupling
US7934567B1 (en) 2008-06-25 2011-05-03 John Madey Driving apparatus for planting a shaft in a granular base
US8667663B2 (en) * 2008-12-05 2014-03-11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Eccentric fitting assembly
CN101457598B (zh) * 2008-12-05 2011-04-20 重庆市电力公司 电杆防倒杆装置
FI121756B (fi) * 2009-05-15 2011-03-31 Grana Finland Ab Oy Menetelmä ja laite hanan kiinnittämiseksi kiinnitysalustaan
GB201012500D0 (en) * 2010-07-26 2010-09-08 Zaun Ltd Fence assembly
AU2010219374B1 (en) * 2010-09-10 2011-05-19 O'Halloran, Michael Mr A Method of Supporting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KR101066030B1 (ko) * 2011-01-27 2011-09-20 조영석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지주 및 핸드홀 커버 장치
DE202012006612U1 (de) 2012-02-01 2013-01-02 Krinner Innovation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stab-, pfosten- oder rohrförmigen Gegenstand
US9212501B2 (en) * 2013-09-27 2015-12-15 Glp Dundas Inc. Pole mounting system
US11371245B2 (en) 2013-10-25 2022-06-28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US11199007B2 (en) 2013-10-25 2021-12-14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US10041254B2 (en) 2013-10-25 2018-08-07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US10988931B1 (en) 2013-10-25 2021-04-27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CN105275252B (zh) * 2015-10-12 2017-07-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郓城县供电公司 防滑立杆扶正器
WO2017070688A2 (en) * 2015-10-22 2017-04-27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DE102016225914A1 (de) * 2016-12-21 2018-06-21 Gerhard Blome-Tillmann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stabförmigen Gegenstand
US10344496B1 (en) * 2018-04-24 2019-07-09 Adam S. Cefalo Anchoring device for a beach umbrella
US11053687B1 (en) * 2018-10-25 2021-07-06 Justin Oser Fascia saver device and system
US11982087B2 (en) 2019-05-17 2024-05-14 Mbrico, Llc Tile and support structure
RU198206U1 (ru) * 2019-11-26 2020-06-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опор с уплотнением грунта в основании конструкции
US11660716B2 (en) * 2020-06-04 2023-05-30 Goodri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hole assemblies with angular adjustment and lock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4979A (en) * 1919-05-27 hirshstein
US533906A (en) * 1895-02-12 Fence-post
US369371A (en) * 1887-09-06 Albion w
FR456603A (fr) * 1913-04-12 1913-09-01 Emil Dietliker Fixe-pieu
US1856000A (en) * 1930-04-22 1932-04-26 James C Smith Holder for trees, bushes, flowers, and the like
US2216208A (en) * 1939-08-07 1940-10-01 Joseph H M Michon Adjusting device for punchretaining blocks
DE1279899B (de) * 1962-06-16 1968-10-10 Ehrenfried Lippert Staenderfuss, insbesondere fuer Gartenschirme, Kleiderstaender, Christbaeume od. dgl.
FR1383253A (fr) * 1963-12-05 1964-12-24 Elément d'ancrage à vis
US3676965A (en) * 1970-10-15 1972-07-18 Robert F Deike Pole or post mounting for ground anchor
FR2095035A5 (ko) * 1971-05-25 1972-02-04 Bertrand Jean
US4279107A (en) * 1978-08-03 1981-07-21 Bollmann Jean Jacques Systems for anchoring structural members
US4225264A (en) * 1978-09-18 1980-09-30 Ly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engagement of misalignable flanges
US4261138A (en) * 1978-10-27 1981-04-14 St George Syms John G Christmas tree holder
DE3014889C2 (de) * 1980-04-17 1984-09-06 Karl Dipl.-Ing. 5901 Wilnsdorf Ley Bodenverankerungsvorrichtung für Rohrpfosten o.dgl.
SE444701B (sv) * 1982-03-15 1986-04-28 Bertil Lindstrom Lasanordning, foretredesvis for i ett fundament placerad stolpe
US4420272A (en) * 1982-09-27 1983-12-13 Ingalls William E Method and structure for bearing the eccentricity of a bushing bore
DE3531087A1 (de) * 1985-08-30 1987-03-05 Bollmann Jean Jacques Bodenbefestigungsvorrichtung
US4972642A (en) * 1990-01-03 1990-11-27 Strobl Jr Frederick P Footings for post or beam construction
US5307598A (en) * 1992-03-24 1994-05-03 West Ronald R Post system
DE9313260U1 (de) * 1993-09-02 1994-03-17 Krinner Klaus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ordnen eines pfahl-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es
DE9313258U1 (de) * 1993-09-02 1994-03-24 Krinner Klaus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Stäbe, Pfosten, Masten o.dgl. im Erdreich
DE4400159A1 (de) * 1994-01-05 1995-07-06 Bernhard Brinkmann System Beto Bausatz aus Formsteinen, insbesondere Betonpflastersteinen
US5535978A (en) * 1994-07-12 1996-07-16 Rodriguez; Arturo E. Beach umbrella ancho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4319B6 (cs) 2004-11-10
US6050034A (en) 2000-04-18
LV12093A (lv) 1998-07-20
CA2224490A1 (en) 1997-02-13
EP0842342A1 (de) 1998-05-20
LV12093B (lv) 1998-09-20
CZ12598A3 (cs) 1998-07-15
NO980323D0 (no) 1998-01-26
EA000197B1 (ru) 1998-12-24
WO1997005350A1 (de) 1997-02-13
EE9800031A (et) 1998-08-17
DE19680605D2 (de) 1999-11-25
NO980323L (no) 1998-03-18
HUP9802767A3 (en) 2000-02-28
EA199800097A1 (ru) 1998-08-27
IL123069A0 (en) 1998-09-24
LT98019A (lt) 1998-07-27
HUP9802767A2 (hu) 1999-03-29
PL324654A1 (en) 1998-06-08
DE59606883D1 (de) 2001-06-13
MX9800621A (es) 1998-11-29
JP2996312B2 (ja) 1999-12-27
JPH10512934A (ja) 1998-12-08
DE29512237U1 (de) 1995-09-28
ATE201080T1 (de) 2001-05-15
BR9609802A (pt) 1999-12-21
CN1192258A (zh) 1998-09-02
SI9620096A (sl) 1998-04-30
PL189582B1 (pl) 2005-08-31
SK8298A3 (en) 1998-11-04
BG102201A (en) 1998-10-30
AU6734696A (en) 1997-02-26
EP0842342B1 (de) 2001-05-09
TR199800120T1 (xx)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5988A (ko)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US6202369B1 (en) Universal anchor system
CN101981258B (zh) 塔地基系统
CA2726490C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US20100319272A1 (en) Screw-in ground anchor
US4706921A (en) Antenna post base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8893444B2 (en) Anchoring system with post angular adjustment
US20070120035A1 (en) In-ground anchor structure for interchangeable posts and signs
WO2020080964A1 (en) Ground anchor
GB2512316A (en) An adjustable fence post holder
AU2021204090B2 (en) Supporting post improvements
US20130067831A1 (en) Anchor Bolt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US6168129B1 (en) Device for vertical arrangement of a pole or post-like object
GB2272717A (en) Mounting poles,posts,etc.,vertically
KR100714041B1 (ko) 수직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띠장의 설치구조
CA3121283C (en) Anchoring system for securing a post
KR101692204B1 (ko)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9990037712A (ko)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FI108065B (fi) Laite epäkeskisten renkaiden avulla tapahtuvaa pyöreän pylväsputken kiinnitystä varten
JP3270915B2 (ja) グランドアンカー用支圧板装置
KR200352893Y1 (ko) 울타리지주의 고정구조
JP3197391U (ja) 高さ調整式杭
KR20160088008A (ko) 지주 고정장치와 그 지주 고정장치를 이용한 지주 시공방법
MXPA98001413A (en) Device for the vertical placement of a mastil or object similar to a po
JPH03228926A (ja) マンホールの蓋高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