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712A -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712A
KR19990037712A KR1019980701191A KR19980701191A KR19990037712A KR 19990037712 A KR19990037712 A KR 19990037712A KR 1019980701191 A KR1019980701191 A KR 1019980701191A KR 19980701191 A KR19980701191 A KR 19980701191A KR 19990037712 A KR19990037712 A KR 1999003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ounting mandrel
support plate
column
b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크린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크린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크린너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크린너
Publication of KR1999003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용 장치(6) 상에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의 조종용 보어(1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실질상 원통형의 신장된 마운팅 맨드릴(10)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그 평면으로부터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이 상승 신장하고 그 상에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막대(4)가 놓이는 지지 플레이트(16)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18)가 지지 플레이트(16)로부터 상승 돌출하여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막대(4)의 재료를 관통한다. 마운팅 맨드릴(10)은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의 조종용 보어(12)보다 실질상 얇아서 저널 또는 마운팅 맨드릴(1) 및 막대 또는 기둥의 밑면의 재료를 둘러싸는 보어 사이에는 상당한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막대 또는 기둥(4)을 마운팅 맨드릴(10) 상에 탑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막대 또는 기둥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팅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틸팅 또는 경사 위치는 수직에 대하여 비스듬한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용 장치(6)의 모든 위치에서 보정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막대 또는 기둥을 세우는 경우, 예를 들어 울타리를 세우는 경우, 도로 안내판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배설하는 경우, 항상 발생하는 문제점은 막대 또는 기둥을 가능한 한 정확한 수직 위치에서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막대 또는 기둥을 콘크리트에 배설하거나 또는 박음으로써 이를 지면에 고정하거나 고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액면계(water level) 또는 측량추(plumb line)에 의해 수직 배설을 검사하고 가능하다면 이를 정정함으로써 막대 또는 기둥을 수직으로 배설할 수 있다. 막대 또는 기둥을 지면에 배설하는 경우, 예를 들어 막대 또는 기둥의 위치를 검사하고 가능하다면 이를 정정하기 위해서 배설 작업을 계속하여 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워지며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막대 또는 기둥을 콘크리트에 박는 경우,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는 이에 대한 정확한 수직 위치를 정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나,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이러한 수직 위치가 더 이상 스스로 변경되지 않을 때까지는 정확한 수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막대 또는 기둥을 예를 들어 측면으로 지지하거나 보강하여야 한다.
막대 또는 기둥을 콘크리트에 배설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콘크리트에 박는 것과는 별개로, 지면에 고착할 수 있으며 그 후 그들의 상측 자유단 상에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지면에 고착되기 적합한 고정 장치는 예를 들어 코르크스크류(corkscrew)와 같이 지면으로 관통되어 들어가는 웜(worm) 또는 나사를 포함하며, 그 때문에 막대 또는 기둥은 상기 고정 장치 속으로 스크류되거나 삽입된다.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가 지면에 고착되는 코르크스크류와 같은 고정 장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가 그 자유단 중 하나의 자유단에서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고정 장치가 지면으로 스크류되어 그 속에서 고착되도록 하는 방법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또는 이러한 가능성으로 막대 또는 기둥을 세우는 경우, 막대 또는 기둥을 콘크리트에 배설하거나 박을 때, 막대 또는 기둥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데에 있어서 또한 실질적으로 일치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박는 작업 대신에, 적절하게 측정하고 가능하다면 이를 정정하는 단계를 통해 추후에 막대 또는 기둥의 수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장치를 지면으로 스크류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중단하여야 한다.
DE-GM 93 13 260은 지면에 고정되기 적합한 예를 들어 그라운드 스크류(ground screw)와 같은 고정 장치와 여기에 고정될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 사이에 조정 장치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DE-GM 93 13 260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정 장치는 실질적으로 고정 장치의 상측 자유단으로부터 상승 돌출되고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에 위치한 조정용 보어(accommodating bore)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원통 모양으로 신장된 마운팅 맨드릴(mounting mandrel)을 포함한다. 마운팅 맨드릴의 축방향 신장이 조종용 보어의 깊이보다 다소 길도록 선택하여,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마운팅 맨드릴에 미끄럼 삽입하는 경우, 마운팅 맨드릴의 자유단이 조종용 보어의 바닥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가능하다면 측량추 또는 액면계의 도움으로- 정확한 수직 위치로 지지하여, 그 때문에 상기 물체의 상측단을 일회 이상 타격하여 마운팅 맨드릴의 자유단이 블라인드 보어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하여 따라서 상기 물체를 고정 장치를 마주 향하여 정확한 수직 위치로 고정한다.
DE-GM 93 13 260의 내용이 실제적으로 성공하였음이 일반적으로 증명되었지만,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재료와 확동 록킹(positive-locking)하는 저널(journal)의 좁은 주위 때문에 막대 슈(shoe) 그 자체를 지면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고정하여 그 결과로 지지되는 막대 또는 기둥의 정확한 수직 위치를 보장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DE-GM 93 13 260의 구성은 막대 및 고정 장치 사이에 조정 장치를 설치하여 고정 장치가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을 벗어나 지면에 탑재된 경우에도, 막대를 정확한 수직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조정 장치는 다소 복잡하고 따라서 값이 비싸다.
DE-GM 89 03 236에서 목재 디자인을 위한, 특히 운동장의 정글짐(climbing frame)의 목재 디자인을 위한 막대 슈 형태의 일반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장치는 지면 또는 토대에 고정될 고정 부재의 형태로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 및 그 상에 배열되고 막대 또는 기둥과 확동 결합하기에 적합한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는 수직 신장 저널이며, 이러한 수직 신장 저널은 기둥의 밑면에 위치한 리세스(recess)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기둥은 저널 주변에 근접하여, 다시 말해 실질적인 확동 록킹 방식으로 끼워진다. 또한 그 평면으로부터 저널이 상승 신장하며 그 상에서 기둥의 밑면이 놓이는, 기둥용 받침면 또는 지지 플레이트(support plate)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는 기둥의 상측단을 타격함으로써 프런트를 향하여 파고드는 원주 톱니 링을 구비하며 가로 방향으로 그 위치를 고정한다. 추가적으로 제거 또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기둥 재료 및 저널 재료를 관통하여 수평 통과하는 가로 확장 핀을 제공한다. DE-GM 89 03 236에 의하면 기둥 슈에 의해, 기둥 또는 막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기 때문에, 비, 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기인하는 기후의 영향 및 해충 및 잡초로부터 이것을 보호할 수 있다.
DE-GM 89 03 236에 의하면 기둥 슈에 의해 주어진 목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측단에 타격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아무런 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막대를 미끄럼 삽입하기 때문에 고정 장치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아무런 문제도 예상되지 않지만, 그러나 이러한 막대 슈 또는 이러한 고정 장치는 막대 또는 기둥 재료와 확동 록킹하는 저널의 좁은 주위 때문에 막대 슈 그 자체가 지면에 정확하게 수직으로 고정되어 그 결과로 막대 또는 기둥을 수직 위치로 지지하여야 한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그 이외의 것으로 어떤 조건에서, 막대 또는 기둥이 특히 견고하여 막대 또는 기둥의 프런트에 톱니 링을 삽입하기 위해 별도로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로서의 DE-GM 89 03 236에 따른 막대 슈는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를 느슨하게 하는 데에 있어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에 고정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보다 강력하게 타격하여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에 필요한 지지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상반되는 경우 -특히 푸석푸석한 흙 또는 모래의 경우-, 고정 장치가 느슨해지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물체를 다시 타격하여 물체에 보다 센 힘을 가하는 경우, 이 물체가 그 수직 위치를 다시 상실하거나 때로는 넘어지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그라운드 엔드(ground end)에 배치된 고정 장치 상에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탑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된 도면이며;
도 2는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지지 플레이트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 상에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가 여기에 고정될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고정한 후, 계속하여 그리고 영구히 고정 장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하는 동안 지면상의 고정 장치의 배열을 변경하거나 느슨하게 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 맨드릴이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에 위치한 조종용 보어보다 실질적으로 가늘다는 사실 때문에, 수직 위치를 결정하거나 조정하는 가능성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 막대 기둥 재료가 확동 록킹 방식으로 맨드릴 또는 저널 주위에 끼워지는 DE-GM 89 03 236의 내용과는 달리, 저널 또는 마운팅 맨드릴과 막대 또는 기둥의 밑면에 위치한 맨드릴을 둘러싸는 보어 사이에는 상당한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막대 또는 기둥을 마운팅 맨드릴 상에 탑재하여 막대 또는 기둥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팅(tilting)되거나 경사지도록 하며, 이러한 틸팅 또는 경사 위치를 통해 수직에 대하여 한 쪽으로 기울어진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의 모든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익한 진전은 하위 청구항의 내용을 구성한다.
DE-GM 89 03 236에 개시되어 있듯이, 다수의 고정용 돌기는 그 상에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이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모든 상대적 위치에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승 신장되는 고정용 돌기는 단일 원주 링의 형상일 수 있다. 그 결과로 다수의 개별적인 고정용 돌기가 제공되는 형상과 동일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는 그 자유 상측면에서 비스듬히 잘리는(bevelling)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는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칼날 모양의 경사면(bevel)이 본 장치의 세로축을 향하여 신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가 관통할 때, 기둥 또는 막대와 같은 물체가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위험이 최소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운팅 맨드릴은 관(tubular) 모양이며 이와 유사하게 그 상부 원주 에지에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린다. 그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재료 속으로 파고들뿐만 아니라 마운팅 맨드릴 역시 조종용 보어의 프런트 벽에서 이 물체의 재료를 관통한다.
마운팅 맨드릴은 그 상측단부에 지정된 것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핀이 통과하는, 실질적으로 수평 신장하는 관통 보어(through bore)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핀은 마운팅 맨드릴의 관통 보어와 함께 지축 배치(true alignment)되는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에 형성되어 있는 횡단 보어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신장된다. 이러한 방법은 제거 또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가 수직 상승 인장력에 의해 더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 가능성은 그 상측단에 타격을 가할 수 없을 정도로 기둥의 높이가 높더라도, 또는 그들의 수직 신장 때문에 타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일지라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요구(예를 들어, 상측단이 타격 도구에 의해 조각나거나 움푹하게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때문에 타격할 수 없거나 타격 도구 또는 박는 도구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해서는 안돼는 경우에도, 이러한 고정 가능성은 특히 이점이 있다. 맨드릴 탑재의 관통 보어를 통과하는 핀이 지정된 것보다 작은 크기인 경우, 이 핀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음 물체를 수직으로 배설하는 데 필요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가능한 경사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핀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횡단 보어에 스크류되는 고정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핀은 적당한 도구에 의해서만 느슨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안정성을 확실하게 증가시킨다.
지지 플레이트는 마운팅 맨드릴을 따라 수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선 마운팅 맨드릴의 상대 길이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에 삽입된 조종용 보어에 정확하게 적합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져온다. 또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는 -특히 수평 신장 핀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보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상에 놓이고 이어 마운팅 맨드릴의 외주와 나사 결합하도록 수직 조절된다. 또한 마운팅 맨드릴의 나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직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하여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져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마운팅 맨드릴은 2개의 동축 관부를 포함하며, 외부 관부는 내부 관부와 관련하여 수직 이동이 가능하며, 외부 관부가 수직 상승 운동을 할 경우 이것은 그 상측단부에서 수평으로 또는 방사상 신장한다. 이는 마운팅 맨드릴이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조종용 보어 내부로 파고들게 하여 제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관부는 그 상측단부에 외부 관부가 수직 상승 이동하는 경우 내부 관부의 고정된 대응 측면(counter-profile)에서 그 운동이 멈추며 이들에 의해 수평으로/방사상 휘게 되는 다수의 변형가능 텅(tongue)을 구비한다. 그 결과로 단순한 구조적 방법에 의해 제거 또는 분리를 신뢰성 있게 방지하기 때문에 이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는 고정 장치와 일체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모든 이동가능 부품이 없기 때문에 특히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이 쉽다.
다른 구조에 의하면, 마운팅 맨드릴을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의 조종용 보어에 삽입할 때, 지지 플레이트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하부 프런트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마운팅 맨드릴 외주의 부분적 영역과 마찰 및/또는 확동 연결하는 고정 장치로부터 분리된 구성요소인 경우,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 또는 프런트를 각각 지지 플레이트 상에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 상에 고정하기 위해, 더 나아가 마운팅 맨드릴의 상측단을 조종용 보어의 베이스에 배설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를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프런트에 배설하기 위해,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상측단을 강력하게 일회 타격하거나 계속하여 타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고정할 때, 실질적으로 수고가 감소하며, 유사한 원리로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힘이 감소되며, 따라서 느슨해지는 가능성의 위험이 감소한다.
마지막에 언급한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는 그 원주 가장자리가 마운팅 맨드릴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인 영역과 마찰 및/또는 확동 록킹 접촉하는 중앙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는 쉽게 제조되며 실제적으로 적은 노력으로 마운팅 맨드릴에 고정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의 실시예이다.
개구는 마운팅 맨드릴의 단면과 존재할 수 있는 요구에 따라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마운팅 맨드릴 및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밑면에 조종용 보어를 제작하고 그 지지 플레이트에 개구를 제작하기 위한 경비 및 노력에 있어서 원형 단면이 실제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될 것이다.
개구의 내부 직경은 마운팅 맨드릴의 외부 직경과 적어도 일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작다. 그 결과 그리고 특히,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는 다수의 탄성 텅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는 마운팅 맨드릴에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마운팅 맨드릴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 영역이 널(knurl)을 구비한다는 사실에 의해 이러한 록킹 효과를 강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지지 플레이트의 개구가 다수의 탄성 텅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결합하면, 그 결과로 리테이닝 텅의 포인트가 마운팅 맨드릴에 제공된 널을 관통한다는 사실에 의해 개구의 내부 직경이 마운팅 맨드릴의 외부 직경보다 더 작으며, 부착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고정하며 특히 부착된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세, 태양 및 특징은 다음의 다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순히 설명하고 예를 들기 위한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도면 및 이에 해당하는 설명은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 1은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 상에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아래에서는 막대라고 함)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2는 예를 들어 지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고정 장치 6 상에 막대 4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고정 장치 6은 지면을 파고 들어가거나 콘크리트 속에 박힐 수 있으며, 또는 바람직하게는 코르크스크류와 같이 지면으로 스크류될 수 있다. 고정 장치 6의 구체적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치 출원인의 DE-GM 93 13 258에 서술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이 서류의 개시 내용을 참고자료로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장치 2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고정 장치 6의 상측 자유단에 그 중심에서 관 형태의 마운팅 맨드릴 10을 지지하는 계단부 또는 계단 8을 포함한다. 도 2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직경은 막대 4의 하측 자유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종용 보어 또는 블라인드 보어 12의 내부 직경 보다 확실히 작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보어 12의 깊이가 마운팅 맨드릴 10의 높이보다 얕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플레이트 16을 상기 계단 8 및 보어 12가 있는 막대 4의 프런트 14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프런트 14의 형태와 그 표면에 적합한 형태와 표면을 가진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이다.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고정용 돌기 1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16의 상측면으로부터 프런트 14를 향해 상승 신장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면에 따르면 갈퀴, 포크의 가지, 또는 스파이크 형태의 다수의 고정용 돌기 1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16으로부터 상승 신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고정용 돌기 18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16의 외주를 둘러싸는 단일 원주 링의 형태이다.
고정용 돌기 18을 그 상측 자유단에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자르고, 이러한 경사면을 장치 2의 중심 세로축을 향하여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 자유단은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린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칼날 모양의 경사면이 장치 2의 세로축을 향하여 신장하는 경우, 돌기가 막대 4를 관통하는 동안 상기 막대 4의 재료가 파열되거나 갈라져 개방되는 위험이 최소화된다.
우선 고정 장치 6을 예를 들어 지면 속으로 스크류하거나 콘크리트 속으로 박아 지면에 고정하고 장치 2 상에 막대 4를 고정시킨다.
그 후 지지 플레이트 16을 막대 4의 밑면 또는 프런트 14 상에 놓고 상기 프런트 14와 연결한다. 이를 실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망치를 사용하여 지지 플레이트를 타격할 때 막대 4의 재료를 관통하는 고정용 돌기 18을 지지 플레이트 16에 제공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막대 4 재료를 관통하는 갈퀴 또는 포크 가지 형태의 포인트를 가지는 고정용 돌기 18의 실시예와 달리, 고정용 돌기 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 16의 외주를 둘러싸는 단일 원주 링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으면, 도 3에 따라 막대 4의 프런트 상의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징 또는 못 클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지지 플레이트 16의 재료를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다수의 보어 20을 지지 플레이트 16에 제공하여, 지지 플레이트 16을 고정한다. 지지 플레이트 16이 지지 플레이트 16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 개구 22를 구비하는 모든 경우에, 지지 플레이트 16을 프런트 14에 부착한 후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실질적으로 막대 4의 하부단부의 보어 12와 일직선으로 정렬한다.
지지 플레이트 16이 고정된 후, 도 1에 따른 막대 4는 머리부분부터 고정 장치 6 상에 탑재되며, 마운팅 맨드릴 10은 소정의 힘에 의해 개구 22를 통해 보어 12에 도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막대 4는 보어 12의 베이스 24에 의해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단에 놓이게 된다. 도 2에 의하면, 그 후 막대 4는 -바람직하게는 측량추 또는 액면계의 도움으로- 고정 장치 6의 가능한 경사를 보정하고 막대 4를 정확하게 수직 배설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울인다. 본 발명에 따라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직경이 보어 12의 내부 직경보다 확실히 작기 때문에 맨드릴 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보어 12 내부에서 비스듬히 또는 수직을 벗어나 신장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막대 4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막대 4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배설하는 즉시, 망치 또는 다른 적당한 박는 도구를 사용하여 막대 4의 상측 자유단을 일회 이상 타격하여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 원주단이 보어 12의 베이스 24를 파고들어, 따라서 도 2에 따라 막대 4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지지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 16을 마운팅 맨드릴 10에 삽입하고, 막대 4를 계단 8에 근접하게 지지하며, 지지 플레이트 16을 -막대 4의 기울기에 따라- 계단 8 상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놓는다.
개구 22의 내부 직경이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동등하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작도록 하여 지지 플레이트 16을 마운팅 맨드릴 10에 탑재한다. 그 결과로 지지 플레이트 16을 마운팅 맨드릴 10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 영역과 마찰 및/또는 확동 록킹 접촉 또는 연결하여 막대 4의 위치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킨다.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 영역에 널 26이 제공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 16 및 개구 22를 마운팅 맨드릴 10과 마찰 및/또는 확동 록킹 연결하는 것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막대 4가 마운팅 맨드릴 10 속으로 미끄럼 삽입되는 경우, 도 3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 16의 개구 22를 탄성 변형이 가능한(다시 말해 위를 향하여 굽어지는) 다수의 탄성 텅 28로서 둘러쌀 수 있으며, 마운팅 맨드릴 10이 개구 22를 관통하여 지지 플레이트 16 및 따라서 막대 4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특히 널 26과 관련하여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텅 28의 유연성 때문에, 막대 4는 마운팅 맨드릴 10 및 따라서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보다 넓은 범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 원주단의 칼날 모양의 경사면에 의해, 이러한 부분은 막대 4의 재료를 쉽게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장치 2의 중심 세로축을 향하여 계속적으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자르기 때문에, 외부를 향하여 신장하거나 파열하는 힘이 막대 4의 재료에 대하여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막대 4의 전체 하측부를 -관통된 고정용 돌기 18을 제외하고-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따라서 기후, 해충 또는 잡초 및 이와 유사한 것들에 의해 영향을 덜 받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개구 22의 단면은 마운팅 맨드릴 10의 단면에 따라 달라진다. 다시 말해, 마운팅 맨드릴 10이 원통형 단면을 가지는 관 형태인 경우, 개구 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텅 28을 가능하다면 여전히 제공한다. 개구 22는 경사면형(도4; 실선) 또는 다각형(도4; 파선)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개구 22의 다각형 단면을 마운팅 맨드릴의 원형 단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개구 22가 경사면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도 탄성 리테이닝 텅을 제공할 수 있다.
막대 4가 고정 장치 6의 마운팅 맨드릴 10 속으로 미끄럼 삽입되기 전에 지지 플레이트 16이 막대 4의 프런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막대 4를 고정 장치 6 상에 고정하기 위한 힘은 막대 4를 마운팅 맨드릴 10 속으로 미끄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힘으로 제한되며, 마운팅 맨드릴은 지정된 것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개구를 통과하며, 맨드릴 10을 베이스 24에 배설하거나 박기 위한 힘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고정 장치 6이 막대 4를 고정하기 위해 막대에 인가한 힘에 의해 지면에서 느슨해지는 위험은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도 5a 내지 8은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 장치 상에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8은 도 1 내지 도 3과 일치한 인용번호가 일치한 또는 해당 부품을 표시하며, 이러한 부품들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장치 2의 구성에서, 이러한 장치는 고정 장치 6의 그 상측 자유단에 관 형태의 마운팅 맨드릴 10을 그 중심에서 지지하는 단부 영역 또는 계단 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 5b에 잘 나타나 있듯이-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직경은 조종용 또는 블라인드 보어 12의 내부 직경보다 명확히 또는 실질적으로 작다. 보어 12의 깊이는 마운팅 맨드릴 10의 높이보다 적어도 동등하고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 18은 상기 계단 또는 지지 플레이트 8로부터 방사상 외부를 향해 상승하여 신장한다. 여기에서 다수의 포크 또는 스파이크 형태의 고정용 돌기 18은 계단 8로부터 상승 신장하거나 아니면 고정용 돌기 18은 단계 8을 둘러싸는 단일 원주 링의 형태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도 5a 및 도 5b에서, 고정용 돌기 18은 그 상측 자유단에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리며, 상기 경사면은 장치 2의 중심 세로축을 향하여 신장된다. 일치한 방법으로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 자유단은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린다.
막대 4를 장치 2에 고정하여, 우선 고정 장치 6을 예를 들어 콘크리트에 스크류하거나 박음으로써 지면에 고정시킨다. 도 5a에 따라 막대 4를 머리부분부터 고정 장치 6 상에 탑재한 후, 마운팅 맨드릴 10을 보어 12에 도입한다. 막대 4의 하측면 또는 프런트 14는 고정용 돌기 18 상에 놓이며, 보어 12의 프런트 또는 베이스는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측단에 놓인다. 그 후 도 5b에 따라, 고정 장치 6의 가능한 경사가 보정되고 막대가 정확한 수직 위치 가지도록 상기 막대를 -바람직하게는 측량추 또는 액면계의 도움으로- 경사지게 한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직경이 보어 12의 내부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기 때문에 맨드릴 10이 보어 12의 내부에서 경사 또는 수직을 벗어나 신장하도록 한다는 사실에 의해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막대 4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막대 4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하는 즉시, 망치 또는 다른 적당한 박음 도구를 사용하여 막대 4의 상측 자유단에 일회 이상 타격하여 고정용 돌기 18이 막대 4의 하부 영역 14를 관통하도록 하며, 마운팅 맨드릴 10의 상부 원주 에지가 보어 12의 프런트 24를 관통하여 도 5b에 따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막대 4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용 돌기 18과 함께 그 기능 면에서 도 1 내지 3의 지지 플레이트 16에 해당하는 단계 7 상의 그 하측면 16에 의해 막대 4를 지지한다.
나중에 사용하는 동안 상승 방향의 인장력이 전혀 인가되지 않는 모든 경우에, 예를 들어 지지 빔 또는 거더(girder)가 순압력(pure forces of pressure)을 흡수하는 경우에는 도 5a 및 5b에 따른 실시예가 충분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 방향의 인장력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3 또는 6a 내지 8에 따른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8에서도 도 5a 내지 5b에서 사용한 것과 일치한 인용번호가 일치한 또는 해당 부품을 표시한다.
도 6a에 따라, 여기에서 장치 2는 바람직하게 고정 장치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마운팅 맨드릴 10을 다시 포함한다. 마운팅 맨드릴 10은 그 상측 자유단에서 실질상 수평 확장하는 관통 보어 30을 포함한다. 마운팅 맨드릴 10에 아주 근접하게 베이스 플레이트 34상에 제공된 암나사와 결합하는 수나사 32가 고정 장치 6에 형성된다. 수나사 32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다시 말해 수나사 32와 결합하지 않는 지지 플레이트 16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놓이게 된다. 고정용 돌기 18은 다시 상승 신장한다.
도 6b에 따라, 막대 4의 수평 신장 보어 38에 삽입된 수평 신장 핀 36은 보어 30을 통과한다. 핀 36은 관통 보어 30과 비교하여 지정된 것 보다 상당히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도 6b에 따라 핀 36 및 그리하여 막대 4는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으며, 핀 36의 작은 크기 때문에 이것은 관통 보어 30에서 비스듬히 신장한다.
핀 36은 막대 4의 보어 38에 정확하게 끼워져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를 스크류하여 핀 36을 막대 4에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막대 4를 고정 장치 6 상에 고정하기 위해, 우선 막대 4를 머리부분부터 마운팅 맨드릴 10으로 미끄럼 삽입하고 이어서 핀 36의 도움으로 보어 30에서 고정해야 한다. 따라서 핀 36은 막대 4가 상부를 향하여 제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34는 회전하여 도 6a 및 6b에서 수나사 32를 따라 상승 이동하도록 하여 그 결과로 지지 플레이트16을 수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34를 스크류업하는 동안,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 16을 스크류업하는 동안, 고정용 돌기 18은 막대 4의 하측면 14를 관통한다. 도 6b에 따라, 고정 장치 6의 가능한 경사를 보상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 34가 스크류업되기 전에 막대 4는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가능하다면 기울어진다. 한편 막대 4는 고정 장치 6에서 희망하는 모든 위치로 베이스 플레이트 34에 의해 그리하여 지지 플레이트 16에 의해 보강되며, 다른 한편 제거 또는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핀 36과 관통 보어 30간의 작동 연결에 의해 보강된다.
도 7은 도 6a 및 6b에 나타난 실시예를 변경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따라, 볼트 42는 와셔 40을 사이에 끼우고 지지 플레이트 16으로부터 막대 4의 재료를 향해 상승 신장한다. 볼트 42의 나사부는 실질상 수평 신장 핀 46에 형성된 보어 48에서 암나사 44와 결합한다. 도 7에 따라, 핀 46은 보어 48과 비교하여 지정된 것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볼트 42의 육각형 헤드 50은 고정 장치 6에서 리세스 52를 통해 접근가능하며, 리세스 52는 원주의 일정 양을 초과하여, 예를 들어 90°신장한다. 볼트 헤드 50에 부착된 볼트 42는 리세스 52를 통해 개방단 스패너 또는 유사한 도구에 의해 회전된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볼트 42의 나사부를 꽉 조인 볼트 42의 나사부는 핀 46에 대하여 상승 운동하며 볼트의 이러한 상승 운동은 보어 48의 핀 46의 배치에 기인하여 도 7에서의 막대 4의 하강 운동으로 전환되며, 고정용 돌기 18은 막대 4의 하측면을 관통하고, 관 형태의 마운팅 맨드릴 10은 막대 4의 보어 12의 프런트 24를 관통하여 막대 4를 고정 장치 6에 대하여 고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마운팅 맨드릴 10이 2개의 동축 관부, 다시 말해 외부 관부 54 및 내부 관부 56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특히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뚜렷이 구별된다. 외부 관부 54는 그 하측단부에서 상승 돌출하는 고정용 돌기 18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16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른 실시예에서처럼 지지 플레이트 16은 마운팅 맨드릴 10의 외부 나사부 및 내부 관부 56과 각각 결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34 상에 놓인다. 상측 자유단에서 내부 관부 56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깔때기 형태로 확장되며, 외부 관부 54는 다수의 텅 58을 구비한다. 외부 관부 54의 재료의 그 상측 자유단부에 다수의 리세스 60이 제공되도록 텅 58을 형성한다. 내부 관부 56의 원뿔 또는 깔때기 형태의 신장은 이에 따라 텅 58에 인접한 원뿔 또는 깔때기 모양의 대응면 62를 형성한다.
도 8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막대를 장치 2 상에 고정하기 위해, 막대를 맨드릴 10 안으로 미끄럼 삽입하여 막대의 밑면이 고정용 돌기 18의 칼날 모양의 경사면에 놓이도록 한다. 그 후 -가능하다면 적당한 도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34가 외부 나사부를 따라 내부 관부 56상에서 상승 회전하여, 그 결과로 이와 유사하게 도 8의 지지 플레이트 16은 상승 이동한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 16의 상승 운동은 외부 관부 54를 통해 텅 58로 전달되어 텅 58은 원뿔형의 대응면 62에 의해 실질상 수평으로 또는 방사상 외부를 향하여 휘게 되며, 보어 12 내부의 막대 재료를 관통한다. 동시에 고정용 돌기 18은 막대의 밑면을 관통하여 막대를 안전하게 지지한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막대의 보어는 마운팅 맨드릴 10에 대하여 간섭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막대를 최종적으로 조이거나 고정하기 전에 수직 배설을 정정할 수 있다.

Claims (20)

  1. 그라운드 엔드에 배치된 고정용 장치(6) 상에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 (4)를 수직 배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고정용 장치(6)의 자유 상면으로부터 상승 돌출하며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에 위치한 조종용 보어(12)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실질상 원통형의 신장된 마운팅 맨드릴(10); 및
    지지 플레이트(16)로서,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이 그 상에 놓이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18)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로부터 상승하여 돌출하여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를 관통하는 지지 플레이트(16)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은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에 있는 조종용 보어(12)보다 실질상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고정용 돌기(18)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로부터 상승하여 튀어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18)는 단일 원주 링의 형태로 지지 플레이트(16)로부터 상승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돌기(18)는 그 자유 상측면에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듬히 잘려진 경사면은 상기 장치(2)의 중심 세로축을 향하는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은 관 형태이며 그 상측 원주 에지에서 칼날 모양으로 비스듬히 잘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은 그 상측단부에 지정된 것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핀(36)이 통과하는 실질상 수평 신장 관통 보어(30)를 가지며, 상기 핀(36)은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에 형성되어 있는 횡단 보어(38)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신장되어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에 제공되어 있는 관통 보어(30)와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핀(36)은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횡단 보어(38)에 스크류되는 나사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청구항 7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는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을 따라 수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는 나사에 의해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의 외주와 연결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은 두 개의 동축 관부(54, 56)로 구성되며, 외부 관부(54)는 내부 관부(56) 에 대한 수직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외부 관부(54)가 수직 상승 이동하면, 상기는 그 상측단부에서 실질적으로 방사상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부(54)는 그 상측단부에 상기 외부 관부(54)가 수직 상승 이동하는 경우 상기 내부 관부(56)의 정지 대응 측면(62)에서 그 운동이 멈추며 이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사상 외부를 향하여 굽어지는 다수의 변형 가능 텅(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는 상기 고정용 장치(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는 상기 고정용 장치(6)와 분리되고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하측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이 상기 막대 또는 기둥 모양의 물체(4)의 밑면의 조종용 보어(12) 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의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 영역과 마찰 및/또는 확동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청구항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는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의 외주의 적어도 부분적 영역과 마찰 및/또는 확동 접촉하게 되는 중심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개구(22)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개구(22)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청구항 14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22)의 내부 직경은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의 외부 직경과 적어도 일치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청구항 14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6)의 상기 개구(22)는 다수의 탄성 텅(28)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청구항 14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맨드릴(10)의 외주는 적어도 부분적이나마 널(2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1191A 1995-08-23 1996-08-22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KR19990037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13554U DE29513554U1 (de) 1995-08-23 1995-08-23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ordnen eines pfahl-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es
DE29606034.8 1996-04-01
DE29606034U DE29606034U1 (de) 1995-08-23 1996-04-01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ordnen eines pfahl-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es
DE29513554.9 1996-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12A true KR19990037712A (ko) 1999-05-25

Family

ID=801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91A KR19990037712A (ko) 1995-08-23 1996-08-22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90037712A (ko)
DE (3) DE29513554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2175B1 (de) 1997-07-28 2002-10-30 Krinner Innovation GmbH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ordnen eines pfahl-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es
DE10142399C2 (de) 2001-08-30 2003-10-09 Krinner Innovation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rohrförmige Stange und Verwendung der Befestigungseinrichtung zum Aufstellen von Fahnenmasten
DE20311720U1 (de) * 2003-07-30 2004-12-09 Mayer, Franz Vorrichtung zum Schutz von Holzstützen gegen Fäuln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513554U1 (de) 1995-10-19
DE29606034U1 (de) 1996-06-05
DE59610597D1 (de)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949B2 (en) Screw-in ground anchor
KR19990035988A (ko) 폴 또는 포스트형 물체용 앵커 장치
US5704188A (en) Post structure
US5791635A (en) Fence post with anchor
EP2042659B1 (en) Anchor post
US4706921A (en) Antenna post base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20130031857A1 (en) Anchor system for securing a concrete wall panel to a supporting concrete foundation
EP0365658A1 (en) Post support
CA2336164C (en)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CA1207156A (en) Self-anchoring fence post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PL207934B1 (pl) Układ z urządzeniem kotwiącym do mocowania przedmiotu i sposób mocowania przedmiotu
US5957424A (en) Device for the vertical arrangement of a pole or post-like object
US20040159055A1 (en) Stabilizer for in-ground members,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06194072A (ja) 高耐力アンカー
KR19990037712A (ko) 막대 또는 기둥과 같은 물체를 수직 배설하는 장치
KR20180088224A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US6168129B1 (en) Device for vertical arrangement of a pole or post-like object
EA00019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объекта в виде столба или стойки
CA3121283C (en) Anchoring system for securing a post
IES59907B2 (en) Mounting arrangements
JPH0828095A (ja) 工事現場や標識などに用いる支柱及び支柱保持具
AU752228B2 (en)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MXPA98001413A (en) Device for the vertical placement of a mastil or object similar to a po
KR101715635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시공을 위한 지주보강 나사목 기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