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828A -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3828A KR19990033828A KR1019970055262A KR19970055262A KR19990033828A KR 19990033828 A KR19990033828 A KR 19990033828A KR 1019970055262 A KR1019970055262 A KR 1019970055262A KR 19970055262 A KR19970055262 A KR 19970055262A KR 19990033828 A KR19990033828 A KR 19990033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locking
- lever
- vehicle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정면으로 충돌시 관성에 의해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방지수단이 장착된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는 도어 록킹레버(3)를 누르게 되면, 작동레버(4)가 회전하면서 록킹로드(6)를 당겨 래치 어세이(7)를 작동시켜 도어(1)를 록킹시키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부가 도어(1)의 내측에 힌지(11)결합되어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힌지(11)보다 상부에 록킹로드(6)가 통과하는 관통홈(13)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12)가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추(15)가 형성된 록킹방지레버(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는 록킹방지레버가 장착되어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작동레버를 잡아주기 때문에 작동레버가 관성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도어가 저절로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충돌사고시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탑승객들을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정면으로 충돌시 관성에 의해 도어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방지수단이 장착된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이 차를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하는 다수의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도어의 종류에는 앞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프론트 도어와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리어 도어가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후방의 트렁크와 차 실내 부분을 동시에 개방하는 백 도어를 설치하거나 측면에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도어는 힌지에 의해 차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느 한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도어 체커(door checke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면, 도어의 내측에는 도어 록킹레버(3)와 인너핸들(2)이 장착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1)의 외측에는 아웃 도어핸들이 장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인너핸들(2) 또는 아웃 도어핸들을 당기게 되면, 래치 어세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도어(1)가 열리게 된다.
한편, 실내에서 도어 록킹레버(3)를 누르거나 외부의 아웃 도어핸들에 설치된 키홈에 도어키를 넣고 회전시켜 도어 록킹레버(3)를 하강시키면 도어의 래치 어세이가 작동하여 도어(1)가 잠기게 되고, 인너핸들(2) 또는 아웃 도어핸들을 당기더라도 도어(1)는 열리지 않는 것이다.
도 2에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에 채용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록킹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면, 도어(1)의 내측 상단에는 도어 록킹레버(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 록킹레버(3)는 작동레버(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레버(4)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되는 부분이 힌지(5)에 의해 도어(1)의 내측에 결합되어 힌지(5)를 중심으로 작동레버(4)는 회전을 한다.
또한, 작동레버(4)의 타단부에는 래치 어세이(7)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록킹로드(6)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어 록킹레버(3)를 누르면, 작동레버(4)가 힌지(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록킹로드(6)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고, 래치 어세이(7)가 작동하여 도어(1)를 록킹시키게 된다. 한편, 도어(1)를 열기위해서는 내측에서 인위적으로 도어 록킹레버(3)를 상방향으로 잡아당켜 록킹을 해제하거나, 외측에서 도어키에 의해 도어(1)의 록킹장치를 해제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는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관성에 의해 록킹로드(6)가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 록킹로드(6)는 관성의 힘에 의해 작동레버(4)를 회전시켜 도어 록킹레버(3)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래치 어세이(7)를 작동시켜 저절로 도어(1)가 록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도어(1)가 저절로 록킹되어 열리지 않게 되면, 부상을 입은 뒷좌석의 승객을 구조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승객의 부상 정도가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도어가 저절로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방지수단이 장착된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3: 도어 록킹레버
4: 작동레버 6: 록킹로드
7: 래치 어세이 10: 록킹방지레버
11: 힌지 12: 클램프
13: 관통홈 14: 패드
15: 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록킹레버를 누르게 되면, 작동레버가 회전하면서 록킹로드를 당겨 래치 어세이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시키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부가 도어의 내측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힌지보다 상부에 록킹로드가 통과하는 관통홈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가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추가 형성된 록킹방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자동차의 리어 도어에 채용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도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를 설명하면, 도어(1)의 내측 상단에는 도어 록킹레버(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 록킹레버(3)는 작동레버(4)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레버(4)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되는 부분이 힌지(5)에 의해 도어(1)의 내측에 결합되어 힌지(5)를 중심으로 작동레버(4)는 회전을 한다.
또한, 작동레버(4)의 타단부에는 래치 어세이(7)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록킹로드(6)가 연결되어 있다. 즉, 록킹로드(6)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래치 어세이(7)가 작동하여 도어(1)를 록킹시키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관성의 힘에 의해 작동레버(4)가 전방으로 당겨져 도어(1)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로드(6) 상에는 록킹방지레버(10)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확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록킹방지레버(10)는 도어(1)의 내측에 힌지(11)결합되어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힌지(11)보다 상부에는 클램프(12)가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12)에는 록킹로드(6)가 통과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관통홈(1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홈(13)의 내측면에는 패드(1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록킹방지레버(10)의 하단부에는 추(15)가 형성되어 록킹방지레버(10)가 힌지(11)를 중심으로 선회운동하는 것을 도와 준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어(1)를 록킹시키려면 도어 록킹레버(3)를 누르면 된다. 그러면, 작동레버(4)가 힌지(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록킹로드(6)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고, 래치 어세이(7)가 작동하여 도어(1)를 록킹시키게 된다. 한편, 도어(1)를 열기위해서는 내측에서 인위적으로 도어 록킹레버(3)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겨 록킹을 해제하거나, 외측에서 도어키에 의해 도어(1)의 록킹장치를 해제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록킹로드(6)에 록킹방지레버(10)가 장착되어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작동레버(4)를 잡아주기 때문에 작동레버(4)가 관성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도어(1)가 저절로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록킹로드(6)가 전방으로 당겨지려고 하는 동시에 추(15)의 관성의 힘에 의해 록킹방지레버(10)가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러면서 클램프(12)의 관통홈(13)의 내측면이 엊갈리면서 록킹로드(6)를 상방향와 하방향에서 동시에 눌러 록킹로드(6)가 전방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1)가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클램프(12)의 관통홈(13)의 내측면에 부착된 패드(14)에 의해 클램프(12)가 록킹로드(6)를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예 및 다른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수정예들 및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는 록킹방지레버가 장착되어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작동레버를 잡아주기 때문에 작동레버가 관성의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도어가 저절로 록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충돌사고시 자동차의 도어를 열고 탑승객들을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 도어 록킹레버(3)를 누르게 되면, 작동레버(4)가 회전하면서 록킹로드(6)를 당겨 래치 어세이(7)를 작동시켜 도어(1)를 록킹시키는 자동차에 있어서,상부가 상기 도어(1)의 내측에 힌지(11)결합되어 힌지(11)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힌지(11)보다 상부에 상기 록킹로드(6)가 통과하는 관통홈(13)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클램프(12)가 일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추(15)가 형성된 록킹방지레버(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2)의 관통홈(13)의 내면에 패드(1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262A KR19990033828A (ko) | 1997-10-27 | 1997-10-27 |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5262A KR19990033828A (ko) | 1997-10-27 | 1997-10-27 |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3828A true KR19990033828A (ko) | 1999-05-15 |
Family
ID=6604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5262A KR19990033828A (ko) | 1997-10-27 | 1997-10-27 |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3382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227B1 (ko) * | 2002-11-28 | 2004-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안전잠김 방지구조 |
-
1997
- 1997-10-27 KR KR1019970055262A patent/KR19990033828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227B1 (ko) * | 2002-11-28 | 2004-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 안전잠금장치의 안전잠김 방지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055672B2 (ja) |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 |
WO2004011749A1 (en) | Inertia catch for a vehicle latch | |
JPH1181772A (ja) |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機構 | |
JPH0347085Y2 (ko) | ||
KR19990033828A (ko) | 차량용 도어의 록킹장치 | |
JPH0617960Y2 (ja) | 自動車用ロック装置 | |
KR0176367B1 (ko) | 자동차 전방충돌시 도어록킹 방지장치 | |
KR200173679Y1 (ko)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래치 해제장치 | |
KR100448059B1 (ko) | 충돌 사고 시의 도어 잠김 방지장치 | |
KR100208588B1 (ko) | 자동차의 도어 외측 핸들 | |
JP3725758B2 (ja) | 自動車におけるバックドアのロック解除防止機構 | |
JPH06171414A (ja) | 自動車の可倒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 |
KR0140613B1 (ko) | 자동차용 도어 자동 잠금해제장치 | |
KR100424883B1 (ko) |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 |
KR101964243B1 (ko) |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 |
KR20050058683A (ko) | 자동차용 도어 래치 장치 | |
JP2004156342A (ja) | テールゲートドアの開放防止機構 | |
KR100380499B1 (ko) | 도난 방지용 도어로크 장치 | |
KR100431985B1 (ko) |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 |
KR200175407Y1 (ko) |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 |
KR200160617Y1 (ko) |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 |
JPH0333907Y2 (ko) | ||
JP3404687B2 (ja)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急閉防止装置 | |
KR0134453Y1 (ko) | 자동차의 후드록크래치의 와이어 고정구조 | |
KR19980036924A (ko) | 운전석측 도어 인너 핸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SUBM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