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632A -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 Google Patents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632A
KR19990033632A KR1019970055043A KR19970055043A KR19990033632A KR 19990033632 A KR19990033632 A KR 19990033632A KR 1019970055043 A KR1019970055043 A KR 1019970055043A KR 19970055043 A KR19970055043 A KR 19970055043A KR 19990033632 A KR19990033632 A KR 1999003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peed
vcr
recor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632A/ko
Publication of KR1999003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63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VCR(Video Cassette Recorder)의 녹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 신호를 다른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할 경우에 재생 신호의 속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녹화시 제어하는 속도에 의해서 녹화가 되도록 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가 재생되는 일측의 VCR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녹화하는 타측의 VCR에 있어서, 상기 녹화되는 VCR의 속도를 사용자가 조정하면 마이컴은 이를 감지하여 재생 VCR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캡스턴 속도 제어부로 인가하면, 상기 캡스턴 속도 제어부는 서보/시스콘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해당되는 모드(SP, LP, SLP)로 속도를 제어하며, 데크부는 상기 속도에 의해서 로딩 모터를 구동시켜 기록동작을 수행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본 발명은 브이씨알(VCR)의 카피 투 카피(Copy To Copy) 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녹화하는 A-VCR 및 녹화되는 B-VCR을 구비하여 A-VCR에서 제공되는 기록 속도에 상관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된 속도로 B-VCR에 기록이 되게 하는 것이며, 특히 A-VCR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여 서보/시스콘에 인가한 후, 캡스턴 속도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녹화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기기록의 원리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자기 테이프의 표면에 칠해진 자성체 부분은 자기적으로는 미소자속의 모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자계가 가해지지 않을 때는 미소자석이 각각 제멋대로의 방향을 향하여 서로 자기를 상쇄하기 때문에 외부에 자기를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자기 헤드를 사용하며, 자기헤드는 링모양의 자심(코어)의 일부에 공극부(gap)를 마련하여 이 코어에 코일을 감은 것이다. 상기 자기 헤드의 갭에 자기 테이프를 접촉시킨 채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시켜 코일에 신호 전류를 흘려주면 자기 테이프에는 거리적으로 신호전류의 강약에 따른 자기가 남겨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 신호의 기록·재생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영상신호의 기록·재생 회로는, NTSC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기록하기 쉬운 형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 상기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와 접속되며,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비디오 헤드로 출력하는 녹화 증폭부(12), 상기 녹화 증폭부(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디오 헤드및 기록 재생회로를 전환하는 제1 스위칭부(14), 상기 제1 스위칭부(14)와 접속되며, 제1 스위칭부(1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치 증폭부(16), 상기 전치 증폭부(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진폭 보정을 하여 진폭 특성을 평탄하게 하기 위한 이퀄라이저부(18), 상기 이퀄라이저부(18)와 접속되며, 비디오 트랙에서 순차 재생되는 신호를 적당한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중복이나 결손이 없는 신호를 얻기 위한 스위처부(20), 상기 스위처부(20) 및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와 접속되며, 레코드 플레이 등의 조작 버튼과 연동하는 제2 스위칭부(22), 상기 제2 스위칭(2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NTSC 신호로 복원하는 것으로 주파수 변별기, 주파수변환기 등으로 구성된 복조부(24), 상기 복조부(24)와 접속되며, 재생신호에 드롭아웃이 발생 할 때 라인간 상관성을 이용해 1H전의 FM신호로 대체하는 DOC부(26), 상기 DOC부(26)와 접속되며, DOC부(26)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드럼의 회전 및 테이프의 주행으로 인한 시간축 변동이 나타나서 화면의 흔들림이나 색도의 변동이 발생하는데 재생신호의 시간축 변동을 제거하는 TBC부(28), 그리고
상기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와 접속되며 회전 헤드 드럼의 회전 안정화 및 회전 위상의 제어를 하기 위한 드럼 서보 회로부(30), 상기 드럼 서보 회로부(30)와 접속되며 드럼 서보 회로부(30)에서 제어된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드럼 모터를 구동하는 드럼 모터 구동 증폭부(32), 또한
비디오 트랙의 트래킹을 항상 유지하기 위한 자동 제어 회로로서, 캡스턴 회전을 통해서 주행을 제어하는 캡스턴 서보 회로부(34), 상기 캡스턴 서보 회로부(34)에서 제어된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캡스턴 모터를 구동하는 캡스턴 모터 구동 증폭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기록 재생 회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는 AGC, LPF, 프리엠파시스(PRE-EHPH), 백피크 클리퍼, 클램프, FM변조기 및 HPF로 구성되며, 상기 AGC에서는 FM신호의 변조지수의 변화를 막기 위하여 입력신호 레벨을 규정치의 레벨인 1Vp-p로 조정하며, LPF에서는 영상신호에 3.58㎒의 fsc가 다중되어 있어 2 성분이 FM 변환의 과정에서 방해 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제2 고조파를 제거하고, 프리엠파시스(PRE-EHPH)에서는 FM신호 복조시 고역에서 FM의 삼각 노이즈로 고역 SN비가 열화하기 때문에 재생신호의 SN비를 개선하기 위해서 고역 강조를 하고 이 강조분은 복조시 디-엠파시스에 의해 고역 감쇄를 하여 평탄한 특성을 얻으며, 백피크 클리퍼(White Peak Clipper)에서는 프리엠파시스에 의해 신호의 상승, 하강 부분에 스파이크(Spike)가 발생해 스파이크 선단의 과변조를 막기 위해 120%∼130%정도로 클립하며, 클램프에서는 다음 단의 FM 변조기에서 영상신호 파형과 캐리어 주파수와의 관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동기 선단을 일정 전압으로 클램프한다. 그리고, FM 변조기에서는 입력레벨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발진기로 멀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며 여기서 기록 신호로 변환되며, HPF에서는 기록을 위한 저역변환 색신호를 다중하기 위한 대역을 만든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의 출력신호는 녹화 증폭부(12) 및 제2 스위칭(22)부로 신호가 인가되며, 녹화 증폭부(12)는 전단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여 비디오 헤드(14a, 14b)에 인가한다. 상기 녹화 증폭부(12)의 각 출력단에 구비된 VR-1, VR-2는 녹화 전류 조정용 가변 저항기이며 최대 재생 전압이 얻어지는 값으로 세트하여 사용한다. 채널A R/P헤드(14a) 및 채널B R/P헤드(14B)로 구성된 제1 스위칭부(14)는 비디오 헤드와 기록 재생 회로와의 전환스위치로서 레코드(R), 플레이(P)의 조작 버튼과 연동하며, 전치 증폭부(16)는 제1 전치증폭부(16a) 및 제2 전치증폭부(16b)로 구성되며, 제1 전치증폭부(16a)는 채널A R/P헤드(14a)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제2 전치증폭부(16b)는 채널B R/P헤드(14b)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전치증폭부(16)로부터 증폭된 신호는 제1 이퀄라이저(18a) 및 제2 이퀄라이저(18b)로 구성된 이퀄라이저(18)부로 인가되며, 상기 이퀄라이저부(18)는 헤드와 테이프 사이에서 발생되는 고역주파수의 진폭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진폭 보정을 하여 진폭특성을 평탄하게 한다. 이퀄라이저부(18)와 접속되는 스위처부(20)는 1필드분의 신호와 전후의 비디오 트랙과의 연결부분에 중첩된 신호를 적당한 타이밍으로 전환하여 중복이나 결손이 없는 신호로 만든다. 그리고, 제2 스위칭부(22)는 EE/TAPE 전환스위치로서 기록 플레이 등의 조작 버튼과 연동한다. 복조부(24)는 상기 제2 스위칭부(22)로부터 인가되는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에서 변환된 신호를 NTSC신호로 복원하며, 상기 복원된 신호는 DOC(Drop Out Compensator)부(26)에서 드롭아웃의 부분에 1라인 전의 같은 부분에 해당하는 신호를 삽입하여 헤드 테이프간의 접촉 불량 등의 원인에 의해 재생 신호가 결여되는 드롭아웃을 보상한다. 상기 보상된 신호는 TBC(Time Base Collector)부(28)로 인가되며, 상기 TBC(28)부를 설명하면 재생 신호에는 드럼의 회전 얼룩이나 테이프의 주행 얼룩 등에 기인한 시간축 변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영상 모니터에 출력되면 화면의 가로 흔들림아나 색도의 변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타임베이스 컬렉터는 재생신호의 시간축 변동을 제거하여 시간축의 바른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기록신호 처리회로부(10)와 접속되는 드럼 서보 회로부(30)는 회전 헤드 드럼 회전의 안정화와 회전 위상의 제어를 하기 위한 자동 제어 회로로서, 기록 및 재생시 사용되며, 드럼 모터 구동 증폭부(32)는 드럼 서보 회로부(30)에서 제어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드럼 모터를 구동한다. 그리고 캡스턴 서보 회로부(34)는 비디오 트랙의 트래킹을 항상 유지하기 위한 자동 제어 회로로서캡스턴 회전을 통해서 테이프의 주행을 제어하며, 캡스턴 서보 회로부(34)와 접속되는 캡스턴 모터 구동 증폭부(36)는 캡스턴 서보 회로부(34)에서 제어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캡스턴 모터를 구동한다.
도 2는 2대의 VCR을 이용해서 녹화하는 방식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일반적인 기록·재생 동작을 이용해서 A-VCR(50)의 테이프를 B-VCR(52)로 카피(COPY)할 경우, 종래에는 A-VCR(50)에서 공급되는 속도와는 상관없이 B-VCR(52)의 속도를 선택함으로써 SP(Standard Playing) / LP(Long Playing) / SLP(Super Long Playing) 등의 녹화가 임의로 가능했으며, 그렇기 때문에 기록시 A-VCR에서 재생되고 있는 테이프의 기록상태에 따라 속도가 고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디오 테이프가 재생되는 일측의 VCR로부터 재생된 신호를 녹화하는 타측의 VCR에 있어서, 상기 녹화되는 VCR의 속도를 사용자가 조정하면 마이컴은 이를 감지하여 재생 VCR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캡스턴 속도 제어부로 인가하면, 상기 캡스턴 속도 제어부는 서보/시스콘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해당되는 모드(SP, LP, SLP)로 속도를 제어하며, 데크부는 상기 속도에 의해서 로딩 모터를 구동시켜 기록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신호에 대한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반복 재생기능을 갖는 VCR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반복 재생기능을 갖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튜너 및 변조부 38 : 영상/음성처리 IC부
40 : 서보/시스콘 마이컴부 42 : 비스마크 기록계
44 : 반복펄스 기록계 46 : 데크부
46a : 비디오 헤드 46b : 오디오/CTL 헤드
48 : 테이프 영상/음성 기록계 60 : 오디오 신호
62 : 비디오 신호 64 : CTL 신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생되고 있는 VCR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기록 테이프에 신호가 기록될 수 있도록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 IC부(54); 상기 영상처리 IC부(54)와 접속되며, 영상처리 IC부(54)에 인가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58);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58) 및 영상처리 IC부(54)와 접속되며, 동기신호 검출부(58)로부터 검출된 동기신호에 대한 정보 및 영상처리 IC부(54)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 상기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와 접속되며,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에서 인가되는 속도 제어신호에 의해서 캡스턴 속도를 제어하는 캡스턴 속도 제어부(62); 상기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로부처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캡스턴 속도 제어부(62)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데크부(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에 있어서, A-VCR에 있는 비디오 테이프를 B-VCR로 복사시에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64)에 구비된 속도제어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644)에서 인가되는 속도제어 버튼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감지된 속도에 의해서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는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로 상기에서 감지된 속도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속도변환은 동기신호 검출부(58)에서 인가된 동기신호의 주기를 변환시킨다. 즉, 동기신호 검출부(58)에서 검출된 'T'만큼의 주기를 갖는 동기신호를 N배 만큼 빠른 모드로 변환을 시킨다면, N배속 만큼의 신호가 압축이 되어서 데크부(60)로 인가되며, 상기 데크부(60)는 인가되는 신호에 맞도록 구동동작을 행한다. 상기의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에서 데크부(60)로 신호가 빨리 인가되는 것은 동기신호의 주기가 짧게 된 것이며, 상기 주기에 해당하는 동기신호는 켑스턴 속도의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에 대한 블록도이며, 상기 블록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영상처리 IC부(54)는 녹화시 재생되는 VCR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영상처리 IC부(54)에 입력되어 영상처리된 신호는 동기신호 검출부(58)로부터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58)에서 검출된 동기신호와 영상처리 IC부(5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로 입력되며,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는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트 컨트롤러(64)에 구비된 속도제어 버튼(도시 안됨)이 눌려지면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로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로부터 인가된 구동신호에 의해서 캡스턴 속도를 제어하여 데크부(60)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데크부(60)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로딩모터를 구동하여 기록신호를 제어한다.
상기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는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드, 속도 에러 검출부, PWM(Pulse Width Modulation) 발생부, LPT(Low Pass Filter), 가산기 및 모터구동 증폭부로 구성되며, 캡스턴 속도 제어계는 기록 및 재생시에 동일하게 동작하며, 캡스턴 모터가 회전하면 FG 패턴 또는 MR소자로부터 FG 펄스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 FG 펄스는 프로그래머블 디바이드에서 각 속도 모드별로 분주비에 의해 분주되어 속도 에러 검출부로 입력된다. 상기 속도 에러 검출부는 속도 검출 회로부의 동작을 통해 속도의 에러양을 검출하며 이것을 PWM 발생부로 인가하며, PWM 발생부에서는 이에 대응된 PWM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PWM 신호는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직류화 되어 가산기의 일측부로 입력이 되며, 가산기에서는 가산기의 타측부로 입력되는 위상제어 신호와 혼합되어 모터 구동 증폭부로 공급되어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다른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하는 경우에 두 대의 VCR을 고주파 케이블로 연결하여 일측의 VCR에서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고, 그 재생신호를 다른 VCR에서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시 사용자로 하여금 속도를 변화시키면 재생되는 VCR의 속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녹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비디오 테이프로부터 재생기능을 갖는 VCR과 재생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VCR 즉, 두 대의 VCR에 의해서 비디오 테이프를 복사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능을 갖는 VCR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해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 IC부(54);
    상기 영상처리 IC부(54)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부(58);
    영상처리 IC부(54) 및 동기신호 검출부(58)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동시에 리모트 컨트롤러(64)에 구비된 속도제어 버튼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
    상기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해서 기록될 영상신호의 속도를 제어하는 캡스턴 속도 제어부(62);
    상기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로딩 모터를 구동하여 영상신호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2. 제 1항에 있어서, 캡스턴 속도 제어부(62)는 서보/시스콘 마이컴부(56)가 감지한 속도로 제어될 수 있도록 T주기를 갖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서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KR1019970055043A 1997-10-25 1997-10-25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KR19990033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43A KR19990033632A (ko) 1997-10-25 1997-10-25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43A KR19990033632A (ko) 1997-10-25 1997-10-25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632A true KR19990033632A (ko) 1999-05-15

Family

ID=6604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043A KR19990033632A (ko) 1997-10-25 1997-10-25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6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950A (en) Signal reproducing circuit for a video tape recorder and particularly to a differential gain control circuit
KR19990033632A (ko) 기록 스피드의 조절 기능을 갖는 vcr
JPS5946045B2 (ja) 磁気再生装置
US5771332A (en) 8 MM video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 high-speed search operation
JP266996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90016313U (ko) 자동반복 재생기능을 갖는 브이씨알
KR970006794B1 (ko) 브이씨알(vcr)의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233539B1 (ko) 기록특성 보정기능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JPS63135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42648B1 (ko) 기록특성 보정기능을 갖는 테이프특성 적응기록방식의 자기기록재생장치
JPH01248896A (ja) ダビング装置
JP3671797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装置
JPH03224378A (ja) オーディ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S60131662A (ja) 記録モ−ド判別方法
JP3401819B2 (ja) 記録再生装置
JPS6016151Y2 (ja) Vtrの再生回路
JPH027379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29675A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H0225193A (ja) 磁気再生装置
JPH0431188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2038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250405A (ja) 音声信号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レコーダ
JPH0819498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20936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229647A (ja) トラツキン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