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150U -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 Google Patents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150U
KR19990033150U KR2019990003945U KR19990003945U KR19990033150U KR 19990033150 U KR19990033150 U KR 19990033150U KR 2019990003945 U KR2019990003945 U KR 2019990003945U KR 19990003945 U KR19990003945 U KR 19990003945U KR 19990033150 U KR19990033150 U KR 199900331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pipe
corrugated steel
rod vibration
vibration comp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진
Original Assignee
정희용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용,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정희용
Priority to KR2019990003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150U/ko
Priority to KR2019990015758U priority patent/KR2001751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5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6Ca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8Internal vibrators, e.g. needle 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재료분리 방지와 콘크리트를 골고루 채우기위한 다짐작업을 효율적으로 시행하여 부실시공 방지를위한 것으로서 근래 설계기술의 발달로 콘크리트부재의 단면 치수는 작아지고 철근량은 증가하게되었으며 또한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는 여러방향의 많은 철근으로인해 콘크리트가 골고루 잘채워지지않고 봉 진동다짐기의 삽입이 어려워 재료분리가 발생할 경우 부실시공이 되므로 주름강관을 이용한 본고안의 끝을 철근 조립시 소정의 위치까지 철근사이로 설치한후 콘크리트 타설시 속이 빈 주름강관 내부에 봉진동다짐기를 삽입하고 주름강관 끝에 부착된 마개철판을 개봉한후 주름강관만 천천히 뽑아 낸다음 콘크리트에 묻혀있는 봉 진동다짐기를 작동시킨상태에서 천천히 뽑아당김으로해서 소정의 다짐작업이 시행되어 콘크리트가 골고루채워지고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하지않아 부실시공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for Rod Vibrator}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골고루 채워지게 하고 재료분리의 발생방지를 위한 다짐작업이 복잡하고 밀집하게 배근된 철근으로인해 원활히 수행되지않았을 경우 부실 시공을 야기할수있으므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위에 다짐작업을 시행함으로써 부실시공을 방지하여 양호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토목 혹은 건축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위한 기술분야에속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후 콘크리트가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잘채워지게하고 콘크리의 재료분리 현상 방지를 위해서는 다짐작업이 필수적이며 일반적인 다짐작업은 봉 진동다짐기가 작동된 상태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아래방향으로 거푸집의 바닥까지 삽입하고 잡아당겨 뽑는 과정을 시행함으로서 소정의 효과를얻는다. 그러나 교각의 상부 혹은 교량 상부의 격벽구조물등은 많은 철근배근으로인해 봉 진동다짐기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이 곤란하므로 종래에는 긴철근으로 콘크리트를 인력으로 쑤셔서 다짐작업을 대신하였으나 이 방법은 당연히 다짐작업이 불충분하며 또한 봉 진동다짐기를 소정의 위치에 도달시키기 위해 봉 진동다짐기보다 직경이 약간 큰 강관을 철근조립시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후 기매설된 강관에 봉 진동다짐기를 삽입하고 강관을 뽑아 제거한다음 다짐작업을 실시하기도 하였으나 이 종래의 방법도 강봉과 철근이 접촉될 경우 철근을 변형시킬수박에 없으므로 철근이 설계된대로 시공되지않아 구조적으로 바람직하지않으며 또한 강관의 하부가 개방되어있어 콘크리트가 강관내부로 밀려들어와 밑으로부터 채워지게되어 봉 진동다짐기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수없어 다짐불량으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많은 철근이 복잡하게 배근된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배근된 철근으로인해 다짐을위한 봉 진동다짐기의 사용이 곤란하므로 다짐작업이 불충분하여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하고자 철근 조립시 철근사이에 본 고안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방규정에의한 다짐작업을 충실하게 시행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와 잔골재가 분리되는 재료분리현상이 방지되어 양호한 품질의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 있다.
[도1] 은 주름강관으로서 봉 진동다짐기의 직경이 5cm 정도이므로 10cm정도의 제품을 사용하며 하부 끝에 ①번의 마개철판을 부착시켜 본 고안을 형성한다.
[도2] 는 주름강관에 부착되어 본 고안을 형성하는 마개철판을 위에서 즉 [도4] 의의 방향에서 본 모습이다.
[도3] 은 주름강관에 부착되어 본고안을 형성하는 마개철판을 아래에서 즉 [도4] 의의 방향에서 본 모습이다
[도4] 는 주름강관 끝에 마개철판이 부착된 본 고안의단면도이며 내부에 봉 진동 다짐기가 삽입되어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① ; 마개철판
② ; 주름강관에 마개철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
③ ; 마개철판 개봉용 끈 고정고리
④ ; 마개철판 개봉용 끈 위치 고정고리
⑤ ; 마개철판을 주름강관에 볼트로 고정시키기위한 구멍
⑥ ; 주름강관
⑦ ; 마개철판 개봉용끈의 통과구멍
⑧ ; 마개철판 개봉용 끈
⑨ ; 봉 진동다짐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주름강관으로서 경사지게 절단된 하부에 마개철판이 부착되어 본고안을 이루게된다. ⑦의 구멍은 마개철판 개봉용끈(나이롱끈등)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오는 구멍이다.
[도2] 와 [도3] 은 주름강관의 경사진 하부에 맞추어 타원형으로 제작된 마개철판을 각 상부와 하부에서 즉 [도4] 의 각방향과방향에서 본 모습으로 재질은 양철판등을 사용하며 ⑤번의 구멍을 이용하여 주름강관의 경사진 상부에 볼트를 사용하여 부착시킨다. 볼트에 의해 상부가 고정된 마개철판은 볼트에 의한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주름강판의 하부 개구부를 막았다 열었다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주름관 하부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는 ②번의 톱니바퀴식의 돌기를 손으로 구부려 주름강관의 하부 단부의 안팎에 교대로 끼워넣음으로써 마개철판이 개구부를 막아주게된다.
마개철판을 개봉시키는 역할을 하는 ⑧번의 마개철판 개봉용 끈은 마개철판의 뒷면의 하부측에 설치된 ③번의 고리에 고정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④번고리를 통과한다음 볼트에의한 고정부의 바로 윗부분에 뚫어놓은 ⑦번의 구멍을 통해 주름강관의 내부로 들어가 주름강관의 상부밖으로 연결된다.
[도4] 는 주름강관의 끝에 부착된 ①번의 마개철판이 주름강관의 개구부를 닫고있는 형태로 이는 본 고안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⑨번의 봉 진동다짐기가 도면과 같이 설치된 단계로서 다음단계는 주름강관 상부 밖에서 ⑧번의 개봉용 끈을 잡아당겨 ①번의 마개철판을 개봉시킨다. 주름강관이 개봉되면 콘크리트는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밀려 들어오게되며 ⑨번의 봉 진동다짐기는 콘크리트속에 묻치게된다. 다음엔 ⑨번의 봉 진동다짐기는 제위치에 있는상태에서 ⑥번의 주름강관을 천천히 뽑아올려 제거한후 봉 진동다짐기를 작동시키고 천천히 뽑아올리면서 필요한 위치에 소정의 진동다짐을 실시한다. 주름강관의 하부단부는 경사지게하여 마개철판의 필요한 개폐동작을 감소시킴으로서 적은 힘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게하며 또한 ⑤번의볼트고정부 바로아래부분이 개폐동작에 의해 구부려졌다 펴졌다하게 되므로 이의 수명을 보다 오래 유지케하기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철근이 복잡하게 밀집되어 배근된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종전에는 봉 진동다짐기의 삽입이 곤란하므로 다짐작업이 불충분하여 부실시공의 우려가 있었으나 본 고안을 이용함으로써 다짐작업이 충실하게 시행되어 콘크리트의 굵은골재와 잔골재가 골고루섞여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하지않으므로 부실시공이 방지되고 양호한 품질의 콘크리트가 시공되어지는 효과가있다.

Claims (1)

  1. 경사지게 절단된 주름강관의 단부에 기설치된 개봉용 끈에의해 쉽게 개봉되는 마개철판이 부착된 봉 다짐진동기 가이드 파이프.
KR2019990003945U 1999-03-12 1999-03-12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KR19990033150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45U KR19990033150U (ko) 1999-03-12 1999-03-12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KR2019990015758U KR200175154Y1 (ko) 1999-03-12 1999-08-02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45U KR19990033150U (ko) 1999-03-12 1999-03-12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58U Division KR200175154Y1 (ko) 1999-03-12 1999-08-02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50U true KR19990033150U (ko) 1999-08-05

Family

ID=195734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45U KR19990033150U (ko) 1999-03-12 1999-03-12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KR2019990015758U KR200175154Y1 (ko) 1999-03-12 1999-08-02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58U KR200175154Y1 (ko) 1999-03-12 1999-08-02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31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017A (ko) * 2009-07-31 2012-05-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US9862822B2 (en) 2014-11-18 2018-01-0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2337A (zh) * 2017-11-27 2018-04-06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用于作业空间受限、密集结构区域的混凝土综合捣固方法
KR102422600B1 (ko) 2021-11-17 2022-07-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타설, 다짐 및 마감을 위한 콘크리트 복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콘크리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017A (ko) * 2009-07-31 2012-05-2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난연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US9862822B2 (en) 2014-11-18 2018-01-0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ad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54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3148B (zh) 一种框架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886922B1 (ko) 구조물 기초 보강 또는 보수방법
KR19990033150U (ko) 봉 진동다짐기 가이드 파이프
CN212742551U (zh) 基坑支护桩及基坑支护装置
KR20050017160A (ko)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CN206752693U (zh) 一种箍筋加密的装配式钢筋混凝土柱与柱拼接节点
CN205476451U (zh) 一种建筑施工液压模板爬升装置
CN101565953B (zh) 灌注桩静载试验中桩头的固定方法
CN206408924U (zh) 一种可重复利用的悬挑架预埋环
CN106223477A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构件连接方法
CN114197526B (zh) 一种逆作法竖向结构支模体系及施工方法
KR100755164B1 (ko) 일체식 소켓을 이용한 강관 파일 두부 보강장치
CN207619988U (zh) 条形基坑现浇混凝土对撑与预制连系梁的连接结构
CN209585613U (zh) 预制混凝土柱的后浇段支撑装置
KR200283304Y1 (ko) 제거형 네일의 구조
KR20030023036A (ko)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CN114293586B (zh) 一种用于山地环境的高低位光伏板浇筑结构的使用方法
CN210238323U (zh) 一种新型路堑墙泄水孔施工质量提升辅助工具
CN113202102B (zh) 一种用于堆石坝面板施工的无约束架立筋装置及安装方法
KR20000020530A (ko) 교량신축이음부의 후타콘크리트 비파쇄 인양제거를 위한 신축이음부와 그 설치 및 인양공법
CN214143796U (zh) 一种挡土墙模板
CN214219894U (zh) 排水沟浇筑模板
KR100350627B1 (ko)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CN220035520U (zh) 一种管桩口的封堵装置
CN208152252U (zh) 一种梁柱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