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036A -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036A
KR20030023036A KR1020010055907A KR20010055907A KR20030023036A KR 20030023036 A KR20030023036 A KR 20030023036A KR 1020010055907 A KR1020010055907 A KR 1020010055907A KR 20010055907 A KR20010055907 A KR 20010055907A KR 20030023036 A KR20030023036 A KR 2003002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ulvert
corrugated steel
concrete culver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3036A/ko
Publication of KR2003002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0Special cross- sections, e.g.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5Plate linings; Laggings, i.e. linings designed for holding back formation material or for transmitting the load to main suppor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가 파손이나 붕괴 위험이 있을 때 콘크리트 암거의 내하력 증강 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시공하고,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킨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로서, 파형강판 구조물(120) 및 콘크리트 충전물(130)이 콘크리트 암거(100)의 손상을 중지시키고,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하력을 증강시켜 그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MENDING METHOD OF CONCRET UNDERDRAIN USING CORRUGATED MATTER PLATE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가 파손이나 붕괴 위험이 있을 때 그 내부에 파형강판 구조물을 시공하고, 콘크리트 암거와 파형강판 구조물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암거의 내하력 증강 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터널이나 하천의 배수구에는 콘크리트 암거로 된 터널이 시공되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암거를 도 1에 도시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암거(10)를 산 등의 터널(20)에 시공할 때에는, 먼저 터널(20)을 굴착한 다음 터널(20)의 내부 벽에 철근 보강재를 삽입하고, 터널(20)의 벽에 콘크리트를 응고시켜 콘크리트 암거(10)를 완성시킨다. 콘크리트 암거(10)는 응고되면서 강도가 커져 터널(20)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암거(10)를 하천의 교량이나 도로의 생태계 통로용으로 시공할 때에는, 먼저 콘크리트로 터널 형태의 콘크리트 암거(10)를 시공한 후, 그 위에 흙(30)을 덮어 도로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암거(10)는 형상강도가 유지되는 기간동안은 별다른 보수의 필요성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콘크리트 암거(10)가 손상되기 시작하거나, 콘크리트 암거(10)를 덮고 있는 흙(30)의 무게가 과다하여 콘크리트 암거(10)의 붕괴위험이 있을 때는 콘크리트 암거(10)를 보수하여 내하력을 증강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콘크리트 암거(10)는 구조상 내하력을 보강하는 보수가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암거(10)는 손상되기 시작하거나 붕괴위험이 있으면, 폐쇄하거나 철거하고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가 파손이나 붕괴 위험이 있을 때 그 내부에 파형강판 구조물을 시공하고, 콘크리트 암거와 파형강판 구조물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암거의 내하력 증강 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암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3에 도시한 콘크리트 암거 보수 구조물의 시공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암거110: 암거
120: 파형강판 구조물122: 파형강판
124: 볼트126: 채널
130: 콘크리트 충전물140: 흙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파형강판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과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의 내부에 다수의 파형강판을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조립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과 상기 콘크리트 암거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응고시킨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3에 도시한 콘크리트 암거 보수 구조물의 시공상태 사시도이다.
산 등의 터널(110)의 벽에는 콘크리트를 응고시킨 콘크리트 암거(100)가 시공되어 있다. 하천의 교량이나 도로의 생태계 통로에는 콘크리트 암거(100)가 시공되고 그 위에 흙(140)을 덮어 도로를 만들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도로의 터널이나 하천의 배수구에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를 보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암거(100)의 보수를 위한 구조물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다수의 파형강판(122)을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조립하고,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응고시킨 것이다.
파형강판(122)은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형상강도를 높인 것으로,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반원형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각 파형강판(122)에는 일정한 곡률을 성형하고, 볼트(124)를 사용하여 서로 체결한다. 그리고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양단 저면에는 채널(126)을 고정하여 지면에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시공한다.
이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콘크리트 암거(100)와 일정한 간격 즉, 사람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이 확보된다면 시공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강판 구조물(120)은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서 터널의 형상으로 조립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암거(100)의 크기가 작아서 그 내부에서 작업하기가 곤란하다면, 외부에서 파형강판(122)으로 일정한 길이의 터널형태의 파형강판 구조물(120)로 미리 조립한 다음,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로 이동시켜 먼저 시공된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파형강판 구조물(120)이 조립되면,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킨다.
콘크리트 암거(100)의 길이가 긴 경우,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일정한 길이로 조립되면, 콘크리트 암거(100)와 파형강판 구조물(12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키고, 다시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연결하여 조립한 후 다시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파형강판 구조물(120)이 시공되고 콘크리트 충전물(130)이 응고되면, 콘크리트 암거(100)의 손상이 중지되고 내하력이 증강되어 그 수명이 연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시공하고,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킨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로서, 파형강판 구조물(120) 및 콘크리트 충전물(130)이 콘크리트 암거(100)의 손상을 중지시키고,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하력을 증강시켜 그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파형강판 구조물(120)을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상기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응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2. 터널용으로 시공된 콘크리트 암거(100)의 내부에 다수의 파형강판(122)을 상기 콘크리트 암거(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조립하고,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120)과 상기 콘크리트 암거(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켜 응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크리트 암거의 보수 구조물.
KR1020010055907A 2001-09-11 2001-09-11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30023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907A KR20030023036A (ko) 2001-09-11 2001-09-11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907A KR20030023036A (ko) 2001-09-11 2001-09-11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036A true KR20030023036A (ko) 2003-03-19

Family

ID=2772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907A KR20030023036A (ko) 2001-09-11 2001-09-11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30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97A (ko) * 2002-06-17 2003-12-31 허정원 곡면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라이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20279A (ko) * 2002-08-30 2004-03-09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40088735A (ko) * 2003-04-10 2004-10-20 유승운 파형강판과 기존 철근콘크리트통로박스와의 접합부에 대한 설계 및 시공
WO2008038951A1 (en) * 2006-09-26 2008-04-03 Pyungsan Si Ltd. Corrugated steel sheet having rational jointing part for improv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flexibility and ductility
KR101702033B1 (ko) 2016-04-12 2017-02-02 이성식 콘크리트 도관 구조적 보수ㆍ보강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벤딩장치
CN110387834A (zh) * 2019-07-22 2019-10-29 衡水力能新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波纹涵管加强结构及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97A (ko) * 2002-06-17 2003-12-31 허정원 곡면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라이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20279A (ko) * 2002-08-30 2004-03-09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40088735A (ko) * 2003-04-10 2004-10-20 유승운 파형강판과 기존 철근콘크리트통로박스와의 접합부에 대한 설계 및 시공
WO2008038951A1 (en) * 2006-09-26 2008-04-03 Pyungsan Si Ltd. Corrugated steel sheet having rational jointing part for improv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flexibility and ductility
KR101702033B1 (ko) 2016-04-12 2017-02-02 이성식 콘크리트 도관 구조적 보수ㆍ보강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벤딩장치
CN110387834A (zh) * 2019-07-22 2019-10-29 衡水力能新材料工程有限公司 一种波纹涵管加强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785B1 (ko) 지하 연속벽체 철근 겹이음을 위한 프로텍터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CN110106892B (zh) 地下连续墙大跨度破除的施工方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023036A (ko) 파형강판을 사용한 콘트리트 암거의 보수방법 및 그 구조물
KR100289256B1 (ko) 토피가 얕은 지역의 터널구축방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0753140B1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터널구조체 시공방법
CN216108545U (zh) 一种用于沟槽开挖的装配式支护单元
KR101696282B1 (ko)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JP5101050B2 (ja) セグメントユニット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100959946B1 (ko) 인장력에 의한 루프 구조체 시공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루프 구조체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20090116140A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 그 시공방법 및 교각과기초의 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0483200B1 (ko) 단계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한 벽체형 파일과 이의 제작방법및 벽체형 파일을 이용한 파일 벽체 시공방법
CN217231688U (zh) 预制齿墙框箱和齿墙
KR19990085688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 볼트 구멍을 성형하는방법 및 그 성형기구
KR200415520Y1 (ko) 강관루프 구조체
CN212670584U (zh) 一种榫卯连接全预应力混凝土实心矩形支护桩
KR100711751B1 (ko) 축도 법면 유실방지 구조물 및 그 설치공법
JP2011080310A (ja) 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1025019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쉬트파일 합성 rc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0272838B1 (ko) 변화단면 지중연속벽 축조 공법
KR200253362Y1 (ko) 쇄석 채움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