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27B1 -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27B1
KR100350627B1 KR1019990055016A KR19990055016A KR100350627B1 KR 100350627 B1 KR100350627 B1 KR 100350627B1 KR 1019990055016 A KR1019990055016 A KR 1019990055016A KR 19990055016 A KR19990055016 A KR 19990055016A KR 100350627 B1 KR100350627 B1 KR 10035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concrete
vibration
string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184A (ko
Inventor
정관진
Original Assignee
(주)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1999005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6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8Internal vibrators, e.g. needle 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조밀하고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여 주는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부림이 자유로운 가요성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상기 주름관의 하부를 개폐하여 주는 마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복잡하게 배근되는 철근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미경화 콘크리트 타설시 그 주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삽입시키고 타설된 콘크리트 외부로 뽑아냄으로써,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트의 속으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다짐작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많은 철근이 조밀하고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서 발생되는 다짐불량을 해결하여 보다 품질좋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구현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Guide Apparatus for Vibrator of Concrete Vibrating Compaction}
본발명은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작업에 사용되는 진동다짐기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여 주어 콘크리트의 다짐작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또는 토목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철근들의 사이 및 내부 단면살에 콘크리트가 꽉 채워지지 않고 공극이 존재할 경우에는 구조적인 강도가 확보되지 않아 재료 분리현상이 일어나는 등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 심각한 하자가 발생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미경화 콘크리트를 철근들의 사이 및 거푸집의 바닥구석까지 밀실하게 채우기 위해서는 인공적인 다짐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종래,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로 쑤셔 넣고 진동시킨 후 빼내는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이용한 다짐작업에서 철근이 넓은 간격으로 배근된 평활한 장소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봉을 쑤셔 넣는데 힘이 들어서 그렇지 그리 큰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철근이 복잡하게 배근된 교각의 상부나 교량상부의 격벽구조물 등에는 복잡하게 얽힌 철근등이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소요깊이까지 삽입하기에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러한 부분을 작업자들이 긴 철근이나 강봉등으로 쑤셔서 다짐작업을 대신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인력에 의존한 다짐작업에 의해서는 다짐작업이 불충분하였으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가장 큰 구조적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에 오히려 콘크리트가 부실하게 채워지는 결과를 낳게 되어 부실공사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강관을 이용해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다짐작업에 필요한 소요깊이까지 도달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강관을 이용한 방법은 진동다짐기의 진동봉보다 직경이 약간 큰 강관을 철근조립시 철근들의 사이에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후 매설된 강관의 내부에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삽입한 다음, 강관을 뽑아내 제거하게 되면 진동봉이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트의 내부에 묻히면서 진동을 일으켜 다짐작업을 수행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조밀하게 배근된 철근사이로 강관을 배치해야 할 경우에는 철근을 변형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철근이 설계된 대로 시공되지 않는 다른 문제점을 일으켜 바람직하지가 않았다.
또한, 강관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가 강관 내부로 밀려들어와 강관 내부를 채우게 되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다짐작업에 필요한 소요깊이에 도달할 수 없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발명은 종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많은 철근이 조밀하고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서 발생되는 다짐불량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여 콘크리트의 다짐작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품질좋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구현하는데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봉 유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일구성재로 사용되는 마개판의 사시도
도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동봉 유도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봉 유도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주름관 20:마개판 21:힌지편
22:결착편 30:당김끈 31:끈고정고리
32:끈안내고리 33:끈통과구멍 s:볼트
v:진동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는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부림이 자유로운 가요성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결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주름관의 하부를 개폐하여 주는 마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발명은 주름관의 하부 입구가 마개판에 의해 막힌 상태로 복잡하게 배근되는 철근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미경화 콘크리트 타설시 그 주름관의 내부에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삽입시킨 후, 마개판을 회동시켜 주름관의 하부를 개방한 다음,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 외부로 뽑아냄으로써,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주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
이하,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는 도1 내지 도4의 도시와 같이, 타설되는 콘크리트 단면살 두께보다는 일정부분 더 긴 길이를 갖고 그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부림이 자유로운 가요성 주름관(10)과, 상기 주름관(10)의 하단부에 탈리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주름관(10)의 경사진 하부 입구를 차폐하여 주며 그 일측단부가 상기 주름관(10)의 관벽하단에 고정되어 그 판체에 주름관(10)의 하부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주름관(10)에 끼워 맞춰진 부분이 탈리되면서 주름관(10)과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하여 주는 마개판(2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본발명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에서 주름관(10)은 구부림이 자유로우면서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측압에 대응할 수 있는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금속제 주름관 또는 합성수지제 주름관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마개판(20)은 얇은 양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름관(10)의 하부 입구와 정합되는 형상의 타원형으로 성형되는 판체를 가진다.
그리고, 마개판(20)에는 그 타원형 판체의 장축 꼭지점부에 상부로 연장되는 힌지편(21)이 구비된다. 이 힌지편(21)은 주름관(10)의 관벽과 함께 볼트(s)로 관통되어 고정되며, 이 볼트결합부가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할 때 마개판(20)의 회전중심점이 된다.
또한, 마개판(20)의 외주연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세워지는 결착편(22)이 구비된다. 이 결착편(22)은 주름관(10)의 하단부에 안팎으로 번갈아 끼워 넣음으로써 주름관(10)에 마개판(20)을 결착시키는데 이용하며, 물리적인 힘이 마개판(20)의 하부방향으로 가해지면 주름관(10)으로부터 탈리된다.
한편, 상기 마개판은 주름관(10)에 결착된 상태에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으로 밀어 개방이 가능한 것으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의 개방을 용이케 하기 위하여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된다.
즉,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마개판(20)의 개폐수단으로서, 상기 마개판(20)의 고정점 반대측 하부에는 끈고정고리(31)를 설치하고, 고정점 부근에는 끈안내고리(32)를 설치하며, 고정점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주름관(10)의 관벽에는 끈통과구멍(33)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끈고정고리(31)에는 당김끈(30)의 일측끝을 붙잡아 매어 놓고, 그 당김끈(30)의 타측끝을 상기 끈안내고리(32)와 끈통과구멍(33)에 연속 관통시키어 주름관(10)의 내부를 경유시킨 후, 상기 주름관(10)의 상부 입구측으로 빼어 놓은 기술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발명 진동봉 유도장치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발명에 의한 장치는 주름관(10)의 하부 입구가 마개판(20)에 의해 막힌 상태로 복잡하게 배근되는 철근들의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마개판(2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착편(22)을 주름관(10)의 하부에 엇갈리게 끼워 넣어서마개판(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작업에서 본발명에 의한 진동봉 유도장치는 구부림이 자유로운 주름관(10)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배근되는 철근을 설계에 반하여 구부릴 필요없이 배근된 철근의 위치에 따라 본발명을 유연하게 구부리면서 철근사이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은 그 주름관(10)의 하단부가 경사져서 뾰족하기 때문에, 배근후 철근사이로 집어넣어 배치할 때보다 손쉽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발명이 설치된 장소에 미경화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도4의 도시와 같이, 주름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v)을 삽입시킨다.
진동봉(v)이 삽입되면 주름관(10)의 상부에 위치한 당김끈(30)을 잡아당겨 상기 마개판(20)을 회동시킴으로써, 마개판(20)의 결착편(22)과 주름관(10)의 하단부를 분리시키면서 상기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한다.
이때, 본발명에 의한 장치는 주름관(10)의 하단부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마개판(20)의 개방동작에 필요한 회전각도가 최소화됨으로써, 적은 힘에 의해 손쉽게 개방된다.
이와 같이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한 다음에는 주름관(10)을 서서히 상부로 들어 올려 타설된 콘크리트 외부로 뽑아낸다.
이렇게 주름관(10)을 미경화 콘크리트의 외부로 뽑아내면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측으로 콘크리트가 밀려오게 되어 진동봉(v)이 미경화 콘크리트 속에 묻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발명에 의한 진동봉 유도장치는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내부에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준다.
이와 같이 진동봉(v)이 콘크리트 속에 묻힌 다음에는 일정시간 동안 콘크리트에 진동력을 가하여 다짐작업을 실시한 후 진동봉을 천천히 뽑아 올림으로써 그 위치의 다짐작업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조밀하고 복잡하게 배근된 소정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다짐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콘크리트가 충실히 채워진 보다 품질좋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실현시킨다.
한편, 본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복잡하게 배근된 철근 사이에 배치하기가 용이한 가요성 주름관을 사용하고, 그 주름관의 하부를 회전개폐되는 마개판으로 막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시키면서 타설된 미경화 콘크리트속에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삽입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준다는 기술사상으로서, 본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 외에 주름관의 형태 또는 마개판의 결착 및 개폐방식을 변경시켜 얼마든지 용이하게 실시가능한 것으로, 다른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본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발명의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에 의하면,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여 준다.
아울러 본발명에 의한 진동봉유도장치는 주름관의 하부에 마개판이 구비되었기 때문에,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어 진동봉을 다짐작업에 필요한 소요깊이까지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에 의하면 구부림이 자유로운 주름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근되는 철근을 설계에 반하여 구부릴 필요없이 배근된 철근의 위치에 따라 본발명을 유연하게 구부리면서 철근사이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은 그 주름관의 하단부가 경사져서 뾰족하기 때문에 배근후 철근사이로 집어넣어 설치할 때 보다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동시에, 마개판의 회전각도가 최소화되어 개방동작이 용이하게 되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종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시 많은 철근이 조밀하고 복잡하게 배근된 부분에서 발생되는 다짐불량을 해결하여,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다짐작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보다 품질좋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구현케 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타설되는 콘크리트 단면두께 보다는 일정부분 더 긴 길이를 갖고 그 하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구부림이 자유로운 가요성 주름관(10)과, 상기 주름관(10)의 하단부에 탈리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주름관(10)의 경사진 하부 입구를 차폐하여 주며 그 일측단부가 상기 주름관(10)의 관벽하단에 고정되어 그 판체에 주름관(10)의 하부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주름관(10)에 끼워 맞춰진 부분이 탈리되면서 주름관(10)과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하여 주는 마개판(20)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하부 입구가 막힌 상태로 복잡하게 배근되는 철근들의 사이에 설치하여서, 미경화 콘크리트 타설시 그 주름관(10)의 내부에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을 삽입시킨 후, 마개판(20)을 회동시켜 주름관(10)의 하부 입구를 개방한 다음,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 외부로 뽑아냄으로써, 타설되는 미경화 콘크리트의 내부로 진동다짐기의 진동봉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의 고정점 반대측 하부에 끈고정고리(31)를 설치하고, 고정점 부근에는 끈안내고리(32)를 설치하며, 고정점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주름관(10)의 관벽에는 끈통과구멍(33)을 형성하여 놓는 동시에, 상기 끈고정고리(31)에 당김끈(30)의 일측끝을 붙잡아 매어 놓고, 그 당김끈(30)의 타측끝을 상기 끈안내고리(32)와 끈통과구멍(33)에 연속 관통시키어 주름관(10)의 내부를 경유시킨 후, 상기 주름관(10)의 상부 입구측으로 빼어 놓아서, 상기 당김끈(30)을 잡아당겨 상기 마개판(2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주름관(10)의 하부 입구가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KR1019990055016A 1999-12-04 1999-12-04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KR10035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016A KR100350627B1 (ko) 1999-12-04 1999-12-04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016A KR100350627B1 (ko) 1999-12-04 1999-12-04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758U Division KR200175154Y1 (ko) 1999-03-12 1999-08-02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184A KR20000062184A (ko) 2000-10-25
KR100350627B1 true KR100350627B1 (ko) 2002-08-30

Family

ID=1962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016A KR100350627B1 (ko) 1999-12-04 1999-12-04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93A (ko) 2017-10-16 2019-04-24 현대건설주식회사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3094A (zh) * 2014-12-03 2015-04-22 浙江省火电建设公司 振捣棒导向装置
CN108166764B (zh) * 2017-11-22 2019-10-18 合肥市日月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混凝土螺旋振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93A (ko) 2017-10-16 2019-04-24 현대건설주식회사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184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9631B2 (ja) 補強体とその補強体を用いた杭の築造方法およびその補強体を用いた構造躯体の築造方法
KR200175154Y1 (ko)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KR100350627B1 (ko)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진동봉 유도장치
JP3733772B2 (ja) 場所打ち鋼管コンクリート杭とsrc柱と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KR101314080B1 (ko)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JPS6047119A (ja) 場所打ち杭の杭頭無振動無騒音破断方法
KR20210046190A (ko) 콘크리트 파일 성형장치
JP2000220140A (ja) 場所打ち鋼管コンクリート杭及びその施工方法
JP2506398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構築方法
JP4272543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施工法
KR200291837Y1 (ko) 다축 콘크리트 말뚝 현장 타설장치 구조
JPS58101926A (ja) 現場打杭の杭孔底強化方法
KR970021568A (ko)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JPH10231517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杭の杭頭コンクリー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545658Y2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パイプ
JP2693027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処理工法
JPH0430014A (ja) パイルの形成方法と基礎の形成工法
JP200721786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相互の接合構造
JPH08260457A (ja) 既存杭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JPH042134B2 (ko)
JPH01125416A (ja) コンクリートパイル
JPH06158649A (ja) プレストレス導入地下連続壁の施工法
JPS63156118A (ja) ベントナイト等の取出用バケツト
JPS5810531B2 (ja) バシヨウチコンクリ−トドドメコウホウ
RU2235828C1 (ru) Вибр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едения в грунте несуще-огражда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