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948U -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948U
KR19990032948U KR2019970045749U KR19970045749U KR19990032948U KR 19990032948 U KR19990032948 U KR 19990032948U KR 2019970045749 U KR2019970045749 U KR 2019970045749U KR 19970045749 U KR19970045749 U KR 19970045749U KR 19990032948 U KR19990032948 U KR 199900329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sewing
passenger seat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45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948U/ko
Publication of KR19990032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48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에어백 작동시 발생하는 높은 압력과 직사광선으로 인한 고온상태의 노출시에 에어백의 쿠션 섬유조직이 약화되어 에어백이 전개될 시 쿠션의 재봉부위가 찢어짐이 발생하여 에어백의 작동성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이써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에서는 에어백(10)의 쿠션(11)을 재봉하는 재봉선(12)을 후방플랩(13)까지 연장시켜 플랩(13)의 안쪽으로 겹치도록 하고;
쿠션(11)의 사이드판넬(14)과 쿠션 구성판넬이 교차되는 가장자리(16)에는 네오프렌코팅(15)과 재봉(17)을 추가하여 에어백전개시 발생하는 충격과 온도변화에 대한 강성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에어백쿠션의 강도보강으로 인한 에어백의 신뢰성을 높혀 승차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정된 품질로 인한 제품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본 고안은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상태에서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의 에어백은 주행중 자동차가 충,추돌사고시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에 부딪히거나 조수석에 승차한 승차자가 인스트루먼트판넬솨 부딪혀 신체적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대형사고의 경우에는 승차자의 방지하여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승차자가 안전밸트를 장착하였을 경우를 감안하여 소형이면서 안면보호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SRS에어백과 안전밸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감안하여 설치하는 대형 에어백등으로 구분이 된다.
상기 신체적부상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에어백이 운전석에는 스티어링휠상에 조수석에는 인스투루먼트판넬상에 설치가 된다.
에어백은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센서에 의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감지되고 인플레이트(INFLATER; 에어백시스템의 가스발생장치)에 통전하여 착화를 시켜 쿠션이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수석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에어백하우징체 내에 긴 봉체로 이루어진 인플레이터가 쿠션과 함께 수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단부는 하우징체의 단부판인 엔드캡에 고정이되고 타측단부는 팽창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급송관이 연결되고, 케이스의 상방에는 도어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작동시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에어백의 쿠션은 이 높은 압력과 고온상태 및 저온상태에서의 노출에 대한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에어백의 쿠션이 직사광선의 영향이 큰 하절기에는 외부에 장시간 주, 정차할 경우에는 차량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직사광선이 바로 인스트루먼트판넬상에 장착된 에어백에 직사됨으로서 고온상태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가 다발한다.
상기와 같은 고온상태에서 에어백이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에어백의 쿠션 섬유조직이 약화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섬유조직이 약화될 경우에는 에어백이 전개될 시 쿠션의 재봉부위가 찢어짐이 발생하여 에어백의 작동성과 성능을 의심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의 쿠션이 고온상태에서 장시간 노출된 후 에어백이 작동되더라도 재봉부위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1도 (가,나,다)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11 : 쿠션
12 : 재봉선13 : 플랩
14 : 사이드판넬15 : 네오프렌코팅
16 : 가장자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가,나,다)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에어백 전개시 발생하는 높은 압력과 온도변화에 따른 내구성등이 강화되도록 하여 에어백전개과정에서 발생하는 터짐(찢어짐)현상을 방지하여 에어백의 성능과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승차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에어백(10)의 쿠션(11)을 재봉하는 재봉선(12)을 후방플랩(13)까지 연장시켜 플랩(13)의 안쪽으로 겹치도록 한 후 재봉하고, 인플레이터에 의하여 팽창시 터짐이 일어나기 쉬운 부위인 쿠션(11)의 사이드판넬(14)에 네오프렌코팅(15)을 한다.
쿠션(11)의 사이드판넬(14)가 프론트 및 리어판넬이 교차되는 가장자리(16)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재봉(17)을 추가하여 에어백전개시 발생하는 충격에 터지는 현상에 배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충,추돌로 인하여 에어백(10)이 팽창, 전개되더라도 쿠션(11)을 구성하는 각판넬의 연접부위인 가장자리(16)가 부강되어있고, 특히 사이드판넬(14)에는 네오프렌코팅(15)을 행하여 터짐현상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과정에서의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강도를 보강한 상태에 있음으로서 에어백(10) 전개시 고온 고압의 환경에 노출되거나 장시간의 직사로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어도 쿠션의 조직이 약화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에어백쿠션의 강도보강으로 인한 에어백의 신뢰성을 높혀 승차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으며, 안정된 품질로 인한 제품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에어백(10)의 쿠션(11)을 재봉하는 재봉선(12)을 후방플랩(13)까지 연장시켜 플랩(13)의 안쪽으로 겹치도록 하고;
    쿠션(11)의 사이드판넬(14)과 쿠션 구성판넬이 교차되는 가장자리(16)에는 네오프렌코팅(15)과 재봉(17)을 추가하여 에어백전개시 발생하는 충격과 온도변화에 대한 강성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KR2019970045749U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KR199900329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49U KR19990032948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49U KR19990032948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48U true KR19990032948U (ko) 1999-07-26

Family

ID=696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749U KR19990032948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94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84B1 (ko) * 2003-02-12 2005-07-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84B1 (ko) * 2003-02-12 2005-07-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157B1 (en) Cost-effective use of one-piece woven fabric for curtain airbags
US5868421A (en) Gas bag lateral impact protective device
US8702123B2 (en) Safety arrangement
CN110293929B (zh) 安全气囊装置
US5997032A (en) Seat with side air bag
JPH10203294A (ja) シームレス側面膨張式拘束展開システム
US7213837B2 (en) Airbag module
JP2016510711A (ja) Icのための二重折りにして巻かれたクッション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JP3500915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KR20080043553A (ko) 자동차용 니 에어백 모듈
JPH10138857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KR19990032948U (ko) 자동차 조수석용 에어백쿠션
JP42097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12867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00512868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205583B1 (ko) 에어백쿠션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0129276Y1 (ko) 측면충돌 머리보호용 승객에어백
KR100850921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83120A (ko) 하반신 보호용 에어백
KR100197240B1 (ko) 승용차 사고시 뒷좌석 보호장치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