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551U -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551U
KR19990032551U KR2019970045309U KR19970045309U KR19990032551U KR 19990032551 U KR19990032551 U KR 19990032551U KR 2019970045309 U KR2019970045309 U KR 2019970045309U KR 19970045309 U KR19970045309 U KR 19970045309U KR 19990032551 U KR19990032551 U KR 199900325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ide mirror
housing
vehicle
moto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동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551U/ko
Publication of KR19990032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551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개선된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차내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인사이드 미러와 볼조인트되는 지지봉을 내부 중앙에 갖는 하우징과,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봉을 중심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나사구멍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의 가이드보스와, 하우징에 일단이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대응하는 각 가이드보스의 나사구멍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고정단쪽에 워엄휘일을 동축으로 갖는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와, 제1,2 워엄휘일과 각각 이맞물림되는 제1,2 워엄을 회전축에 갖는 제1 및 제2의 모터와, 이 제1,2 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각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는 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인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를 운전자의 시야에 정확히 부합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automobil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인사이드 미러(in side mirror)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자동차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도로상을 고속으로 주행하는 것인 바, 안전운행을 위해서는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전방 및 측방시야는 물론 특히 후진이나 차선변경시 등을 위해 후방시야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데, 전방 및 측방시야는 별도의 수단 없이도 운전자의 주시가 충분히 가능하나, 후방시야의 경우는 운전자 스스로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V)의 양측 외부에 설치되어 주로 인접차로의 후속차량 등을 살피기 위한 두 아웃 사이드 미러(out side mirror:M1)와, 예컨대 전면유리(front glass:G)의 차내쪽에 부착되어 그 직후방 및 양쪽 인접차로를 살피기 위한 하나의 인사이드 미러(M2)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아웃 및 인사이드 미러(M1)(M2)들은 운전자가 자신의 시야에 적합하도록 그 반사각도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이중 종래 인사이드 미러(M2)의 각도 조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차량의 전면유리(G)에 부착된 베이스(base:1)에 아암(arm:2)을 회전 가능하게 힌지(hinge) 조립하고, 이 아암(2)의 선단에 미러(M)를 지지한 케이스(case:C)을 볼조인트(ball joint) 시킴으로써 미러(M)의 반사각도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각도로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구조는 인사이드 미러(M2)의 각도를 운전자가 자신의 시야에 맞도록 수작업으로 조정하는 것이므로, 조정이 상당히 번잡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조정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인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운전자의 시야에 부합되는 임의의 각도로 자동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는, 차내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인사이드 미러와 볼조인트되는 지지봉을 내부 중앙에 갖는 하우징(housing)과,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배면에 지지봉을 중심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나사구멍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의 가이드보스(guide boss)와, 하우징에 일단이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대응하는 각 가이드보스의 나사구멍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adjustmenting screw)와, 하우징내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들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구동수단이,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에 동축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2 워엄휘일(warm wheel)과, 이 제1,2 워엄휘일과 각각 이맞물림되는 제1,2 워엄(warm)을 회전축에 갖는 제1 및 제2의 모터(motor)와, 이 제1,2 모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각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는 조작스위치(操作switch)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인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를 운전자의 시야에 정확히 부합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차의 사용의 편의성과 주행안전성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를 따라 취한 발췌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2 :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
M : 미러 C : 케이스(case)
11 : 하우징(housing) 12 : (하우징의) 지지봉
12a : (지지봉의) 볼부(ball部 )
13, 14 :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guide boss)
13a, 14a : (제1,2 가이드보스의) 나사구멍
15, 16 :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adjustmenting screw)
17, 18 : (제1,2 조정스크류의) 워엄휘일(warm wheel)
19, 20 : 제1, 2 워엄 21, 22 : 제1 및 제2의 모터(motor)
24 : 조작스위치(操作switch)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는 차내의 소정위치, 예컨대 전면유리(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에 인사이드 미러(M2)를 임의의 각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11)이 후방을 향해 개구부를 갖도록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는 인사이드 미러(M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12)이 적정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이 지지봉(12)의 선단에 볼부(ball部:12a)가 형성되어 미러(M)를 수납한 케이스(C)의 배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볼조인트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미러(M2)는 하우징(11)의 개구부에 위치되어 임의의 각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C)의 배면에는 제1 및 제2의 가이드보스(13)(14)가 지지봉(12)을 중심으로하여 상호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각 가이드보스(13)(14)에는 나사구멍(13a)(14a)이 적정깊이로 형성된다. 즉 제1가이드보스(13)는 예를들어 지지봉(12)의 수평중심선상의 한쪽에 위치되고, 제2가이드보스(14)는 지지봉(12)의 수직중심선상의 한쪽에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1)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보스(13)(14)의 나사구멍(13a)(14a)들에 나사결합되어 인사이드 미러(M2)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15)(16)가 그 일단을 통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적절히 회전됨으로써 인사이드 미러(M2)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정스크류(15)(16)의 고정단쪽에 워엄휘일(17)(18)을 각각 동축으로 형성하고, 이에 근접된 하우징(11)의 내부에 대응하는 워엄휘일(17)(18)과 이맞물림되는 워엄(19)(20)을 회전축에 각각 갖는 정,역 구동 가능한 제1 및 제2의 모터(21)(22)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대시보드(dash board)나 도어트림(door trim)등에는 각 모터(21)(22)에 대한 전원(23)을 선택적으로 인가 및 차단함으로써 제1,2모터(21)(22)를 정,역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24)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조작스위치(24)는 제1 및 제2 모터(21)(22)를 정,역방향으로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상하좌우 4개의 접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사이드 미러(M2)의 상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작스위치(24)를 통해 제1모터(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적절히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1모터(21)의 워엄(19)과 이맞물림된 제1워엄휘일(17)이 정,역 회전됨으로써 제1조정스크류(15)가 정,역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조정스크류(15)는 일단이 하우징(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C)의 제1가이드보스(13)가 그 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미러(M2)가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지지봉(12)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상하각도가 조정되게 된다.
다음 인사이드 미러(M2)의 좌우 각도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조작스위치(24)를 통해 제2모터(22)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모터(22)의 워엄(20)과 이맞물림된 제2워엄휘일(18)이 정,역 회전됨으로써 제2조정스크류(16)가 정,역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조정스크류(16) 역시 일단이 하우징(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사이드 미러 케이스(C)의 제2가이드보스(14)가 그 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사이드 미러(M2)가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지지봉(12)을 중심으로하여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좌우각도가 조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인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를 운전자의 시야에 부합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운전자가 인사이드 미러를 직접 손으로 잡고 그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전혀 없으며, 반사각도도 매우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작의 편의성과 주행안전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차내에 설치되어 후방차량을 주시하는데 사용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내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상기 인사이드 미러(M2)와 볼조인트되는 지지봉(12)을 내부 중앙에 갖는 하우징(11)과,
    상기 인사이드 미러(M2)의 배면에 상기 지지봉(12)을 중심으로 상호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나사구멍(13a)(14a)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의 가이드보스(13)(14)와,
    상기 하우징(11)에 일단이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대응하는 상기 각 가이드보스(13)(14)의 나사구멍(13a)(14a)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15)(16)와,
    상기 하우징(11)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15)(16)들을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의 조정스크류(15)(16)에 동축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2 워엄휘일(17)(18)과,
    상기 제1,2 워엄휘일(17)(18)과 각각 이맞물림되는 제1,2 워엄(19)(20)을 회전축에 갖는 제1 및 제2의 모터(21)(22)와,
    상기 제1,2 모터(21)(22)에 선택적으로 전원(23)을 인가하여 각각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는 조작스위치(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KR2019970045309U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KR199900325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09U KR1999003255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09U KR1999003255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51U true KR19990032551U (ko) 1999-07-26

Family

ID=6969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309U KR19990032551U (ko) 1997-12-31 1997-12-31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5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8166A (zh) * 2019-02-26 2019-05-10 华东交通大学 一种半挂牵引车后视镜的视野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8166A (zh) * 2019-02-26 2019-05-10 华东交通大学 一种半挂牵引车后视镜的视野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2551U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JPS6149137B2 (ko)
KR100220339B1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
KR200145828Y1 (ko) 자동차의 룸미러 각도 조절장치
KR19980052458U (ko) 차량용 스피커 팝업장치
JP2816372B2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取付け構造
KR101762560B1 (ko) 버스차량용 백미러 지지체 자동 접이 장치
KR0149351B1 (ko) 자동차의 파워 도어미러
KR0133147Y1 (ko)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야간 시야보호 기능이 작동되는 룸 미러
KR100224060B1 (ko) 헤드 램프의 수평유지장치
KR19980045968A (ko) 자동차의 후사경
KR0149083B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970020711A (ko) 자동차의 룸미러 동작 장치
KR20040016157A (ko) 조수석 외측 전방 시야 확보 가능한 미러 구조
KR19980023565U (ko)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용 와이퍼장치
KR20000016381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0171803B1 (ko) 후면경을 구비한 승용차 스포일러
KR19990035675A (ko) 자동차의 리어스피커 각도조절장치
JPH01132438A (ja) 車両用ミラー
KR970041916A (ko) 후방미러를 갖춘 스포일러(A Spolier with back mirror)
KR19980043260A (ko) 자동차용 다기능 사이드미러 장치
KR19980047575U (ko) 화물트럭의 백미러 회동장치
KR19980030521U (ko) 자동차의 백미러 승강장치
KR970035396A (ko) 광량이 미세 조절되는 자동차의 선 루프
KR19980046303U (ko) 자동차의 후사경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