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968A - 자동차의 후사경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968A
KR19980045968A KR1019960064221A KR19960064221A KR19980045968A KR 19980045968 A KR19980045968 A KR 19980045968A KR 1019960064221 A KR1019960064221 A KR 1019960064221A KR 19960064221 A KR19960064221 A KR 19960064221A KR 19980045968 A KR19980045968 A KR 19980045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using
fixed
rod
rea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4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968A/ko
Publication of KR1998004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968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위치가 측방향으로 조정되어 적정한 위치에서 후방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사경은 윈드 실드 글래스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2) 단부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나사부가 성형된 고정봉(5)과, 상기 고정봉(5)에 맞물리는 나사부가 성형되며, 미러 하우징(3)에 내장되어 이 미러 하우징(3)을 상기 고정케이스(2)의 고정봉(5)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봉(6)과, 상기 이동봉(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와, 상기 구동모터(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운전자는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거울을 통한 자신의 후방시야를 확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사경
본 발명은 고정위치가 측방향으로 조정되어 적정한 위치에서 후방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에는 주행시 운전자가 자동차 주행 차선의 좌·우의 후방측 도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좌·우측 도어 전면에 후사경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운행주의 운전자는 주행 차선을 변경하거나, 방호 운전을 위해 주행중인 차선의 옆차선에서 운행하는 타 차량 등의 상황을 상기 후사경을 통하여 수시로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후사경은 안전한 차선변경이나 방호운전을 위한 중요한 안전장치중의 하나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사경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후사경은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1)에 고정되는 미러 하우징(3)과, 상기 미러 하우징(3)에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약간의 미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거울(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거울(4)은 수동조작이나, 아니면 자동차의 계기판에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 미러조작 스위치의 조작으로 그 위치가 임의로 선택되어 운전자의 신장에 따른 적정한 반사각으로 운전자에게 후방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운전석측의 후사경에는 운전자에게 정확한 거리감을 제공할 수 있는 평면거울이 설치되고, 조수석의 후사경에는 운전석과 거리가 있어 운전자가 볼 수 있는 거울의 반사각이 아주 작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각 확보를 위하여 반사각이 큰 볼록거울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후사경은 거울의 경사각 조정으로 상하의 반사각 조정은 가능하지만, 신장이 평균키에 비하여 월등이 크거나 작은 운전자는 자신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운전석의 앞쪽이나 뒤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후사경 거울의 반사각이 작아져 후방시야각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좌우의 고정위치가 운전자 임의로 조정될 수 있어서, 신장이 평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운전자에게 적정한 반사각으로 후방시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동차의 후사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사경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후사경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후사경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고정케이스 3 ; 미러 히우징
4 ; 거울5 ; 고정봉
6 ; 이동봉7 ; 구동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드 실드 글래스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고정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끝단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중앙을 축으로 상하·좌우로 약간의 미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거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케이스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케이스의 끝단에 상기 고정케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성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맞물리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성형되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봉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봉에 고정하는 이동봉을 포함하고, 또, 상기 하우징내에 내장되과, 상기 이동봉을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봉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후사경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후사경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후사경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대하여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후사경의 좌우이동을 위하여 본 실시예의 후사경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2) 단부에 설치되고, 소정 길이의 나사부가 성형된 고정봉(5)과, 상기 고정봉(5)에 맞물리는 나사부가 성형되며, 미러 하우징(3)에 내장되어 이 미러 하우징(3)을 상기 고정 케이스(2)의 고정봉(5)에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봉(6)과, 상기 이동봉(6)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와, 상기 구동모터(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운전자가 제어스위치를 온 시키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를 통하여, 구동모터(7)가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면서 이동봉(6)을 회전시킨다. 이 이동봉(6)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봉(5)을 따라 수평이동된다. 따라서 이 이동봉(6)과 일체형인 미러 하우징(3)이 고정케이스(2)에 대하여 수평이동된다.
이렇게 제어스위치의 조작으로 미러 하우징(3)의 수평위치가 변동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운전자는 임의로 상기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미러 하우징(3)을 자신의 신체에 적합한 위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후사경의 거울(4)을 자신의 시야에 맞는 적정한 반사각으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는 후사경의 미러 하우징을 자신에게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므로써, 후방시야에 대한 후사경 거울의 적정한 반사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시계도 임의로 확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윈드 실드 글래스의 좌·우양측에 설치되는 고정케이스와, 고정케이스의 끝단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중앙을 축으로 상하·좌우로 약간의 미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거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케이스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사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케이스의 끝단에 상기 고정케이스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성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에 맞물리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성형되며,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봉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봉에 고정하는 이동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사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우징내에 내장되고, 상기 이동봉을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고정봉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사경.
KR1019960064221A 1996-12-11 1996-12-11 자동차의 후사경 KR19980045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221A KR1998004596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의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221A KR1998004596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의 후사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968A true KR19980045968A (ko) 1998-09-15

Family

ID=6652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221A KR19980045968A (ko) 1996-12-11 1996-12-11 자동차의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9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9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폭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9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폭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838A (en) Door mirror with a small dead angle
US4902062A (en) Electrically driven sun visor
KR19980045968A (ko) 자동차의 후사경
US3811755A (en) Remotely controlled day-night outside truck mirror
KR19980020303A (ko) 승강되는 자동차의 후사경
KR10052428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제어방법
KR0139856B1 (ko) 차량용 룸미러 상하조절장치
KR970005372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의 진동방지장치
KR015871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차광장치
KR0133147Y1 (ko)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야간 시야보호 기능이 작동되는 룸 미러
KR0135631Y1 (ko)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70302Y1 (ko) 위치가변형 자동차용 룸밀러
KR19990032551U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KR19980030521U (ko) 자동차의 백미러 승강장치
KR920005583Y1 (ko) 반사범위가 자동으로 확대 조정되는 자동차용 백미러
KR19990032000A (ko) 회전식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KR0118459Y1 (ko) 자동차의 룸미러 전후이동 장치
KR100598689B1 (ko)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KR950008102Y1 (ko) 전방주시 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용 후사경
KR0131787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KR200154366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각도 조절장치
JPH0226085Y2 (ko)
KR950008101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19990011449U (ko) 차량용 아웃 사이드 리어뷰 미러
KR0153884B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조사방향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