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631Y1 -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631Y1
KR0135631Y1 KR2019960043455U KR19960043455U KR0135631Y1 KR 0135631 Y1 KR0135631 Y1 KR 0135631Y1 KR 2019960043455 U KR2019960043455 U KR 2019960043455U KR 19960043455 U KR19960043455 U KR 19960043455U KR 0135631 Y1 KR0135631 Y1 KR 0135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mirror
car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359U (ko
Inventor
서민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3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6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 내부에 별도의 조명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특히, 야간에 자동차의 후진시 후진기어와 연결된 후진등(後進燈)이 점등되어 자동차의 후방은 식별이 가능하게 되나 자동차의 양측면은 불빛에 의지할 수 없으므로 아웃사이드 미러 자체의 손상은 물론, 도로의 장애물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우 측면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재점을 낳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양쪽 앞 도어 글래스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연결되고 소정의 내부 크기를 갖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과 크기를 갖는 미러(16)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좌우 양측 후방부의 시야를 확보시키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의 상단에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을 갖는 가공부(14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4)에 내장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조명장치(20)를 설치하되, 상기 조명장치(20)는 내측 하단부에 래크 기어(22)가 장착된 덮개(24)와, 상기 래크 기어(22)와 맞물리도록 선단에 피니언 기어(26)가 형성된 모터(28)와, 상기 모터(28)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하우징(14)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30)와, 상기 덮개(24)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전구(32)로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좌,우 후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웃사이드 미러가 설치되는데, 아웃사이드 미러가 차체에 부착된 위치를 보면 프런트 팬더의 좌우 사이드에 돌출 설치되어 자동차의 후방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내에서 수동으로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운전석에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즉, 좌우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각도조절을 하여 최적의 후방시계를 확보함으로써 주행시에 안전하게 차선변경을 하고 주차시에는 안전하게 주차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를 좁은 공간에서 주차시 접을수 있도록 된 아웃사이드 미러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아웃사이드 미러는 주로 주행시에 후방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주행전에 아웃사이드 미러를 수동식인 경우에는 직접 손으로 조절하거나 리모트 콘트롤인 경우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후방시계를 최적상태로 확보한후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동차에는 주행중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가 설치되는 것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오래에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10)는 자동차 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후사경으로서 자동차의 양쪽 앞 도어 글래스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연결되고 소정의 내부 크기를 갖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과 크기를 갖는 미러(16)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자동차의 실내에서 조절손잡이(도시 않됨)를 조작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알맞는 후방 시계를 확보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10)는 그 내부에 별도의 조명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특히, 야간에 자동차의 후진시 후진기어와 연결된 후진등(後進燈)이 점등되어 자동차의 후방은 식별이 가능하게 되나 자동차의 양측면은 불빛에 의지할 수 없으므로 아웃사이드 미러(10) 자체의 손상은 물론, 도로의 장애물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우 측면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내부에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전구를 설치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후진시 차량의 후면은 물론, 측면의 장애물도 식별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양쪽 앞 도어 글래스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소정의 내부 크기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과 크기를 갖는 미러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좌우 양측 후방부의 시야를 확보시키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을 갖는 가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에 내장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조명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조명장치는 내측 하단부에 래크 기어가 장착된 덮개와,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리도록 선단에 피니언 기어가 형성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덮개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전구로 구성하여 된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진 기어를 넣었을 때, 후진등의 점등과 함께 상기 모터가 작동하면서, 전구가 점등된 상태로 상기 모터의 선단부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래크 기어와 고정된 상기 덮개는 상기 가공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래크 기어의 하단 절곡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덮개는 더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래크 기어의 절곡부 저면에 연결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래크 기어의 상방향 이동과 함께 상방향으로 그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압축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후진 완료 후, 기어를 중립 또는 1단에 넣을 경우, 상기 모터 및 전구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구는 소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방향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는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가공부를 가리게 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아웃사이드 미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아웃사이드 미러, 12:지지대,
14:하우징, 14a:가공부,
16:미러, 20:조명장치,
22:래크 기어, 24:덮개,
26:피니언 기어, 28:모터,
30:브라켓트, 32:전구,
34:배선, 36:코일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양쪽 앞 도어 글래스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연결되고 소정의 내부 크기를 갖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과 크기를 갖는 미러(16)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좌우 양측 후방부의 시야를 확보시키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의 상단에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을 갖는 가공부(14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4)에 내장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조명장치(20)를 설치하되, 상기 조명장치(20)는 내측 하단부에 래크 기어(22)가 장착된 덮개(24)와, 상기 래크 기어(22)와 맞물리도록 선단에 피니언 기어(26)가 형성된 모터(28)와, 상기 모터(28)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하우징(14)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30)와, 상기 덮개(24)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전구(32)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모터(28)와 전구(32)의 배선(34)은 후진등(後進燈)의 배선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래크 기어(22)의 저면 끝단은 상기 미러쪽을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고, 상기 절곡부 하단에는 코일스프링(36)이 연결되어 하우징(14) 내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30)는 상기 모터(28)의 외면을 둘러싸는 반원형상으로서, 좌우 양단의 연장부에는 나사구멍(도시 않됨)이 천공되고 상기 나사구멍에 소정 크기를 갖는 나사(도시 않됨)를 통하여 하우징(14) 내부 상기 조명장치(20)의 일측부에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자동차의 후진 기어를 넣었을 때, 후진등의 점등과 함께 상기 모터(28)가 작동하면서, 전구(32)가 점등된 상태로 상기 모터(28)의 선단부 피니언 기어(26)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2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래크 기어(22)와 고정된 상기 덮개(24)는 상기 가공부(14a)를 통하여 하우징(14)의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6)가 래크 기어(22)의 하단 절곡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덮개(24)는 더 이상 상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래크 기어(22)의 절곡부 저면에 연결된 상기 코일 스프링(36)은 상기 래크 기어(22)의 상방향 이동과 함께 상방향으로 그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압축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후진 완료 후, 기어를 중립 또는 1단에 넣을 경우, 상기 모터(28) 및 전구(3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구(32)는 소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6)의 하방향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24)는 하우징(14)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가공부(14a)를 가리게 된다.
이때, 상기 조명장치(20) 및 덮개(24)의 신속한 하우징(14) 내부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모터(28)의 배선을 자동차 시동 키의 'ON'상태와 연결시켜서 운전석에 별도의 스위치(도시 않됨)를 장착하여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28)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28)의 피니언 기어(26)와 맞물리는 래크 기어(22)에 의하여 조명장치(20) 및 덮개(24)가 하우징(14)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을 할 수 있게끔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진시 후진등과 연결된 상기 조명장치가 아웃사이드 미러의 하우징 상부로 돌출되어 자동차의 양측면부를 비춤에 의하여, 아웃사이드 미러 자체의 손상은 물론, 도로의 장애물에 의하여 자동차의 좌우 측면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내부에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전구를 설치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후진시 차량의 후면은 물론, 측면의 장애물도 식별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양쪽 앞 도어 글래스의 선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연결되고 소정의 내부 크기를 갖는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내부에 소정의 곡률과 크기를 갖는 미러(16)가 설치되어 자동차의 좌우 양측 후방부의 시야를 확보시키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의 상단에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을 갖는 가공부(14a)를 형성하고, 상기 가공부(14)에 내장되어 상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조명장치(20)를 설치하되, 상기 조명장치(20)는 내측 하단부에 래크 기어(22)가 장착된 덮개(24)와, 상기 래크 기어(22)와 맞물리도록 선단에 피니언 기어(26)가 형성된 모터(28)와, 상기 모터(28)의 외면을 감싼 형태로 하우징(14)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30)와, 상기 덮개(24)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전구(32)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기어(22)의 저면 끝단은 상기 미러쪽을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절곡되고, 상기 절곡부 하단에는 코일스프링(36)이 연결되어 하우징(14)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KR2019960043455U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KR0135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55U KR0135631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55U KR0135631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59U KR19980030359U (ko) 1998-08-17
KR0135631Y1 true KR0135631Y1 (ko) 1999-03-30

Family

ID=1947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455U KR0135631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6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66A (ko) * 2001-11-06 2001-12-07 유경식 자동차백미러 오토 램프 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5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8285A (en) Vehicle parking guide
US4387361A (en) U-Turn vehicle light
KR0135631Y1 (ko)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KR100613553B1 (ko) 퍼들 램프와 방향지시램프를 구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JPH033077Y2 (ko)
KR930000118Y1 (ko) 자동차 백미러용 보조 조명장치
KR100896561B1 (ko) 차량용 이동식 외부 미러
KR200273626Y1 (ko) 자동차 외부후사경 장착용 보조점등구
JPH0356427Y2 (ko)
JPS5848195Y2 (ja) 自動車の後照燈付きサイドミラ−
KR900007633Y1 (ko) 자동차 백미러용 방우커버
KR19980057170A (ko) 자동차 헤드램프 보호장치
KR200277797Y1 (ko) 차량의 측면 확인용 램프가 설치된 사이드 밀러
KR200220060Y1 (ko) 차량용 프론트 언더 미러
KR910007995Y1 (ko) 평면경과 곡면경을 선택전환 사용케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Side Mirror)
KR0114247Y1 (ko) 자동차용 보조제동등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19980059605A (ko) 야간 인식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100241933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각도 조절장치
KR19980040766U (ko) 야간 인식 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KR20040072944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JPH10315852A (ja) 車両の後端位置確認装置
KR19980018637U (ko) 자동차 도어 미러의 자동 빗방울 방지막
KR20020075032A (ko) 자동차의 후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