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689B1 -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689B1
KR100598689B1 KR1020040059322A KR20040059322A KR100598689B1 KR 100598689 B1 KR100598689 B1 KR 100598689B1 KR 1020040059322 A KR1020040059322 A KR 1020040059322A KR 20040059322 A KR20040059322 A KR 20040059322A KR 100598689 B1 KR100598689 B1 KR 100598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stay
curva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574A (ko
Inventor
문보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6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후방을 감시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베이스(10)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마운팅 베이스(10)에 장착되는 미러스테이(12)와, 상기 미러스테이(12)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미러하우징(14)과, 상기 미러하우징(14)의 전방에 장착되며 굽힘 가능한 고탄성의 재질로 형성된 미러(16)와, 상기 미러(16)에 외력을 가하여 그 미러(16)의 곡률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미러곡률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운전자의 시력에 적합한 배율을 갖도록 미러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자동차, 미러, 곡률, 조정, 고탄성

Description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Rear observation mirror assembly of a vehicle}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운팅베이스 12 : 미러스테이
14 : 미러하우징 15 : 미러파지부
15a : 스토퍼 16 : 미러
16a : 돌기 17 : 지지구
18 : 고정체 20 : 회전케이블
24, 30 : 구동모터 26 : 회전체
34 : 암나사부재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력에 적합한 배율을 갖도록 미러의 배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중비스텝에 후방 감시미러가 설치되어 승객이 하차할 때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운전자가 전면의 인너미러를 통해 스텝 주변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해치백형 차량에는 후방 감시미러가 설치되어 운전석에서 차량의 후방을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1은 종래의 후방 감시미러가 버스의 중비스텝 상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며, 후방 감시미러(1), 즉 중비 스텝미러는 승객이 하차하는 중비도어의 루프패널(2)에 미러스테이(3)를 매개로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방 감시미러는 곡률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시력이 양호하지 못한 운전자인 경우 승객이 하차하는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큰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게다가, 후방 감시미러의 재질이 유리로 형성되어 승객이 미러에 충돌하여 미러가 파손되는 경우 미러의 파편에 의해 승객에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러의 곡률이 운전자의 시력에 적합하도록 조절 가능하여 감시 기능이 충분히 수행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를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여 미러의 파손에 의한 인체 손상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된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차체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후방을 감시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베이스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마운팅 베이스에 장착되는 미러스테이와, 상기 미러스테이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미러하우징과, 상기 미러하우징의 전방에 장착되며 굽힘 가능한 고탄성의 재질로 형성된 미러와, 상기 미러에 외력을 가하여 그 미러의 곡률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미러곡률 조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미러곡률 조절수단에 의해 곡률이 조절되는 미러(17)와, 그 미러(17)를 루프패널 등의 차체의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미러스테이(12)를 갖는다.
상기 미러스테이(12)는 마운팅 베이스(10)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 베이스(10)는 볼트 등을 매개로 차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 베이스(10)는 중앙부위에 관 형태의 지지부(11)가 형성되며, 이 지지부(11)에 중공의 관 형태를 갖는 미러스테이(12)의 일측 단부가 끼워 장착된다.
상기 미러스테이(12)는 중앙 부위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 미러스테이(12)의 타측 단부에 미러하우징(14)이 설치된다.
상기 미러하우징(14)은 미러스테이(12)가 설치된 부분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접시 형태의 부재로서, 그 볼록한 부위의 중앙부에 상기 미러스테이(12)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미러하우징(14)의 전방, 즉 미러스테이(12)가 설치된 반대쪽에 미러(16)가 장착되는바, 상기 미러하우징(14)의 가장자리에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미러파지부(15)가 형성되며, 이 미러파지부(15)에 미러(16)의 가장자리가 끼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미러파지부(15)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스토퍼(15a)가 형성되며, 상기 미러(16)의 가장자리 끝단에는 양측 표면으로 약간 돌출된 돌기(16a)가 형성됨으로써 그 돌기(16a)에 의해 미러(16)의 가장자리 끝단이 미러파지부(15)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미러(16)는 고탄성이면서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고탄성 재질의 일례로서는 PVC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16)는 미러하우징(14)과 반대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미러(16)에 비추어지는 물체가 확대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미러스테이(12)의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18)가 장착되며, 이 고정체(18)에는 회전케이블(20)이 관통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회전케이블(20)에는 고정체(18)의 암나사산(18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20a)이 외표면에 소정 길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러스테이(12)의 내경 크기는 상기 회전케이블(20)의 외경 크기보다 일정한 정도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케이블(20)에는 그 회전케이블(20)이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2a)(22b)가 설치되는바, 상기 스토퍼(22a)(22b)는 고정체(18)의 전방 및 후방 쪽에 각각 위치되고 그 스토퍼(22a)(22b) 사이의 거리는 고정체(18)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케이블(20)은 구동모터(24)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24)는 미러스테이(12)의 내측 또는 마운팅베이스(10)의 지지부(11)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차량의 전지(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4)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조절스위치(미도시됨)가 운전석 부위 또는 기타 위치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회전케이블(20)과 구동모터(24)의 회전축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상기 회전케이블(20)은 미러(16)의 후방 중앙까지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된 부분에 볼 형상의 회전체(26)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미러(16)의 후방 중앙에는 상기 회전체(26)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지지구(17)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운전자가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4)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미러(16)의 곡률이 조절된다.
즉, 구동모터(24)가 회전되면, 구동모터(24)의 회전력은 회전케이블(20)에 전달되어 회전케이블(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케이블(20)은 그 회전케이블(20)에 형성된 수나사산(20a)이 고정체(18)의 암나사산(18a)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케이블(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회전체(26)는 회전과 동시에 미러(16)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미러(16)의 곡률이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변화된다.
물론, 상기 미러(16)의 곡률이 증가되는 경우, 사물이 크게 보이면서 영역은 감소되며, 반대로 상기 미러(16)의 곡률이 감소되는 경우, 사물이 작게 보이면서 영역은 증가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운전자의 특성에 맞도록 조절하면 된다.
또한, 상기 미러스테이(12)의 내경 크기가 상기 회전케이블(20)의 외경 크기보다 일정한 정도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케이블(20)이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는 것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미러(16)의 곡률이 변화되면서 그 가장자리가 이루는 원의 직경이 변화되는바, 이러한 미러(16)의 직경 변화는 미러(16)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미러파지부(15)가 그 미러(16)의 가장자리를 적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에 의해 흡수되어 작동에 지장이 없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도2에 기재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구동모터(30)가 미러스테이(12)와 미러하우징(14)의 결합부위, 바람직하게는 미러하우징(14)이 결합되는 부위인 미러스테이(1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 구동모터(30)는 차량의 전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 구동모터(30)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조절스위치(미도시됨)가 운전석 부위 또는 기타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2)은 미러(16) 쪽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이 회전축(32)에는 소정 거리에 걸쳐 수나사산(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2)에는 구동모터(30) 쪽에 인접한 부위에 스토퍼(32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2)의 수나사산(32a)은 볼 형상의 암나사부재(34)에 형성된 암나사산(34a)에 끼워 장착되며, 상기 암나사부재(34)는 상기 미러(16)의 지지구(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운전자가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30)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미러(16)의 곡률이 조절된다.
즉, 구동모터(30)가 회전되면, 그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2)이 회전되며, 이 회전축(32)의 회전은 그에 연결된 회전체(34)를 회전축(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회전체(34)의 이동에 의하여 미러(16)의 곡률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미러(16)의 곡률을 운전자의 특성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의하면, 미러가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시력이 양호하지 못한 운전자인 경우에도 곡률을 확대하여 승객의 하차하는 모습을 크고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줄어든다.
게다가, 미러가 유리에 비해 쉽게 파손되지 않아 미러가 파손되면서 그 파편에 승객이 상해를 입을 염려가 없다.

Claims (5)

  1.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베이스(10)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마운팅 베이스(10)에 장착되는 미러스테이(12)와, 상기 미러스테이(12)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는 미러하우징(14)과, 상기 미러하우징(14)의 전방에 장착되며 굽힘 가능한 고탄성의 재질로 형성된 미러(16)와, 상기 미러(16)에 외력을 가하여 그 미러(16)의 곡률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미러곡률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차체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후방을 감시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미러(16)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돌기(16a)를 가지며, 상기 미러하우징(14)은 상기 미러(16)의 가장자리 부위를 수용하도록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끝단에 상기 돌기(16a)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5a)가 돌출 형성된 미러파지부(1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곡률 조절수단은, 상기 미러스테이(12)에 고정되고 암나사산(18a)이 형성된 고정체(18)와, 상기 고정체(18)의 암나사산(18a)에 결합되는 수나사산(20a)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미러(16)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케이블(20)과, 상기 회전케이블(2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구동모터(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케이블(20)의 미러(16)쪽 끝단에 볼 형상의 회전체(26)가 구비되며, 상기 미러(16)의 후방 중앙부에 상기 회전체(26)가 회전 가능 하게 끼워지는 지지구(1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곡률 조절수단은, 상기 미러스테이(12)에 고정되고 수나사산(32a)이 형성된 회전축(32)을 갖는 구동모터(30)와, 상기 미러(16)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32)의 수나사산(32a)이 결합되는 암나사부재(3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5. 삭제
KR1020040059322A 2004-07-28 2004-07-28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KR100598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22A KR100598689B1 (ko) 2004-07-28 2004-07-28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322A KR100598689B1 (ko) 2004-07-28 2004-07-28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74A KR20060010574A (ko) 2006-02-02
KR100598689B1 true KR100598689B1 (ko) 2006-07-07

Family

ID=3712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322A KR100598689B1 (ko) 2004-07-28 2004-07-28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6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74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704B1 (ko)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KR100598689B1 (ko)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US10843534B2 (en) Remotely operated sun visor
KR101500161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KR100220339B1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01481353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58484Y1 (ko) 자동차용 룸미러
KR100341302B1 (ko) 차량용 선바이저 각도 조절장치
KR200153384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9980045968A (ko) 자동차의 후사경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9980018229U (ko) 자동차용 룸 미러 고정구조
KR19990019320U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각도조절장치
JP3851407B2 (ja) ワイパー付き後視鏡
KR101519240B1 (ko)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KR19990029219U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200156006Y1 (ko) 회전 후시경
KR200144116Y1 (ko) 차량의 후방 탑승자용 룸미러장치
KR20000000908U (ko) 자동차용 회전식 사이드 미러
KR0119554Y1 (ko) 룸미러의 볼록거울장치
KR0181607B1 (ko) 보조미러가 설치된 사이드 미러
KR950008101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JPH08290745A (ja) 自動車の端部左右確認装置
KR19990032551U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