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240B1 -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40B1
KR101519240B1 KR1020130142194A KR20130142194A KR101519240B1 KR 101519240 B1 KR101519240 B1 KR 101519240B1 KR 1020130142194 A KR1020130142194 A KR 1020130142194A KR 20130142194 A KR20130142194 A KR 20130142194A KR 101519240 B1 KR101519240 B1 KR 10151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chanism
link
pulley
rotate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훈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 센터페시아의 위치를 임의가 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니터의 시인성 확보 및 편의 시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ROTATING CENTER FASCI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센터페시아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니터의 시인성 확보 및 편의 시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내부 전면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센터페시아가 마련되며, 센터페시아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오디오, 공조 장치의 제어스위치, 내비게이터 등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센터페시아는 차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운전자가 주행 중에 각종 편의시설을 조작 및 확인하기 위해서는 센터페시아 측으로 고개를 돌린 상태에서 팔을 뻗어야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편의 장치들의 조작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센터페시아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어 있고, 차량 내부는 운전자의 표준 체형에 맞추어 설계된다. 즉, 센터페시아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일정한 방향과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형이 표준 체형에서 벗어나면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각종 편의장치를 조작하기 어려웠다.
특히, 체형이 작은 운전자 및 여성운전자의 경우 운전석에서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편의장치를 조작 및 확인시 고개를 센터페시아 측으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전방 시야 미확보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센터페시아 측의 편의 장치를 조작시 팔을 뻗어 센터페시아 측에 집중해야 함에 따라 안전운전에 방해되었다.
종래의 KR10-2001-0011288 A "차량용 모니터 개폐 구조"는 모니터를 대시보드로부터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기술 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모니터 구조는 설치에 필요한 공간 많이 확보되어야 하며, 운전자가 가장 편하게 센터페시아의 편의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구현되지 않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1-0011288 A (2001.02.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센터페시아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니터의 시인성 확보 및 편의 시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링크가 형성된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전기구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제1회전기구의 회전시 동시회전되는 제2링크가 형성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작동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정역회전 조절이 가능한 정역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일단이 상기 제1풀리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작동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1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는, 제1회전기구의 제1풀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동시 회전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2풀리와 함께 회전되되 제2풀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역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디스플레이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2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풀리와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는 상호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와 연결된 제1풀리의 회전시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와 역회전부의 외주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상호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작동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는 차량 센터페시아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니터의 시인성 확보 및 편의 시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센터페시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센터페시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140)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1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링크(120)가 형성된 제1회전기구(100); 상기 제1회전기구(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전기구(100)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제1회전기구(100)의 회전시 동시회전되는 제2링크(220)가 형성된 제2회전기구(200); 및 상기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140)의 작동시 제1링크(120)와 제2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회전기구(100)와 제2회전기구(200)의 회전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300)를 전진 및 틸팅시키는 것으로서, 제1회전기구(100)는 구동 모터(140)의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300)를 이동시키고, 제2회전기구(200)는 구동 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기구(100)와 연결되어 제1회전기구(100)와 함께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3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는 상호 길이가 상이하게 설정하여 구동모터(140)의 의해 각 회전기구의 회전시 디스플레이부(300)가 진출됨과 동시에 특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디스플레이부(300)는 센터페시아가 될 수 있으며, 센터페시아에는 보통 다양한 편의장치가 설치되는바, 이를 디스플레이부라 명칭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 모터(140)는 정역회전 조절이 가능한 정역 모터일 수 있다.
이처럼, 구동 모터(140)를 정회전 및 역회전 조절이 가능한 정역 모터를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0)의 회전이 필요할 경우 구동 모터(140)의 작동을 정회전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부(300)가 운전자를 향해 진출되도록 하고, 회전이 불필요할 경우 구동 모터(140)의 작동을 역회전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부(30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 내부에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300)의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작장치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회전 조작을 운전자가 원하는 적정 위치로 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센터페시아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회전기구(100)는, 구동 모터(1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풀리(160);와 일단이 상기 제1풀리(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30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140)의 작동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300)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1링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풀리(160)는 구동 모터(140)에 결합되어 구동 모터(140)의 회전작동됨과 동시에 회전동작되고, 제1링크(120)가 제1풀리(160)의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300)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주목적인 센터페시아의 회전조작은 디스플레이부(300)에 연결된 제1회전기구(100) 또는 제2회전기구(200) 중 하나만으로 회전조절이 가능하지만, 대시 패널에 센터페시아가 고정된 상태에서 단순 회전조작되면 센터페시아의 시인성은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지만, 편의 장치를 조작에는 여전히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회전기구(100)와 더불어 제2회전기구(200)를 더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2회전기구(200)는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동시 회전되는 제2풀리(260);와 상기 제2풀리(26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2풀리(260)와 함께 회전되되 제2풀리(26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240);와 일단이 상기 역회전부(2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300)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디스플레이부(300)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2링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상기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는 상호 벨트(B)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140)와 연결된 제1풀리(160)의 회전시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의 연결시 벨트뿐만 아니라, 체인을 이용하여 제1풀리(160)와 제2풀리(260)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2회전기구(200)는 역회전부(240)의 구성없이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풀리(260)와 제2링크(220)의 구성만으로 디스플레이부(30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는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바, 디스플레이부(300)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링크(120) 및 제2링크(220)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야 한다. 이처럼, 제1링크(120)와 제2링크(220)가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길이방향에 대한 폭이 커짐에 따라 설치공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회전기구(200)에서는 제2풀리(26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2풀리(260)와 함께 회전되되 제2풀리(260)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240)를 적용해줌으로써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를 서로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를 도면의 우측을 향해 형성되었다면, 제2회전기구(200)는 제2링크(220)는 역회전부(240)에 의해 제1회전기구(10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바, 제1링크(120)의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인 좌측을 향해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는 모두 내측을 향해 모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위의,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와 역회전부(240)는 외주 둘레를 따라 기어를 형성하여 상호 기어 연결되도록 하여 제2풀리(260)와 역회전부(240) 간의 회전 토크의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풀리(260) 및 역회전부(240)가 구동 모터(140)에서 전달되는 회전 토크에 맞추어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 중 어느 하나의 링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300)를 진출시키되 회전되어 운전자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해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센터페시아의 모니터 및 편의장치의 조작은 운전자가 하는바, 디스플레이부(300)의 회전동작은 운전자를 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의 길이는 운전자가 탑승한 위치에서 반대편 링크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좌측에 탑승하였다고 가정하면, 제1링크(120)의 길이보다 제2링크(220)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해줌으로써 길이가 더 긴 제2링크(220)가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많이 밀어주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0)가 운전자가 위치한 좌측을 향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제1회전기구(100)와 제2회전기구(200)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300)의 진출되는 거리는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θ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각도로서, 이는 제1회전기구(100)의 제1풀리(160)와 제2풀리(260)의 회전각도이다. 여기서, 구동모터, 제1풀리(160), 제2풀리(260)는 모두 동시에 회전 동작되기 때문에 회전 각도는 모두 동일하다.
한편,
Figure 112013106100220-pat00001
은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의 길이이고,
Figure 112013106100220-pat00002
는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의 길이이다.
여기서, θ값은 구동 모터(14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제1링크(120)와 제2링크(220)의 길이도 초기 설계시 고정되는 값으로 정확한 값의 도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 모터(140)의 회전각도와 각 링크의 길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진출거리는 h = (
Figure 112013106100220-pat00003
-
Figure 112013106100220-pat00004
) sinθ의 값으로 도출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는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20)는 제1링크(120) 및 제2링크(220)의 작동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1회전기구(100)의 제1링크(120)와 제2회전기구(200)의 제2링크(220)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320)를 이용하여 제1회전기구(100)와 제2회전기구(200)의 회전시 제1링크(120) 및 제2링크(220)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위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는 차량 센터페시아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모니터의 시인성 확보 및 편의 시설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제1회전기구 120:제1링크
140:구동 모터 160:제1풀리
200:제2회전기구 220:제2링크
240:역회전부 260:제2풀리
300:디스플레이부 320:탄성부재

Claims (9)

  1.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링크가 형성된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회전기구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제1회전기구의 회전시 동시회전되는 제2링크가 형성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가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작동시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기구는,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일단이 상기 제1풀리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구동 모터의 작동시 회전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1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정역회전 조절이 가능한 정역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기구는, 제1회전기구의 제1풀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동시 회전되는 제2풀리;와
    상기 제2풀리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제2풀리와 함께 회전되되 제2풀리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역회전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시 디스플레이부를 밀어 회전시키는 제2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기구의 제1풀리와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는 상호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와 연결된 제1풀리의 회전시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기구의 제2풀리와 역회전부의 외주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되어 상호 기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제1회전기구의 제1링크와 제2회전기구의 제2링크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작동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KR1020130142194A 2013-11-21 2013-11-21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KR10151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4A KR10151924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94A KR10151924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240B1 true KR101519240B1 (ko) 2015-05-11

Family

ID=5339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94A KR10151924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2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630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630A (ko) * 2003-05-12 2004-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1009A1 (en) Shift device
US9320161B2 (en) On-vehicle electronic device
JP2017146190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US20160288631A1 (en) Dual drive sunroof transmission assembly
KR101865956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KR101519240B1 (ko) 차량용 센터페시아 회전 장치
CN213472989U (zh) 显示屏装置及具有该显示屏装置的车辆
US9108593B2 (en) Vehicle wiper device
CN109291858A (zh) 车载显示屏装置
EP3569438B1 (en) Vehicular display system
KR101355619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EP3456562B1 (en) A rack gear with release feature
KR10239097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640685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110025310A (ko) 사각지대 방지 사이드미러
KR10230045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CN211918533U (zh) 一种车载可移动储物系统
KR20160111697A (ko) 자동차의 가변형 컨트롤 패널장치
KR100738383B1 (ko) 전동식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CN103359004A (zh) 汽车外后视镜安装结构及汽车
KR101866311B1 (ko) 개폐 조절이 용이한 선루프
KR20130071260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KR100598689B1 (ko) 차량의 후방 감시미러 조립체
JP2010132130A (ja) 車載用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