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428A -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428A
KR19990031428A KR1019970052138A KR19970052138A KR19990031428A KR 19990031428 A KR19990031428 A KR 19990031428A KR 1019970052138 A KR1019970052138 A KR 1019970052138A KR 19970052138 A KR19970052138 A KR 19970052138A KR 19990031428 A KR19990031428 A KR 19990031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anufacturing
dielectric film
capacitor
nitr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425B1 (ko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7005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4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425B1/ko

Link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플라즈마 처리한 가스를 이용하여 결함(Defect)이 없는 유전체막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기판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스토리지 노드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소나 질소원자를 포함한 가스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상기 질화막상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체막상에 플레이트 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저온에서 플라즈마 처리한 가스를 이용하여 결함(Defect)이 없는 유전체막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실리콘질화막의 결함(Defect)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에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고 감광막을 도포한 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소정영역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한다. 그리고 패터닝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이방성 식각하여 소정영역에 스토리지 노드(2)를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리지 노드(2) 표면에 유전율이 높은 실리콘질화막(Si3N4)()을 증착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질화막(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질화막()내에 실리콘이 많이 함유되어 누설절류가 발생하는 실리콘 리치 페이즈(Silicon rich phase)결함, 또는 실리콘질화막(3) 내에 핀홀(Pin hole)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실리콘원자와 질소원자의 결합이 깨져서 전류가 집중되어 실리콘질화막(3)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800℃ 이상의 온도로 습식(WET) 산화공정을 통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2) 표면에 SiO2로 구성된 유전체막(4)을 형성한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막(4)상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한다. 이후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선택적으로 패터닝한 후 패터닝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2)와 실리콘질화막(3)과 유전체막(4)상에 플레이트 노드(5)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스토리지 노드상에 형성된 실리콘질화막의 결함은 내산화성이 강한 물질이므로 높은 온도와 O2를 이용한 산화성이 강한 가스를 이용하여 산화하여야 결함이 제거되는 데, 800℃ 이상의 높은 온도를 이용한 산화공정으로 결함을 제거하는 것은 셀로우 정션이나 티타늄 살리사이드와 같이 열적 안정성이 약한 공정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저온에서 플라즈마 처리한 가스를 이용하여 결함이 없는 유전체막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1d는 종래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2는 종래 실리콘질화막의 결함(Defect)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4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유전체막의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 데이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반도체 기판 21: 스토리지 노드
22: 실리콘질화막 23: 유전체막
24: 플레이트 노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기판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스토리지 노드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소나 질소원자를 포함한 가스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상기 질화막상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체막상에 플레이트 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유전체막의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 데이터도이다.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1)에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고 감광막을 도포한 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소정영역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한다. 그리고 패터닝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제 1 폴리실리콘층을 이방성 식각하여 소정영역에 스토리지 노드(22)를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리지 노드(22) 표면에 실리콘질화막(Si3N4)(23)을 증착한다. 이때 실리콘질화막(23)을 증착하는 것은 실리콘질화막(23)이 실리콘산화막 보다 유전율이 높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실리콘질화막(23)은 실리콘질화막(23)내에 실리콘이 많이 함유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거나 실리콘질화막(23) 내에 핀홀(Pin hole)이 발생하여 막이 파괴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질화막(23)내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700℃ 범위의 낮은 온도에서 O2나 N2O나 NH3가스를 플라즈마상태로 만든 후에 단시간동안 산화공정을 통해 실리콘질화막(23)과 반응시켜서 상기 실리콘질화막(23) 표면에 유전체막(24)을 형성한다. 이때 O2와 N2O 가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유전체막은 SiO2이고, NH3가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유전체막은 Si3N4막이다. 플라즈마 처리를 한 동안 형성되는 유전체막(24)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속열처리 공정 (Rapid Thermal Process :RTP)으로 어닐링한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막(24) 상에 제 2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한다. 이후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선택적으로 패터닝한 후 패터닝된 감광막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스토리지 노드(22)와 실리콘질화막(23)과 유전체막(24)상에 플레이트 노드(25)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하는 종래 발명과 본 발명 캐패시터의 누설전류 특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종래에 고온으로 열산화(Thermal Oxidation)하여 형성한 유전체막의 유효 두께에 따른 누설전류량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 본 발명의 저온에서 플라즈마 공정을 통하여 형성한 유전체막의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저온에서 플라즈마 처리한 유전체막의 전기적 특성은 같은 유효두께에서 열산화하여 형성한 유전체막에 비해 누선전류량이 적음을 알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캐패시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리콘질화막을 저온에서 플라즈마 공정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셀로우 정션에 적용하여 누설전류가 적은 유전체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티타늄 살리사이드와 같이 열적 안정성이 약한 공정에도 적용하여 누설전류가 적은 유전체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소자의 동작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기판에 스토리지 노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스토리지 노드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산소나 질소원자를 포함한 가스를 플라즈마 처리하여 상기 질화막상에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체막상에 플레이트 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공정은 100∼700℃ 범위에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를 위한 산소나 질소원자를 포함한 가스로는 O2나 N2O나 NH3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19970052138A 1997-10-10 1997-10-10 캐패시터의제조방법 KR10028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138A KR100282425B1 (ko) 1997-10-10 1997-10-10 캐패시터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138A KR100282425B1 (ko) 1997-10-10 1997-10-10 캐패시터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28A true KR19990031428A (ko) 1999-05-06
KR100282425B1 KR100282425B1 (ko) 2001-04-02

Family

ID=6604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138A KR100282425B1 (ko) 1997-10-10 1997-10-10 캐패시터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901B1 (ko) * 1997-12-27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고유전체캐패시터제조방법
KR20190037567A (ko) 2017-09-29 2019-04-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롤러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4080A (ja) * 1987-10-28 1989-05-02 Hitachi Ltd 薄膜トランジスタ
JP3295178B2 (ja) * 1993-04-27 2002-06-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901B1 (ko) * 1997-12-27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고유전체캐패시터제조방법
KR20190037567A (ko) 2017-09-29 2019-04-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롤러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425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147B1 (ko) 반도체 디바이스상에 저항기를 패턴 형성하기 위한 방법
US6140024A (en) Remote plasma nitridation for contact etch stop
JP2008502141A (ja) 金属ゲート集積化のためのゲートスタック及びゲートスタックのエッチングシーケンス
KR100340879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20050094474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7125809B1 (en) Method and material for removing etch residue from high aspect ratio contact surfaces
KR100282425B1 (ko) 캐패시터의제조방법
KR100196420B1 (ko) 소자격리영역의 형성방법
KR100223736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20051283A (ko) 듀얼 게이트 산화막의 제조 방법
KR014617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361572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촉 구조 형성 방법
US20040031772A1 (en) Preventing gate oxice thinning effect in a recess LOCOS process
KR100267396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게이트 폴리실리콘 식각 방법
US5990018A (en) Oxide etching process using nitrogen plasma
KR100283482B1 (ko) 트랜치 캐패시터의 플레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9980077122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304286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731143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가장자리 두께 조절 방법
KR910007538B1 (ko) 선택 도포 공정을 이용한 트렌치 캐패시터와 트랜지스터의 연결방법
KR940002966A (ko) 폴리실리콘 식각 잔류물에 의한 층간단락 제거방법
KR100195245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960002102B1 (ko) 폴리사이드 게이트 전극 제조방법
KR100223586B1 (ko) 트렌치 하부의 라운딩 제조 공정
KR100226790B1 (ko)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