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063U -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063U
KR19990031063U KR2019970043772U KR19970043772U KR19990031063U KR 19990031063 U KR19990031063 U KR 19990031063U KR 2019970043772 U KR2019970043772 U KR 2019970043772U KR 19970043772 U KR19970043772 U KR 19970043772U KR 19990031063 U KR19990031063 U KR 19990031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vehicle
fixed
stabilizers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범석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43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063U/ko
Publication of KR19990031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63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계의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구조 개선을 통해 차량 후륜의 롤 강성(Rool Stiffness)을 변화시켜 핸들을 꺽는 각도에 비해 차체가 덜 도는 특성(Understeer)을 강화하고, 고속 선회시에는 도로에서 튀어나가는 현상(Spinout)을 방지하여 차량 안정성을 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쪽 차륜(21,22)이 고정되는 차축(31,32)에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필요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중 한쪽 스테빌라이저(40)가 분리되어지며 후륜의 롤 강성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가변형으로 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40)는 차체(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축(60)으로 고정되는 고정구(70)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70)는 조향각센서(81) 및 가속도센서(82)가 연결되는 ECU(80)와 연결되어 상기 ECU(80)에 의해 회동되어지며 한쪽 스테빌라이저(40)를 고정구(70)로부터 분리 또는 고정되는 구성으로 된 것임.

Description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본 고안은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가계의 스테빌라이저(Stabilizer) 구조 개선을 통해 차량 후륜의 롤 강성(Rool Stiffness)을 변화시켜 핸들을 꺽는 각도에 비해 차체가 덜 도는 특성(Understeer)을 강화하고, 고속 선회시에는 도로에서 튀어나가는 현상(Spinout)을 방지하여 차량 안정성을 꾀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현가장치는 바퀴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감쇠기의 감쇠력을 변화시켜 승차감 향상 및 차량안정성을 도모하고, 주행중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현가장치에 있어 종래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축봉으로 되는 스테빌라이저(10)의 양단부를 양쪽 차륜(21,22)이 고정되는 차축(31,32)에 고정되게 연결하여 양쪽 차축(31,32)의 상. 하 스트로크에 차이가 발생할 때 상기 스테빌라이저(10)에서 비틀림 응력을 발생하여 차량이 선회시 롤 강성을 제어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저를 복수로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 모두를 활성화하고, 필요시에는 하나의 스테빌라이저를 무력화시켜 스테빌라이저의 강성을 줄이도록 된 가변형으로 형성하여 언더스티어 특성을 강화하고, 고속 선회시 차량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현가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가 장착된 현가장치의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스테빌라이저의 단면도,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스테빌라이저21,22 : 차륜
31,32 : 차축50 : 차체
60 : 핀축70 : 고정구
80 : ECU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쪽 차륜(21,22)이 고정되는 차축(31,32)에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필요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중 한쪽 스테빌라이저(40)가 분리되어지며 후륜의 롤 강성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가변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40)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축(60)으로 고정되는 고정구(70)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70)는 조향각센서(81) 및 가속도센서(82)가 연결되는 ECU(80)와 연결되어 상기 ECU(80)에 의해 회동되어지며 한쪽 스테빌라이저(40)를 고정구(70)로부터 분리 또는 고정하는 것으로 차량의 롤 강성을 변화시키도록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한쌍의 스테빌라이저(40,40)를 차축(31,32)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모두를 활성화시키다가 필요시 즉,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조향각센서(81)와 가속도센서(82)로 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와 운전자가 의도하는 차량의 거동과 실제 차량의 거동을 ECU(80)가 이를 비교 판단하여 급선회로 인한 스핀아웃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시 핀축(60)으로 고정된 고정구(70)를 회동시켜 한쪽 스테빌라이저(40)를 분리시킴에 따라 차량의 롤 모션에 의해 격는 웨이트 트랜스퍼(Weight Transfer)는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그만큼 줄게 되므로 차량이 밖으로 돌아가는 스핀아웃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축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를 2중 구조로 형성하여 필요시 한쪽 스테빌라이저가 분리되어지며 차량의 롤 강성을 가변시키는 가변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핸들을 꺽는 각도에 비해 차체가 덜 도는 특성(Understeer)은 강화되게 되고, 고속 선회시에는 차량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스핀아웃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양쪽 차륜(21,22)이 고정되는 차축(31,32)에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를 나란하게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필요시에는 2개의 스테빌라이저(40,40) 중 한쪽 스테빌라이저(40)가 분리되어지며 후륜의 롤 강성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가변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40)는 차체(50)에 회동 가능하도록 핀축(60)으로 고정되는 고정구(70)에 지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70)는 조향각센서(81) 및 가속도센서(82)가 연결되는 ECU(80)와 연결되어 상기 ECU(80)에 의해 회동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KR2019970043772U 1997-12-30 1997-12-3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KR199900310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72U KR19990031063U (ko) 1997-12-30 1997-12-3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72U KR19990031063U (ko) 1997-12-30 1997-12-3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63U true KR19990031063U (ko) 1999-07-26

Family

ID=696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72U KR19990031063U (ko) 1997-12-30 1997-12-30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0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86B1 (ko) * 2008-06-11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 롤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86B1 (ko) * 2008-06-11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가변 롤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4357B1 (en) Vehicle suspensions
JP4193648B2 (ja) 車輌の走行状態判定装置
US20230241940A1 (en) Suspension control device, vehicle, and suspension control method
KR19990031063U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KR19990059211A (ko)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JP5589059B2 (ja) シャシフレームとボディ間に可変式横剛性を示す接続要素を具備した自動車両
KR100820697B1 (ko) 자동차의 토션 비임 현가장치
JP4457842B2 (ja) 車輌のロール運動制御装置
KR200153166Y1 (ko) 후륜 현가장치용 마운팅부쉬의 구조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50007882Y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의 부쉬
KR10022897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62289408A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ヨン
JP2630654B2 (ja) 四輪操舵装置
KR100369149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0185879B1 (ko) 자동차의 선회 안정성 향상 장치
KR9200010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JPH09123725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20040218A (ko) 차량용 능동형 스태빌라이저
KR19980032786U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KR100364284B1 (ko) 언더스티어 및 오버스티어 방지장치
KR100498696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JPH0238105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