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42Y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042Y1
KR920001042Y1 KR2019890004062U KR890004062U KR920001042Y1 KR 920001042 Y1 KR920001042 Y1 KR 920001042Y1 KR 2019890004062 U KR2019890004062 U KR 2019890004062U KR 890004062 U KR890004062 U KR 890004062U KR 920001042 Y1 KR920001042 Y1 KR 920001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vehicle
link
sub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4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03U (ko
Inventor
이언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4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042Y1/ko
Publication of KR900016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를 적용시킨 뒤차축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장치를 적용시킨 작용상태 개략도.
제3도 (a)(b)는 본 고안장치가 적용된 차체의 저부 타이어 상태를 나타낸 저면 구성도로서, (a)는 선회시 (b)는 직진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후륜 5 : 서브프레임
8 : 핀조인트 9,9′: 콘트를 링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뒤차축 현가장치(Rear Suspens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프레임 후방 양측에 2개의 콘트롤 링크를 부설하여 주행시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횡풍등의 외탄(Disturbance)에 의해 서브프레임 및 후륜을 적절히 변위되도록 제어하여 선회시 차량의 주행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자동차의 뒤차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을 앞차축에서는 엔진과 휠 및 타이어를 포함한 현가장치 및 조항장치등이 장착되고, 뒤차축에서는 휠과 타이어를 포함한 현가 및 구동장치가 장찬되어짐과 아울러 진동 절연장치가 한단계 더 추가되어 승차감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차량의 주행 특성을 높히려는 노력은 현가 장치를 개선 시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틀히, 서브프제임의 각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저행 여건에 대웅하려는 기술에 연구의 촛점이 모아지고 있다.
본 고안은 당기한 제반사안을 고려하여 서브프레임에 제어역할을 행하는 2개의 콘트롤 링크를 부설하여 주행시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횡풍등에 의한 외란에 따라 서브프레임 및 후륜을 적절히 변위되도록 제어하여 외란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하여 차량의 상용주행시 직진성을 향상케함과 아울러 특히, 선회시 부드러운 주행특성을 갖게하여 한계 선회성능을 향상시키려 함과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양측 후륜(2)(2′)을 너클(3)(3′) 및 서스펜션 링크(4)(4′)를 이용하여 서브프레임(5) 연결시킨 뒤차축(1) 현가장치에 있어서, 서브프레임(5)의 전,후방 5곳의 부싱(6)은 차체(7)에 마운팅 되어지며, 후방부 싱(6)축에는 핀조인트 (8)틀 이용하여 콘트톨링크(9)(9′)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케 하고 상기 콘트를링크 (9)(9′)는 차체프레임(11)(11′)에 연결하여 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10′)는 전륜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시된 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륜(2)(2′)의 좌측방에서 횡력을 받게 되면 후륜(2)(2′)은 횡력에 의해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서브프레임 (5)을 우측으로 변위시켜 밀려나게 됨과 동시에 서브프레임(5)을 우축으로 변위시컥 밀려나게 됨과 동시에 서브프레임(5)과 차체에 연결된 콘트를링크 (9)(9′)도 변위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경사진 콘트롤링크(9)(9′)의 배치에 의해서 좌측 콘트를링크(9)는 서브 프레임(5)을 뒤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CL과 CR을 잊는 직선(실선은 횡력을 받기전. 점선은 횡력을 받은상태)은 초기의 상태에서 어느정도 변위(β)가 생기면 결국은 후륜(2)(2′)이 제2도의 실선에서 점선으로 각기 변위를 일으키는 것이며. 이때 각 변위의 방향은 후륜(2)(2′)에 가해지는 횡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차체(7) 저부에서의 후륜(2)(2′)을 살펴보면, 자동차의 선회시 원심력을 받는 경우에는 (a)의 상태와 같이 후륜(2)(2′)을 전륜(10)(10′)과 동위상으로 만들어 주어 차체(7)의 요우윙(Yawing)현상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부드러운 선회성능이 이루어지게 되고, 직진시에는 제3도 (b)와 같이 횡풍을 받은 후륜 (2)(2′)이 상기 선회시와 같은 각 변위에 의하여 각 변휘방향이 후륜에 가해지는 횡력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쏠리게 하므로써, 횡풍으로 발생된 모맨트(Moment)에 의해 바람부는 쪽으로 후륜(2)(2′)이 쏠리려는 현상을 방지하여 횡풍 및 충격등의 외란에 직접적으로 후륜(2)(2′)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여 직진 성능을 높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2개의 콘트롤링크를 서브프레임을 연켤시켜 간단한 구조로 서브프레임의 적절히 제어하여 후위를 변위시킴으로써 직진성을 향상케함과 아울러 선회시 부드러운 주행 특성을 갖게하여 이상적인 선회성능을 얻을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후륜(2)에 일측단이 연결된 너클(3)(3′)과, 상기 너클(3)(3′)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회동부를 보유하는 서스펜션링크(4)(4′)와, 상기 서스펜션링크(4)의 일측단이 연결된 서브프레임(5)으로 구성되는 차축형 뒤차축 (1)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5)의 전,후방 4지점에서 차체에 연결되어 회동부를 보유하는 부싱(6)과 이를 부싱 (6)들중 후방 부싱(6)에 일측단이 핀조인트(8)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콘트를링크(9)(9′)의 타측단 플 내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차체프레임(11)(11′)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5)에 콘트롤링크(9)(9′)를 연결시켜 외부의 외풍에 의하여 차량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후륜(2)(2′)를 횡풍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절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현가장치 .
  3. 제1항에 있어서, 후륜(2)(2′)을 전륜(10)(10′)과 동위상으로 만들어 차체의 요우윙 현상을 개선시켜 선회 성능 형상으로 도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9890004062U 1989-03-31 1989-03-31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20001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062U KR920001042Y1 (ko) 1989-03-31 1989-03-31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4062U KR920001042Y1 (ko) 1989-03-31 1989-03-31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03U KR900016903U (ko) 1990-10-05
KR920001042Y1 true KR920001042Y1 (ko) 1992-02-10

Family

ID=1928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4062U KR920001042Y1 (ko) 1989-03-31 1989-03-31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0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170B1 (ko) * 2009-11-27 2010-07-06 에코그린모터스(주) 자동차용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03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216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장치
US5498018A (en) Wheel suspension
US4245853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3327803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KR950003580B1 (ko) 차량용 후방 현수 장치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200010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90059211A (ko) 상용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004812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KR013951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153166Y1 (ko) 후륜 현가장치용 마운팅부쉬의 구조
KR100192379B1 (ko)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제어장치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960003495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21100B1 (ko) 차량의 전륜구동형 후륜 현가장치
KR100192353B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960003492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S5832968Y2 (ja) 自動車用後輪懸架装置
KR910007985Y1 (ko) 토우 콘트롤(Toe Control)에 의한 리어(Rear)서스펜션 메카니즘
KR20014790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너클의 체결 유지구조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0131296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GB2266282A (en) Motor vehicle
KR2003008047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