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808A - 시트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808A
KR19990029808A KR1019980037990A KR19980037990A KR19990029808A KR 19990029808 A KR19990029808 A KR 19990029808A KR 1019980037990 A KR1019980037990 A KR 1019980037990A KR 19980037990 A KR19980037990 A KR 19980037990A KR 19990029808 A KR19990029808 A KR 1999002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tching
regulating
mating
sta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222B1 (ko
Inventor
가오루 스즈끼
준야 마스다
도시히사 마쯔오
고지 가따모또
Original Assignee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1999002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 B65H2408/114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 B65H2408/1141Sorters or machines for sorting articles means for shifting articles contained in at least one bin, e.g. for displacing the articles towards processing means as stapler, perforator performing alignment in the totality or a large number of bins at a tim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를 정합함에 있어서, 시트의 반송 방향측 및 이 시트의 반송측과 직교하는 측을 기준 위치로 규제하여 정합할 때에, 그 정합 동작을 일시에 행하는 시트 정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를 받는 소트 빈(76)에 대해, 시트의 배출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측을 규제하는 규제판(104)과, 시트의 반송 방향측을 규제하는 기준벽(97)을 설치한다. 이에 대해, 소트 빈(76)에 설치한 경사 형상의 개구부(95)를 관통한 정합봉(103)을 규제판(104)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시트를 기준벽(97) 측으로 보내주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정합봉(103)의 정합을 위한 이동시에 맞춰 시트를 규제판(104) 및 기준벽(97)에 규제시키도록 정합 처리한다.

Description

시트 정합 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일반 종이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이 완료된 복수의 시트를 적층시키고, 그 적층 시트를 정합하는 시트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프린터, 또는 일반 종이 팩시밀리 등에 있어서는 시트상에 소망하는 화상을 형성하여 이를 장치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을 행한 시트가 복수 페이지 존재하는 경우, 그 복수의 시트를 하나로 묶기 위한 후처리 예를 들어 스테이플하는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부수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시트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본 특허 공고 평7-254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38은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를 배출하는 부분에 취입구가 배치되도록 해서 장착되는 시트 후처리 장치인 소터(200)의 사시도이다. 소터(200)는 배출되는 시트를 분류하기 위해 설치된 분류용 소트 빈(201)을 다수 구비한다.
소터(200)는 상술한 다수의 분류(소트)용 소트 빈(201)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 상태로 배치하고 있고, 배출 처리되는 시트를 순차적으로 상면에 적층되도록 수용한다. 각 소트 빈(201)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분류용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시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로 승강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소트 빈(201)의 시트 배출 방향의 선단 부분이 소트 빈을 유닛화하기 위한 지지 부재(202)에 의해 상하 이동할 때 안내되고, 그와 반대측 배출구와 대응하는 단부가 승강 기구(20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승강 기구(20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트 빈(201)이 상하 이동된다.
따라서, 분류하기 위한 시트가 배출되면 분류 배출구에 각 소트 빈(201)을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기구(203)에 의해 소트 빈(20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시트는 순차적으로 지정되는 소트 빈(201)으로 배출된다. 이 각 소트 빈(201)으로 배출된 시트의 배출 방향과 직교하는 한 쪽 일측 단부 모서리를 규제편(204)에 정합시키기 위해 규제편(204)과 반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정합봉(206)을 구비한 정합 장치(205)가 소터(200)에 설치되어 있다.
정합 장치(205)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한 정합봉(206)이 각 소트 빈(201)에 미리 개구된 원호 형상의 개구부(201a)를, 즉 모든 소트 빈(20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정합봉(206)의 양단부는 회전 구동되는 아암(207)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아암(207)의 타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구동 모터 등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정합봉(206)이 아암(207)을 거쳐 회전되므로 소트 빈(201) 상으로 배출되어 적층되어 있는 각 시트가 규제편(204)측으로 이동하여 정합 처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정합된 시트는 필요에 따라 스테이플 처리된다. 그로 인해, 소터(200)의 각 소트 빈(201)의 한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도록 스테이플 장치(209)가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장치(209)는 소트 빈(201)이 상하 이동할 때는 소정의 스테이플 위치로부터 후퇴하고, 스테이플 처리할 때는 스테이플 위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트 후처리 장치, 예를 들어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한 소터(200)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화상 형성 완료 시트를 분류처가 지정되어 각각의 소트 빈(201)으로 배출할 때 상술한 정합 장치(205)에 의해 소트 빈(201) 상에서 규제편(204)에 일측 단부 모서리가 맞춰지도록 정합할 수 있다. 이 정합이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스테이플 장치(209)에 의해 스테이플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스테이플 등을 행하는 경우 정합 장치(205)에서 각 소트 빈(201), 즉 배출 트레이 상으로 적층 배출된 시트의 묶음을 규제편(204)으로 맞춰 정합할 필요가 있으며, 이 정합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으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여도 스테이플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일부에서 스테이플되지 않은 시트 등이 존재하고, 시트 묶음으로부터 스테이플되지 않은 시트가 소트 빈(201)으로부터 제거될 때 낙하하거나 또는 빈 내에 남기도 한다. 또, 스테이플 위치 등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외관 등이 좋지 않다.
또, 종래의 정합 장치(205)에 의하면 정합봉(206)으로 상기 정합봉(206)과는 반대측 규제편(204)에 시트를 가압하여 정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스테이플 처리할 단부측 특히 배출구와 대향하는 측의 일측 단부 모서리(예를 들어 시트의 후방단)가 맞춰지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상태가 양호하지 않는 등의 결점이 발생한다.
정합봉(206)에 부가하여 시트 후방 단부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시트를 가압하는 제2 정합봉을 배치하도록 하면, 한 쪽 일측 단부 모서리와 직교하는 다른 쪽 단부 모서리도 맞출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2 정합봉을 이동시키는 정합 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정합 장치 전체가 대형이 되고, 후처리 장치 전체가 커질 뿐만 아니라 비용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를 양호하게 정합할 수 있으며, 정합 기구가 간단하고 소형이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한 시트 정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정합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화상 형성 완료 시트의 후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 기능이 부여된 스테이플 소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시트를 수용하여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한 하나의 소트 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시트 후처리 장치인 스테이플 소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를 화상 형성 장치인 복사 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구조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에 있어서 화상 형성 부분의 요부, 특히 상 작성 장치 및 상 작성 장치로 시트를 이송하여 화상 형성후의 시트를 배출 처리하는 반송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시트를 수용하는 각 소트 빈을 승강 구동하기 위해 회전 구동되는 승강 캠을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승강 캠을 상부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7은 승강 캠 및 승강 캠의 회전 제어에 관한 검출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처리의 제어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시트를 수용하는 소트 빈을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성하는 정합봉의 지지 부분 및 이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11은 소트 빈 상에 정합된 시트에 스테이플의 후처리를 행하기 위한 스테이플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에 의한 각 모드에 있어서의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3은 도12의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의 시트의 정합 및 스테이플 처리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4는 도12의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의 시트의 소트 제어를 포함한 시트 정합 처리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5a 및 도15b는 도12의 스테이플 소트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의 시트의 소트 제어를 포함한 시트의 정합 처리 및 스테이플 처리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6은 도12의 비스테이플 소트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지 않은 시트의 소트 제어를 포함한 시트의 정합 처리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7은 도12의 그룹 모드 설정시에 있어서의 소트 빈에 그룹마다의 시트를 배출하는 처리 제어를 포함한 시트의 정합 처리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8은 스테이플 기능이 부여된 스테이플 소터에 의한 시트 정합후의 스테이플 처리 제어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19는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소트 빈 상으로 배출되는 시트의 정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0은 도19에 의한 시트 정합 동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의 시트 정합 처리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21a 및 도21b는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성하는 시트의 한 쪽 일측 단부 모서리를 규제하는 규제판의 일예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사례에 의한 시트 정합을 위한 처리 순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23a 및 도23b는 도22에 도시한 제어 흐름도에 있어서 시트가 정합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24는 도23에 도시한 시트 정합 상태에서의 시트가 받는 작용력의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25는 시트를 정합하는 경우에 따른 시트의 굽힘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의 정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24에서의 시트가 받는 작용력이 양호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2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정합에 있어서 다른 시트의 정합 처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7은 도26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한 시트 정합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정합 흐름도.
도28은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시트 정합 처리의 다른 사례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9는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0은 도29에 있어서의 시트의 정합을 위한 규제봉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부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31은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시트 정합 장치를 구성하는 정합봉의 이동 방향으로의 시트 정합시의 기울기에 따른 시트 정합의 편차를 저지하는 정합봉의 보유 지지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3은 도32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정합봉에 의한 시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일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34는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시트의 정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5는 도34의 시트 정합을 행하는 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
도36a 및 도36b는 도34에 있어서의 시트의 정합 처리에 관한 순서를 각각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37은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트의 정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8은 종래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 기능을 갖춘 소터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광학 주사 장치
4 : 상 작성 장치
5 : 반송계
7 : 스테이플 소터
11 : 원고대
22 : 원고 분리 급송 장치
26 : 원고 배출 트레이
30 : 노광 램프
31, 33, 34, 37, 38, 39 : 미러
36 : 결상 렌즈
40 : 감광체
43 : 현상 장치
44 : 전사기
45 : 박리 방전기
50 : 수용기
51 : 급송기
52 : 승강판
53 : 반송 롤러
54 : 동기 반송 롤러
56 : 정착 장치
57 : 배출 경로
58 : 배출 롤러
71 : 절환 게이트
76 : 소트 빈
87 : 승강 캠
90 : 빈 롤러
제1 본 발명은 시트의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여 정합시키기 위한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제1 규제 부재와 직교하는 다른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여 정합시키기 위한 제2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동시켜 정합을 행하는 시트 정합 장치로서,
상기 시트 정합 장치는 제1 규제 부재 방향으로 시트를 이송시키는 제1 운동이 행해져 시트 일측 모서리를 상기 제1 규제 부재로 규제시켜 맞추는 한편, 이 제1 운동에 관련하여 상기 제2 규제 부재의 방향으로 시트를 이송시키는 제2 운동이 행해지는 정합 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시트를 정합 처리할 때 정합 부재가 제1 규제 부재로 이동하여 시트에 접촉했을 때 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시트의 이송이 함께 행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규제 부재에 시트의 각 단부 모서리가 접촉하여 맞춰지는 시트 정합이 행해진다. 따라서, 한 쪽 단부 모서리만의 시트 정합이 아니라 직교하는 두개의 단부 모서리의 정합이 모두 행해지므로 시트를 양호하게 정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정합후의 후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정해진 위치에 정밀도 높게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정합 부재가 단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므로 정합 기구가 대형이 되지 않아 시트 정합 장치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고, 또한 비용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운동에 의해 시트를 제1 규제 부재로 이송시키기 위해 적어도 제2 규제 부재에 대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 제2 운동에 의해 상기 이동에 관련하여 제2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해 이 시트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운동에 의해 시트를 제1 규제 부재로 이송시키기 위해 적어도 제2 규제 부재에 대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또 제2 운동에 의해 상기 이동에 관련하여 제2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해 이 시트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합 장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어 정합 기구가 비교적 간단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규제 부재에 시트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 규제 부재 방향으로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 시간만큼 제2 운동인 회전 운동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 상술한 구성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규제 부재에 시트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 규제 부재 방향으로 시트를 이송시키기 위해 소정 시간만큼 제2 운동인 회전 운동을 계속한다. 이에 의해, 정전기 등으로 시트가 서로 흡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양호하고 또한 확실하게 시트를 정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규제 부재 또는 제2 규제 부재에 시트의 각 측부 모서리의 한 쪽이 먼저 접촉하는 이동 또는 회전 속도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 상기 정합 부재는 제1 규제 부재 또는 제2 규제 부재에 시트의 각 측부 모서리의 한 쪽이 먼저 접촉하도록 이동 또는 회전 속도가 제어되고 있다. 이에 의해 한 쪽 규제 부재에 시트가 접촉하여 규제된 후, 이 한 쪽 규제 부재의 방향으로 시트를 이송하는 구동이 정지하므로 정합시에 시트에 미치는 손상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규제 부재가 시트를 제2 규제 부재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는 제3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 상술한 시트 정합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가 시트를 제2 규제 부재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제3 운동 예를 들어 회전 또는 이동한다. 이에 의해 한층 시트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규제 부재는 제2 규제 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간단해진다.
또, 제2 본 발명은 시트의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여 정합시키기 위한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제1 규제 부재와 직교하는 다른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여 정합시키기 위한 제2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동시켜 정합을 행하는 시트 정합 장치로서,
상기 시트 정합 장치는 제1 규제 부재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정합 부재와,
상기 정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1 규제 부재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상에서 상기 정합 부재를 상기 제2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정합 부재를 제1 규제 부재 방향으로 예를 들어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때 그 각 위치에서 정합 부재가 회전한다. 따라서, 정합 기구가 비교적 간단해진다. 특히, 이동 부재에 정합 부재를 배치하므로, 그 이동 부재상에서 정합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기만 하면 되어 정합 기구가 간단해지고, 또 하나의 정합 동작에 의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규제 부재에 시트를 맞춰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에 정합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전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전달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에 관련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 부재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시트 정합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정합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전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전달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에 관련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 부재로 회전 구동한다. 따라서, 단일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정합 부재의 이동 및 회전 구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정합 기구를 간단하게 하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전달부로부터의 회전이 정합 부재에 전달될 때 정합 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 유극 부분을 회전 전달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부로부터의 회전이 정합 부재에 전달될 때 정합 부재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 유극 부분을 회전 전달부에 형성했다. 이에 의해, 시트 정합후의 정합 부재가 시트로부터 이격되기 위해 시트 정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시트 정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지연되지 않게 되며, 정합후의 시트로부터 이격된 후에 회전하지 않으므로 정합한 시트의 정합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정합 부재는 시트와의 접촉면을 시트의 적층 방향을 향해 서서히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및 제2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는 시트와의 접촉면을 시트 적층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시키도록 배치함으로써 먼저 정합한 시트가 그 위에 적층된 시트를 정합할 때 정합 부재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시트에 미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시트가 다수의 소트 빈 등에 분류하여 수용되어 있는 경우, 시트의 정합성의 편차를 없애 일정한 정합성으로 정합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정합 기구에 의해 한번의 정합 동작으로 시트를 반출 방향측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측으로 정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시트 정합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상승이 되지 않는 시트 정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시트를 정합시키는 정합 부재를 한 쪽 규제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이 규제 부재와 직교하는 측의 규제 부재로 시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정합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했으므로, 그 정합 기구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시트 정합을 한층 더 확실하고 또한 정전기 등으로 정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서 정합할 수 있다.
또, 정합 부재의 이동 및 회전을 동일한 구동원으로 행함으로써 시트 정합 장치의 소형화를 한층 조장할 수 있으며 비용 상승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정합 부재를 연구함으로써 시트를 한층 더 양호하게 정합할 수 있다.
게다가, 정합 부재로 시트 정합을 행하는 시트의 한 쪽 규제 부재측을 다른 쪽 규제 부재측으로 시트 이송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규제 부재가 서로 직교함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 특색, 잇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시트 후처리 장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시트 정합 장치는 시트 후처리 장치로서 스테이플 소터(7)를 일예로 한 것으로, 스테이플 소터(7)를 구성하는 각 소트 빈(76)으로 배출되는 시트(P)의 정합을 행한다. 또, 도1은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소트 빈(76)을 도시하고 있다.
또,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시트 후처리 장치인 스테이플 소터(7)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3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를 화상 형성 장치인 복사 장치(1)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복사 장치(1)의 전체 구조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사 장치(1)를 예로 들어 도3에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이 복사 장치(1) 뿐만 아니라 프린터나 팩시밀리 장치, 또 그들을 함께 구비한 복합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에 도시한 복사 장치(1) 본체의 상부에는 원고 급송 장치(2)가 배치되어 있고, 복사 장치(1) 본체 내부의 상기 원고 급송 장치(2)에 대응하여 원고의 광학 주사 장치(3)가, 그리고 중앙부에는 원고의 화상을 가시상으로서 얻기 위한 상 작성 장치(4)가, 또 상 작성 장치(4)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일반 종이 등의 시트(P)에 작성하기 위해 상기 시트(P)를 반송하는 반송계(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인 복사 장치(1)에 의해 화상 형성된 시트를 수용하여 후처리를 행하기 위한 스테이플 소터(7)가 배출 트레이 대신 복사 장치(1) 본체의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원고 급송 장치(2)는 원고 적재대(21)에 다량 적재되는 원고를 원고 분리 급송 장치(22)로 한장씩 분리하여 원고 반송 벨트(23)에 의해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 복사 장치(1) 본체의 최상 위치에 배치된 원고대(11)상으로 송입한다. 이 때, 원고의 선단이 원고대(11)의 기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준판(12)을 향해 이송되어 그 기준판(12)에 접촉하도록 규제되고, 원고 선단이 기준판(12)에 접촉한 시점에서 원고의 반송을 정지한다.
원고대(11)상에 적재된 원고의 노광 주사가 종료하면 그 원고는 기준판(12)이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원고 반송 벨트(23)로 반송되고, 배출 롤러(24)에 의해 원고 급송 장치(2)의 상부에 배치된 원고 배출 트레이(26)상으로 배출된다.
다음에, 복사 장치(1) 본체 내부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 광학 주사 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광학 주사 장치(3)는 원고대(11)상의 원고를 광조사하기 위한 노광 램프(30)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지정된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미러(31)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주사 유닛(32)과, 제1 미러(31)로부터의 반사광을 또 다시 반사하는 제2 미러(33)와 제3 미러(34)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이동 미러 유닛(35)과, 변배를 행하는 동시에 반사광에 의한 광상을 상 작성 장치(4)를 구성하는 감광체 상에 결상하기 위한 결상 렌즈(36)와, 상기 결상 렌즈를 통과한 광을 감광체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제4 미러(37), 제5 미러(38) 및 제6 미러(39)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광학 주사 장치(3)는 노광 램프(30)로 원고를 조사했을 때의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제1 미러(31), 제2 미러(33), 제3 미러(34), 결상 렌즈(36), 제4 미러(37), 제5 미러(38), 제6 미러(39)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감광체의 표면으로 유도하여 원고상을 결상한다. 이 때, 주사 유닛(32)은 원고대(11) 면에 평행하게 제1 속도(V)로 주행되고, 이동 미러 유닛(35)은 주사 유닛(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속도(V/2)로 주행된다. 이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감광체에 순차적으로 결상 즉 광학적으로 주사되어 결상되게 된다.
다음에, 상 작성 장치(4) 및 반송계(5)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 작성 장치(4)는 그 중심에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주사 장치(3)에 의한 원고의 상이 결상되는 상 담지체인 감광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감광체는 예를 들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40)의 회전 방향 주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상 작성 프로세스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 작성 프로세스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도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40) 주위에는 감광체(40)의 회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대전기(41), 노광용 광로(42), 현상 장치(43), 전사기(44), 박리 방전기(45), 세척 장치(46), 제전 램프(47) 등의 프로세스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대전기(41)는 도면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40) 표면에 소정의 극성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체(40) 표면을 한결같이 대전한다. 한결같이 대전된 감광체(40)는 그 표면이 노광용 광로(42)에 도달하면 상술한 광학 주사 장치(3)에 의해 광상이 조사되어 원고상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 표면이 현상 장치(4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현상 장치(43)에 의해 정전 잠상의 전하와 역극성의 현상제, 특히 토너가 정전적으로 부착되어 가시상(토너상)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감광체(40) 표면에는 원고의 화상에 대응한 토너상이 형성되고, 그 토너상이 전사기(44)에 대향한 위치에 도달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시트의 반송계(5)에 의해 적절하게 반송되어 오는 시트(P)상에 정전적으로 전사된다. 즉, 감광체(40) 표면의 전하와 동극성의 전하가 전사기(44)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시트(P)의 배면에 부여되고, 감광체(40)에 밀착된 상태에서 시트(P)에 토너상이 흡인되어 감광체(40) 표면으로부터 시트(P)상에 토너상이 전사된다.
전사기(44)에 인접하여 배치된 박리 방전기(45)는 전사기(44)의 공급 전하와는 역극성의 전하를 부여하여 감광체(40)에 밀착된 시트(P) 배면의 전하를 제거하고, 밀착성을 저하시켜 시트(P)에 토너상이 담지된 상태로 감광체(40) 표면으로부터 박리한다.
시트상에 토너상을 전사해도 감광체(40) 표면에는 토너상의 일부가 잔류하고, 이것이 세척 장치(46)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감광체(40)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잔류한 토너가 제거된 감광체(40) 표면이 제전 램프(47)의 위치로 이동하면 제전 램프(47)로부터 제전광이 조사되어 감광체(40)의 표면 전위를 거의 동일한 낮은 전위(예를 들어 0전위)로 해서 다음의 화상 형성에 대비한다.
이와 같은 상 작성 장치(4)에 대하여 감광체(40)와 전사기(44)가 대향하는 전사 위치로 시트(P)를 송입하고, 전사후의 시트(P)가 감광체(40)로부터 박리된 후의 배출 처리 등을 행하는 시트 반송계(5)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복사 장치(1) 본체의 하측에 배치된 시트의 반송계(5)는 상술한 감광체(40)와 전사기(44)가 대향하는 전사 위치까지의 반송과 전사후에 감광체(40)로부터 박리된 후의 반송으로 구분되어 있다.
우선, 전사 위치까지의 시트의 반송계(5)는 복수의 시트(P)의 수용기(50)(50a, 50b, 50c), 수용된 시트(P)를 에어 분리하여 급송하는 급송기(51)(51a, 51b, 51c), 수용된 시트(P)를 적재하여 적재된 최상부의 시트를 항상 일정한 높이에 위치시키는 승강판(52)(52a, 52b, 52c), 반송 롤러(53)(53a, 53b, 53c), 동기 반송 롤러(레지스트 롤러)(54)가 상술한 전사 위치로 시트(P)를 송입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 후의 시트(P)가 감광체(40)로부터 박리된 후의 반송 시스템(5)은 반송 벨트(55), 정착 장치(56), 배출 경로(57), 배출 롤러(5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 경로(57)의 도중에는 그 경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게이트(59)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환 게이트(59)의 절환 위치에 의해 시트(P)의 양면에 화상 형성을 행하기 위한 재반송 경로(60)로 시트(P)를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그 재반송 경로(60)에는 반송 롤러(61), 절환 게이트(62), 정역전 롤러(63), 반전 경로(64), 반송 롤러(65), 양면 트레이(6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면 트레이(66)에는 수용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를 상술한 레지스트 롤러(53)로 송출하기 위한 에어 분리 방식에 의한 급송기(67) 및 반송 롤러(6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반송 시스템(5)의 구성에 있어서, 시트(P)는 수용기(50)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P)는 승강판(52)의 상승에 의해 급송기(51)가 시트(P)를 1장 급송 가능한 위치까지 상승되고, 상기 급송기(51)에 의해 1장 반송되고, 반송 롤러(53)로 보내진다. 그리고, 반송 롤러(53)로부터 감광체(40)의 바로 앞에 배치된 레지스트 롤러(54)로 보내진다. 이 때, 레지스트 롤러(54)로 보내진 시트(P)는 시트 선단부가 감광체(40)의 회전축과 평행해지도록 맞추어지는 동시에, 감광체(40)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의 선단부 위치와 동기가 취해진 상태에서 감광체(40)로 전사 위치를 향해 반송 제어된다. 그로 인해, 시트(P) 상에는 감광체(40) 표면에 상술한 상 작성 장치(4)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기(44)의 작용에 의해 차례로 전사된다.
다음에, 전사 후의 시트(P)는 감광체(40)로부터 박리되고, 반송 벨트(55)에 의해 배면이 에어 흡수된 상태에서 정착 장치(56)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56)를 통과한 시트(P)는 상면에 담지되어 있는 토너상이 정착되고, 배출 경로(57) 및 배출 롤러(58)를 경유하여 복사 장치(1)의 본체 밖으로 배출 처리된다.
한편, 시트(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출 처리되는 일 없이 배출 경로 내에 설치된 절환 게이트(59)에서 재반송 경로(60)측으로 경로가 절환 제어되어 있으며, 재반송 경로(60)를 따라서 반송 롤러(61) 및 정역전 롤러(63)에 의해 반전 경로(64)로 보내진다. 반전 경로(64)로 송입된 시트(P)는 그 후단부가 절환 게이트(62)의 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검지되고, 이에 응답하여 정역전 롤러(63)가 역전 구동되고, 양면 트레이(66)로 반송 롤러(65)를 거쳐서 반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양면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시트(P)는 재반송 경로(60)를 경유하여 양면 트레이(66)로 차례로 겹쳐져서 수용된다. 그리고, 양면 트레이(66)에 일시적으로 수용된 시트(P)는 급송기(67)에서 1장씩 분리된 후, 1장씩 급송되고, 반송 롤러(68)를 거쳐서 상술한 레지스트 롤러(54)로 다시 송입된다. 이로써, 시트(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되고, 그 후에 정착 장치(56)를 경유하여 배출 경로(57) 및 배출 롤러(58)를 거쳐서 복사 장치(1) 본체 밖으로 배출 처리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시트(P)는 그 일면에 화상 형성된 후, 배출 롤러(58)를 거쳐서 복사 장치(1) 본체 밖으로 배출되고, 혹은 양면에 화상 형성된 후, 마찬가지로 하여 배출 롤러(58)를 거쳐서 복사 장치(1) 본체 밖으로 배출된다. 이 배출 부분에 대향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배출되는 시트(P)에 대응하여 스테이플 소터(7)에는 수취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취구에 대향 배치된 반입 롤러를 거쳐서 화상 형성된 시트(P)가 스테이플 소터(7) 내로 취입된다.
또, 상기 정착 장치(56)는 히트 롤러(56a)와 압착 롤러(56b) 사이를 통과시키고, 상기 상 작성 장치(4)에 의해 형성된 미정착 토너상을 담지한 시트(P)에, 열과 압력을 가하고, 토너를 용융하여 시트에 융착시키도록 하여 정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복사 장치(1)에 장착되어 있는 스테이플 소터(7)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의 각종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스테이플 소터(7)의 구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스테이플 소터의 구조)
이하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트 정합 장치를 구비하는 시트 후처리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시트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특히 복사 장치(1)로부터 배출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를 수취하고, 상기 시트(P)를 필요에 따라 구분 가능하게 한 소터이며, 또 시트 정합을 완료한 후의 최종 후처리 공정으로서 스테이플을 행하는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를 예로 설명한다.
우선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후처리 장치, 즉 스테이플 기능을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소터(7)의 복사 장치(1) 본체측의 배출구와 대향하는 관계에 설치된 반입구에 대응하여 반입 롤러(7)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반입 롤러(70)는 도4에 도시한 배출 롤러(58)에 의해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송출된 시트(P)를 스테이플 소터(7)의 내부로 반입한다. 반입 롤러(70)의 반송 하류측에는 게이트 솔레노이드(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절환 게이트(71)가 배치되어 있다. 절환 게이트(71)는 게이트 솔레노이드가 오프인 때는 비소트 패스(72)로 시트를 유도하고, 혹은 게이트 솔레노이드가 온인 때는 소트 패스(3)에 시트를 보내도록 각각의 반송로(패스)를 절환하는 것이다.
비소트 패스(72)의 단부에는 비소트 배출 롤러(74)가 배치되고, 그 비소트 패스(72)의 반송 방향 상류측 부근에 비소트 배출 센서(S1)가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소트 패스(73)의 단부에는 소트 배출 롤러(75)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반송 방향 상류측 부근에 소트 배출 센서(S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P)를 소트하든지 그렇지 않으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 상에 설치되어 있는 비소트 모드 또는 소트 모드를 선택 지시하는 키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절환 게이트(71)가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 솔레노이드에 의해 각 지시 키의 조작에 따라서 절환 제어된다.
즉, 비소트 모드를 선택 지시하면, 비소트 패스(73)에 시트(P)를 안내하도록 절환 게이트(71)를 절환하고, 비소트 배출 롤러(74)를 거쳐서 배출한다. 이 배출 위치에 대향하여 최상위의 소트 빈(76)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트 빈(76)에 배출되어 차례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트 모드가 선택 지시되면 소트 패스(73)에 시트(P)를 안내하도록 절환 게이트(71)가 절환 제어되고, 시트(P)를 소트 배출 롤러(75)로부터 배출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소트 배출 롤러(75) 혹은 비소트 배출 롤러(74)에 대응하도록 상술한 최상위의 소트 빈을 포함한 다수의 소트 빈(76-1 내지 76-n)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소트 빈(76-1 내지 76-n)은 뒤에 설명하게 되지만,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 기구를 거쳐서 승강 제어된다.
(스테이플 소터(7)의 소트 빈의 승강 기구)
상기 소트 빈(7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빈(76-1 내지 76-n)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각 빈(76-1 내지 76-n)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승강 제어된다.
상기 각 소트 빈(76)은 지지 부재(77)에 일체적으로 유닛화되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마다, 즉 지지 부재(77)마다,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지 부재(77)는 그 바닥부(77a)가 일단부를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에 고정된 지지 스프링(79)의 타단측이 계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스프링(79)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 상승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지지 스프링(79)의 하중은 소트 빈(76)을 포함한 지지 부재(77) 및 상기 지지 부재(77) 내에 수용되는 시트(P)의 중량을 포함하여 지지할 정도로 설계되어 있다.
지지 부재(77)의 양측면의 프레임(77-1, 77-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가이드 롤러(80 및 8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의 양 가이드 롤러(80, 81)는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에 고정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롤러 가이드(8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하 가이드 롤러(80, 81)는 각 소트 빈(76)을 유닛화한 지지 부재(77)가 상하 이동할 때에 롤러 가이드(82) 내를 구름 이동하고, 지지 부재(77)가 안정된 상태에서 상하 안내된다. 그리고, 지지 부재(77)는 상술한 지지 스프링(79)의 압박력에 의해 통상은 상승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또한,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77)의 승강용 구동 모터(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83)의 구동력은 체인(84) 등의 전달 수단을 거쳐서 승강 캠 샤프트(85)에 고정된 스프로킷(86)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86)을 회전시킨다. 그로 인해, 승강 캠 샤프트(85)가 회전되고, 상기 승강 캠 샤프트(85)의 거의 중앙부에 고정된 승강 캠(87)을 회전시킨다.
승강 캠 샤프트(85)의 상하 단부는 프레임 부재(78)의 상하부에 설치된 드러스트 베어링(8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소트 빈(76)을 승강시키는 구동 모터(83)는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로써 승강 캠(87)도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77)의 양측면 프레임(77-1, 7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롤러(80, 81)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가이드 개구(8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개구(89)를 통해 지지 부재(77)의 양측면 프레임(77-1 및 77-2)의 외측에 도2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77) 내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소트 빈(76-1 내지 76-n)의 근원측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설치된 빈 롤러(90)가 돌출되어 있다. 지지 부재(77) 내에서 다수의 소트 빈(76)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도1에 있어서는 도면이 번잡해지지 않도록 그리고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하나의 소트 빈(76)만 도시하고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빈 롤러(90)는 상하 가이드 롤러(80, 81)와 마찬가지로 롤러 가이드(8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최하단의 소트 빈(76-n)의 빈 롤러(90-n)는 하부의 가이드 롤러(81) 상에 적재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 빈 롤러(90-n) 상에는 그보다 상단의 소트 빈(76-n-1 내지 76-1)의 각 빈 롤러(90-n-1 내지 90-1)가 차례로 적재되어 있다. 그 적재되는 도중에는 승강 캠(87)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위치에서 각 빈 롤러(90) 사이가 이격되고, 예를 들어 도2에 있어서 소트 빈(76-c)이 소트 배출 롤러(75)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배출되는 구분된 시트(P)를 받게 된다.
상기 각 소트 빈(76)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캠(8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P)를 구분하기 위한 각 소트 빈(76)의 상하 이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캠 샤프트(85)의 거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설치된 승강 캠(87)에는 빈 롤러(90)의 직경보다 약간 폭이 넓은 캠 홈(87a)이 캠 축심 주위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 캠(87)은 회전시에 상술한 소트 배출 롤러(7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예를 들어 소트 빈(76-c)의 빈 롤러(90-c)를 캠 홈(87a)에 결합하여 승강하고, 소트 빈(76-c)을 상하로 이동한다. 이 승강시, 승강 캠(87)의 회전에 의해 빈 롤러(90)로부터 소트 빈(76)으로 토오크가 전달되지 않도록 빈 롤러(90)는 소트 빈(7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캠(87) 상에는, 예를 들어 소트 빈(76-b)보다 상단인 소트 빈(76-a, 76-2, 76-1)의 빈 롤러(90-a, 90-2, 90-1)가 차례로 적재되어 있다. 또, 빈 롤러(90-1) 상에는 상부 가이드 롤러(80)가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승강 캠(87)은 빈 롤러(90)를 예를 들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1회전시키면, 도2에 있어서 빈 롤러(90-e, 90-d, 90-c 및 90-b)의 위치가 각각 하나 위의 빈 롤러(90-d, 90-c, 90-b 및 90-a)의 위치로 이동한다. 즉 1단 상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승강 캠(87)에 의해 승강 캠(87)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 빈 롤러(90)가 또 상부의 빈 롤러(90)를 압박함으로써, 상부 가이드 롤러(80)를 누른다. 그로 인해, 소트 빈(76)이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을 하는 동시에, 각 소트 빈(76)을 유닛으로서 수용한 지지 부재(77)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 부재(77)의 이동으로, 하부 가이드 롤러(81)가 승강 캠(87) 하측의 빈 롤러(90)를 승강 캠(87)에 압박하므로, 승강 캠(87)은 또 하단측의 빈 롤러(90)를 캠 홈(87a)에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최하단의 빈 롤러(90-n)를 승강 캠(87)의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77)의 바닥부(77a)에 계지된 지지 스프링(79)은 지지 부재(77)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승강 캠(87)으로의 부하는 가볍고 용이하게 지지 부재(77)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승강 캠(87)이 빈 롤러(90)를 하강시키기 위해 1회전하면, 도2의 빈 롤러(90-a, 90-b, 90-c 및 90-d)의 위치는 각각 하나 아래의 빈 롤러(90-b, 90c, 90-d 및 90-e)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승강 캠(87)에 의해 승강 캠(87)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 빈 롤러(90)가 또 하부의 빈 롤러(90)를 압박함으로써 하부 가이드 롤러(81)를 압박한다. 그로 인해, 소트 빈(76)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77)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지지 부재(77)의 하강 이동으로 하부 가이드 롤러(80)가 승강 캠(87)의 상측 빈 롤러(90)를 승강 캠(87)에 압박한다. 그리고, 승강 캠(87)은 또 상단측의 빈 롤러(90)를 캠 홈(87a)으로 넣을 수 있어 최상단의 빈 롤러(90-1)를 승강 캠(87)의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77)의 바닥부(77a)에는 포토인터럽터식의 지지 부재 홈 포지션 센서(S3)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측에 설치된 검출판(도시 생략)을 통과할 때, 상기 지지 부재 홈 포지션 센서(S3)의 출력 신호가 절환되므로써, 지지 부재(77)의 홈 포지션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판은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측에 고정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부재(78)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77)의 승강 제어는 상기 지지 부재 홈 포지션 센서(S3)에 의한 지지 부재(77)의 홈 포지션 위치의 검출과 후술한 승강 캠 센서(S4)에 의한 승강 캠의 회전량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승강 캠(87)에 의한 빈 롤러(90)의 이동에 의해 소트 배출 롤러(75)와 대향하는 예를 들어 소트 빈(76-c)과 상단 빈(76-b)의 간격은 다른 소트 빈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개구부(91)가 형성된다. 이것은 승강 캠(87)의 캠 홈(87a) 사이의 간격에 의존하고, 배출되는 시트(P)를 확실히 각 소트 빈(76)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승강 캠(87)의 회전 제어)
이어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각 소트 빈(76)으로 구분하여 시트(P)를 수용하기 위한 승강 캠(87)의 회전 제어, 그 제어에 의해 소트 빈(76)의 상하 제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상술한 설명과 같이 승강 캠(87) 주변의 주요 부품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6은 승강 캠(87) 주변의 주요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캠(87)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캠 홈(87a)은 나선 형상으로 된 경사부(87b) 및 빈 롤러(90)를 정지시키는 평행부(87c)로 이루어진다. 이 승강 캠(87)의 회전시, 캠 홈(87a)에 결합되는 빈 롤러(90)는 경사부(87b)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평행부(87a)에서 헐거운 상태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캠 샤프트(85)에는 검출판(92)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검출판(92)에 대향하는 위치에 포토인터럽터식의 승강 캠 센서(S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S4)에 있어서는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도2에서 설명한 구동 모터(83)의 회전에 의해 승강 캠(87)이 회전하면 연동하는 검출판(92)도 회전하고, 승강 캠 센서(S4)에 의해 승강 캠(87)의 1회전 및 승강 캠(87)의 정지 위치가 검출된다. 또, 도5에 도시한 승강 캠 샤프트(85)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프레임(93)은 스테이플 소터의 프레임 부재(78)에 고정되어 있으며, 도2의 승강 캠 샤프트(85)의 하측 드러스트 베어링(88)과 쌍이 되는 상측의 드러스트 베어링(88)을 보유 지지하고, 승강 캠 샤프트(8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승강 캠 센서(S4)와 검출판(92)의 검출 동작에 의한 승강 캠(87)의 회전 제어를 설명한다.
검출판(92)은 그 평면 형상의 원반의 일부에 설치한 검출 개구부(92a)와 차광부(92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출 개구부(92a)의 회전 방향의 양단부 모서리(92c, 92d)가 승강 캠 센서(S4)에 검출될 때, 빈 롤러(90)가 승강 캠(87)의 평행부(87c)의 양단부(87d, 87e)에 위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승강 캠 센서(S4)는 검출 개구부(92a)와 차광부(92b)에서 다른 출력 신호 레벨을 제어부(도시 생략)로 이송한다. 이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는 구동 모터(83)를 제어하고, 승강 캠(87)의 회전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시에 검출 개구부(92a)의 양단부 모서리(92c, 92d)에서 승강 캠 센서(S4)의 출력 신호 레벨이 절환되므로, 이를 기초로 하여 승강 캠(87)의 평행부(87c)가 빈 롤러(90)에 위치하도록 정지시킨다. 혹은 승강 캠(87)의 경사부(87b)에 결합하여 빈 롤러(90)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 캠(87)을 회전 제어한다.
또, 도7은 도5를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며, 빈 롤러(90)가 롤러 가이드(82)에 안내되어 있는 상태 및 롤러 가이드(82) 및 승강 캠 샤프트(85)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93)을 고정한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의 양측 프레임(78-1, 78-2)에 대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복사 장치(1)에서 화상 형성이 완료한 시트(P)가 시트 후처리 장치의 스테이플 소터(7)로 반입되어 오므로, 상기 시트(P)는 필요한 소트 빈(76) 중 몇 개로 배출 처리된다. 즉, 비소트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소트 빈(76)의 최상부의 빈(76-1)이 선택되고, 도2의 상태에 지지 부재(77)를 위치 결정하고 있다. 즉, 홈 포지션 센서(S3)가 지지 부재(77)의 홈 포지션을 검출하고, 미리 결정되어 단수의 상승 제어를 행하는 최상부의 빈(76-1)이 비소트 배출 롤러(74)와 대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된 시트(P)가 차례로 빈(76-1) 상에 적층되도록 배출 처리되어 간다.
또한, 소트 모드가 선택되면, 도2에 도시한 상태가 최상부(76-1)가 소트 배출 롤러(75)에 대향하도록 승강 캠(87)이 구동 모터(83)에서 강하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 부재(77) 전체를 강하시킨다. 즉, 홈 포지션 센서(S3)가 지지 부재(77)가 홈 포지션에 하강된 상태를 검출하면, 최상위의 소트 빈(76-1)이 상술한 소트 배출 롤러(75)의 위치에 대향한다.
그리고, 한 장의 시트(P)가 최상부(76-1)로 배출될 때마다 1단 상승하도록 승강 캠(87)이 소트 빈(76)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설정 부수(m)만큼의 시트(P)가 배출되고, 최종 시트(P)가 대응하는 소트 빈(76-m)에 배출되면, 상기 소트 빈(76-m)은 그 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다음 항의 원고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가 배출 처리되면, 상기 소트 빈(76-m)에 배출 처리된 후, 이 다음은 상승 방향으로 승강 캠(87)은 회전 구동되고, 각 소트 빈(76)에 시트(P)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구분(소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소트 빈(76)에 회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가 차례로 배출되고, 소트 빈(76) 상에 차례로 적층되어 가는 시트(P)를 맞추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정합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소트 빈(76)을 유닛화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 부재(77)의 내부에는 또 하부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시트 정합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다. 시트 정합 장치(100)의 지지 부재(77)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시트 정합을 행하는 정합 구동 부(101)이다. 시트 정합 장치(100)의 지지 부재(77)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한 정합 가이드부(102)이다.
상기 정합 구동 부(101)와 정합 가이드부(102) 사이에는 소트 빈(76)의 개개에 경사형으로 동일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95)를 관통하여 정합봉(10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합 구동부(101)에 의해 정합봉(103)은 개구부(95)의 길이 방향에 따른 도8에 있어서의 경사진 서로 반대인 A 방향 및 B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하 방형으로 다수 적층된 각 소트 빈(76)에는 도면에 있어서 바로 앞 쪽에 동일 위치에 정합 여유부(오목부)(9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96)에 대응하여 시트(P)의 배출 방향(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시트(P)의 일단부 단부 모서리를 규제하는 규제판(104)이 설치되어 있다. 규제판(104)은 단면이 예를 들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하 단부가 지지 부재(77)의 상하 천저(天低)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이 정합봉(103)의 A 방향으로의 이동에서, 시트(P)의 배출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시트(P)를 압박할 때에 시트(P)의 일측단부 모서리의 이동을 규제하고, 시트(P)를 정합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P)의 배출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정합 기준이 된다.
시트(P)의 상기 규제판(104)에 의한 정합 기준 위치와 직교하는 방향의 배출 방향의 정합 기준은 소트 빈(76)의 배출 방향 후단부에 소트 빈(76)에 일체적으로 세워 설치된 기준벽(9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준벽(97)에는 시트(P)의 배출시에 소트 빈(76)에 확실히 배출하기 위해 소트 배출 롤러(75)가 근접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P)가 기준벽(97)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결된 롤러 여유부(98)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소트 빈(76)이 소트 배출 롤러(75), 혹은 비소트 배출 롤러(74)와 대향하면 상기 롤러(75)가 여유부(98)의 일부가 인입하게 되며, 빈(78)의 적재면 상에 적절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소트 빈(76)은 뒤에 스테이플 장치(120)에 의해 각 소트 빈(76)의 시트 적재면 상에 적층된 시트(P)의 뭉치를 스테이플하기 위해 설치된 스테이플 여유부(99) 및 시트 적재면 상에 적층된 시트(P)의 뭉치를 사용자의 손으로 제거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오목부(76a)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시트 정합 장치(100) 구조의 상세한 설명을 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래서, 시트 정합 장치(100)를 구성하는 정합 구동 부(101)는 지지 부재(77)의 바닥판에 고정된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플레이트(105)에는 홈형상으로 래크 가이드(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 가이드(106) 내에 한 변에 래크 기어가 형성된 이동 래크(107)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동 래크(107) 상에는 스테핑 모터인 정합 회전 모터의 회전축에 직결된 기어(109)를 갖는 정합 회전 모터(10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동 래크(107) 상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 기어(110)가 상기 모터(108)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109)에 맞물려 있다. 그리고 이동 래크(107)에는 또한, 한 쪽 드러스트 베어링(111)이 보유 지지되고 있으며, 이 드러스트 베어링(111)에 정합봉(103)의 축부(10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정합봉(103)의 축부(103a)에는 구동 기어(112)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112)가 상기 입력 기어(110)와 맞물려 있다. 이로써, 정합 회전 모터(108)가 도9에 있어서 서로 반대인 C 또는 D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109, 110, 112)를 거쳐서 정합봉(103)이 서로 반대인 E 또는 F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동 래크(107)는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113)가 맞물려 있다. 즉, 이동 래크(107)의 도9의 안 쪽에는 래크 기어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 래크 기어에 상기 입력 기어(113)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입력 기어(113)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10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중간 기어(114)와 맞물려 있으며, 또 이 중간 기어(114)는 스테핑 모터인 정합 구동 모터(115)의 출력축에 고정된 모터 기어(11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합 구동 모터(115)는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 고정 지지된 보유 지지 부재(117)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래크(107)는 정합 구동 모터(115)가 도9에 있어서 서로 반대인 G 또는 H 방향으로 회전하면, 정합 구동 모터(115)의 구동력이 모터 기어(116), 중간 기어(114)를 거쳐서 입력 기어(113)에 전달되고 이동 래크(107)를 래크 가이드(106)에 따라서 도면에 있어서 서로 반대인 A 또는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는 정합 홈 포지션 센서(S5)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S5)에서 이동 래크(107)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작동 부재(107a)를 검출하고, 정합봉(103)의 홈 포지션 위치를 검출한다. 정합봉(103)의 홈 포지션 위치는 도8에 도시한 소트 빈(76) 상에 배출되는 최대 시트(P)의 폭 Hmax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홈 포지션 센서(S5)의 광로를 이동 래크(107)의 작동 부재(107a)에서 차폐되고, 홈 포지션 위치를 검출한다.
한편, 시트 정합 장치(100)에 있어서의 정합 가이드부(102)에 대해서 도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정합 가이드부(102)는 정합봉(103)이 회전하는 동시에 도9 중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정합봉(103)의 상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그로 인해, 지지 부재(77)의 상부 천정판에 고정하여 설치된 가이드 부재(118)의 홈 내에 슬라이드 부재(119)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119)에 매입된 다른 한 쪽의 드러스트 베어링(111)에 정합봉(103)의 축부(10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9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18)는 그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18) 및 구동 플레이트(105)측의 가이드(106)와 평행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가이드(118, 106)는 소트 빈(76)의 개구(95)와 당연히 평행 관계에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소트 빈(76) 상에 적층된 시트(P)는 정합 동작에 의해 정합봉(103)이 시트(P)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정합시킨다. 즉, 정합봉(103)은 정합 동작이 개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합 구동 부(101) 및 정합 가이드부(102)의 동작에 의해 도8에 있어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F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시트(P)는 한 쪽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 방향으로 일측 단부 모서리가 규제되도록 이동되고, 또 기준면(104a)과 직교하는 측의 기준벽(97)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동일한 동작, 즉 하나의 정합 동작에 의해 시트(P)는 서로 직교하는 규제하는 기준 위치 방향으로 이동되고, 각각의 단부, 즉 시트(P)의 일측 단부 모서리(시트(P) 폭 방향의 모서리)와 후단부 모서리가 맞추어져 정확한 정합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정합이 완료된 후의 시트의 후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후처리의 예로서는 스테이플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기 위한 스테이플 장치의 구조를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8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트 빈(76)에 배출 처리된 시트(P)의 시트 정합 장치(100)에서 정합된 후의 시트를 스테이플하기 위한 스테이플 장치(120)는 스테이플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스테이플 장치(120)는 상기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지만, 상술한 시트(P)의 배출시 및 시트의 정합시에 스테이플하는 위치로부터 후퇴된 실선의 위치로 대피되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플을 행할 때는 도11 중 일점 쇄선의 스테이플 위치로 이동되고, 스테이플을 행한다.
그로 인해, 소트 빈(76)에는 도1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장치(120)가 스테이플 위치로 회전하여 정합된 소트 빈(76)의 시트 적재면 상의 시트 뭉치(P)를 묶을(스테이플링할) 수 있도록 스테이플 여유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장치(120)의 회전을 위한 구조를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플 장치(120)는 스테이플 회전 프레임(122)에 보유 지지되어 있으며, 스테이플 회전 프레임(122)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 스테이플러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121)은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측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있다.
스테이플 회전 프레임(122)에는 스테이플 장치(120)를 스테이플 위치(도11 중 일점 쇄선의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인장하는 솔레노이드(123)가 암(124)을 거쳐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회전축(121)을 사이에 두고 솔레노이드(124)의 반대측에는 복귀용 스프링(1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귀용 스프링(125)의 타단부 및 솔레노이드(123)는 스테이플 소터(7)의 프레임 부재(78)에 계지 및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솔레노이드(123)가 관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귀용 스프링(125)의 압박력에 의해 스테이플 장치(120)를 대피 위치(도11 중 실선의 위치)로 스테이플러 회전축(121) 주위로 스테이플러 회전 프레임(122)을 탄성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장치(120)는 솔레노이드(123)가 통전되면, 암(124)을 거쳐서 복귀용 스프링(125)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스테이플 위치로 회전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123)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복귀용 스프링(125)의 압박력(탄성력)으로 스테이플 장치(120)는 실선으로 나타낸 대피 위치로 복귀하고, 스톱퍼(규제 볼록부)(126)에 맞닿아 정지한다. 이 스톱퍼(126)는 상술한 프레임 부재(78)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장치(120)는 소트 빈(76)의 여유부(99)의 스테이플 위치로 회전할 때, 스테이플 장치의 스테이플 개구부(127)를 시트 적재면 상에 정합된 시트(P)의 모퉁이부가 통과하도록 높이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정합 장치(100)에서 소트 빈(76) 상의 시트(P) 뭉치가 규제면(104a) 및 기준벽(97)에 맞닿아 정합되면, 스테이플 장치(120)가 대피 위치로부터 스테이플 위치로 이동하여 스테이플을 행한다. 그리고, 하나의 스테이플이 완료하면 대피 위치로 일단부가 이동되고, 다음의 소트 빈(76)이 일단 상승 또는 하강되고, 그 소트 빈(76) 상의 적층된 시트(P)가 다시 시트 정합 장치(100)에서 정합 처리되고, 그 후에 스테이플 장치(120)가 스테이플 위치로 회전되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한다.
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할 때에는 소트 빈(76) 상의 시트(P) 뭉치는 시트 정합 장치(100)에서 한 쪽뿐만 아니라 그와 직교하는 측의 정합도 행해지고 있으므로, 스테이플 처리가 안정되는 동시에 정확한 스테이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시트 정합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 특히 도3에 도시한 복사 장치(1)에서 화상 형성된 시트(P)가 시트 후처리 장치인 스테이플 소터(7)로 송입될 때의 소트의 배출 제어 및 시트의 바람직한 정합 처리, 또 스테이플 처리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제어를 위해 우선 도12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사 장치(1) 본체에 설치된 조작 패널(도시 생략) 상의 각 키를 임의로 조작하고, 복사 배율, 농도 등의 복사 조건과 함께 스테이플 소터(7)에 있어서의 후처리 조건을 입력한다. 그 입력이 종료하여 복사 동작 개시 키가 조작되면, 복사 장치(1)로부터 화상 형성된 시트(P)가 스테이플 소터(7)측으로 송입되어 온다. 이 때, 스테이플 소터(7)측의 제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입력된 스테이플 조건 등의 작업 신호가 보내져 온다.
그래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소터(7)는 보내져 오는 작업 신호를 기다려(단계 A1), 지지 부재(77)의 홈 포지션 센서(S3)에 의해 지지 부재(77)가 홈 포지션(도12 내에서 HP라 기재하는)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단계 A2), 지지 부재(77)가 홈 포지션에 있으면 다음의 단계으로 진행한다. 지지 부재(77)가 홈 포지션에 없으면, 지지 부재(77)를 홈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A3).
여기에서, 지지 부재(77)의 홈 포지션은 최상위의 소트 빈(76-1)이 소트 배출 롤러(75)에 대향하는 위치 또는 그보다 다소 낮아진 위치이다.
다음에 정합 홈 포지션 센서(S5)에 의해 시트 정합 장치(100)의 정합봉(103)이 홈 포지션(도12 중에서 HP라고 기재한다)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단계 A4), 정합봉(103)이 홈 포지션에 있으면 다음의 단계으로 진행한다. 정합봉(103)이 홈 포지션에 없으면 정합봉(103)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처리를 계속하여 실행(단계 A5)한다.
그리고, 작업 신호와 함께 보내어져 온 후에 처리 모드에 관한 신호부터 비소트 모드의 설정인지를 판단하고(단계 A6), 비소트 모드의 설정이면 다음에 스테이플 모드의 설정인지를 판단한다(단계 A7). 비소트 모드의 설정이 아니면, 소트 모드의 설정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단계 A8), 소트 모드의 설정이면 스테이플 모드의 설정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A9). 소트 모드의 설정이 아니면 다음 단계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 스테이플 소트 모드, 비스테이플 소트 모드 또는 그룹 모드 중 어느 쪽의 모드를 판정하여, 후에 설명할 각각의 모드 제어 처리를 행한다(단계 A10 내지 A14).
또, 그룹 모드라 함은 동일한 소트 빈에 원고의 같은 페이지에 대응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를 설정된 부수만큼 수용하는 모드를 말하고, 소트 모드라 함은 동일한 소트 빈에 원고의 각 페이지에 대응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를 원고 매수 해당만큼 수용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어서, 작업 신호의 유무를 확인(단계 A15)하여, 작업 신호가 있으면 다음의 단계으로 이동하여 소트 빈(76)에 배출되는 시트(P)를 검출하는 센서(S6)(도2 참조)가 검출하는 것을 기다려서(단계 A16) 복사 장치(1) 본체에 다음의 작업 실행을 허용하는 신호를 되돌린다(단계 A17). 또, 단계 A15에서 작업 신호가 없으면 상술한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설명 순서가 뒤바뀌게 되지만, 도2에 있어서 상술한 시트 배출을 검출하는 센서(S6)가 지지 부재(77)에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S6)는 각 소트 빈(76-1 내지 76-n) 사이에 발광 및 수광 소자를 배치하고 있으며, 배출되는 시트(P) 후단의 통과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상술한 단계 A10 내지 A14의 각 후처리 모드에 관하여 도13 내지 도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의 제어 동작)
우선, 도13에 도시하고 있는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플 소터(7) 쪽에서는 비소트 패스(72)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를 이끌도록 게이트 솔레노이드를 온하고(단계 B1), 절환 게이트(71)를 절환하여 상기 비소트 패드(72)의 통로를 오픈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 부재(77)의 구동 모터(83)를 구동시켜 승강 캠 센서(S4)의 승강 캠(87) 회전량의 검출에 의해 최상위의 소트 빈(76-1)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가 배출되도록 지지 부재(77)를 비소트 개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B2). 이 때, 최상위의 소트 빈(76-1)은 비소트 배출 롤러(74)에 대향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것은 도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그 때문에, 비소트 배출 롤러(74)로부터 배출되는 시트(P)가 상기 소트 빈(76-1)상에 순차 적층되도록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77)가 비소트 개시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확인(단계 B3)되면, 사이즈 확정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려서(단계 B4) 다음의 단계에서 정합할 시트(P)의 정합 사이즈와 정합봉(103)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를 확정한다(단계 B5). 이에 따라,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대기 위치(h1)에 이동시킨다(단계 B6). 이에 따라, 정합봉(103)이 정합되는 시트의 사이즈에 따른 위치에 대기됨으로써,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합 처리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정합을 보다 효율 좋게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의 매수(n) 신호를 확인하여(단계 B7) 매수 카운터(CT1)에 값(1)을 입력한다(단계 B8). 그리고, 배지 신호를 기다려서(단계 B9) 배지 신호가 있으면 정합봉(103)으로 적층시의 정합 동작을 행하게 한다(단계 B10). 이 단계(단계 B10)의 상세한 내용은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합 처리가 종료되면, 매수 카운터(CT1)에 값(1)을 가산시켜서(단계 B11)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설정된 복사 매수 n과 같은지 아닌지를 확인하여(단계 B12) 같지 않으면, 단계 B9의 직전으로 되돌아 가서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복사 매수 n과 같아질 때까지 적층시의 정합 동작과 매수 카운터(CT1)로의 값(1)의 가산을 반복한다.
상기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복사 매수 n과 같아지면 다음 단계으로 이동하고,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의 스테이플 신호를 기다려서(단계 B13) 스테이플 신호가 나오면 다음 단계으로 이행하여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정합 위치로 이동시켜 정지시킨다(단계 B14).
그리고, 정합봉(103)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 정지된 상태에서 스테이플 동작을 실행하여(단계 B15), 정합봉(103)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켜서(단계 B16),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를 종료한다.
또, 상기 정합봉(103)을 시트(P)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로 이동시켜서 정지시키는 것은 스테이플 처리시에 정합된 시트(P)의 묶음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정합 위치(h3)라 함은 당연히 시트(P)에 정합봉(103)이 맞닿으고, 그 반대쪽 시트(P)의 일측 모서리가 규제면(104a)에 시트(P)가 만곡되는 일 없이 접촉하는 위치이다. 이 정합봉(103)은 시트(P)의 정합 동작후에 스테이플 처리를 행할 때에 정합 위치(h3)에 정지시켜 두는 일 없이 대기 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어함으로써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에 있어서는 최상위의 소트 빈(76-1)상에 배출된 시트(P)의 시트 정합이 확실하게 행해져서 최종적으로 스테이플 처리된다.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의 제어 동작)
다음에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4에 있어서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의 설정에 의해 이 처리를 행할 때에는 도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의 제어 흐름도 중 단계 B1 내지 B12까지와, 단계 B16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14에 있어서의 단계 C1 내지 C12의 처리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설정된 매수의 시트(P)는 소트 빈(76-1)에 전부 배출되어 시트의 정합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C13에 있어서 단계 B16과 같은 정합봉(103)을 홈 포지션에 복귀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를 완료함으로써 도14의 처리 루틴을 종료하게 된다.
이 비스테이플 비소트 모드에서는 정합봉(13)은 작동시켜서 적층된 시트의 정합성을 높이고 있지만, 1장의 시트(P)가 배출될 때마다 시트의 정합 처리(단계 C10)를 행하고 있지만, 최종의 시트(P)가 배출된 후에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 소수 매수일 때 정합하는 단계를 제외하거나, 또는 이 모드에서의 정합 동작을 생략하여도 상관없다.
(스테이플 소트 모드의 제어 동작)
다음에 스테이플 소트 모드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15a 및 도15b에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5a 및 도15b에 있어서, 단계 D1 내지 D6은 단계 D2 및 D3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스테이플 비소트 모드 등의 도13, 14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래서, 단계 D2 및 D3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소트 빈의 유닛)(77)가 소트 개시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 지지 부재(77)를 소트 개시 위치로 이동시키고, 최상위의 소트 빈(76-1)을 소트 반출 롤러(75)에 대향시켜서 소트 배출 롤러(75)로부터 배출되는 시트(P)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기시켜 둔다.
그리고, 단계 D7에서는 원고 매수에 해당하는 1부의 매수 n과, 각 원고의 복사 부수 m의 신호를 기다려서 매수 카운터(CT1)에 값(1)을 세트시키고(단계 D8), 승강 카운터(CT3)에 값(+1)을 세트시킨다(단계 D9).
이어서, 부수 카운터(CT2)에 값(1)을 세트시키고(단계 D10), 센서(S6)로부터의 배지 신호를 기다려서(단계 D11) 배지 신호가 있으면 적층 정합 동작을 행하게 한다(단계 D12). 그리고, 부수 카운터(CT2)에 1을 가산하여(단계 D13)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은지 아닌지를 확인한다(단계 D14).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인지를 확인한다(단계 D15).
상기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면, 지지 부재(소트 빈 유닛)(77)를 1빈만큼 상승 이동(단계 D16)시켜서 단계 D11의 직전으로 건너뛴다.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 아니면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인지를 확인하여(단계 D17)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면, 지지 부재(77)를 1빈만큼 하강 이동시켜서(단계 D18)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계 D11의 직전으로 건너뛴다. 또,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면, 고장이라고 판정하여 트러블 표시를 내보낸다(단계 D19). 또, 단계 D14에서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으면, 매수 카운터(CT1)에 1을 가산시켜서(단계 D20) 승강 카운터(CT3)의 플러스 마이너스 부호를 역전시킨다(단계 D21). 그리고,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n과 같은지를 확인하여(단계 D22) 같지 않으면 단계 D10의 직전으로 건너뛴다.
이상과 같이 하여, n장의 원고에 대한 m부의 복사가 복사 장치(1)로 실행되고, 그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가 순차적으로 스테이플 소터(7) 쪽으로 배출 처리되어 가는 과정에 있어서, m부의 복사 매수에 대응한 소트 빈(76-1 내지 76-m)이 선택되고, 그들의 소트 빈(76)에 원고 매수에 대응하는 n장의 시트(P)가 순차적으로 나뉘어져서 배출 처리되어 간다. 이 나눔에 의해 상기 각 소트 빈(76)에 시트(P)가 배출 처리될 때마다 단계(단계 D12)에 의한 시트 정합 처리가 실행되고, 적층되어 있는 시트(P)가 정합, 즉 정돈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단계 D22에 있어서의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n과 같으면, 이하에 설명하는 스테이플 처리를 실행한다. 즉, 스테이플 신호를 기다려서(단계 D23) 스테이플 신호가 송신되어 오면, 부수 카운터(CT2)에 값(1)을 세트시킨다(단계 D24). 이어서 정합봉(정합 부재)(103)를 사이즈별 정합 위치로 이동시키고(단계 D25),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정합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스테이플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D26).
상기 단계 D26에 의해 1개의 소트 빈, 예컨대 설정 부수(m)에 대응하는 최상위의 소트 빈(76-1 또는 76-m)에 배출되어 적층된 n장의 시트(P) 단계 처리를 끝내면,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로 이동시킨다(단계 D27). 그리고, 부수 카운터(CT2)에 1을 가산시켜서(단계 D28)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은지 아닌지를 확인하여(단계 D29), 같으면 정합봉(103)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킨 후에(단계 D35) 이 처리 모드를 종료한다.
한 편,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지 않을 경우에는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인지를 확인(단계 D30)한다.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면 지지 부재(77)를 1빈만큼 상승 이동시켜서, 단계 D25의 직전으로 건너뛴다.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 아니면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인지를 확인하여(단계 D32)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면, 지지 부재(77)를 1빈만큼 하강 이동시켜서(단계 D33) 단계 D25의 직전으로 건너뛴다. 여기에서, 승강 카운터(CT3)의 값이 -1이 아니면 고장이라고 판정하여 트러블 표시를 내보낸다(단계 D34).
이상과 같이 제어하므로, 스테이플 소트 모드에 있어서의 처리에 있어서는 최상위의 소트 빈(67-1)부터 하위의 소트 빈(76-m)을 향해 설정된 부수(m)에 대응한 빈수를 사용하여, 각 빈(76)상에 원고의 페이지 순으로 복사된 시트(P)가 정합되고, 수용된 후에 스테이플 처리된다.
(비스테이플 모드 소트 및 그룹 모드의 제어 동작)
이어서, 비스테이플 소트 모드 또는 그룹 모드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16 및 도17에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스테이플 소트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단계 E1 내지 E22는 도15a 및 도15b에서 설명한 스테이플 소트 모드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단계 D7 내지 D22와 동일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래서, 각 소트 빈(76-1 내지 76-m)에 n장의 원고에 대응한 m부가 복사된 시트(P)의 소트가 완료되고, 시트의 정합 처리가 완료된 후의 단계 E23에서는 정합봉(13)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제어가 실행되어, 이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시트(P)의 소트 처리를 실행 제어하므로, 비스테이플 소트 모드에 있어서는 최상위의 빈(76-1 내지 76-m)에 대응한 빈만큼 사용하여, 각 소트 빈(76)상에 원고의 페이지 순으로 복사된 시트(P)가 정합되어 수용된다.
한 편, 그룹 모드의 제어 동작에 관해서는 도17에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흐름도에 있어서는 단계 F1 내지 F8까지는 도15a 및 도15b에서 설명한 스테이플 소트 모드의 단계 D1 내지 D8과 동일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래서, 단계(단계 F9)에서는 부수 카운터(CT2)에 값(1)을 세트시키고, 다음에 배지 신호를 기다려서(단계 F10) 배지 신호가 있으면 시트의 정합 처리(적층 정합 동작)를 행하게 한다(단계 F11). 그리고, 부수 카운터(CT2)에 1을 가산시켜서(단계 F12)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은지 확인한다(단계 F13).
여기에서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지 않을 경우, 단계 F10의 직전으로 건너뛰고, 부수 카운터(CT2)의 값이 m과 같을 경우에는 지지 부재(소트 빈 유닛)(77)를 1빈만큼 상승 이동시킨 후에(단계 F14) 매수 카운터(CT1)에 1을 가산시켜서(단계 F15)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원고 매수 n과 같아진 것을 확인한다(단계 F16).
그리고,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원고 매수 n과 같아지면 단계 F10의 직전으로 건너뛰고,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원고 매수 n과 같아지면 정합봉(103)을 홈 포지션으로 이동시킨 후에(단계 F17) 그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그룹 모드의 처리에 있어서는 최상위의 소트 빈(76-1 내지 76-n)의 빈을 사용하고, 각 소트 빈(76)상에 소망하는 부수 m에 대응한 매수 만큼 복사된 시트(P)가 정합되어 수용된다.
(스테이플 제어)
다음에 스테이플 제어의 동작에 대해서 도18에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어 루틴은 예컨대 도13에 있어서의 단계 B15에 의한 스테이플 처리이다. 또, 도15a 및 도15b 에 도시하는 단계 D26의 스테이플 처리이기도 하다.
우선, 스테이플러 회전 솔레노이드(123)를 온하여 스테이플 장치(120)를 스테이플 위치에 이동시킨다(단계 G1). 이것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이다. 이 스테이플 위치에 스테이플 장치(120)가 회전되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한다(단계 G2). 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한 후에 스테이플러 회전 솔레노이드(123)를 오프하여 스테이플 장치(120)를 대피 위치로 이동시키고(단계 G3), 이 루틴을 종료한다.
(시트의 정합 처리 제어)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소트 빈(76)에 배출 처리되어 빈상에 적층된 시트를 정합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도19의 동작 설명도 및 도20에 도시하고 있는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9는 세로로 긴 시트(P)가 배출된 때의 정합봉(103)의 이동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 도20은 본 발명의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해서 효율 좋게 또는 확실한 정합 처리를 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 도20에 도시하고 있는 제어 루틴은 도13 내지 도17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단계 B10, C10, D12, E12, F11의 적층시 정합 동작의 처리, 즉 시트의 정합 처리이다.
도13 내지 도17의 각 모드 처리에 있어서 정합봉(103)은 시트(P)가 소트 빈(76)상에 배출 완료되기 전에 도19에 있어서 시트 정합을 효율 좋게, 또는 신속하게 행하기 위해서 정합봉(103)의 이동 스트로크를 저감시키고 있다. 이것은 정합 구동 모터(도9 참조)(115)의 작동에 의해 정합봉(103)의 홈 포지션(h)부터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도19 참조)로 이동되어 있다. 그 후, 시트(P)가 배출 처리되면, 정합봉(103)은 A 방향으로 사이즈별 정합 위치(h3)까지 이동하고, 소트 빈(76)상에 적층된 시트(P)를 정합한다.
이상의 정합 처리 제어를 도20에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에 따라 도19의 동작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합봉(103)은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한 대기 위치(h1)로 이동되어 시트 정합을 행하는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적층시 정합 동작의 루틴이 개시되면, 스테핑 모터인 정합 회전 모터(108)를 D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정합봉(103)을 F방향으로 회전시킨다(단계 H1). 이어서, 정합 구동 모터(115)를 G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정합봉(103)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H2). 이 정합 구동 모터(115)의 회전 직후부터 그 정합 구동 모터(115)로의 펄스 수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H3). 또, 상기 정합봉(10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19에 있어서, 미리 홈 포지션(h)부터 시트 사이즈별 대기 위치(h1)에 이동하여 대기되어 있다. 이것은 소트하는 시트의 사이즈는 주지된 바와 같이 검지 수단으로 검지되어 있으며, 그 사이즈에 따라 상기 대기 위치(h1)가 결정되고, 따라서 상기 정합 구동 모터(115)의 구동 펄스 등을 홈 포지션 센서(S5)가 홈 포지션(h)을 검출한 시점부터 대기 위치(h1)에 대응하는 수, 카운트함으로써 정지시킨다.
도20으로 되돌아가 카운트된 펄스 수가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부터 사이즈별 정합 위치(h3)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소정수의 펄스 수에 달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H4). 그래서, 소정의 펄스 수가 카운트되면 정합 회전 모터(108)에 의한 정합봉(10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H5).
한 편, 정합 구동 모터(115)를 역전(H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고,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부터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H6). 이어서, 펄스 수의 카운트를 개시하고(단계 H7),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부터 사이즈별 대기 위치(h1)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소정수의 펄스 수에 달하는 것을 기다려서(단계 H8) 펄스 수가 소정 수에 달한 시점에서 정합 구동 모터(11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H9).
이상과 같이 하여 정합봉(103)이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부터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로 이동하는 동안에 정합봉(103)과 소트 빈(76)상의 시트(P)의 일측부 모서리가 접촉 개시 위치(h2)에서 접촉한다. 이 때, 정합봉(103)이 F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한 시트(P)를 배출 방향 쪽의 정합 기준인 소트 빈(76)의 기준벽(97) 방향을 향하여 시트 정합을 행한다. 이에 따라, 비소트 배출 롤러(74) 또는 소트 반출 롤러(75)로부터 소트 빈(76)상에 배출된 시트(P)가 소트 빈(76) 자체의 경사를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기준벽(87)을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에서 정합봉(103)이 단지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합하는 경우에 비해, 배출 방향의 정합 기준인 소트 빈(76)의 기준벽(97) 및 배출 방향에 대해서 직교된 방향의 정합 기준인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에 보다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고, 시트(P)간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 정돈을 행할 수 있다.
또, 정합봉(103)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 오면 정합봉(103)이 맞닿아 있는 변의 대변은 정합판(104)의 규제면(104a)에 맞닿아 있다. 또, 이들 사이즈별 대기 위치(h1), 사이즈별 정합 위치(h3) 및 접촉 개시 위치(h2)는 시트(P)의 반송 직각 방향의 길이, 즉 시트(P)의 사이즈에 따른 폭에 의해 수시 변경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100)를 스테이플 소터(7)에 적용한 사례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100)는 스테이플 소터(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양면 트레이(66)상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를 배출하고, 재급송시키기 위해서 정합할 경우, 또는 순환식 자동 원고 반송 장치 등으로 원고 적재 받침 상에 복귀되어 온 원고를 정합할 경우 등, 여러 가지 시트를 적재한 부위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 이 사례에서는 정합봉(103)에 대향하는 배출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의 이동하지 않는 규제판(104)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서, 예컨대 도21a 및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판(104)을 배출 방향의 기준벽(97) 쪽으로 주행시키는 벨트 부재 구조, 또는 규제판(104)을 봉형 또는 원통형의 복수 회전 부재(104-1 내지 104-3) 등과 같이 구성하고, 배출 방향의 기준벽(97) 쪽으로 시트(P)를 반송하기 위해서 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더우기, 정합봉(103)도 본 사례와 같이 봉형의 회전 부재일 필요는 없고,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출 방향의 기준벽(97) 쪽으로 주행시키는 벨트 부재 구조, 또는 도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봉형 또는 원통형의 회전 부재 등과 같이 구성한다. 이에 따라, 맞닿아 있는 시트(P)를 배출 방향의 기준벽(97) 쪽으로 반송하기 위해서 운동하는 것이면 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형예)
상술과 같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시트 정합 처리에 있어서는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로 이동시킨 직후에 시트(P)로부터 이격되도록 제어하는 사례를 설명하였다. 이 경우, 시트(P)가 정전기로 대전되어 있으면, 소트 빈(76)의 기준측인 기준벽(97)에 맞닿아질 때까지 시트(P)를 반송시킬 수 없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정전기 등으로 정합성이 뒤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 사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에 도19 및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2는 시트 정합 동작을 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23은 정합봉의 정합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24는 정합시 힘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 도25는 시트(P)의 반송력과 굽힘력과 시트 어긋남량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우선 도19와 도22를 이용하여 시트의 정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적층시 정합 동작이 개시되면 정합 타이머(TS)에 τ를 세트시킨다(단계 I1). 이어서, 단계 I2부터 단계 I5를 실행한다. 이 단계 I2부터 단계 I5는 도20에서 도시하는 적층시 정합 동작의 플로우에 있어서의 단계 H1에서 H4와 동일 처리이다. 다만, 카운트되는 펄스 수는 사이즈별 대기 위치(h1)부터 사이즈별 정합 위치(h3)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펄스 수에, 또 소정의 거리만큼 정합봉(103)을 A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 펄스 수를 보탠 소정수의 펄스 수이다.
그리고, 펄스 수가 소정수에 달하여 정합봉(103)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보다 약간의 양(△)만큼 A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정합봉(103) 그 이상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서 구동 모터(115)를 정지시킨다(단계 I6). 다음에 정합 타이머(TS)를 개시한다(단계 I7).
상기 정합 타이머(TS)가 타임 업될 때까지 기다리고(단계 I8), 이 타임 업까지 정합봉(103)을 계속시켜서 F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트(P)를 배출 방향의 후단인 기준벽(97)을 향하여 반송시키고 있다. 그리고, 정합 타이머(TS)가 타임 업된 시점에서 정합봉(103)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정합 회전 모터(108)를 정지시키고(단계 I9), 정합봉(103)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I10). 그 직후에 펄스 카운트를 개시하여(단계 I11) 사이즈별 대기 위치(h1)에 도달하는 카운트수가 될 때까지 기다려서(단계 I12) 정합 구동 모터(115)를 정지시키고,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대기 위치(h1)에 정지시킨다(단계 I13).
여기에서, 도23a, 도23b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I7에서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보다 약간의 양(△)만큼(도23b의 상태) A 방향으로 정합봉(103)을 이동시켜서 시트(P)를 굴곡시킬 때, 시트(P)는 정합봉(103)과 규제판(104)으로 협지된다. 이 때, 도23a, 도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P)에 작용하는 반송력(μf1)은 정합봉(103)에 의해 굴곡된 방향의 시트(P)의 견고성(시트의 스프링백력)(f1)과, 정합봉(103)과 시트(P)의 마찰 계수(μ)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때, 시트(P)가 정합봉(103)으로부터 받는 반송력은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 달할 때까지 시트가 정합봉(103)으로부터 받는 반송력보다 커지므로, 정전기를 띤 시트(P)를 기준벽(97)을 향해 반송하여 정합하기에는 알맞다.
그러나, 도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때의 반송력(f1)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서 정합봉(103)이 시트(P)와 접촉하는 접촉점에 기준벽(97)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가상선(g)과 기준벽(97) 사이에 있는 용지의 일부(도24 중 사선부)가 배출 방향으로 굽혀지기 위한 필요한 힘(f2)보다 크다면, 시트(P)는 굽혀져 시트(P)의 적층 정합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여 정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양을 허용하는 가장 얇은 시트가 종방향으로 배출된 때의 상술한 굽힘에 필요한 힘(f2)을 계측하여, 굽힘에 필요한 힘보다도 반송력(μf1)이 작아지도록 정합봉(103)과 시트(P)의 마찰 계수(μ)를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정합봉(103)을 사이즈별 정합 위치(h3)보다 A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 양(△)(이후 시트 이송량이라고 호칭한다)은 시트의 반송력(μf1) 및 시트의 배출 방향의 굽힘에 필요한 힘(f2)(이후 굽힘력이라고 호칭한다)과 상관이 있다. 즉, △의 이동량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기준벽(97)을 향하는 방향(용지 배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 시트(P)의 물결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상관 관계에 대해서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축에 시트의 반송력(μf1) 및 굽힘력(f2)을 취하고, 횡축에 용지 이동량(△)으로서 나타냈다. 이 도25에 있어서 시트 이동량(△)이 최대 시트 이동량(△max) 이하의 영역에서 항상 굽힘력(f2)이 시트의 반송력(μf1)보다 크면 되기 때문에, μ1f1과 같이 최대 시트 이동량(max) 이하의 영역에서 굽힘력(f2)보다 커지면, 정합봉(103)과 시트(P)의 마찰 계수μ1을 μ2로 변경하면 μ2f1과 같이 최대 용지 이동량(△max) 이하의 영역에서 굽힘력(f2)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정합봉(103)과 시트(P)의 마찰 계수(μ)를 작게 하기에는 정합봉(103)이 시트(P)와 접촉하는 영역을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형성하면 되고, 정합봉(103)과 시트(P)의 마찰 계수(μ)를 크게 하기에는 고무 등을 이용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제어를 행함으로써 정전기 등으로 시트(P)의 정합성이 손상되는 일 없이 확실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
이상 설명한 시트의 정합에 있어서는 시트(P)가 정합봉(103)에 맞닿아 정합 처리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정합봉(103)에 의해 시트(P)에 피해를 주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예컨대, 정합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시트(P)를 굴곡시켜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 정합을 행함으로써 시트(P)와 접촉 회전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시트(P)에 손해를 주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상술한 손해가 생기지 않도록 또 시트 정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시트 정합을 위한 제어를 도26 및 도27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26은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또 도27은 그 시트 정합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26은 종방향으로 배출 및 횡방향으로 배출된 2종류 사이즈의 시트(P1, P2)를 정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소트 빈(76)상에 배출된 시트(P)는 정합봉(103)에 의해 정합되어 시트의 사이즈별 및 배출 방향별 정합 영역에 정합된다. 도26에 있어서, 부호P1st, P2st는 시트 사이즈P1, P2의 종배출시에 정합 영역을, 사이즈P2의 종배출시 정합 영역을, P1sy, P2sy는 시트 사이즈P1, P2의 횡배출시 정합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의 각 정합 영역의 배출 방향 하류측의 변부에 시트(P) 정합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소트 빈(76)에 매립 설치되어 정합 완료를 검출하는 센서(S7(S7a, S7b, S7c, S7d))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S7)는 시트(P)가 각 정합 영역에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정합 완료 센서(S7)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1쌍으로 한 센서로,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시트로 반사되어 수광부로 수광된 때에 정합 영역에 시트가 정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고, 수광부로 수광되지 않을 때에 정합 영역 시트가 정합된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27의 흐름도에 따라 시트의 정합 처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J1부터 J3은 도20에서 설명한 흐름도의 단계 H1 내지 H3과 동일하다. 그리고, 정합 완료 센서(S7)가 정합 영역 내에 시트(P)가 들어간 것을 검지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J4). 정합 완료 센서(S7)의 검출이 있으면 정합봉(103)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 도달하는 것에 대응한 소정수의 펄스 수가 카운트되었는지를 확인하고(단계 J5), 카운트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J2의 직전으로 되돌아가 정합봉(103)을 계속하여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상기 단계 J4에서 정합 완료 센서(S7)의 검출이 없으면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에 도달하는 것에 대응한 소정수의 펄스 수가 카운트되었는지를 판정하고(단계 J6), 카운트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J2의 직전으로 되돌아가 정합봉(103)을 계속하여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단계 J6에서 소정수의 펄스 수가 카운트되어 있으면 정합봉(103)의 이동을 정지시켜(단계 J7), 정합 완료 센서(S7)가 정합 영역 내에 시트(P)가 들어간 것을 검출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J8).
그래서, 상기 단계 J5에서 소정수의 펄스 수가 카운트되어 있으면 또는 단계 J8에서 정합 완료 센서(S7)가 정합 영역 내에 시트(P)가 들어간 것을 검출하면, 정합봉(103)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J9). 이후의 단계 J10부터 단계 J13은 도20의 단계 H6부터 단계 H9와 동일하며, 정합봉(103)이 B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이즈별 정합 위치(h1)에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시트 정합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시트(P)가 정합 영역내로 들어간 후, 정합봉(103)을 시트(P)에 맞닿게 하여 정합봉(103)을 F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정합봉(103)이 시트를 정합할 때에, 시트의 동일 개소에 맞닿은 상태가 오래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시트의 손상을 적게할 수 있다. 따라서, 쓸데없이 시트(P)와 정합봉(103)의 맞닿음 상태를 피하고 있고, 회전하는 정합봉(103)에 의한 시트(P)로의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그밖의 사례)
이상 설명한 시트의 정합 처리에 있어서, 정합봉(103)이 회전하면서 정합판(104)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정합판(104) 방향(A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시트(P)의 손상에 의해 접촉하고 회전함으로써 시트(P)에 주는 손상 쪽이 크다. 그 때문에, 시트(P)를 휘게 하여 정합봉(103)을 회전시키는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으로, 시트(P)에 주는 손상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트 정합 처리에 대해서,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8에 있어서, 배출 롤러(75 또는 74)에서 배출되는 시트(P)의 배출 위치(Ph)에서 정합 영역(Ps)으로 시트를 이동할 때의 배출 방향의 이동 거리를 L1, 배출 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이동 거리를 L2로 한다. 그리고, 정합봉(103)이 시트(P)와 접촉 개시하는 위치(h2)에서 사이즈 별로 정합 위치(h3)의 A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이의 배출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이동 속도를 Vy, 정합봉(103)이 F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준벽(97)을 향하여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속도를 Vt라 할 때, 하기식,
L1/Vy > L2/Vt
를 충족하도록 하면, 배출된 시트(Ph)의 후단이 기준벽(97)에서 규제되는 쪽이 빨라지고 시트(P)가 폭방향으로 휘게 되어 회전시키는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시트(P)에 주어지는 손상이 없어진다.
상술한 식을 만족시키기 위해, 정합 구동 모터(115) 및 정합 회전 모터(108)로의 펄스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반송 속도(Vt)와 이동 속도(Vy)의 크기를 결정하고, 정합봉(103)의 F방향의 회전에 의해, 먼저 기준벽(97)에 시트(P)의 후단을 규제시키고, 그 후에 정합판(104)에 시트(P)를 규제시켜서 정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28에 있어서, 시트(P)의 사이즈가 커질 수록, 시트(P)를 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리(L1)가 작게 된다. 그 한쪽에서, 배출 방향에 있어서 시트의 정합을 행하기 위한 거리(L2)는 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술한 식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반송 속도(Vt)와 이동 속도(Vy)의 크기를 조정하면 좋지만, 이동 속도(Vy)를 작게 하면, 복사 장치(1)에서 보내져 오는 단위 시간당의 처리 매수, 즉 복사 매수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사양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단위 시간당의 화상 형성 매수를 낮추는 것은 프로세스 속도를 가변할 필요가 생기고, 그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
그래서, 화상 형성하기 위한 시트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반송 속도(Vt)를 크게 하면, 상술한 문제는 해결됨과 동시에, 사이즈에 관계 없이 배출된 시트(P)의 정합 처리시에 반송 방향의 시트 후단이 먼저 기준벽(97) 측에 규제된 후, 다른 한쪽의 기준인 정합판(104) 측에 규제되어 양호하게 되는 정합과 동시에, 시트(P)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합봉(103)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시트(P) 한쪽 측부 모서리를 규제하는 정합판(104)을 고정 상태로 설치하고 있다. 이것을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된 시트(P)를 상기 정합판(104)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트(P)의 측부 모서리를 규제하는 기준벽(97) 방향으로 보내도록 한 사례를 도29 및 도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지 배출 방향으로 직각 방향의 기준측의 규제 부재를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정 상태의 규제판(104)이 아니고,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배출 방향의 기준벽(97)으로 향하여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규제 부재(130)를 설치하고 있다.
반송규제 부재(130)는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원주상에 형성된 규제봉(130a, 130b)을 평행, 즉 시트(P)의 배출방향으로 평행하게 세워지도록 설치하고 있다. 각 규제봉(130a, 130b)에는 구동기어(131a, 131b)가 고정되어 있고, 2개의 구동기어(131a, 131b)는 구동 모터(132)의 모터 기어(133)와 치합한 중간 기어(13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규제봉(130a, 130b)은 상부측의 지지 부재(135)에 설치된 드러스트 베어링과, 하부측의 지지 부재(136)에 설치된 드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중간 기어(134)는 하부 지지 부재(1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모터(132)도 하부 지지 부재(136)에 유지되어 있다. 게다가, 상하의 지지 부재(135, 136)는 도1에 도시한 소트 빈(76)을 유닛화한 지지체(77), 혹은 스테이플 소터(7)이 프레임본체(78) 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132)가 구동되면, 반송규제 부재(130)를 구성하는 2개의 규제봉(130a, 130b)은 시트(P)를 소트 빈(76)의 기준벽(97)으로 향하여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송 규제 부재(130)는 2개의 규제봉(130a, 130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2개 이상을 평행으로 배치하고, 적어도 한 개 만을 시트(P)를 정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좋다. 또한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시트(P)를 정합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등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시트(P)의 정합 처리시에 정합봉(103)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해 규제 부재를 구성하는 반송규제 부재(130) 측에 접하면 규제봉(130a, 130b)의 회전에 의해 소트 빈(76) 상의 시트를 기준벽(97) 측으로 반송하고 시트 정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정합봉(103)과의 공동작용에 의해 정합 처리를 보다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어서, 스테이플 소터(7)에 있어서, 다수의 소트 빈(76)을 적층하도록 설치하고 있을 때에, 각 소트 빈(76)에서 시트 정합을 행할 때의 균열에 의한 스테이플처리가 안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도록 한 본 발명에 의한 형태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31은 정합봉의 지지 구조를 정합봉의 이동 방향에 따른 면에서 절단한 요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특히 정합봉(10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등이 도9에 도시한 정합봉(103)의 지지 구성과 달라져 있다.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봉(103)의 하부측에는 이동 래크(107) 상에, 오목부(137a)를 갖는 지지 부재(137)가 볼트 등의 체결 부재(138)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정합봉(103)의 이동 방향(도31의 좌우 방향, 도9에서는 A-B 방향에 상당한다)에 관해, 지지 부재(137)의 오목부(137a)의 양측에 지지 부재(1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합봉(103)의 상부측에는 정합봉(103)의 이동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가이드본체(118) 안으로 삽입된 슬라이드 부재(119)가 가이드본체(119)에 따라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19)에는 오목부(119a)가 설치되어 있고, 정합봉(103)의 이동 방향(도31의 좌우 방향, 도9에서는 A-B 방향에 상당한다)에 관해, 오목부(119a)의 양측에 지지 부재(1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37) 및 슬라이드 부재(119)에 설치된 2개의 오목부(137a, 119a)에 정합봉(103)을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140)의 상하단부가 끼워져 있다. 이 지지 샤프트(140)에 상기 정합봉(103)이 그 중앙이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에 드러스트 베어링(141)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정합봉(103)의 하단부에는 구동기어(14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142)는 중간 기어(110)에 맞물려 있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 회전 모터(108)의 회전에 의해 정합봉(103)이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하 지지 부재(139)는 지지 샤프트(140)의 도31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쓰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지지 샤프트(140)를 이동방향의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정합봉(103)이 시트 정합을 위해 그 방향으로의 쓰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합봉(103)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140)의 상하단부의 양측에는 지지 부재(139)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본체(118)가 정합봉(103)의 이동방향에 관해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는 이동 래크(107)가 이동하고, 정합봉(103)이 각 소트 빈(76) 상에 수용된 시트(P)를 정합할 때에, 정합봉(103)이 시트에서 받는 반력에 의해 정합봉(130)의 상부측이 시트에서 받는 반력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플과 펀치등을 구비한 스테이플 소터(7)에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를 적용하면, 정합봉(103)의 경사에 의해 소트 빈(76) 마다의 정합성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플과 펀치의 위치적인 균열을 절감할 수 있고, 스테이플과 펀치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제4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 정합을 행하기 위한 정합봉(103)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108)와, 시트(P)를 규제판(10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을 행하게 하는 구동 모터(115)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 제4 실시예는 정합봉(103)의 회전 및 이동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32는 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32에 있어서는 도9와 동일 부분을 동일 부호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정합봉(103)을 이동시키는 정합 구동 모터(115)에서 회전 및 이동을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하부에 설치된 시트 정합 장치(100)의 정합 구동부(101)는 소트 빈(76)을 유닛화한 지지체(77)의 기저부에 고정된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플레이트(105)에는 홈 형상의 래크 가이드(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래크 가이드(105)내에 이동 래크(107)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동 래크(107) 상에는 입력 기어(110)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래크(107)에는 드러스트 베어링(111)이 고정되어 있고, 드러스트 베어링(111)에 정합봉(103)의 축부(103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합봉(103)의 축부(103a)에는 구동기어(112)가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 기어(110)와 맞물려 있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는 상기 입력 기어(110)를 회전시키고 정합봉(103)을 회전시키는 한쪽 변에 래크 기어가 형성된 고정 래크(145)가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래크(145)는 입력 기어(110)와 맞물리는 래크 기어가 형성된 측부 모서리가 래크 가이드(106)등과 평행관계에 있다. 그 때문에, 이동 래크(107)가 래크 가이드(106)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사이, 입력 기어(110)는 고정 래크(145)의 래크 기어에 맞물려 회전된다.
한편, 도면중의 고정 래크(145)는 다른 부품을 참조하기 쉽게 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동 래크(107)는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입력 기어(113)에 맞물려 있다. 입력 기어(113)는 중간 기어(114)를 통해, 정합 구동 모터(115)의 출력축에 고정된 모터 기어(116)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합 구동 모터(115)가 도32중 G방향으로 회전하면, 정합 구동 모터(115)의 구동력은, 입력 기어(113)에 의해 이동 래크(107)로 전달되고, 이 이동 래크(107)을 래크 가이드(106)에 따라 도32중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이동 래크(107)가 A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도록 하여 입력 기어(109)가 도3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112)를 통해 정합봉(103)은 도32중 F방향으로 회전된다.
역으로, 정합 구동 모터(115)가 도32중 H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 래크(107)는 도32중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정합봉(103)은 도32중 E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B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구동 플레이트(105) 상에는 정합 홈 포지션 센서(S5)가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동 래크(107)에 설치된 작동편(107a)을 검출하여 정합봉(103)의 홈 포지션을 검출한다. 정합봉(103)이 홈 포지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8에 도시한 소트 빈(76) 상에 배출되는 최대의 시트 폭(Hmax) 보다도 외측에(도8중의 B 방향측) 위치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9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합봉(103)의 구동 부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고정 래크(145)에 결합하고 있는 입력 기어(11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이동 래크(107)를 고정 래크(14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구동원을 정합 구동 모터(115)의 하나로 하고, 정합봉(103)의 회전과 평행 이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정합봉(103)이 시트의 반출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에 대한 정합을 위해 A 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을 행하는 것으로, 정합봉(103)이 시트의 반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대한 정합을 위해 F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구동원을 하나로 하고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도3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는 하나의 구동원, 특히 정합봉(103)을 이동시키는 정합 구동 모터(115)에서 정합봉(103)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구동하고 시트를 배출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합하도록 하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그 점의 효과를 조장하는 구성을 아래에 설명한다.
즉, 도32에 있어서는 하나의 구동원에서, 정합봉(103)의 A 방향의 이동과, F방향의 회전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합봉(103)이 사이즈별로 정합위치(h3)에서 B 방향으로 평행 이동함과 동시에, E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이 때, 일단 정합된 시트(P)가 정합봉(103)의 회전에 의해 흐트러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112)의 정합봉(103)을 끼워 넣는 부분의 주위에 정합봉(103)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부채형상의 절결부(112a)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112a)에 정합봉(103)에 관통하여 고정된 고정빈(146)을 설치하는 것으로, 빈(146)이 절결부(112a)를 이동할 때에는 정합봉(103)에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입력 기어(11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정합을 위해 구동기어(112)가 F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구동 기어(112)의 절결부(112a) 한쪽의 결합부(112b)가 빈(146)에 결합하여, 정합봉(103)은 F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사이즈별로 정합위치(h3)에서 B 방향으로 이동할 때, 구동 기어(112)가 E방향으로 회전되면, 절결부(112a)가 통과하고 있는 사이, 정합봉(103)에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고, 시트(P)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구동 기어(112)의 절결부(112a)의 결합부(112c) 측에 빈(146)이 결합하면, 정합봉(103)은 E방향으로의 회전이 개시된다.
이상으로부터, 시트를 정합한 후, 정합봉(103)이 정합된 시트(P)에서 떨어질 때에, 최초로 정합봉(103)은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떨어지기 때문에, 정합된 후의 시트를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절결부(112a)를 설치함으로써 시트(P)에 접촉한 정합봉(103)을 B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에서 이간을 개시할 때에는 시간 지연을 갖게 하여 정합봉(103)을 E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정합된 시트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제5 실시예)
이 실시예는 소트 빈(76) 상에 시트(P)는 배출될 때마다 정합봉(103)에 의해 정합 처리를 행하는 경우, 최하부의 시트가 항상 정합 처리를 위해 정합봉(103)과 맞닿아 회전됨으로써 손상을 받기 쉽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34 내지 도36을 참조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정합 부재인 정합봉(103)에 의해 정합 영역에 시트(P)를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35는 도34에 있어서 정합봉의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3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합봉의 정합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트 빈(76) 상에 시트(P)가 배출되고 정합(적층)하는 방향으로 향함에(도34에 있어서 상향) 따라, 정합봉(103)의 정합을 위해 시트(P)와 접촉하는 부분인 정합부(103b)와의 지름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34에 있어서 θ는 정합봉(103a)의 회전 축심선(o1)을 통하는 평면이 정합부(103b)(원뿔대 형상)의 둘레면(q)과 교차하는 직선(o2)과, 회전 축심선(o1)과 이루는 각도이다.
이어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13 및 도36a, 도36b에 도시한 시트 정합을 위한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특히, 비스테이플 노트 모드시의 정합 동작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3중의 플로우에 있어서, 단계 B8의 직후에 도36a의 플로우를 삽입하고(도13의 ⑥ 부위), 단계 B12의 매수 카운터(CT1)의 값이 복사 매수 n으로 균등하지 않는 경우에 단계 B9 직전으로 돌아가는 루프 중에(도13의 ⑦ 부위) 도36b의 플로우를 삽입한다.
도36a는 보정용 매수 카운터(CT4)에 제로를 세트하는 단계이고(단계 B17), 도36b는 보정용 매수 카운터(CT4)에 1을 가산한 후에(단계 B18), 보정용 매수 카운터(CT4)가 소정의 매수 x로 균등한가를 판정하여(단계 B19), 균등하지 않으면 다음의 단계를 건너고, 균등하다면 다음 단계에서, 적층시 정합 동작중의 사이즈별 정합 위치(h3)와 사이즈별 대기 위치(h1) 사이를 정합봉(103)이 이동하는 데 필요한 펄스 수 카운트를, 종이 두께(t)의 시트가 x매수 적층했을 때에, 정합봉(103)의 이동 방향(도19의 A 방향)으로 w(도35 참조)만큼 작게 보정한다(단계 B20).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으로, 정합부(130b)를 적층하는 시트(P)의 상위부에만 맞닿을 수 있기 때문에,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시트 정합된 하측의 시트(P)에 정합봉(103)의 정합부(103b)가 접촉하지 않고, 그보다 상위의 배출되어 적층한 시트(P)와 접촉 정합되고, 시트(P)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합봉(103)의 정합부(103b)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했지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해도 좋고, 소정매수(x)의 시트(P)가 적층할 때마다 정합봉(103)을 소정량만큼 이동하고, 적층한 시트의 최상부 부근의 시트(P)만이 정합봉(103)에 맞닿도록 제어하면 좋다. 단, 새로운 정합부(103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본 사례와 같이 정합부(103b)가 A-B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원래 필요한 기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구의 추가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정합부(103b)를 시트(P)가 적층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이 커지는 원뿔대형상으로 했지만, 용지가 적층하는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지름이 커지는 형상이라면, 원뿔대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1 및 도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를 분류하는데 다수의 소트 빈(76-l 내지 76-n)을 설치하고, 이 소트 빈(76)을 상하 이동시켜서 시트(P)를 분류(소트)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소트용 배출 롤러(75)를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아니라, 다수의 소트 빈(76-l 내지 76-n)을 고정하고, 이에대해 소트 배출 롤러(75)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시트(P)를 분류하는 것도 있다. 이 경우, 소트 빈(76)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항상 일정한 높이로 시트의 정합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트 빈(76)에 대해 정합봉(103)에 원뿔대형상의 정합부(103b)를 설치하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된 소트 빈(76-l 내지 76-n) 상의 시트(P)를 모두 동일조건으로 시트정합할 때에 균열이 생긴다.
그 때문에,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합봉(103)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각 소트 빈(76-l 내지 76-n)에서의 시트 정합상태의 균열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도37에 있어서, 각 소트 빈(76-l 내지 76-n)의 정합기준을 각 빈의 상하로 늘어나는 하나의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에서 형성한다.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과 정합봉(103)의 정합부(103b)의 회전축심선(o1)이 평행하게 되도록 정합봉(103)을 배치한다. 정합봉(103)의 각 빈마다 대응하는 정합부(103b)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아래서 상술한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정합동작의 플로우에 따라 시트 정합 처리를 행한다.
이 실시예의 고정식 다수 소트 빈식의 소터에 있어서는 정합봉(103)의 각 소트 빈(76-l 내지 76-n)에 대응한 정합부(103b)를 설치하고, 각 소트 빈(76-l 내지 76-n)에 공통의 정합 기준 위치에 있는 규제판(104)의 규제면(104a)에 대한 상대거리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로써, 정합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위치 보정을 각 소트 빈마다 변경할 필요가 없고, 각 소트 빈마다의 시트(P)의 정합이 균일화할 수 있고, 정합 기준 위치에 따라 상하로 스테이플과 펀치 등의 후처리 수단을 이동하는 것만으로, 후처리의 위치가 소트 빈마다 엇갈리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술한 소트 빈(76-l 내지 76-n)을 수용된 시트(P)를 정합 처리한 후, 스테이플 혹은 펀치(구멍 형성) 등을 행할 때에, 도13의 단계 B14, 및 도15a 및 도15b 의 단계 B25에서 정합봉(103)을 사이즈별로 정합 위치(h3)로 이동시켜 행하는 것으로, 후처리시에 시트가 흐트러지거나, 흐트러지는 것이 아니라, 결정된 정규 위치로의 후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이탈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도시한 것이고, 명세서 본문에는 어떠한 구속됨이 없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든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정합 장치는 시트를 정합함에 있어서, 시트의 반송 방향측 및 이 시트의 반송측과 직교하는 측을 기준 위치로 규제하여 정합할 때에 그 정합 동작을 일시에 행할 수 있다.

Claims (9)

  1. 시트(P)의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시키기 위한 제1 규제 부재(104)와, 일측 모서리와 사실상 직교하는 시트의 다른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시키기 위한 제 2 규제 부재(97)를 구비하고, 제2 규제 부재(97)는 제1 규제 부재(104)와 직교하고, 시트가 제1 및 제2 규제 부재로 이동되어 정합되게 하는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정합 장치는 제1 규제 부재(104)로 시트(P)의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하기 위해 시트(P)를 제1 규제 부재(104)로 이송하는 제1 운동과, 제2 규제 부재(97)로 시트의 다른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하기 위해 제1 운동에 관련하여 제2 규제 부재(97)로 시트(P)를 이송하는 제2 운동을 행하는 정합 부재(1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103)는 제1 운동 중에 시트(P)를 제1 규제 부재(104)로 이송하고, 제1 운동에 관련하여 제2 운동 중에 시트(P)가 제2 규제 부재(97)로 이송되는 시트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어도 제2 규제 부재(97)에 대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103)는 제1 규제 부재(104)에 시트(P)를 맞닿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제2 규제 부재(97)로 시트(P)를 이송하도록 소정 시간 동안 제2 운동인 회전 운동을 계속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103)는 시트(P)의 일측 모서리 또는 다른 일측 모서리의 어느 하나가 제1 규제 부재(104) 또는 제2 규제 부재(97)에 먼저 맞닿을 수 있는 속도로 이동 또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104)는 시트(P)가 제2 규제 부재(97)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는 제3 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6. 시트(P)의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시키기 위한 제1 규제 부재(104)와, 일측 모서리와 사실상 직교하는 시트의 다른 일측 모서리를 규제하고 정합시키기 위한 제 2 규제 부재(97)를 구비하고, 제2 규제 부재(97)는 제1 규제 부재(104)와 직교하고, 시트가 제1 및 제2 규제 부재로 이동되어 정합되게 하는 시트 정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정합 장치는 제1 규제 부재(104)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하는 정합 부재(103)와,
    정합 부재(103)를 제1 규제 부재(104)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107)와,
    이동 부재(107) 상에서 시트가 제2 규제 부재(97)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정합 부재(103)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110, 112, 1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시트 정합 장치는 이동 부재(107)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15)과,
    이동 부재(107)에 설치되고 정합 부재(10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전달부(110, 112)와,
    회전 전달부(110, 112)를 회전하기 위해 이동 수단(107)의 이동에 관련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 전달부(112)는 회전이 회전 전달부(110, 112)로부터 정합 부재(103)로 전달될 때 회전하지 않게 하도록 정합 부재(103)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틈 부분(11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부재(103)는 시트가 적층되는 방향으로 서서히 기울어지도록 시트(P)에 대해 인접면(103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정합 장치.
KR1019980037990A 1997-09-16 1998-09-15 시트정합장치 KR100308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18497A JP3408122B2 (ja) 1997-09-16 1997-09-16 シート整合装置
JP97-250184 1997-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08A true KR19990029808A (ko) 1999-04-26
KR100308222B1 KR100308222B1 (ko) 2002-02-19

Family

ID=1720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990A KR100308222B1 (ko) 1997-09-16 1998-09-15 시트정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86498B1 (ko)
EP (1) EP0908790B1 (ko)
JP (1) JP3408122B2 (ko)
KR (1) KR100308222B1 (ko)
CN (1) CN1112614C (ko)
DE (1) DE698291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0665B2 (en) * 2002-10-28 2005-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ssive linear encoder
US6951335B2 (en) 2002-10-29 2005-10-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iprocating linear encoder
CN100470389C (zh) * 2005-12-01 2009-03-18 佳能株式会社 薄片处理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20080315510A1 (en) * 2007-06-22 2008-12-25 Cary Brzinski Alignment device for use with a book binder
CN104335254B (zh) * 2012-10-03 2016-08-24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纸张类处理装置
CN103723553B (zh) 2012-10-12 2017-07-07 立志凯株式会社 片材收纳装置及使用片材收纳装置的图像形成系统
CN103395313B (zh) * 2013-07-29 2015-06-17 苏州市职业大学 一种纸质资料自动分类装订机
CN113400830A (zh) * 2021-06-30 2021-09-17 湖南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资料用多功能贮存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3369A (en) * 1977-11-30 1981-07-15 Xerox Corp Sheet stacking
JPS59177251A (ja) * 1983-03-24 1984-10-06 Canon Inc シ−ト積載装置
JPS61140459A (ja) * 1984-12-12 1986-06-27 Ricoh Co Ltd 製本装置
US4930761A (en) 1987-07-30 1990-06-0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sorter with stapler
US5382016A (en) 1988-03-11 1995-01-1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orter with a stapler having a controlled sheet aligning member
JPH0725469B2 (ja) 1988-03-11 1995-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1299160A (ja) * 1988-05-25 1989-12-01 Ricoh Co Ltd ソーターのシート揃え装置
JPH02193861A (ja) * 1989-01-19 1990-07-31 Ricoh Co Ltd シート揃え装置
US5048817A (en) 1989-10-23 1991-09-17 Xerox Corporation Dynamic edge guide for side registration systems
JP2625030B2 (ja) * 1990-09-29 1997-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5215302A (en) * 1992-05-28 1993-06-01 Eastman Kodak Company Registration mechanism for sheets of different sizes
JP3499288B2 (ja) * 1994-04-15 2004-02-23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5562399A (en) * 1994-10-24 1996-10-08 Pitney Bowes Inc. Automatic mail stacker
JPH08310711A (ja) * 1995-05-11 1996-11-26 Fuji Xerox Co Ltd シート材揃え装置
KR0147925B1 (ko) * 1995-08-10 1998-12-01 우석형 스태플러 소터의 용지정렬 및 스태플링장치
US5713566A (en) * 1995-11-13 1998-02-03 Gradco (Japan) Ltd. Alignment means and fixed sta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79527A (ja) 1999-03-23
EP0908790A1 (en) 1999-04-14
CN1236912A (zh) 1999-12-01
DE69829104T2 (de) 2005-12-29
DE69829104D1 (de) 2005-03-31
KR100308222B1 (ko) 2002-02-19
JP3408122B2 (ja) 2003-05-19
EP0908790B1 (en) 2005-02-23
US6186498B1 (en) 2001-02-13
CN1112614C (zh)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82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0760493B1 (en) Device for further processing after copying
US7095978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having offset mounting means
CA2477228C (en) Printer output sets compiler to stacker system
US20080315494A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ost-processing method
JP2002080162A (ja) シート処理方法、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306522A (ja) シート処理装置
KR100308222B1 (ko) 시트정합장치
JP2008000851A (ja) パンチ処理装置
US5141215A (en) Sorter-finisher provide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6237910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sheet sen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588340B1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ame
JP2006312547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23521B2 (ja) パンチ処理装置
JP453583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133539A (en) Sorter-finisher provide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9676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899211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329676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023380B2 (ja) シート整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263695A (ja) フィニッシャ付きソータ
JP20080264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1932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4045538A (ja) 画像形成後処理装置及びその画像形成装置
JP566557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