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35A -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 Google Patents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35A
KR19990029735A KR1019980037546A KR19980037546A KR19990029735A KR 19990029735 A KR19990029735 A KR 19990029735A KR 1019980037546 A KR1019980037546 A KR 1019980037546A KR 19980037546 A KR19980037546 A KR 19980037546A KR 19990029735 A KR19990029735 A KR 1999002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able tennis
ball sorting
cour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246B1 (ko
Inventor
도시미츠 오이시
아키히사 야마시타
히데키 고타니
고지로 미나미
히로후미 후지모토
가츠노리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고즈키 가게히코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즈키 가게히코,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즈키 가게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2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07Target zones without opening defined o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3Apparatus generating random stimulus signals for reaction-time training involving a substantial physical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Multiple detectors or sensors each defining a different z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3System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specific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63B2047/004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having means preventing bridge formation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63B2069/405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top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8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30Mainten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8Devices for measuring or verifying bal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oys (AREA)

Abstract

탁구볼 선별장치에서, 복수의 레일이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탁구대의 적어도 일 코트의 측면에 따라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레일이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코트의 후부에 따라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전자의 레일은 하류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데 비해, 그의 하류측은 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후자의 레일 상류부상에 겹쳐져 있다. 탁구볼 선별장치를 사용한 탁구장치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본 발명은 탁구볼 선별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탁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예를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3017687 호에 개시된, 탁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탁구장치는 중앙에 펼쳐진 네트가 있는 탁구대, 코트(playing surface)(기계의 측면상의 플레잉 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면(플레이어의 측면상 플레잉 면) 쪽에 순차로 탁구볼을 발사하는 볼발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진 복수의 광센서가 기계의 종방향에 따라 기계 측면상에서 코트의 좌측과 우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반면에 기계측 코트상에서 플레이어(player)가 되받아 친(returned) 볼의 낙하 위치를 광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그 위치에 상응하는 득점이 이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며, 이로서 연습 결과를 구체적 수치에 의해 표시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탁구장치에 따라, 플레이어가 되받아 치거나 치지 못한 볼을 플로어에 따라 형성된 공기 기류에 의해 회수구로 회수하고, 호스틀 통해 볼발사부로 부압에 의해 반환한다. 이것은 플레이어가 일정 수량의 볼로 연속적으로 게임할 수 있게 한다. 탁구장치의 볼발사부의 구성이 예를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 58-22229 호 및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 63-726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탁구장치에 따라, 플레이어의 발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변형된 불량 볼을 또한 회수하고 볼발사부로 반환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볼발사부로부터 발사함으로써, 게임(연습)의 정상적인 진행이 방해될 수 있다. 추가로, 볼발사부내에 혼합된 불량 볼의 수가 증가될 때 플레이어는 연속적으로 게임할 수 없으며, 불량 볼을 주기적으로 수동으로 선별해야 하며, 이 장치의 유지가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조건에서 항상 게임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가 단순할 수 있는 탁구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탁구볼 선별장치를 구비한 탁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일 일예에 따라,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대략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rail)을 구비한 탁구볼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으로서, 레일상의 함몰되고 변형된 볼이 인접 레일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낙하되며, 함몰되지 않은 정상적인 볼은 레일상에서 하류로 굴러서 회수된다.
본 발명의 제이 일예에 따라, 탁구대의 제일 코트상에 배치된 볼발사부로부터 다른 코트 쪽으로 발사된 볼을 제일 코트로 되받아 치는 탁구장치를 제공하며, 이 탁구장치는 변형 볼만을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대략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을 구비한 탁구볼 선별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병렬 배치된 레일은 장치의 상류측으로부터 배치된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는 서로 교차하고, 볼은 제일 볼선별부의 하류단에서 제이 볼선별부의 상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탁구볼 선별장치의 레일상의 함몰된 변형 볼은 인접 레일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며, 함몰되지 않은 정상적인 볼은 레일상에서 하류로 굴러서 회수되며, 볼발사부로 반환된다. 결과적으로, 플레이어의 발에 의해 찌그러진 함몰된 볼은 볼발사부로 반환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조건하에 항상 게임할 수 있다. 추가로, 함몰된 불량 볼을 수동으로 선별할 필요가 없어서, 장치의 유지가 단순하다.
본 발명의 탁구장치는 바람직하게도 탁구볼 선별장치의 하류에 도달된 볼을 볼발사부로 반환하기 위한 볼반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볼은 자동적으로 볼발사부로 반환된다. 결과적으로, 정상적인 볼은 항상 볼발사부에서 발사되며, 연속적으로 정상적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탁구장치는 바람직하게도 다른 코트의 전방 플로어상에 낙하된 볼을 탁구대로 회수하기 위한 플로어 볼회수부와 플로어 볼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볼을 탁구볼 선별장치의 하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이동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플레이어의 측면상 코트의 전방 플로어에 치지 못하는 등에 의해 낙하된 볼을 플로어 볼회수부에 의해 탁구대로 회수하고 선별되도록 볼이동 수단에 의해 탁구볼 선별장치의 상류단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탁구장치에서, 긴 수용판(receiver plate)으로 구성된 변형 볼 운반 부재는 바람직하게도 탁구볼 선별장치 아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레일의 간격에서 낙하된 함몰된 볼을 변형 볼 운반 부재에 의해 수용하여 하류로 운반한다.
본 발명의 탁구장치에서, 볼회수 박스(box)는 바람직하게도 변형 볼 운반 부재의 최하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변형 볼을 변형 볼 회수 박스에서 회수하고, 폐기와 같은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볼 선별장치를 사용한 탁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탁구대의 한쪽 코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볼발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볼발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볼발사부의 이동 기구부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탁구장치에서 볼회수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선 VII-V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선 VIII-VIII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6의 선 IX-IX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볼회수부의 볼급상(scooping-up)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에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의 제어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의 초기화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flow chart),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의 게임 동작에 대한 설명을 위한 플로우 챠트,
도 15는 볼회수부의 볼급상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에서 볼공급부의 볼교반 수단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에서 탁구대의 냉음극관(cold-cathode tube)의 점등(点燈)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 챠트,
도 18은 볼발사부의 볼 발사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 챠트,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에서 볼 낙하 위치의 검출과 득점 처리 동작을 설명한 플로우 챠트,
도 20은 게임 종료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에서 볼 득점 동작을 설명한 모식도.
도 1에 관련하여, 탁구장치는 탁구대(10), 플레이어의 코트로 볼을 발사하기 위한 볼발사부(20), 플로어 등에 낙하된 볼을 회수하기 위한 볼회수부(30), 득점과 데모 화면(demonstration picture)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 연출 음악과 효과음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부(50), 탁구대(10)를 둘러 싸기 위한 박스(60), 게임(연습) 모드 등의 여러 가지 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control box)(70),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도 12), 및 볼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일예에서, 탁구대(10)의 양쪽 엔드 라인(end line) 사이의 방향이 플레이어의 시점에서 종방향으로 지칭되는데 비해, 탁구대(10)의 양쪽 사이드 라인(side line) 사이의 방향이 횡방향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탁구장치의 탁구대(10)에 엔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실제로 제공할 필요는 없다.
탁구대(10)는 플레이어의 코트(12), 볼발사부(20)가 배치되어 있는 측면상의 코트(14), 및 코트 (12) 및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펼쳐진 네트(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코트(14)는 프레임 구조체(141)와 이 프레임 구조체(141)의 상부를, 예를들어 백색 반투명 레진(resin)으로 형성된 판체(142)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구조체(141)는 측면 격벽(148 및 149), 및 세로 격벽(150)에 의해 복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즉, 프레임 구조체(141)는 코트(14)를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세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전방 영역(제일 영역 143), 중앙 영역 및 후방 영역을 형성한다. 중앙 영역은 측면 방향으로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우측 제이 영역(144)와 좌측 제3 영역(145)을 형성하며, 후방 영역은 두 개의 동일 부분으로 분리되어 우측 제4 영역(146)과 좌측 제5 영역(147)을 형성한다.
복수의 녹색 발광 냉음극관(181)은 제이 영역(141)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청색 발광 냉음극관(182)은 제3 영역(145)에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복수의 적색 발광 냉음극관(183)은 제4 영역(146)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황색 발광 냉음극관(184)은 제5 영역(147)에 배치되어 있다. 필라멘트를 통해 전류의 통과에 의해 점등된 칼라 전구를 상기 냉음극관(181 내지 184)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냉음극관 및 전구는 램프로 통칭한다.
반투명 판체(142)는 각 냉음극관에서 발광한 각 색상광에 대해 면 광원으로서 역할이 있고, 볼 낙하 충격에 의해 진동하는 다이아그램(diagram)으로서 역할이 있다. 판체(142)는 영역(143, 144, 145, 146 및 147)에 각각 상응하는 제일 판(151), 제이 판(152), 제3 판(153), 제4 판(154) 및 제5 판(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일 내지 제5 판(151 내지 155)은 각각 코트(14)의 제일 내지 제5 영역(E1내지 E5)을 형성한다. 판체(142)는 판(151 내지 155)의 경계의 하면에 형성된 측면 그루브(groove)(156 및 157), 및 세로 그루브(158)가 있으며, 이에 비해 판(151 내지 155)은 면광원으로서 사용하며, 이로서 전광식(illumination) 효과를 얻는다.
제일 판(151)은 대각 위치 근방에서 그의 하면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190 및 191)가 있고, 제이 판(152)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 그의 하면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192 및 193)가 있고, 제3 판(153)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면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194 및 195)가 있다. 추가로, 제4 판(154)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면상에 배치된 마이크(196 및 197)가 있고, 제5 판(155)은 대각 위치의 근방에서 그의 하면상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198 및 199)가 있다.
각 마이크(190 내지 199)는 진동 센서로서 역할이 있으며, 제일 내지 제5 판(151 내지 155)상에 볼이 낙하되는 것을 검측한다. 예를들어, 볼이 제이 판(152)상에 낙하될 때, 진동은 낙하 지점에서 판(152)의 주변으로 감쇠되면서 방사상으로 전달되며, 이 진동은 마이크(192 및 193)에 의해 감지된다. 이 진동이 또한 다른 판의 마이크에 의해 감지되지만, 볼이 낙하된 판이 감지 수준의 차이, 진동 전달 시간 지연, 등으로부터 특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156 내지 158)가 판체(142)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진동은 그루브에서 급격히 감쇠되며, 이로서 진동의 오검측을 방지한다. 각 마이크(190 내지 199)에서 출력된 검측 신호는 제어부(30)에 입력되고 득점 처리 등에 사용된다.
그루브(156 내지 158)는 볼의 낙하 위치를 검측하는데 필수적이지 않으며, 판체(142)가 각 부재에 의해 형성된 판(151 내지 155)이 있을 수 있다. 판(151 내지 155)이 각 부재에 의해 형성될 때,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 이를테면 고무가 바람직하게도 각 인접 부재 사이에 형성된 갭(gap)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와 같은 부재는 각 판이 그 사이에 형성된 작은 갭이 있는 부재상에 구비되도록 바람직하게도 각 판의 경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판체(142)와 마이크(190 내지 199)는 플레이어로부터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일예에서, 코트(14)의 한가지 또는 복수의 영역(E2내지 E5)을 발광시켜 플레이어가 볼을 발광 영역으로 되받아 치도록 촉구하여, 발광 영역상에 볼의 리턴(return)이 마이크에 의해 검지될 때 플레이어가 발광하지 않는 영역으로 볼을 되받이 침으로써 얻어지는 득점 보다 높은 득점을 얻을 수 있다. 볼을 발광 영역으로만 되받이 칠 때 플레이어에게 득점을 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해된다.
볼발사부(20)는 거의 그 전체가 케이싱(casing)(200)내에 수납되는 상태로 코트(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4에 관련하여, 볼발사부(20)는 그의 한쪽 단부에서 탁구볼을 발사하기 위한 볼발사 실린더(21), 볼을 볼발사 실린더(21)에 공급하기 위한 볼공급 실린더(22), 볼을 볼공급 실린더에 공급하기 위한 볼공급부(23), 볼을 볼공급 실린더(22)로부터 한 번에 한 개씩 분배하기 위한 볼분배 수단(24), 볼발사 실린더(21)로 분배된 볼에 대한 발사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 urging force)을 부여하기 위한 부세력-부여 수단(25), 볼발사 실린더(21)를 그의 축 주위로 회전시켜 볼(이를테면 커브구, 직구, 등)의 발사 형태를 변화시키는 회전 수단(26), 탁구대(10)의 측면 방향으로 볼발사 실린더(21)를 회전시켜 볼의 발사 방향을 변경시키는 요동(oscillating) 기구부(27), 및 볼의 각도를 상승 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각도 변경 수단(28)를 구비하고 있다.
볼발사 실린더(21)는 횡장(oblong) 창부(201)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발사구(211)와 약간 대각적으로 상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사구(211)로부터 부세력 부여 수단(25)에 의해 부세된 볼을 코트(12)로 발사한다. 추가로, 이후 설명될, 한 쌍의 롤러(roller)(251 및 252)가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는 컷아웃(cutout)(212 및 213)이 볼발사 실린더(21)의 중간 부분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공급 실린더(22)는 케이싱(200)내에 구비되어 있고, 수평부(221)와 수직부(222)로 구성된 L-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수평부(221)는 볼 베어링(223)을 통해 볼발사 실린더(21)의 후방단 외주에 조립되어 있다. 이것은 볼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로 회전되게 한다. 추가로, 개구부(224)가 이후 설명될, 볼분배 수단(24)의 판 캠(cam)(241)이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는 수직부(222)의 하단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볼공급부(23)가 상기 볼발사부(20) 위에 배치되어 있고, 이 볼발사부는 이후 설명될 이동 기구부(90)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케이싱(2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볼공급부(23)는 복수의 볼을 수납하기 위한 볼 호퍼(hopper) (231)의 저부에 형성된 공급구(232), 및 볼공급 실린더(22)의 수직부(222)에 접속되어 있는 플렉서블(flexible) 관(233)을 구비하고 있다. 호퍼(231)는 외부에 고정된 호퍼 내부의 교반 모터(234), 및 그의 내부에 배치된, 예를들어 탄성이 있는 교반바(235)로 구성된 볼교반 수단(236)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바(235)는 모터(234)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이로서 공급구(232)에서 볼 BL의 혼잡이 방지된다.
볼분배 수단(24)은 판 캠(241), 및 이 판 캠(24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판 캠 모터(242)로 구성되어 있다. 판 캠(241)은 볼공급 실린더(22)의 후방 위치에서 판 캠 모터(242)의 수직 회전축(242a)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판 캠(241)은 소직경부 M과 직경이 회전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캠 부 N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직경부 M은 볼공급 실린더(22)로 침입되지 않도록 하는 직경을 가지고 있고, 소직경부 M에 인접한 캠 부 N의 일 측면은 소직경 크기를 가지고 있고, 다른 측면은 적어도 한 개의 탁구볼 크기의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판 캠(241)의 방향은 설명 이유로 도 3 및 4와 역으로 되어 있다.
판 캠 모터(242)는 수직부(222)의 저면에 고정된 모터 설치판(222b)에 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판 캠 모터(242)는 회전하여 도 4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판 캠(241)을 1 회전시키며, 이로서 수직부(222)의 하단에 공급된 볼을 1회에 한 개씩 수평부(221)로 분배한다. 즉, 판 캠(241)의 소직경부 M이 볼공급 실린더(22)에 대향하는 위치(초기 위치)에서 회전하기 사작할 때, 수직부(222)의 하단에 공급된 볼이 캠 부 N에 대해 접촉되어 있고 수평부(221)로 분배된다.
직립 위치의 차폐판(241b)은 회전축(242a)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판 캠(241)상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한편, 포토-인터럽터(photo-interrupter)로 구성된 판 캠 센서(243)가 판 캠(241) 위에 설치된 센서 설치판(222c)에 고정되어 있다. 판 캠 센서(243)에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41b)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차폐판(241b)이 판 캠 센서(243)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판 캠(241)의 초기 위치가 검측되게 하며, 그 결과 판 캠(241)의 회전수가 초기 위치가 검측되는 때마다 카운트된다.
부세력 부여 수단(25)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롤러(251 및 252), 및 롤러(251 및 252)를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 모터(DC 모터)(253 및 254) 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251 및 252)는 금속 부재(251a 및 252a)의 외주상에 고무 부재(251b 및 252b)를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컷아웃(212 및 213)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다. 롤러 모터(253 및 254)는 모터 설치판(214 및 215)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롤러(251 및 252)는 볼발사 실린더(21)가 롤러 모터(253 및 254)와 같이 그의 축 주위로 회전할 때 볼 BL을 양 측면에서 샌드위칭하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 BL에 대해 발사 방향(전방 방향)으로 부세력을 부여한다. 롤러(251 및 252)는 그의 주위 속도에 따라 볼에 발사 속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주변 속도에 차이를 부여하기 때문에 볼 발사 실린더(21)로부터 발사된 볼에 스핀(spin)을 부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롤러(251)의 주변 속도가 롤러(252)의 주변 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될 때 볼에 톱 스핀(top spin)(드라이브)이 부가될 수 있다. 반대로, 롤러(252)의 주변 속도가 롤러(251)의 주변 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될 때 볼에 백 스핀이 부가될 수 있다. 추가로, 롤러(251 및 252)의 주변 속도가 대략 동일할 때, 회전력이 볼에 거의 부가되지 못하며, 소위 너클(knuckle) 볼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주변 속도의 차이가 볼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로 회전하고, 롤러(251 및 252)가 경사진 상태로 부여되면, 사이드 스핀이 부가된 볼을 얻을 수 있다.
회전 수단(26)은 볼발사 실린더(21)의 후방단 외주에 부착된 종동 기어(follower gear)(261), 종동 기어(261)와 맞물린 구동 기어(262), 및 구동 기어(26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발사 실린더 모터(263)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263)는 볼공급 실린더(22)의 수평부(221)에 부착된 모터 설치판(221a)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63)는 정상 방향과 역 방향 모두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발사 실린더(21)는 그의 축 주위로 회전한다.
경방향으로 펼쳐진 차폐판(262a)은 구동 기어(26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한편, 센서 설치판(221b)은 모터 설치판(221a)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회전 센서(264)는 센서 설치판(221b)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센서(264)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62a)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차폐판(262a)이 회전 센서(264)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볼발사 실린더(21)의 그 축 주위 초기 위치를 검출하게 한다. 롤러(251)가 수직으로 위치하는 상태는 볼발사 실린더(21)의 초기 위치로 간주된다. 이러한 일예에서, 볼발사 실린더(21)는 각도 45°내에서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우측과 좌측 모두로 회전한다.
요동 기구부(27)는 기대(base)(91)(참조 도 5)에 고정된 실린더형 지주(strut)(271), 수평부(221)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고, 볼 베어링(272)을 통해 지주(271)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273), 회전축(273)의 상부에 고정된 종동 기어(274), 이 종동 기어에 맞물린 구동 기어(275), 및 이 구동 기어(275)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발사부 요동 모터(276)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276)는 볼공급 실린더(22)의 수직부(222)에 부착된 모터 설치판(221c)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76)는 정상 방향 및 역 방향 모두로 회전하며, 이로서 볼발사부(20)는 회전축(273) 주위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요동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발사부(20)가 횡방향으로 위치할 때 직구가 발사될 수 있으며, 볼발사부(20)가 경사 위치로 위치할 때 탁구대(10)의 양쪽 코너를 목표로 한 볼이 발사될 수 있다. 즉, 볼은 요동 기구부(27)에 의해 직선 방향에 더하여 크로스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다.
한쪽 끝이 상방으로 향해 있는 차폐판(273a)이 회전축(273)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 설치판(271a)은 지주(271)의 하단 전방 외주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회전 센서(277)는 센서 설치판(271a)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센서(277)에서, 광과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73a)이 이들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273a)이 회전 센서(277)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회전축(273) 주위의 회전 방향으로 볼발사부(20)의 초기 위치를 검측하게 한다. 탁구대(10)의 종방향에 따른 직선 방향은 볼발사부(20)의 초기 위치로서 간주된다.
센서 설치판(271b)은 지주(271)의 하단 후방 외주에 부착되어 있고,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요동 각도 센서(278)는 센서 설치판(271b)에 부착되어 있다. 요동각도 센서(278)의 회전축체(277a)는 요동 기구부(27)의 회전축(273)에 동심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발사부(20)의 요동 각도는 회전축(273)의 회전량에 따라 센서(278)로부터 출력된 전압치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결과 볼발사부(20)의 요동 각도는 그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각도 변경 수단(28)는 발사구(211)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고 전방-돌출되게 부착된 가이드(guide)판(281), 및 발사구(211)로부터 발사된 볼의 경로를 차단하는 방향(즉, 발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판(28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판 모터(282)를 구비하고 있다. 볼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로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판(281)의 기단 양측이 발사구(211)의 선단 외주의 대향 위치에 축지되어 있다. 즉, 한쪽 기단이 돌기(211a)에 의해 축지되며, 다른쪽 기단이 발사구(211)의 외주의 적당한 위치에 들어 맞는 모터 설치판(211b)에 고정된 가이드판 모터(282)의 회전축(282a)에 의해 축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 발사 실린더(21)가 그의 축 주위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판 모터(282)가 일정량으로 회전하여 가이드판(281)을 회전시키고, 이로서 볼 발사 방향이 상방 대각으로 항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즉, 볼의 발사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발사구(211)에서 볼은 가이드판(281)에 접촉되어 상방으로 향하게 되며, 따라서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을 발사할 수 있다. 포물선 형태는 가이드판(281)의 회전량(상승 각도)과 볼 발사 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잇다. 각도 제어판(283)은 볼발사 실린더(21)의 축 방향에 따라 가이드판(281)의 대향측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빠른 볼의 발사 각도가 가이드판(281)에 의해 크게 변경될 때, 볼은 각도 제어판(283)과 접촉되어 포물선형이 제어될 수 있으며 볼이 코트(12)를 넘어가는 것을 어렵게 한다.
차폐판(281a)은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가이드판(281)의 기단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한편, 센서 설치판(211c)은 발사구(211) 근방에 부착되어 있고,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가이드판 센서(284)는 센서 설치판(211c)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판 센서(284)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281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281a)이 가이드판 센서(284)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가이드판(281)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볼발사 실린더(21)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은 가이드판(281)의 초기 위치로 간주된다.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발사 각도 센서(285)는 센서 설치판(211c)에 부착되어 있고, 센서(285)의 회전축체(285a)가 돌기(211a)에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281)의 돌기(281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이드판(281)의 회전량은 센서(285)로부터 출력된 전압치에 의해 검출되어, 볼 발사 각도가 그의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이제 이동 기구부(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기구부(90)는 기대(91)의 저부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 부재(92a 및 92b), 케이싱(200)(참조 도 1)내에 고정된 탁구대(202)상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92a 및 92b)가 미끄러지는 횡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93), 가이드 레일(93)의 좌측 및 우측 단부 양쪽 외부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pulley)(94a 및 94b), 풀리(94a 및 94b) 위에 걸쳐져 있고 가이드 부재(92a 및 92b)가 부착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95), 및 풀리(94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9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수단(96)은 발사부 이동 모터(AC 서보(servo) 모터(96a), 모터(96a)의 회전축(96b)에 맞춰진 풀리(96c), 및 풀리(96c 및 94a) 위에 걸쳐진 타이밍 벨트(96d)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판(91a)은 하방으로 펼쳐지도록 기대(91)의 후방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한편,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중앙 기대 센서(97)가 가이드 레일(9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센서 설치판(93a)에 고정되어 있다. 중앙 기대 센서(97)에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는 차폐판(93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91a)이 센서(97)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기대(91)의 초기 위치, 즉 횡방향에서 볼발사부(20)의 초기 위치가 검출되게 한다. 탁구대(202)의 횡방향에서 중앙 위치는 볼발사부(20)의 초기 위치로서 간주되며, 볼발사부(20)의 횡방향 이동은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좌측 기대 센서(98)와 우측 기대 센서(99)는 각각 센서 설치판(93b 및 93c)에 고정되어 있다. 좌측 기대 센서(98)는 가이드 레일(93)의 중앙부 좌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우측 기대 센서(99)는 가이드 레일(93)의 중앙부 우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플레이어의 시점에서). 좌측 및 우측 기대 센서(98 및 99) 각각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위치가 차폐판(91a)이 그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차폐판(91a)이 좌측 기대 센서(98) 또는 우측 기대 센서(99)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를 차단할 때 기대(91)의 횡방향 이동 범위, 즉 볼발사부(20)의 횡방향 이동 한계 위치를 검출되게 하여, 볼발사부(20)이 한계 위치를 넘지 않는다.
볼회수부(30)는 플레이어가 치지 못하여, 플로어에 떨어진 볼, 탁구대(10)의 양쪽 사이드 에지(소위 사이드 라인의 측면)에서 플로어에 떨어진 볼, 및 후방 에지(소위 엔드 라인의 측면)에서 떨어진 볼을 볼발사부(20)로 회수하고, 플레이어의 발에 의해 찌그러지고 변형된 불량 볼을 불량볼 회수 박스(334)로 선별한다. 볼회수부(30)의 구조가 도 6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관련하여, 볼회수부(30)는 플로어 회수부(31), 탁구대(10)의 좌측 사이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좌측 회수부(32), 탁구대(10)의 엔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후방 회수부(33), 탁구대(10)의 우측 사이드 라인에 따라 배치된 우측 회수부(34), 케이싱(200)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방향 회수부(35), 케이싱(200)에서 종방향 회수부(35)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횡방향 회수부(36), 플로어 회수부(31)에 의해 회수된 볼을 상승시키고 좌측 회수부(32)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급상 수단(37), 및 횡방향 회수부(36)로 이동된 볼을 상승시키고 호퍼(231)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급상 수단(38)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어 회수부(31)는 플레이어가 게임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회수부(31)는 플레이(play)에 지장이 없는 정도로 탁구대(10)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된 제일 플로어부(311), 제일 플로어부(311)의 탁구대(10)의 측면상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제이 플로어부(312), 및 제이 플로어부(312)의 중앙에 형성된 볼집합부(313)를 구비하고 있다. 제이 플로어부(312)는 볼집합부(313)의 각 측면상에 좌측 플로어부(312a)와 우측 플로어부(312b)로 분리되며, 양쪽 플로어부(312a 및 312b)는 볼집합부(313)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볼집합부(313)는 코트(14)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볼은 제일 플로어부(311) 위에 낙하되고, 제일 및 제이 플로어부(311 및 312)를 굴러서, 볼집합부(313)에 회수된다. 추가로, 볼집합부(313)에 회수된 볼은 볼급상 수단(37)에 의해 이후 설명될 실린더내에 상방으로 이동하며, 좌측 회수부(32)로 이동한다. 정상의 구형 볼에 더하여, 볼집합부(313)로 구른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 볼은 볼급상 수단(37)에 의해 좌측 회수부(32)로 이동한다.
좌측 회수부(32)는 탁구대(10) 보다 낮은 높이로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고, 후방 회수부(33)로 하방 경사진 복수(도면에서, 5개)의 레일(321), 및 후방 회수부(33)로 하방 경사진 레일(321) 아래 배치되어 있는 수직 단면으로 대략 C-형태인 수용판(32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21)은 볼 직경 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를 구를 수 있으며, 이에 비해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되어 선별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정상적인 볼은 인접 레일(321)에서 굴러 후방 회수부(33)로 이동하며, 플로어 회수부(31)에 의해 회수된 함몰된 불량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되며, 수용판(322)에서 구르고(또는 구르지 않는 볼은 이어서 낙하된 볼에 의해 부딪히며), 다음에 설명될 수용판(332)으로 이동한다. 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321)과 수용판(322)은 그의 단부가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21)과 수용판(33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 회수부(33)는 탁구대(10) 보다 낮은 높이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코트(14)의 우측으로 하방 경사진 복수(도면에서, 5개)의 레일(331), 그 우측으로 하방 경사진 레일(331) 아래 배치되어 있는 수용판(332), 레일(331)의 우측 에지 아래 배치된 정상볼 중계(relay) 박스(333), 및 수용판(332)의 우측 에지 아래 배치된 불량볼 회수 박스(334)를 구비하고 있다.
레일(321)과 유사하게, 레일(331)은 볼 직경 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볼은 인접 레일(331) 사이에 구를 수 있으며, 이에 비해 부분적으로 함몰된 불량볼은 인접 레일(33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32) 상으로 낙하되어, 선별된다. 정상볼 중계 박스(333)는 케이싱(200)으로 개방되어 있고, 케이싱(200)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함몰된 불량볼이 플로어 회수부(31)에서 회수되었기 때문에, 그들 중 대부분은 좌측 회수부(32)의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22) 상으로 낙하된다. 그러나, 레일(321)의 볼이 전동 축(rolling axe)으로서 그의 동일 부분을 이용하여 레일(321)에서 구르기 때문에, 전동축에 교차하는 볼의 부분이 함몰되어 있을 때, 볼은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은 불량볼에 관해, 후방 회수부(33)가 좌측 회수부(32)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로서 전동축이 레일(321)에 직각으로 변경되며 함몰된 부분이 레일(321) 사이에 대향되며, 따라서 불량볼이 레일(32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된다.
이것은 레일(321 및 331)에 의해 정상볼 중계 박스(333)로 정상볼이 전달되게 하며, 함몰된 불량볼이 레일(321 또는 331)에서 수용판(322 또는 332) 상으로 낙하되게 하며, 불량볼 회수 박스(334)로 전달되게 한다.
우측 회수부(34)는 탁구대(10)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후방 회수부(33)와 탁구대(10)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판(341)을 구비하고 있다. 판(341)의 후방 에지부는 정상볼 중계 박스(333) 상에 돌출되어 있다.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정상볼이 대개 우측 회수부(34)에 의해 회수될 수 있으므로, 볼은 판(341) 상에서 구르며 잠시 동안 정상볼 중계 박스(333)로 전달된다.
종방향 회수부(35)는 그의 후방에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도면에서, 4개)의 레일(351), 및 전방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진 레일(351) 아래 배치된 수용판(35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51)의 간격은 레일(321 및 331)의 간격과 유사하게 설정되어 있다. 정상볼은 레일(351) 상에서 후방으로 구르며, 반면에 함몰된 불량볼은 인접 레일(35)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52) 상으로 낙하된다.
수용판(352)의 전단부는 불량볼 회수 박스(334) 위에 위치한다. 거의 모든 함몰된 불량볼이 플로어 회수부(31)에 의해 회수되므로, 이들은 후방 회수부(33)를 통과할 때 불량볼 회수 박스(334)에 회수된다. 그러나, 레일(331)상에 불량볼의 함몰부 방향의 영향으로, 후방 회수부(33)의 인접 레일(33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되지 않은 볼은 함몰부의 방향 변경에 의해 인접 레일(35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될 것이다.
이것은 정상볼이 인접 레일(351) 상에 구르게 하며 횡방향 회수부(36)로 이동되게 하고, 함몰된 볼을 인접 레일(351) 사이의 간격에서 낙하시키고 불량볼 회수 박스(334)에 회수되게 한다. 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351)과 수용판(352)은 그 단부가 횡방향 회수부(36)의 레일(361)과 수용판(36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방향 회수부(36)는 그의 좌측에 하방으로 경사진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도면에서, 4개)의 레일(361), 및 그의 우측에 하방으로 경사진 레일(361) 아래 배치된 수용판(362)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361)의 간격은 레일(351)의 간격과 유사하게 설정되며, 정상볼은 레일(361) 상에 좌측으로 구르며, 반면에 함몰된 불량볼은 인접 레일(361) 사이의 간격에서 수용판(362) 상으로 낙하된다. 이것은 볼이 우측 회수부(34)에서 회수되어 종방향 회수부(35)와 횡방향 회수부(36)로 유도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된다. 우측 회수부(34)로부터 회수된 볼이 좌측 회수부(32)와 후방 회수부(33)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우측 회수부(34)로부터 불량볼이 종방향 회수부(35)와 횡방향 회수부(36)에서 선별된다.
레일(321, 331, 351 및 361)은 볼선별부로 구성되며, 수용판(322, 332, 352 및 362)은 변형볼 운반부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레일(321과 351)은 제일 볼선별부로 구성되며, 레일(331과 361)은 제이 볼선별부로 구성된다.
도 10과 11에 관련하여, 볼급상 수단(37)은 기판(371)상에 고정되고 볼집합부(313)의 후방 에지에 연속 설치된 평판 제일 가이드판(372), 제일 가이드판(372)에 연속 설치된 만곡 제이 가이드판(373), 제이 가이드판(373)의 후방 에지 위에 수직으로 설치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 연결 실린더(375)에 의해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상부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 제일 가이드판(372)의 후방단에서 볼 혼잡을 방지하기 위한 볼교반 수단(377), 및 제이 가이드판(373)에 공급된 볼을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378)을 구비하고 있다.
제일 가이드판(372)은 제이 가이드판(373)으로 하방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축(377e) 아래의 볼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후 설명될 축(377e)에 대향 위치에 형성된 횡장형 컷아웃(372a)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제일 가이드판(372)은 그의 후단 양쪽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372c 및 372b)가 있어서 볼을 한 번에 한 개씩 통과시키기 위한 좁은 볼출구(372b)를 형성한다.
제이 가이드판(372)은 제일 가이드판(372)에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로 구른 볼을 유도한다. 스폰지와 같은 큐숀 부재(373a)는 점착 등에 의해 제이 가이드판(373)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볼교반 수단(377)은 그 양쪽 측면에 배치된 베이링(377a 및 37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복수의 플렉서블 교반 로드(377c 및 377d)가 대략 한 개 볼 간격으로 역 위상 위치로 교대로 부착되어 있는 샤프트(377e), 및 이 샤프트(377e)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377f)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수단(377f)은 샤프트(377e)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기어(377g), 이후 기술할 샤프트(378c)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 기어(378e), 및 기어(377g 및 378e) 위에 걸쳐진 체인(377h)으로 구성되며, 이후 기술할 교반/공급 모터(379)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샤프트(377e)는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며, 제일 가이드판(372)의 출구(372b) 근처에 모인 복수의 볼을 출구(372b) 근처의 볼 혼잡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교반 로드(377c 및 377d)에 의해 교반한다.
공급 수단(378)은 그 양쪽 측면에 배치된 베어링(378a 및 37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이 가이드판(373) 위에 그리고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전방(도 11에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샤프트(378c),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의 대향 위치에 설치된 공급 롤러(378d), 및 샤프트(378c)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한 교반/공급 모터(379)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379)는 모터 설치판(379a)에 고정되어 있다. 공급 롤러(378d)는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롤러(378d)와 제이 가이드판(373)의 만곡면에 결합된 큐숀 부재(373a) 사이의 거리가 볼 직경 보다 약간 짧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샤프트(378c)가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되어 롤러(378d)를 회전시킬 때, 볼이 공급 롤러(378d)와 쿠숀 부재(373a)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로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에 공급된다. 종방향 이송 실린더(374)에 공급된 볼을 이어서 공급된 볼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내어,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에 전달한다. 횡방향 이송 실린더(376)에 전달된 볼은 좌측 회수부(32)로 이송된다.
센서 설치판(370a)은 모터 설치판(379a)에 부착되어 있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진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된 제일 모터 회전 센서(370)가 센서 설치판(370a)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379)의 회전축(379b)에 맞춰진 차폐판(379c)은 센서(370)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과하며, 이로서 모터(379)의 회전수를 카운트한다.
볼급상 수단(38)은 볼급상 수단(37)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부(40)는 케이싱(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7-세그먼트(segment) 표시기로 구성된 점수 표시부(41), 및 도트-매트릭스 표시기로 구성된 화상 표시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점수 표시부(41)는 일정 수의 볼에 대한 잔류 볼수를 표시하며, 볼을 볼발사부(20)로부터 코트(14)로 되받아 침으로써 플레이어가 얻은 점수가 추가될 때마다 표시한다. 화상 표시부(42)는 플레이를 시작하기 전 데모 화면, 플레이 중인 연출 화면, 플레이 종료시의 데모 화면, 하이 스코어(high score) 등을 표시한다.
음성부(50)는 앰플리파이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데모 화면의 표시 중에 그리고 플레이 중에 연출 음악과 효과음, 볼이 볼발사부(20)로부터 발사될 때마다 볼발사음, 및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코트(14)에 낙하될 때 효과음을 출력한다.
박스(6)는 네트 등으로 구성되며, 볼발사부(20)에서 발사된 볼과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멀리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어를 위한 도어(61)가 박스(6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 박스(70)는 탁구대(10)의 코트(12)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박스(60)의 내부와 외부에 가로 질러 위치한다. 박스(60) 내부에, 플레이 시작 전에 소정의 동전을 투입하는 동전 투입구(CE), 시작 버튼(SW1), 서로 다른 정도의 난이도가 있는 게임 모드(연습) 세가지 형태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게임 모드 선택 버튼(SS)(초급 코스 버튼 SS1, 중급 코스 버튼 SS2, 및 상급 코스 버튼 SS3), 및 두 명의 플레이어에 의해 게임 할 수 있도록 한 코치 모드 선택 버튼(CS)이 설치되어 있다.
박스(60) 외부에, 시작 버튼(SW2), 및 볼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코트(12)의 볼에 대한 낙하 영역(낙하 위치)을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영역 선택 버튼(PS)이 설치되어 있다. 영역 선택 버튼(PS)은 종방향으로 코트(12)를 두가지 영역으로 분리하고, 횡방향으로 분리된 총 6개 영역 중 한가지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튼(PS)은 영역을 독립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6개 버튼(PS1, PS2, PS3, PS4, PS5및 PS6)으로 구성된다. 버튼 한 개를 누를 때, 예를들어 볼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스핀-적용 볼이 선택 영역상에 낙하된다.
상기 구성에서, 플레이어가 단독으로 게임할 때, 동전을 동전 투입구(CE)에 투입하고, 일정 게임 모드를 게임 모드 선택 버튼(SS)에 의해 선택한다음, 시작 버튼(SW1)을 누르고, 이로서 게임이 시작된다. 플레이어가 코치를 모방하여 경쟁자와 게임할 때, 동전을 동전 투입구(CE)에 투입하고, 코치 모드 선택 버튼을 누른다음, 시작 버튼(SW2)을 박스(60) 외부에서 대기하는 경쟁자에 의해 누르며, 이로서 게임이 시작된다. 경쟁자는 볼발사부(20)로부터 볼이 발사되기 전에, 일정 버튼을 눌러 플레이어의 숙련도에 따라 볼의 낙하 영역을 적절히 선택한다음, 플레이를 진행시킨다. 코치 모드 선택 버튼(CS)을 누른 때조차, 영역 선택 버튼(PS)을 누르지 않는다면 예비설정 조건하에 볼을 발사한다.
볼발사 형태 선택 버튼, 볼 속도 선택 버튼, 볼 발사위치 선택 버튼, 볼 발사 각도 선택 버튼, 볼 발사 방향 선택 버튼 등은 코치 모드를 선택할 때 이들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볼 발사 형태, 속도, 발사 위치 등이 볼을 발사할 때마다 적절히 선택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2에 관련하여, 제어부(80)는 일정 연산과 제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CPU, 일정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82), 및 데이터를 임시 저정하기 위한 RAM(83)으로 구성된다. 탁구장치의 전체 동작은 상기의 일정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된다.
CPU(81)는 다음의 기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초급, 중급, 및 상급 코스의 세가지 게임 모드 중에서 선택된 게임 모드 중 한가지에 따라 게임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게임 설정 수단(811), 점등 명령에 따라 냉음극관(181 내지 184)을 선택적으로 점등하기 위한 냉음극관 점등 수단(812), 볼이 코트(14)상에 낙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일 판별 수단(813), 볼이 냉음극관 점등 영역상에 낙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제이 판별 수단(814), 점멸 명령에 따라 냉음극관을 선택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냉음극관 점멸 수단(815), 제일 및 제이 판별 수단(813 및 814)의 판별 결과에 따라 현 득점이전에 바로 얻어지는 득점에 현 득점을 가산하기 위한 득점 가산 수단(816), 득점이 가산될 때 점수 표시부(41)를 점멸하기 위한 점수 표시부 점멸 수단(817), 설정 명령에 따라 볼발사부(20)로부터 볼 발사 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볼형태 설정 수단(818), 볼발사부(20)로부터 발사된 볼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속도 설정 수단(819), 볼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발사 위치 설정 수단(820), 볼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발사 각도 설정 수단(821), 볼발사부(20)로부터 볼의 발사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발사 방향 설정 수단(822), 코치 모드를 선택할 때 영역 선택 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선택된 낙하 영역으로 볼이 발사되도록 볼의 발사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발사 조건 설정 수단(823), 및 코트(14) 상에 바운드된 볼의 제이 낙하에 대해 득점 가산을 금지하기 위한 바운드볼 가산 금지 수단(824).
이제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탁구 장치의 일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각 구성의 초기화 동작을 도 13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해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를 킬 때, 기판은 CPU 등과 같은 구성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검사하며(단계 S1), 그후 이들 구성을 초기화한다(단계 S3). 그후, 볼발사부 이동 모터(296a)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여 볼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단계 S5),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볼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 예(Yes)이면, 모터(296a)의 회전은 정지된다. 아니오(no)이면, 볼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1). 단계 S11에서 예이면, 볼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고(단계 S13), 그후, 과정을 단계 S7로 복귀한다. 단계 S13에서 아니오면, 볼발사부(20)가 탁구대(10)의 중앙으로 이동하는지를 판정하고 과정을 단계 S7로 복귀하여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그후, 횡방향에서 볼발사부(20)의 요동 각도를 설정하고(단계 S15) 볼발사부(20)를 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요동 각도와 요동 센서(277)에 대해 비정상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고(단계 S17), 단계 S17에서 예일 때 발사구(211)의 발사 각도를 설정한다(단계 S19). 그후, 발사구(211)의 가이드판(281)을 설정된 발사 각도에 따른 각도로 회전시키고, 가이드판 센서(283)와 발사 각도 센서(285)에 대해 비정상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1). 단계 S21에서 예이면, 점수 표시부(41), 화상 표시부(42) 및 전광식 램프(도시되지 않음), 등을 초기화하고 이어서 냉음극관(181 내지 184)을 초기화한다(단계 S25). 단계 S17과 단계 S21에서 아니오면, 에러(error) 처리(예를들어, 화상 표시부(42)상에 비정상 개소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27 및 단계 S29).
이제 도 14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게임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에 기재한 구성의 초기화 동작에서 비정상인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31). 예이면, 플레이를 시작하기 전에 데모 화면을 화상 표시부(42)상에 표시한다(단계 S33). 그후, 동전 투입구(CE)에 동전이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5). 예이면, 게임 변수(남아 있는 볼수, 발사 각도, 등)를 초기화 한다(단계 S37).
그후, 초급, 중급 및 상급 코스 중에서 일정 게임 코스가 선택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39). 예이면, 게임 코스에 따른 게임 내용을 설정한다(단계 S41). 단계 S31에서 아니오이면, 에러 처리(이를테면 화상 표시부(42)상에 비정상 개소의 표시)를 수행하여 게임이 시작될 수 없게 한다. 추가로, 단계 S39에서 아니오이면, 게임 코스가 선택될 때가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게임 내용이 단계 S41에서 설정될 때, 볼회수부(30)의 볼급상 수단(37 및 38)을 동작시키고(단계 S45), 볼공급부(23)의 볼교반 수단(236)을 동작시키고(단계 S47), 냉음극관(181 내지 184)의 일정 발광색 냉음극관을 볼 발사전에 즉시 점등한다(단계 S49). 그후, 볼발사부(20)로부터 코트(12)로 볼을 발사하고(단계 S51),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를 검출하여 득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3). 그후, 판캠 센서(243)의 카운트치에 의해 볼발사부(20)로부터 규정수의 볼이 발사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5). 예이면, 과정을 단계 S45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제 도 14에 도시한 단계 S45, S47, S49, S51, S53 및 S57에서 동작을 도 15 내지 20의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이 순서로 설명한다. 이들 동작은 일정 사이클, 예를들어, 1/60 초로 반복하여 수행되지만, 도 15 내지 20의 플로우 챠트는 설명 이유로 이들 동작에 집중한다.
볼급상 수단(37과 38)의 동작이 도 15의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우선 설명될 것이다. 볼급상 수단(37)의 동작이 볼급상 수단(38)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볼급상 수단(3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우선, 교반/공급 모터(379)를 순차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고(단계 S71), 모터가 1회 회전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3). 예이면, 회전수를 계산하고(단계 S75), 회전 타이머를 계속하여 계산한다(단계 S77).
그후,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9). 예이면, 모터(379)의 회전수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1). 단계 S81에서 예이면, 에러 카운트를 클리어(clear) 한다(단계 S83). 즉, 볼교반부(377)의 근처에서 볼 혼잡이 발생되지 않고 모터(379)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 단계 S71 내지 S83의 동작을 게임 진행 중에 반복하여 수행한다. 단계 S73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7로 진행시킨다. 단계 S7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3으로 복귀하고,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가지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른 한편, 단계 S81에서 아니오이면, 즉, 볼교반부(377)의 근처에서 볼 혼잡이 발생되고 모터(379)가 정상적으로 회전되지 않을 때, 모터(379)의 회전을 정치시켜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시키고(단계 S85),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업(count-up) 한다(단계 S87).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9). 예이면,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단계 S91). 즉,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볼교반부(377)의 근처에 발생된 볼 혼잡을 제거한다. 단계 S8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87로 복귀하고,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까지 반복하여 판정한다.
모터(379)를 단계 S91에서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정지 타이머는 클리어(clear)하며, 반면에 회전 타이머는 카운트-업된다(단계 S93). 연속하여,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95). 예이면, 모터(379)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하게 하고(단계 S97),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99).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1). 예이면, 에러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103). 단계 S1010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99로 진행시키고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가지 반복하여 판정한다.
연속하여, 에러 카운트가 규정수(예, 3)에 도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5).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71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즉, 모터(37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볼 혼잡을 제거할 때, 단계 S71 내지 S83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규정 회수(예, 3회)에 대해 단계 S85 내지 S103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볼 혼잡이 제거되지 않을 때, 단계 S105에서 판정은 예이며 에러 처리(예, 화상 표시부(42)상에 볼 혼합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107). 이 경우에, 일정 시간의 경과후에 볼발사부(20)로부터 볼이 발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볼이 발사되지 않을 때 게임의 진행이 종료된다.
도 4의 단계 47에 도시한 볼공급부(23)의 볼교반 수단(236)의 동작을 도 16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호퍼내 교반 모터(234)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단계 S121). 그후, 회전 타이머를 카운트 업하고(단계 S123), 그후, 회전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25). 예이면, 모터(234)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회전 타이머를 클리어 하고(단계 S127), 정지 타이머를 카운트 업한다(단계 S129). 그후, 정지 타이머의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31). 예이면, 과정을 단계 S121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동작시킨다. 단계 S125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123으로 복귀하여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가지 반복하여 판정한다. 추가로, 단계 S131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129로 복귀하여 카운트가 규정수에 도달될 때가지 반복하여 판정한다.
도 14에 도시한 단계 S49에서 냉음극관(181 내지 184)의 점등 동작을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게임 코스, 득점 및 남아 있는 볼 수에 따라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41). 즉, 낮은 난이도의 게임 코스(예, 초급 코스와 중급 코스)를 선택할 때, 코트(14)의 복수 영역(E2내지 E5)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쉽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다른 한편, 고난이도의 게임 코스(예, 상급 코스)를 선택할 때, 코트(14)의 영역(E2내지 E5) 한 곳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어렵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저난이도의 게임 코스가 선택된 때조차, 득점이 일정치를 초과하거나 남아 있는 볼 수가 일정치 이하로 감소될 때, 코트(14)의 영역(E2내지 E5) 중 한 곳에서 냉음극관을 점등하여 득점이 어렵게 얻어지도록 난이도 처리를 수행한다.
그후, 볼발사부(20)로부터 볼 발사전에, 난이도가 낮은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43). 예이면, 두 개 영역(E3및 E5)(또는 E2및 E4)의 좌측(또는 우측)의 냉음극관(182 및 184)(또는 181 및 183)을 동시에 점등한다. 아니오(즉, 난이도가 높을 때)이면, E2내지 E5의 네 개 영역 중 한 곳에 냉음극관(181, 182, 183 또는 184)을 점등한다(단계 147).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1에서 볼발사부(20)의 볼발사 동작을 도 18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볼의 규정수 발사가 완료되지 않은지 완료된지를 판정한다(단계 S161). 예이면,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형태와 속도를 게임의 난이도(즉 선택된 게임 코스, 현존 득점 및 남아 있는 볼의 현재수에 의해 결정)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3). 즉, 난이도가 높을 때, 볼 발사 형태, 스핀 적용 방식 등을 자주 변경시키고, 발사 속도를 증가시킨다. 난이도가 낮을 때, 볼 발사 형태, 스핀 적용 방식 등을 그렇게 자주 바꾸지 않고, 발사 속도를 감소시킨다. 단계 S161에서 아니오이면, 동작을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3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위치를 게임의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5). 즉, 게임의 난이도가 높을 때, 볼발사부(20)를 코트(14)에서 플레이어에 의해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에 따라 코트(14)의 후방 단부상에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볼이 코트(14)의 우측 두 번째 영역(E2) 또는 네 번째 영역(E4)상에 낙하될 때, 한쌍의 마이크(192 및 193 또는 196 및 197)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의해 두 번째 영역(E2) 또는 네 번째 영역(E4)상에 볼의 낙하를 판정하고, 볼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우측 반부상에 중앙 위치 또는 우측 단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추가로, 볼이 코트(14)의 좌측 세 번째 영역(E3) 또는 다섯 번째 영역(E5)상에 낙하될 때, 세 번째 영역(E3) 또는 다섯 번째 영역(E5)상에 볼의 낙하를 한쌍의 마이크(194 및 195 또는 198 및 199)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에 의해 판정하고, 볼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조측 반부상에서 중앙 위치 또는 좌측 단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볼발사부의 이동은 발사부 이동 모터(96a)에 공급된 펄스 수에 의해 제어된다.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볼발사부(20)는 플레이어가 코트(14)상에 되받아 친 볼의 낙하 위치에 관계없이 탁구대(10)의 중앙 위치, 좌측 단부 위치 또는 우측 단부 위치로 고정된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각도를 게임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7). 즉, 게임 난이도가 높을 때, 발사 각도를 자주 바꾸거나,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 발사 비율을 감소시키고, 낮은 볼 발사 비율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발사 각도를 자주 바꾸지 않거나,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 발사 비율을 증가시키고, 낮은 볼 발사 비율을 감소시킨다.
그후, 발사될 다음 볼의 발사 방향(직선 방향 또는 크로스 방향)을 게임 난이도에 따라 결정한다(단계 S169). 즉, 게임 난이도가 높을 때, 발사 방향을 자주 바꾸고, 반면에 게임 난이도가 낮을 때 발사 방향을 그렇게 자주 바꾸지 않는다.
그후, 부세력-부여 수단(25)의 롤러 모터(253 및 254)의 회전수를 PWM 제어(펄스폭 변조 제어)에 의해 신속히 변경하고, 회전 수단(26)의 발사 실린더 회전 모터(263)를 일정 펄스수의 공급 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이로서 볼발사부(20)를 정상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고, 볼 발사 형태와 볼 속도를 단계 S163에서 결정된 형태와 속도로 설정한다(단계 S171). 추가로, 발사부 이동 모터(96a)를 일정수의 펄스의 공급 전압에 의해 구동시키고, 이로서 볼발사부(20)를 일정한 좌측 또는 우측 위치로 이동시키고, 볼발사 위치를 단계 S163에서 결정된 위치로 설정한다(단계 S173). 단계 S163 및 S171에서 볼 발사 형태는 부세력-부여 수단(25) 및 회전 수단(26)에 의해 볼상에 스핀 적용 방식에 의해 변경되는 형태를 뜻한다. 그러나, 부세력-부여 수단(25)에 의해 변경된 볼 속도, 및 각도 변경 수단(28)에 의해 생성된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볼은 볼 발사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가이드판 모터(282)를 센서(285)로부터 출력된 전압치가 일정치에 도달될 때가지 구동하고, 이로서 가이드판(281)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고, 볼발사 각도를 단계 S167에서 결정된 각도로 설정한다(단계 S175). 또한, 발사부 요동 모터(276)를 요동 각도 센서(278)로부터 출력된 전압치가 일정치에 도달될 때까지 구동시키고, 이로서 볼발사부(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고, 볼발사 방향을 단계 S169에서 결절된 방향으로 설정한다(단계 S177).
콘트롤 박스(70)의 코치 모드 선택 스위치(CS)를 켤 때, 단계 S163 내지 S169의 동작은 콘트롤 박스(70)에 설치된 영역 선택 스위치(PS1내지 PS6) 중 어느 하나를 켜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추가로, 코치 모드 선택 스위치(CS)가 켤 때조차, 영역 선택 스위치를 켜지 않을 때 프로그램된 조건하에 볼을 발사한다.
그후, 볼발사 타이밍(예, 2초당 1회 발사)이 도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79). 예이면, 판캠 모터(242)가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판캠(241)이 회전한다. 단계 S179에서 아니오이면, 발사 타이밍이 도래할 때가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후, 판캠(241)이 1회 회전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83). 예이면, 발사음(예, 볼을 라켓으로 칠 때 발생된 효과음)을 생성한다(단계 S185). 그후, 판캠 모터(24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판캠(24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S187). 단계 S183에서 아니오이면, 판캠(241)이 회전하기 시작한 이래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89). 예이면, 에러 처리(예, 볼 혼잡의 표시)를 수행한다(단계 S191). 단계 S189에서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183으로 복귀하고, 다음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3에서 볼 낙하 위치의 검출, 및 득점 처리를 도 19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볼이 볼발사부(20)로부터 발사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1). 예이면, 마이크(190 내지 199)로부터 출력된 최종 검출 신호가 클리어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3). 예이면,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코트(14)상에 낙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5). 단계 S223에서 아니오이면, 상기 검출 신호가 클리어할 때까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며, 판정 중에 마이크(190 내지 199)로부터 다음 신호가 출력될 때조차, 그 신호를 무시한다.
즉, 단계 S221에서 예일 때, 플래그(flag)를 세우고, 플래그를 세우는 동안, 볼이 코트(14)에 낙하되는 때에만 출력되는 마이크(190 내지 199)로부터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다른 한편, 검출 신호를 일단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을 때, 상기 플래그를 내리며, 볼이 바운딩에 의해 코트(14)상에 다시 낙하되고 검출 신호가 출력될 때조차, 신호를 무시하고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그러나, 미리 발사된 볼을 포물선을 그리는 경로로 되받아 쳐서 다음 볼의 발사 직전에 코트(14)상에 낙하되고, 바운드하여 다음 볼의 발사 직후 코트(14)상에 낙하될 때, 득점이 미리 발사된 볼의 바운드에 의해 이중으로 가산되며, 득점이 다음 볼에 의해 가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첫 번째 바운드에 의해 출력된 검출 신호를 일정 시간(예, 0.5 초) 동안 대기시키고, 대기 시간 중에 다음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때조차, 신호를 무시하고, 이로서 득점이 이중으로 가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인 일예를 설명한다.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볼 ⓛ을 볼발사부(20)로부터 시간 t1에 발사하고 플래그(F)를 세우며, 두 번째 볼 ②을 시간 t2, 예를들어 2 초 후에 발사하고 플래그(F)를 세운다. 이 경우에, 코트(14)상에 되돌아 온 첫 번째 볼ⓛ이 두 번째 볼②의 발사 직전에 코트(14)상에 바운드될 때조차, 플래그(F)를 첫 번째 바운드 시간 t1a에 내려서, 후속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지 않는다.
그러나,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이 볼②의 발사 직전에 시간 t1b에서 코트(14)상에 바운드되고 볼②의 발사 직후 시간 t1c에서 다시 바운드되면, 플래그(F)를 바운드 직전에 시간 t1b에 볼ⓛ의 발사에 의해 세우고, 플래그(F)를 두 번째 바운드 직전에 시간 t1c에 볼②의 발사에 의해 세운다. 따라서, 양쪽 검출 신호를 득점 가산 수단(816)에 넣는다.
이 경우에,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바운드 시간 t1b후 예를들어 0.5 초 동안 검출 신호를 대기하고 게이트(gate)를 설치하여 이 기간 중에 새로운 검출 신호를 받지 않도록 하면, 볼ⓛ의 첫 번째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되나, 두 번째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는 검출 신호의 대기 상태가 첫 번째 볼ⓛ의 두 번째 바운드 시간 t1c후에 클리어할 때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되지 않는다.
볼②는 통상적으로 볼ⓛ의 검출 신호가 클리어 한 후 시간 t2a에서 바운드되며, 이 바운드로부터 얻어진 검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된다. 상기 0.5 초는 검출 신호를 대기하기 위한 시간의 일에이다. 시간은 바운드 시간의 최대치에 상응하는 시간, 또는 약간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9로 돌아가서, 단계 S225에서 아니오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7). 예이면, 과정을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5로 진행시킨다. 아니오이면, 과정을 단계 S225로 복귀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판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단계 S225에서 예이면, 플레이어가 되받아 친 볼이 냉음극관(181 내지 184)이 점등되는 영역(E2내지 E5)상에 낙하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29). 예이면, 고득점(예, 2 점)을 이전 득점에 가산하고, 득점을 표창하기 위한 음악과 같은 효과음을 일정 시간 출력한다(단계 S231). 이 일예에서, 냉음극관의 점등 영역과 점등하지 않는 영역 사이의 경계에 볼이 낙하하는 것은 점등 영역상의 낙하로 간주된다.
그후, 전광식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볼이 낙하된 영역에서 냉음극관을 일정 시간 점멸하고, 반면에 다른 영역에서 모든 냉음극관을 일정 시간만 점등한다(단계 S223). 연속하여, 점수 표시부(41)에 가산 점수를 표시하고 표시부(41)를 일정 시간 점멸하며, 이로서 점수 득점을 어필(appeal)한다(단계 S235).
도 14에 도시한 단계 S57에서 게임 종료 처리를 도 20의 플루오 챠트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우선, 볼발사부(20)에서 모터, 즉 호퍼내부 교반 모터(234), 롤러 모터(253 및 254), 발사 실린더 회전 모터(263), 발사 실린더 요동 모터(273), 가이드판 모터(282) 및 발사부 이동 모터(96a)의 회전을 정지시키고(단계 S261), 게임 종료에 관한 데모 화면을 화상 표시부(42)에 표시한다(단계 S263). 데모 화면은 고득점 갱신, 최종 득점 표시, 등을 포함한다.
그후, 모터(96a)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고 볼발사부(20)를 탁구대(10)의 중앙에서, 초기 위치로 전환하고(단계 S265), 모터(282)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고 가이드판(281)을 초기 위치로 전환시키고(단계 S267), 추가로, 모터(276)을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고 볼발사부(20)를 요동 방향에서 초기 위치로 전환시킨다(단계 S269).
그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71). 예이면, 교반/공급 모터(379 및 389)의 회전을 정지시킨다(단계 S273).
본 발명을 현재 바람직한 일예로 생각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일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대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에 포함된 여러 가지 변형과 대등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들어, 네트(16) 근처의 영역을 좌측 및 우측 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탁구대(14)의 코트(14)를 총 6개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배치로서, 네트(16) 근처의 영역으로 볼을 칠 때조차, 다음 볼이 볼을 치는 영역에 따라 발사될 수 있다. 추가로, 코트(14)를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횡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코트(14)상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마이크가 각 영역에 설치된다면, 볼발사부(20)가 볼 반환 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서, 실연 플레이에 가까운 경쟁 플레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냉음극관이 모든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일 색상의 냉음극관이 이 영역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볼발사부(20)는 코트(14)를 설치하지 않고 플레이어측 코트(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들어, 볼발사부(20)의 후방에 코트와 되받아 친 볼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를 배치할 수 있고, 볼발사부(20)의 인접 측면에 여러개의 광센서를 횡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에 의해 리턴된 볼이 어떤 광센서를 통과하는지에 따라 볼 리턴 방향을 검지하고 이로서 검지 결과에 따라 볼발사부(2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코트(14) 대신에 매트릭스 형태로 그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hole)을 가진 보드(board)를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볼 리턴 방향을 얻도록 광센서 또는 기계식 스위치에 의해 리턴된 볼이 어떤 관통 홀을 통과하는지를 검지하고 이로서 리턴 방향에 따라 볼발사부(2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냉음극관과 같은 램프를 제일 영역(E1)에 배치할 수 있다. 추가로, 동일한 발광색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영역에서 발광색의 변화는 백색 발광 램프와 착색 판체(142)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판체(142) 등에 매트릭스의 형태로 묻어서 면광원을 구성할 수 있다. 면광원은 코트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식별 수단은 상기에서 코트(14)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선별부는 좌측 회수부(32)의 레일(321)과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31)만을 구비할 수 있거나, 종방향 회수부(35)의 레일(351)과 횡방향 회수부(36)의 레일(361)만을 구비할 수 있다.
볼선별부가 레일(321) 및 레일(331)만을 구비할 때, 레일(331)의 하류로 구른 볼은 볼상승 수단(38)에 의해 볼발사부(20)로 반환될 수 있다. 볼선별부가 레일(351) 및 레일(361)만을 구비할 때, 탁구대(10) 주위로 낙하된 볼이 예를들어 탁구대(10) 아래 플로어상에서 탁구대(10)의 후방으로 회수될 수 있으며, 회수된 볼은 레일(351)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볼선별부는 레일(321) 또는 레일(331) 중 하나, 또는 레일(351) 또는 레일(361) 중의 하나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탁구대(10) 주위로 낙하된 볼이 적합한 수단에 의해 회수될 수 있으며, 볼선별부의 레일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로, 레일은 볼이 풍압에 의해 구르도록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좌측 회수부(32)와 유사하게 우측 회수부(34)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회수부(32)가 우측 회수부(34)의 판과 동일한 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판의 하류로 구른 볼은 후방 회수부(33)의 레일(33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회수부(31)는 탁구대(10)의 후방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플로어 회수부(31)에 회수된 볼은 신장된 부분으로부터 볼선별부로 이동될 수 있다. 추가로, 플로어 회수부(31)는 볼이 풍압 등에 의해 구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예에서, 볼이 바운드되어 다시 코트(14)에 낙하될 때 바운드 볼 가산 금지 수단(824)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득점 가산 수단(816)에 통합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나, 볼의 제일 낙하로부터 초래한 가산을 실행할 때, 예를들어 일정 시간 검출 수단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검출 동작을 불능으로 함으로써 가산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 레일을 포함한 탁구볼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병렬 배치된 레일이 이 장치의 상류측으로부터 배치된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로 구성되고,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가 서로 교차하고, 볼이 제일 볼선별부의 하류단에서 제이 볼선별부의 상류부로 이동될 수 있는 탁구볼 선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의 각각이 그의 하류측으로 하방 경사진 탁구볼 선별장치.
  4. 탁구대의 제일 코트상에 배치된 볼발사부로부터 다른 코트로 발사된 볼을 제일 코트로 되받아 치는 탁구장치로서, 이 탁구장치가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한 탁구볼 선별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병렬 배열된 레일이 이 장치의 하류측으로부터 배열된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로 구성되며,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가 서로 교차하고, 볼이 제일 볼성별부의 하류단에서 제이 볼선별부의 상류부로 이동될 수 있는 탁구장치.
  5. 탁구대의 제일 코트상에 배치된 볼발사부로부터 다른 코트로 발사된 볼이 그 코트로 되받아 치는 탁구장치로서, 이 탁구장치가 변형 볼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대략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한 탁구볼 선별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 병렬 배치된 레일이 이 장치의 하류측으로부터 배열된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로 구성되며,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가 서로 교차하고, 볼이 제일 볼선별부의 하류단에서 제이 볼선별부의 상류부로 이동될 수 있고, 제일 및 제이 볼선별부의 각각이 그 하류측으로 하방 경사진 탁구장치.
  6.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탁구볼 선별장치의 제일 볼선별부가 적어도 제일 코트의 측면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제이 볼선별부가 이 제일 코트의 후방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탁구장치.
  7.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탁구볼 선별장치의 하류에 도달된 볼을 볼발사부로 되받아 치기 위한 볼반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탁구장치.
  8.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다른 코트의 전방 플로어상에 낙하된 볼을 탁구대로 회수하기 위한 플로어 볼회수부; 및 플로어 볼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볼을 탁구볼 선별장치의 하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이동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탁구장치.
  9.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긴 수용판으로 구성된 변형 볼 운반 부재가 탁구볼 선별장치 밑에 배열되어 있는 탁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볼회수 박스가 변형 볼 운반 부재의 최하단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탁구장치.
KR10-1998-0037546A 1997-09-17 1998-09-11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KR100383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152/1997 1997-09-17
JP27215297A JP3170475B2 (ja) 1997-09-17 1997-09-17 卓球ボール選別装置及び卓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35A true KR19990029735A (ko) 1999-04-26
KR100383246B1 KR100383246B1 (ko) 2003-07-18

Family

ID=1750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46A KR100383246B1 (ko) 1997-09-17 1998-09-11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20452B1 (ko)
JP (1) JP3170475B2 (ko)
KR (1) KR100383246B1 (ko)
CN (1) CN1154526C (ko)
AU (1) AU727465B2 (ko)
TW (1) TW50825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023A (zh) * 2018-07-13 2018-10-16 大连理工大学 一种新型收集分类捡球机器人及其使用方法
KR20220040940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CN116236762A (zh) * 2023-03-29 2023-06-09 淮阴工学院 一种球类器材自动筛选收纳系统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9980B1 (en) * 2003-01-27 2004-05-04 Shin Zu Shing Co., Ltd. Jam free device for a table tennis serving machine
TWI404556B (zh) * 2007-09-27 2013-08-11 Univ Nat Chunghsing Automatic pool billiards
CN101422651B (zh) * 2008-12-02 2011-11-16 青岛科技大学 自动台球机的运球装置
US8960176B2 (en) * 2010-11-03 2015-02-24 Ball Buddie Llc Metered ball delivery
US8257204B1 (en) * 2011-05-24 2012-09-04 Shu-Hua Liu Automatic ball collection system for table tennis
KR101574021B1 (ko) * 2014-06-24 2015-12-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WO2016007031A2 (pt) * 2014-07-09 2016-01-14 Isensexpert, Lda Sistema de treino incluindo meios de recolha automática e processo de operação do referido sistema de treino
WO2016007030A2 (pt) * 2014-07-09 2016-01-14 Isensexpert, Lda Sistema de treino incluindo meigs de lahqçmento de objetos de treino e processo de ορεκαçâο do referido
KR101925388B1 (ko) * 2017-07-05 2018-12-05 박은호 에어마스크
CN107510930A (zh) * 2017-10-20 2017-12-26 安徽理工大学 一种乒乓球半球分拣装置
CN111375569B (zh) * 2018-12-29 2023-08-01 乐山希尔电子股份有限公司 测试一体机
CN109481927A (zh) * 2019-01-15 2019-03-19 桂林航天工业学院 具有侧旋功能的网球发球装置及发球方法
WO2020197117A1 (ko) * 2019-03-27 2020-10-01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CN109813272B (zh) * 2019-03-28 2023-11-03 苏州聚慧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乒乓球全自动偏心检测系统
CN110090411B (zh) * 2019-06-04 2023-12-29 辽宁科技大学 用于兵兵球场地的扣球小车
CN110787431B (zh) * 2019-07-30 2023-12-01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遥控小车的乒乓球收集装置
CN110559643B (zh) * 2019-09-25 2024-08-27 广州市雄翔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球类游戏设备
CN110801607B (zh) * 2019-11-13 2023-06-09 蚌埠学院 一种智能乒乓球台系统及其得分判定方法
KR102464742B1 (ko) * 2020-12-15 2022-11-10 박정열 탁구 게임 연습 장치
CN113083717B (zh) * 2021-03-31 2023-03-28 陕西瑞格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原材分选装置及工艺
CN113976447A (zh) * 2021-10-28 2022-01-28 上海盈达空调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锌板材分流输送装置
CN114272590B (zh) * 2021-12-28 2022-11-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可自动收纳体育器材的分类装置
CN114798447B (zh) * 2022-03-02 2023-08-11 黄芸 一种方便收集的乒乓球弹跳测试装置
IT202200020343A1 (it) * 2022-10-04 2024-04-04 Guido Principi Dispositivo automatico di lancio palline per simulazione gioco ed allenamento nel tennis da tavolo
CN115350938B (zh) * 2022-10-24 2023-02-07 济宁恒阔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轮毂用钢珠直径自动检测装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265A (en) 1973-03-12 1975-11-04 Michael Robert Schrier Pneumatic ball ejecting machine
US4875678A (en) 1988-04-28 1989-10-24 Sawyer Hermon R Ball retrieval system
JPH0317687A (ja) 1989-06-15 1991-01-25 Pioneer Electron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29622337U1 (de) 1996-12-23 1997-03-06 Pollak, Michael, Dipl.-Ing., 89584 Ehingen Tischtennis-Trainingseinrichtung mit Ballrücklau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4023A (zh) * 2018-07-13 2018-10-16 大连理工大学 一种新型收集分类捡球机器人及其使用方法
CN108654023B (zh) * 2018-07-13 2023-04-21 大连理工大学 一种新型收集分类捡球机器人及其使用方法
KR20220040940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CN116236762A (zh) * 2023-03-29 2023-06-09 淮阴工学院 一种球类器材自动筛选收纳系统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8255B (en) 2002-11-01
JP3170475B2 (ja) 2001-05-28
CN1154526C (zh) 2004-06-23
JPH1189987A (ja) 1999-04-06
US6220452B1 (en) 2001-04-24
AU727465B2 (en) 2000-12-14
CN1218706A (zh) 1999-06-09
AU8519598A (en) 1999-04-01
KR100383246B1 (ko) 200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246B1 (ko)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KR100344117B1 (ko) 탁구장치
US5658211A (en) Interactive ball throwing game
JP3545918B2 (ja) 卓球装置
JP3015849B2 (ja) 卓球装置
JP2001037936A (ja) 卓球遊戯装置
JP3041260B2 (ja) 卓球装置
EP0903164A2 (en) Table tennis ball-sorting device
US5257780A (en) Football game apparatus
JP3629758B2 (ja) ボールゲーム装置
WO2004045731A2 (en) Interactive laser amusement systems
KR200175819Y1 (ko) 실내 자동테니스 연습장치
KR200271137Y1 (ko) 야구공타격연습장치
JP2001037937A (ja) 卓球遊戯装置
JPH05154236A (ja) 弾球遊技機
JPH11226163A (ja) 的当てゲーム機
JPH08215374A (ja) ボールゲーム機
JPH0852271A (ja)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装置
JP3060107U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H08322994A (ja) 弾球遊技機の表示制御装置
JPH08112445A (ja) ホッケーゲーム機
JPH1094644A (ja) 弾球遊技機の表示制御装置
JP2002085806A (ja) ゲーム装置
JPH09140871A (ja) パチンコ遊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